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예산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예산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에 위치한 군으로, 삼국시대에는 백제부흥운동의 거점인 임존성이 있었고, 신라 경덕왕 때 오산현으로 불리다가 고려 시대에 예산현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 예산현이 예산군으로 승격되었으며, 1914년 대흥군과 덕산군이 예산군에 편입되었다. 현재 2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예산읍이다. 주요 산업은 농림어업, 제조업, 교육 서비스업이며, 서산영덕고속도로, 장항선, 서해선 등 교통망이 발달되어 있다. 윤봉길, 백종원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을 배출했으며, 미국 녹스빌, 경기도 광명시 등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산군의 행정 구역 - 오가면
    오가면은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면으로, 과거 마한에 속했으며 조선시대에는 예산현과 홍주부에 속했고,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오원리면, 거구화면, 우가산면이 통합되어 현재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으며, 일부 지역이 삽교읍에 편입되어 12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예산군의 행정 구역 - 삽교읍
    삽교읍은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하며 삽교천과 아산만이 만나는 지점에 자리 잡은 읍으로, 1973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갯벌과 농경지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지리적 특징을 가지며 삽교천을 중심으로 농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 예산군 - 예산도서관
    예산도서관은 1975년 개관하여 1996년 신축 이전, 디지털 자료실 개실 및 전자책 서비스 등의 변화를 거쳐 2019년 충청남도예산교육지원청예산도서관으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현재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에 휴관하는 충청남도 예산군 소재 도서관이다.
  • 예산군 - 내포신도시
    내포신도시는 충청남도 예산군과 홍성군에 걸쳐 조성된 10만 명 수용 목표의 신도시로, 2013년 충청남도청 등 주요 기관 이전과 함께 운영을 시작했으며, 고속도로와 2025년 서해선 내포역 개통으로 교통 접근성이 향상될 예정이다.
  • 충청남도의 군 - 청양군
    충청남도 중앙에 위치한 청양군은 칠갑산을 중심으로 산지가 많고 백제 시대부터 역사를 지닌 1읍 9면의 농업 기반 지역으로, 충청남도에서 인구가 가장 적으며 칠갑산 도립공원 등의 관광자원과 충남도립청양대학교가 있다.
  • 충청남도의 군 - 부여군
    부여군은 충청남도 서남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마지막 수도였던 사비가 있던 곳으로, 역사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읍 15면으로 구성되었고, 금강 유역의 평야와 구릉지, 온대 기후, 풍부한 백제 유적을 바탕으로 관광 및 서비스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예산군
지도 정보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예산군
한글 표기예산군
한자 표기禮山郡
로마자 표기Yesan-gun
매큔-라이샤워 표기Yesan-gun
관할 국가대한민국
속한 지역호서 지방
방언충청 방언
면적542.65 km²
인구78,195명
인구 밀도141.25명/km²
하위 행정 구역2읍, 10면
행정
군수최재구 (국민의힘)
국회의원강승규 (국민의힘, 홍성군·예산군)
군청 소재지예산읍 군청로 22 (예산리 777번지)
공식 웹사이트예산군청
상징
군목사과나무
군화개나리
군조황새
예산군 엠블럼
예산군 기
기타
예산군청
수덕사의 법고각과 코끼리등롱
위치 지도300px

2. 역사

삼국시대 예산군 대흥면에는 백제부흥운동의 본거지인 임존성이 있었으며, 예산읍에 해당하는 오산성은 신라 경덕왕 때에는 고산현으로 개칭되었다.[4] 고려시대에는 고산현을 고쳐서 예산현이라고 불렀다. 후삼국시대에는 임존성은 후백제에 예산현은 고려에 속하였다.

