넌출월귤아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넌출월귤아속(Oxycoccus)은 진달래과에 속하는 식물 아속으로, 4~5종의 넌출월귤을 포함한다. 넌출월귤은 꽃잎이 뒤로 젖혀지고 줄기가 가늘다는 특징을 가지며, 북반구의 시원한 온대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열매는 장과로, 생으로 먹거나 잼, 주스 등으로 가공된다. 넌출월귤은 요로 감염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8년 기재된 식물 - 파출리
파촐리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꿀풀과 관목으로, 녹색 잎에서 추출한 오일은 향수, 향, 방충제 등으로 쓰이며, 실크로드 방충제나 히피 문화의 인기 등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1848년 기재된 식물 - 우니
우니는 칠레 남부와 뉴질랜드에서 자라는 상록수로 관상용으로도 쓰이며, 로빈슨 크루소 섬에서 외래종으로 확산되어 생태계를 교란하기도 하지만 후안 페르난데스 제도에서는 열매를 활용한 제품 개발로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잼, 주스, 리큐어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산앵도나무속 - 블루베리
블루베리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푸른 열매로, 전 세계에서 재배되며 생과나 가공품으로 이용되고 안토시아닌이 풍부하여 항산화 효과와 다양한 건강 효능을 가진다. - 산앵도나무속 - 넌출월귤
넌출월귤은 덩굴성 관목으로, 7월에 연분홍색 꽃을 피우고 9-10월에 붉은색 장과 열매를 맺으며, 온대 북반구의 서늘한 기후에서 자라는 크랜베리 식용 식물이다.
넌출월귤아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명 | Vaccinium subg. Oxycoccus |
명명자 | (Hill) A. Gray |
아속 | 넌출월귤아속 |
영어 이름 | Cranberry |
일본어 이름 | クランベリー (Kuranberī) |
생태 및 형태 | |
높이 | 0.2 m |
크기 | 5~20 cm |
분포 | |
분포 지역 | 츠루코케모모: 적색으로 표시 히메츠루코케모모: 오렌지색으로 표시 오오미츠루코케모모: 녹색으로 표시 |
하위 분류 | |
절 | Oxycoccos절 츠루코케모모 V. oxycoccos 히메츠루코케모모 V. microcarpum 오오미츠루코케모모 V. macrocarpon Oxycoccoides절 V. erythrocarpum |
종 | Vaccinium erythrocarpum Vaccinium japonicum Vaccinium macrocarpon Vaccinium microcarpum Vaccinium oxycoccos |
영양 정보 (Vaccinium macrocarpon 기준) | |
열량 | 46 kcal |
수분 | 87.13 g |
단백질 | 0.39 g |
지방 | 0.13 g |
탄수화물 | 12.2 g |
섬유질 | 4.6 g |
당류 | 4.04 g |
칼슘 | 8 mg |
철분 | 0.25 mg |
마그네슘 | 6 mg |
망간 | 0.36 mg |
인 | 13 mg |
칼륨 | 85 mg |
나트륨 | 2 mg |
아연 | 0.1 mg |
비타민 A | 3 ug |
비타민 A (IU) | 623 |
베타카로틴 | 36 ug |
루테인 | 91 ug |
비타민 C | 13.3 mg |
판토텐산 | 0.295 mg |
비타민 B6 | 0.057 mg |
엽산 | 1 ug |
티아민 | 0.012 mg |
리보플라빈 | 0.02 mg |
니아신 | 0.101 mg |
비타민 E | 1.2 mg |
비타민 K | 5.1 ug |
이미지 | |
![]() | |
![]() |
2. 종
이미지 | 이름 | 설명 | 분포 |
---|---|---|---|
![]() | 넌출월귤 (V. oxycoccos) | 잎 가장자리가 말린 작은 5mm에서 10mm 잎을 가지고 있다. 꽃은 짙은 분홍색이며, 가는 털이 있는 줄기에 보라색 중앙 가시가 있다. 열매는 상큼하고 신맛이 나는 작고 옅은 분홍색에서 붉은색 열매이다. | 북유럽, 북아시아, 북아메리카를 포함한 시원한 온대 북반구 전역에 분포한다. |
![]() | 히메넌출월귤 (V. microcarpum) | 잎이 더 삼각형이고 꽃줄기에 털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V. oxycoccos와 매우 유사하다. 또한 줄기가 더 작고 V. ocycoccos보다 적은 수의 꽃을 피울 수 있다. 잎 크기가 더 작다는 점에서도 다르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삼각형 모양이라는 점이다.[8] 일부 식물학자들은 이것을 V. oxycoccos에 포함시키기도 한다.[9] | 북아메리카 북부, 북유럽, 북아시아에서 발견된다. |
![]() | 큰열매넌출월귤 (V. macrocarpon) | 잎이 더 크고 10mm에서 20mm 길이이며 평평하고, 열매의 맛이 약간 사과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V. oxycoccos와 다르다. | 캐나다 전역의 북아메리카, 노스캐롤라이나 고지대까지 남쪽의 미국 동부 원산이다. |
![]() | 옥시코코이데스 (V. erythrocarpum) | 이 종은 특히 성장 습성에서 sect. oxycoccus 크랜베리와 크게 다르다. 낙엽 관목으로, 꽃은 6월에 넌출월귤아속의 나머지 종과 일치하는 뒤로 젖혀진 꽃잎을 가진 튜브 모양으로 맺는다. 반투명해 보이는 식용 진홍색 열매를 생산한다. | 미국 남동부의 애팔래치아 산맥 고지대 원산이다. |
![]() | V. japonicum | 중국 남부, 타이완, 일본 열도, 한반도 원산 |
넌출월귤은 높이가 5cm에서 20cm이고 길이가 최대 2m에 달하는 낮게 기는 관목 또는 덩굴 식물이다.[5] 얇고 가느다란 줄기를 가지며, 나무처럼 두껍지 않고 작은 상록 잎을 가지고 있다. 꽃은 짙은 분홍색이며, 꽃잎이 매우 뚜렷하게 뒤로 젖혀져 있어 암술머리와 수술이 완전히 노출되어 앞으로 향한다. 꿀벌에 의해 수분된다. 열매는 식물의 잎보다 큰 장과로, 처음에는 연한 녹색을 띠다가 익으면 빨간색으로 변한다.[6] 신맛이 강하여 단맛을 압도하는 경향이 있다.
크랜베리라는 이름은 중세 저지 독일어 ''kraanbere''(영어 번역: craneberry, 두루미 열매)에서 유래되었으며, 1647년 선교사 존 엘리엇에 의해 영어로 처음 ''cranberry''로 명명되었다.[10] 두루미 (crane)의 열매 (berry)라는 의미로, 꽃이 필 때 줄기가 덩굴처럼 구부러지고 꽃 모양이 두루미를 닮았기 때문이다.[53]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는데, 미국 초기 유럽계 이민자들이 꽃이 피기 전 줄기, 꽃받침, 꽃잎이 두루미의 목, 머리, 부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다는 설과 크랜베리가 두루미가 좋아하는 음식이라는 데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미국 독립 전쟁 참전 용사인 헨리 홀은 1816년경 매사추세츠주 케이프 코드의 데니스에서 처음으로 크랜베리를 재배했다.[12] 1820년대에 홀은 크랜베리를 뉴욕과 보스턴으로 보냈고, 여기에서 유럽으로도 선적되었다.[12]
헨리 홀은 1816년경 매사추세츠주 케이프 코드의 데니스에서 처음으로 크랜베리를 재배했다.[12] 과거에는 습지에 크랜베리 재배지를 조성했으나, 현재는 지하수면이 얕은 고지대에 인공 재배지를 조성한다. 표토를 긁어내 재배지 주변에 제방을 만들고, 깨끗한 모래를 10cm에서 20cm 깊이로 펼친 후, 균등한 배수를 위해 레이저 레벨로 표면을 평평하게 만든다. 재배지는 주변 도랑 외에도 양말 타일을 사용하여 자주 배수되며, 제방은 물을 담아두는 것 외에도 장비가 덩굴을 밟지 않고도 재배지를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덩굴 성장을 위한 관개와 봄, 가을철 서리 방지를 위해 재배지에 관개 장비를 설치한다.[14][15][16]
2022년 세계 넌출월귤 생산량은 582,924톤이었으며, 미국과 캐나다가 전체 생산량의 99%를 차지했다.[22] 미국과 캐나다의 주요 생산 지역은 다음과 같다.
생 크랜베리는 비타민 C, 식이 섬유, 망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각 성분은 1일 영양소 섭취 기준의 10% 이상을 충족한다.