조선시대의 기록을 보면 덕산(德山)은 백제의 마시산(馬尸山)·금물(今勿)로, 경덕왕이 이산(伊山)·금무(今武)로 하였고, 고려 시대의 덕풍(德豊)·이산(伊山)에서 조선시대에 덕산이 되었다.[4]

1895년 예산현이 예산군으로 승격되었다.[11] 1914년 4월 1일 대일본제국의 부군면 통폐합으로 대흥군, 덕산군이 '''예산군'''에 편입되었다.[4]


  • 대술면·임성면·오가면·신암면·덕산면·삽교면·고덕면·봉산면·대흥면·광시면·신양면·봉산면[4]

1917년 10월 1일 임성면을 예산면으로, 봉산면(峰山面)을 응봉면으로 개칭하였다.[12]

2. 1. 삼국시대 ~ 조선시대

삼국시대 예산군 대흥면에는 백제부흥운동의 본거지인 임존성이 있었으며, 예산읍에 해당하는 오산성은 신라 경덕왕 때에는 고산현으로 개칭되었다.[4] 고려시대에는 고산현을 고쳐서 예산현이라고 불렀다. 후삼국시대에는 임존성은 후백제에 예산현은 고려에 속하였다.[4]

조선시대의 기록을 보면 덕산(德山)은 백제의 마시산(馬尸山)·금물(今勿)로, 경덕왕이 이산(伊山)·금무(今武)로 하였고, 고려 시대의 덕풍(德豊)·이산(伊山)에서 조선시대에 덕산이 되었다.[4]

  • 1895년 예산현이 예산군으로 승격되었다.[11]
  • 1914년 4월 1일 대일본제국의 부군면 통폐합으로 대흥군, 덕산군이 '''예산군'''에 편입되었다.[4]
  • * 대술면·임성면·오가면·신암면·덕산면·삽교면·고덕면·봉산면·대흥면·광시면·신양면·봉산면[4]
  • 1917년 10월 1일 임성면을 예산면으로, 봉산면(峰山面)을 응봉면으로 개칭하였다.[12]

2. 2.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대일본제국의 부군면 통폐합으로 대흥군, 덕산군이 예산군에 통합되었다.[11] 이 과정에서 예산군에는 대술면, 임성면, 오가면, 신암면, 덕산면, 삽교면, 고덕면, 봉산면 (鳳山面), 대흥면, 광시면, 신양면, 봉산면 (峰山面)의 12개 면이 설치되었다.[4] 1917년 10월 1일 임성면이 예산면으로, 봉산면(峰山面)이 응봉면으로 개칭되었고,[12][5] 1940년 11월 1일 예산면이 예산읍으로 승격하였다.[13][6]

2. 3. 대한민국

삼국시대 예산군 대흥면에는 백제부흥운동의 본거지인 임존성이 있었으며, 예산읍에 해당하는 오산성은 신라 경덕왕 때에는 고산현으로 개칭되었다. 고려시대에는 고산현을 고쳐서 예산현이라고 불렀다. 후삼국시대에는 임존성은 후백제에 예산현은 고려에 속하였다.[4]

1895년 예산현이 예산군으로 승격되었다.[4] 1914년 4월 1일 대일본제국의 부군면 통폐합으로 대흥면, 덕산면이 예산군에 편입되었다.[11] 이때, 대흥군과 덕산군이 예산군에 통합되면서 대술면, 임성면, 오가면, 신암면, 덕산면, 삽교면, 고덕면, 봉산면(鳳山面), 대흥면, 광시면, 신양면, 봉산면(峰山面)의 12개 면이 설치되었다.[11]

1917년 10월 1일 임성면을 예산면으로, 봉산면(峰山面)을 응봉면으로 개칭하였다.[12] 1940년 11월 1일 예산면이 예산읍으로 승격되었고,[13] 1973년 7월 1일 삽교면이 삽교읍으로 승격되었다.[14] 1983년 2월 15일 오가면 효림리, 좌방리 일부(방아리), 월곡리 일부(월산리)가 삽교읍으로 편입되었다.[15]

1996년 1월 1일 신암면의 일부가 아산시 선장면 신덕2리에 편입되었다.

2006년 2월 12일 충청남도 도청이전 예정지역이 예산군 삽교읍·홍성군 홍북면 일원 내포신도시로 결정되었다. 충청남도 도청이전 사업은 2012년 완료되었다.[4]

3. 지리

예산군의 지형은 일반적으로 구릉과 산맥이 연결되어 있으며, 동부는 차령산맥, 서부에는 가야산(678m), 남부는 봉수산(484m)을 중심으로 산이 겹쳐있다. 예산의 서쪽에는 덕산도립공원이 있다. 덕숭산이 있다. 예산의 중앙부로 무한천삽교천 2개 하천이 북쪽으로 흐르며, 그 유역에는 기름진 예당평야가 펼쳐져 쌀의 주산지를 이룬다. 구릉지대는 사과를 중심으로 한 과수지대가 많다.