[1]
PLANTS
2014-11-11
넌출월귤은 월귤, 블루베리, 검은사목과 관련이 있으며, 모두 ''진달래속''의 넌출월귤아속에 속한다. 이들은 종 모양의 꽃, 뒤로 젖혀지지 않는 꽃잎, 그리고 더 목질화된 줄기를 가지며, 더 키가 큰 관목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7]
3. 특징
넌출월귤은 아속에 따라 4~5종으로 분류된다:[7]이미지 이름 설명 분포 Vaccinium oxycoccos 또는 Oxycoccus palustris (개울월귤, 북부 크랜베리 또는 크랜베리) 잎 가장자리가 말린 작은 5mm에서 10mm 잎을 가지고 있다. 꽃은 짙은 분홍색이며, 가는 털이 있는 줄기에 보라색 중앙 가시가 있다. 열매는 상큼하고 신맛이 나는 작고 옅은 분홍색에서 붉은색 열매이다. 북유럽, 북아시아, 북아메리카를 포함한 시원한 온대 북반구 전역에 분포한다. Vaccinium microcarpum 또는 Oxycoccus microcarpus (작은 크랜베리) 잎이 더 삼각형이고 꽃줄기에 털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V. oxycoccos와 매우 유사하다. 또한 줄기가 더 작고 V. ocycoccos보다 적은 수의 꽃을 피울 수 있다. 잎 크기가 더 작다는 점에서도 다르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삼각형 모양이라는 점이다.[8] 일부 식물학자들은 이것을 V. oxycoccos에 포함시킨다. 북아메리카 북부,[9] 북유럽, 북아시아에서 발견된다. Vaccinium macrocarpon 또는 Oxycoccus macrocarpus (큰 크랜베리, 미국 크랜베리, 곰의 딸기) 잎이 더 크고 10mm에서 20mm 길이이며 평평하고, 열매의 맛이 약간 사과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V. oxycoccos와 다르다. 캐나다 전역의 북아메리카, 노스캐롤라이나 고지대까지 남쪽의 미국 동부 원산이다. 넌출월귤 Vaccinium erythrocarpum 또는 Oxycarpus erythrocarpus (남부 산 크랜베리, 베어베리) 이 종은 특히 성장 습성에서 sect. oxycoccus 크랜베리와 크게 다르다. 낙엽 관목으로, 꽃은 6월에 넌출월귤아속의 나머지 종과 일치하는 뒤로 젖혀진 꽃잎을 가진 튜브 모양으로 맺는다. 반투명해 보이는 식용 진홍색 열매를 생산한다. 미국 남동부의 애팔래치아 산맥 고지대 원산 넌출월귤 Vaccinium japonicum 일반적으로 고산 지역의 숲과 덤불에서 발견된다. 중국 남부, 타이완, 일본 열도, 한반도 원산
열매는 생으로도 먹을 수 있지만, 신맛이 강하여 과자나 잼, 페미칸, 크랜베리 주스로 가공되는 원료가 된다.[10] 칠면조 구이에 곁들여지는 달콤한 크랜베리 소스는 미국과 캐나다의 추수감사절에 빠질 수 없다.
높이 10cm 정도의 왜소한 관목(왜성 관목)으로[11] 가시가 있는 가지는 덩굴성이며 가늘고, 땅을 기어 다니듯이 뻗으며 작은 상록수 잎을 낸다.[10] 꽃은 짙은 분홍색이며 뒤집힌 꽃잎을 가지고 있다. 열매는 1cm~2cm 크기의 구형으로, 익으면 과피는 흰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한다.[10] 안이 4개의 방으로 나뉘어 빈 공간이 있으며, 과육은 유백색이다.
4. 어원
5. 역사
북아메리카 뉴잉글랜드 지역의 알곤킨어족에 속하는 내러개싯 족은 페미칸에 크랜베리를 넣어 음식과 염료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12] 내러개싯 족은 붉은 열매를 '사세마나슈'라고 불렀으며, 매사추세츠주 식민지 개척자들에게 크랜베리를 소개했을 수도 있다.[12] 1643년 로저 윌리엄스의 저서 《아메리카 언어의 열쇠》는 곰이 크랜베리를 먹기 때문에 "곰 열매"라고 언급했다. 17세기 뉴잉글랜드에서는 곰이 크랜베리를 좋아해서 "베어베리"라고 불리기도 했다.