예산군공주시, 서산시, 청양군, 홍성군, 당진시와 접한다.

4. 기후

예산군은 한반도의 기후형인 여름철의 남동풍과 겨울철의 북서풍이 탁월한 온대계절풍이 분다. 여름에 몹시 덥고 겨울에 추운 대륙성기후가 나타나고 강수량의 절반 이상이 여름에 내리는 하계다우형 기후를 나타낸다.

5. 행정 구역

예산군의 행정 구역은 2읍 10면, 177 법정리와 304개의 행정리, 1,192반, 790개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군청 소재지는 예산읍이다.[18] 예산군의 면적은 542.31km2로 충청남도의 6.28%를 차지한다.[18] 인구는 2015년 6월 말을 기준으로 37,398세대, 84,158명이 살고 있으며, 인구의 44.4%가 예산읍에, 9.4%가 삽교읍에 거주하고 있어 인구의 53.8%가 읍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인구 최고치는 1965년의 180,045명이었다.[19]

읍면동한자면적세대인구지도
예산읍禮山邑42.815,58137,107
예산군 행정구역도
삽교읍揷橋邑49.63,5587,932
대술면大述面60.71,3412,757
신양면新陽面61.71,5533,386
광시면光時面581,7083,547
대흥면大興面35.89361,927
응봉면鷹峰面26.31,2782,760
덕산면德山面59.73,5087,589
봉산면鳳山面35.21,3182,803
고덕면古德面44.92,2875,060
신암면新岩面35.91,9544,062
오가면吾可面32.32,3765,228
예산군禮山郡542.3137,39884,158



각 읍, 면의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읍·면법정리
예산읍 (礼山邑)간량리, 관작리, 궁평리, 대회리, 발연리, 산성리, 석양리, 수철리, 신례원리, 예산리, 주교리, 창소리, 향천리
삽교읍 (挿橋邑)가리, 두리, 목리, 방아리, 삽교리, 상성리, 상하리, 성리, 송산리, 수촌리, 신리, 신가리, 연치리, 역리, 용동리, 월산리, 이리, 창이리, 평촌리, 하포리, 효림리
대술면 (大述面)갈곡리, 농리, 마다리, 방산리, 산정리, 상항리, 송석리, 시산리, 이치리, 장복리, 화산리, 화천리
오가면 (吾可面)내량리, 분천리, 신석리, 신원리, 신장리, 양막리, 역탑리, 오촌리, 원천리, 원평리, 월곡리, 사방리
신암면 (新岩面)계촌리, 두곡리, 별리, 신종리, 신택리, 예림리, 오산리, 용궁리, 조곡리, 종경리, 중례리, 탄중리, 하평리
덕산면 (徳山面)광천리, 낙상리, 내라리, 대동리, 대치리, 둔리, 복당리, 북문리, 사동리, 사천리, 상가리, 시량리, 신평리, 옥계리, 외라리, 읍내리
고덕면 (古徳面)구만리, 대천리, 몽곡리, 사리, 상궁리, 상몽리, 상장리, 석곡리, 오추리, 용리, 지곡리, 호음리
봉산면 (鳳山面)고도리, 구암리, 궁평리, 금치리, 당곡리, 대지리, 마교리, 봉림리, 사석리, 시동리, 옥田리, 옹안리, 하평리, 화田리, 효교리
대흥면 (大興面)갈신리, 교촌리, 금곡리, 노동리, 대굴리, 대야리, 동서리, 상중리, 손지리, 송지리, 신속리, 지곡리, 탄방리, 하탄방리
광시면 (光時面)가덕리, 관음리, 광시리, 구례리, 루田리, 대리, 동산리, 마사리, 미곡리, 서초정리, 시목리, 신개리, 신흥리, 용두리, 운산리, 월송리, 은사리, 장신리, 장田리, 하장개리
신양면 (新陽面)가지리, 귀곡리, 녹문리, 대덕리, 만사리, 무봉리, 불원리, 서계양리, 시왕리, 신양리, 여래미리, 련리, 죽천리, 차동리, 하천리, 황계리
응봉면 (鷹峰面)건지화리, 계정리, 루화리, 등촌리, 송석리, 신리, 운곡리, 립침리, 주령리, 증곡리, 지석리, 평촌리, 후터리