크랜베리는 두루미 (crane) 의 열매 (berry) 라는 의미이다. 꽃이 필 때 줄기가 덩굴처럼 구부러지고, 꽃의 모양이 두루미를 닮았기 때문이다.[53]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는데, 미국 초기 유럽계 이민자들이 꽃이 피기 전 줄기, 꽃받침, 꽃잎이 두루미의 목, 머리, 부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다는 설과 크랜베리가 두루미가 좋아하는 음식이라는 데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크랜베리를 식용으로 사용한 것이 처음으로 알려져 있다. 페미칸 등의 식재료로 사용되었으며, 약이나 염료로도 사용되었다. 알곤킨족은 "사사마나슈"라고 불렀으며, 매사추세츠의 굶주린 영국계 이민자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하며, 추수감사절 전통 요리에 사용되고 있다. 1816년경, 미국 독립 전쟁에서 활약한 헨리 홀이 케이프코드에 있는 데니스에서 재배한 것이 크랜베리 농장의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 1820년대, 유럽으로 수출되었다.[54]
6. 재배
넌출월귤 덩굴은 기존 재배지에서 덩굴을 옮겨 심어 번식시킨다. 덩굴을 새 재배지의 모래 표면에 뿌리고 뭉툭한 원반으로 모래 속으로 밀어 넣는다. 뿌리가 형성되고 새로운 싹이 자랄 때까지 처음 몇 주 동안 덩굴에 물을 자주 준다. 재배지는 첫해 동안 질소 비료를 가볍게 자주 시비한다.[17] 넌출월귤 재배지 조성 비용은 1헥타르당 70000USD (1에이커당 28300USD)로 추산된다.[18]
크랜베리는 열매가 특유의 짙은 붉은색을 띠는 가을(9월에서 11월 초)에 수확하며, 첫 서리 이후가 가장 이상적이다.[19] 햇빛을 받는 열매는 완전히 익으면 짙은 붉은색을 띠지만, 완전히 익지 않은 열매는 옅은 분홍색이나 흰색을 띤다. 크랜베리 수확을 위해 덩굴 위로 15cm에서 20cm 깊이로 물을 채운다. 수확기가 덩굴에서 열매를 제거하기 위해 밭을 지나가는데, 지난 50년 동안 물레형 수확기가 사용되어 왔다. 수확된 크랜베리는 물에 떠서 밭의 구석으로 모아 밭에서 운반하거나 펌프로 빼낸다. 농장에서 크랜베리는 세척, 선별, 포장 또는 가공 전에 보관하는 수취소로 옮겨진다. 짙은 붉은색을 띨 때 수확하지만, 흰색 크랜베리 주스를 만드는 것처럼, 아직 흰색일 때 미리 수확할 수도 있다.[20]
대부분의 크랜베리는 습식 수확되지만, 미국 작물의 5~10%는 건식 수확된다. 건식 수확은 인건비가 높고 수확량이 적지만, 열매가 덜 멍들고 즉시 냉동하거나 가공할 필요 없이 신선 과일로 판매할 수 있다. 원래 양손 빗으로 수확했던 건식 수확은 오늘날 덩굴을 손상시키지 않고 밭을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작은 동력식 보행형 수확기로 이루어진다.
신선 시장용 크랜베리는 공기가 순환하도록 뚫린 구멍이나 홈이 있는 얕은 상자나 박스에 보관한다. 늦가을에 수확하므로 신선 시장용 크랜베리는 기계식 냉장이 없는 두꺼운 벽의 창고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온도는 필요에 따라 창고의 통풍구를 열고 닫아 조절한다. 가공용 크랜베리는 보통 수취소에 도착한 직후 대량 용기에 냉동된다.
7. 생산
국가 주/도 비고 미국 위스콘신주 미국 생산량의 59%[13] 미국 매사추세츠주 미국 뉴저지주 미국 오리건주 미국 워싱턴주 캐나다 퀘벡주 캐나다 생산량의 60%[13][23]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캐나다 생산량의 33%[23]
미국에서는 대규모 넌출월귤 재배가 발달했으며, 1904년 위스콘신 재배자들은 협동조합을 조직하여 균일한 가격을 받도록 했다. 뉴저지와 매사추세츠 재배자들도 협동조합을 결성하여 Eatmor 브랜드로 판매했다. 1930년에는 오션 스프레이 협동조합이 설립되어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했으며, 2006년 기준으로 북미 산업의 약 65%를 점유하고 있다.[47]
1959년에는 제초제 아미노트리아졸 오염으로 인해 넌출월귤 시장이 붕괴되는 사건이 발생했으나, 이후 업계는 제품 개발에 힘써 연중 시장을 확보하고 농약 사용에 신중을 기하게 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가격과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했으나, 2001년에는 과잉 공급으로 가격이 급락하기도 했다.
크랜베리 마케팅 위원회는 1962년 연방 마케팅 명령으로 설립된 기관으로,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49] 이 위원회는 미국, 중국, 인도, 멕시코, 범유럽, 대한민국 등에서 홍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16년 기준 유럽 연합이 미국 크랜베리의 최대 수입국이며, 캐나다, 중국, 멕시코, 대한민국이 그 뒤를 이었다.[50]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미국의 대중국 크랜베리 수출은 크게 증가했으나,[51] 미중 무역 전쟁으로 인해 많은 중국 기업들이 미국 크랜베리 공급업체와의 관계를 끊었다.[52]
크랜베리는 미국의 매사추세츠주, 뉴저지주, 오리건주, 워싱턴주, 위스콘신주,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뉴브런즈윅주, 온타리오주, 노바스코샤주,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퀘벡주에서 주요 상업 작물로 재배된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프레이저 밸리 지역에서는 1,150 헥타르에서 국내 생산량의 95%를 차지하는 17000000kg의 크랜베리를 생산한다.[55] 미국에서는 국내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는 위스콘신주가 최대 생산지이며,[56] 그 다음은 매사추세츠주이다. 또한 소량이지만 아르헨티나 남부, 칠레, 네덜란드에서도 생산된다.
역사적으로 크랜베리 밭은 습지에 만들어졌지만, 현대에는 고지대의 얕은 지하수면에 만들어진다. 모래를 깔고 표면을 평평하게 한 후 타일 배수 설비나 도랑을 통해 배수한다. 생육 및 냉해 방지를 위한 관개 설비가 설치된다.
생육기에는 물에 잠겨 있지 않지만, 흙은 항상 젖은 상태를 유지한다. 가을에는 수확을 위해 물을 채우고, 겨울철에는 저온으로부터 과실을 보호한다. 위스콘신주, 뉴잉글랜드, 캐나다 동부 등 한랭지에서는 겨울에 이 물이 언다. 3년에서 5년에 한 번 얼음 위에서 트럭으로 얇게 모래를 뿌려 해충 구제와 줄기 재활성화를 꾀한다.
8. 이용
크랜베리는 신맛이 강해 생으로 먹기보다는 주로 가공하여 섭취한다. 가공된 크랜베리의 약 95%는 크랜베리 주스와 크랜베리 소스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28][30] 말려서 설탕을 뿌려 판매하기도 한다.[28][30] 크랜베리 주스는 보통 신맛을 줄이기 위해 설탕을 첨가하거나 다른 과일 주스와 혼합한다. 크랜베리 주스 칵테일은 100g당 설탕 4티스푼(1온스당 1티스푼)이 들어있어, 탄산음료보다도 설탕 함량이 더 높다.[29]
크랜베리는 콤포트 또는 젤리 형태인 크랜베리 소스로 조리되기도 한다. 크랜베리 소스는 칠면조 구이와 함께 캐나다와 미국의 추수감사절, 그리고 영국식 저녁 식사에 주요 음식으로 제공된다. 또한 빵을 만들때 (머핀, 스콘, 케이크, 빵) 사용되며, 종종 오렌지 또는 오렌지 껍질과 함께 사용된다. 드물게는 수프나 스튜와 같은 짭짤한 요리에 신맛을 더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28]
코스모폴리탄을 비롯한 여러 알코올 칵테일에 크랜베리 주스가 사용된다.