6. 인구

7. 산업

예산군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5조 2,269억원으로 충청남도 지역내 총생산의 1.8%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6,639억원으로 12.7%를 차지하고, 제조업은 2조 5,086억원으로 47.9%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있으며, 교육서비스업(3차산업)은 2조 544억원으로 39.3%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분에서는 건설업(8.3%)과 공공행정(5.0%), 도소매업(3.1%), 교육 서비스업(4.1%)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있다.[17]

7. 1. 지역내 총생산 (2012년 기준)

예산군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5조 2,269억원으로 충청남도 지역내 총생산의 1.8%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6,639억원으로 12.7%를 차지하고, 제조업은 2조 5,086억원으로 47.9%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있으며, 교육서비스업(3차산업)은 2조 544억원으로 39.3%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분에서는 건설업(8.3%)과 공공행정(5.0%), 도소매업(3.1%), 교육 서비스업(4.1%)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있다.

8. 교통

예산읍으로부터 남동쪽으로는 대전·공주 방면, 북동쪽으로는 아산·천안 방면, 남서쪽에는 홍성·보령 방면, 북서쪽으로는 서산·당진 방면으로 교통로가 발달되어 충남 북서부 지역 도로교통의 분기점 역할을 한다. 서산영덕고속도로가 개통되어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수도권 전철은 없는 지역이며, 신창역이 비교적 가깝다.



장항선 일반 열차가 지나가며, 예산역, 삽교역, 신례원역 등이 있다.

서해선

8. 1. 도로

예산읍으로부터 남동쪽으로는 대전·공주 방면, 북동쪽으로는 아산·천안 방면, 남서쪽에는 홍성·보령 방면, 북서쪽으로는 서산·당진 방면으로 교통로가 발달되어 충남 북서부 지역 도로교통의 분기점 역할을 한다. 서산영덕고속도로가 개통되어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수도권 전철은 없는 지역이며, 신창역이 비교적 가깝다.

8. 2. 철도

서해선당진시에서 내포를 거쳐 홍성군으로 이어진다. 장항선신례원역, 례산역, 삽교역을 지난다.

8. 3. 버스

예산군에는 예산군의 농어촌버스예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운영하는 시외버스가 있다. 예산시내버스도 운행되고 있다.

9. 교육

국립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가 있다.

9. 1. 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가 있다.

10. 출신 인물

11. 자매 도시

테네시주 녹스빌

경기도 광명시

11. 1. 국내

테네시주 녹스빌

경기도 광명시

서초구, 서울특별시

성북구, 서울특별시

연수구, 인천광역시

안양시, 경기도1996년 4월 26일 자매결연 협정을 조인했다.

11. 2. 해외

예산군은 다음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녹스빌 (미국 테네시 주)과 2003년 12월 4일 자매결연 협정을 맺었다.

12. 기타 시설

충남지방경찰청이 삽교읍에 있다. 예산경찰서예산소방서(오가면에 있음)가 있다. 예산운전면허시험장이 있다.

13.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서적 Korea Travel Guide KTO n.d.
[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4]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5] 법률 道令第8号 1917-09-25
[6] 법률 府令第221号 1940-10-23
[7] 법률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8] 법률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9] 웹인용 2023년 8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0]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1]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2] 법령 도령 제8호 1917-09-25
[13] 법령 부령 제221호 1940-10-23
[14] 법령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15] 법령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제4조 1983-01-10
[16] 통계자료 2010년 예산군 통계연보 - 토지 및 기후 2011-08-24
[17]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18] 웹사이트 2010년 예산군 통계연보 http://www.yesan.go.[...] 2014-03-24 #웨이백 머신 날짜 사용
[19] 웹인용 2011년 7월 인구 현황 http://www.yesan.go.[...] 2011-08-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