신선한 크랜베리는 집에서 냉동 보관할 수 있으며, 최대 9개월까지 보관할 수 있다. 해동하지 않고 레시피에 바로 사용할 수 있다.[30]
9. 건강
크랜베리는 요로 감염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3년 코크란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크랜베리 제품(주스나 캡슐 등) 섭취가 재발성 요로 감염 여성, 어린이, 임상적 중재 후 요로 감염에 취약한 사람들의 요로 감염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있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노인, 배뇨 장애가 있는 사람, 또는 임산부에게는 효과가 거의 없었다.[31] 2024년의 시스테마틱 리뷰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65]
하지만, 모든 연구에서 일관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2014년 유럽 식품 안전청은 크랜베리 섭취와 요로 감염 위험 감소 사이의 인과 관계가 확립되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다.[33] 2022년의 UTI에 대한 국제 비뇨기과 가이드라인 검토에서도 대부분의 임상 기관들은 요로 감염 억제를 위한 크랜베리 제품 사용에 대한 증거가 상충되거나 설득력이 없거나 미약하다고 판단했다.[34]
크랜베리가 요로 감염 예방에 효과를 보이는 것은 크랜베리에 함유된 프로안토시아니딘(PAC) 성분이 요로에 유해균이 부착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PAC 추출물의 품질 및 함량은 지역, 수확 시기, 가공 방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46]
크랜베리에는 폴리페놀, 플라보놀,[35] 퀘르세틴[36][37] 등 다양한 식물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항산화, 항암, 면역력 증진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지만,[38][39] 인체에 대한 효과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39]
크랜베리 주스는 와파린(항응고제)의 효과를 증가시켜 출혈 및 멍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39][25] 또한, 크랜베리 제품을 과다 섭취할 경우 메스꺼움, 위 염증, 설탕 섭취량 증가, 신장 결석 형성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39]
10. 사진 갤러리
참조
[2]
웹사이트
How Cranberries Grow: "Cranberries 101" – An Introduction
http://www.cranberri[...]
Cape Cod Cranberry Growers' Association
2014-11-11
[3]
웹사이트
"Vaccinium oxycoccos": Small Cranberry, Technical Page
http://nymf.bbg.org/[...]
Brooklyn Botanic Garden
2011-03-26
[4]
웹사이트
Garden Tips: Give thanks for cranberries, grown with a taste of Florida
http://www.tcpalm.co[...]
Scripps Interactive Newspapers Group
2009-11-20
[5]
웹사이트
About Cranberries
http://www.cranberry[...]
Cranberry Institute
2009-11-13
[6]
웹사이트
Cranberries: A colorful and nutritious fruit
https://extension.sd[...]
South Dakota State University Extension
2023-10-20
[7]
웹사이트
Encyclopaedia Britannica: Cranberry
https://www.britanni[...]
2023-10-23
[8]
학술지
"Vaccinium Oxycoccos'' L. (''Oxycoccus Palustris'' Pers.) and ''Vaccinium Microcarpum'' (Turcz. ex Rupr.) Schmalh. (''Oxycoccus Microcarpus'' Turcz. ex Rupr.)"
https://www.research[...]
[9]
웹사이트
"Oxycoccus microcarpus'' Small Cranberry"
http://www.borealfor[...]
Lakehead University
[10]
웹사이트
American Cranberry (''Vaccinium macrocarpon'') : FAQ
https://researchguid[...]
Research Guides, University of Wisconsin Libraries, Madison, WI
2017-12-07
[11]
웹사이트
Cranberry
https://www.etymonli[...]
Online Etymology Dictionary, Douglas Harper
2017-12-07
[12]
학술지
Cranberries: The Most Intriguing Native North American Fruit
http://www.apsnet.or[...]
2017-12-07
[13]
웹사이트
Cranberry production in top-producing States to increase modestly in 2021
https://www.ers.usda[...]
Economic Research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2-05-28
[14]
뉴스
How Jellied Cranberry Sauce Is Made
https://www.nytimes.[...]
2024-06-24
[15]
뉴스
"There's only one cranberry farm in Minnesota, and it's run by a 21-year-old woman and her brother"
https://www.startrib[...]
2024-06-24
[16]
웹사이트
The Cranberry
https://ag.umass.edu[...]
2019-05-07
[17]
웹사이트
Planting New Cranberry Beds: Recommendations and management
http://www.umass.edu[...]
University of Massachusetts, Cranberry Experiment Station
2018-05-05
[18]
웹사이트
Alternative 4 – Bog Renovation for Cranberry Growing
http://www.carlislem[...]
2018-05-05
[19]
서적
Field Guide to Edible Wild Plants
https://archive.org/[...]
Stackpole Books
[20]
웹사이트
Wet Picking
https://stonebridgef[...]
2019-05-07
[21]
웹사이트
Fresh Fruit Production BMP: Publications UMass Cranberry Station
http://www.umass.edu[...]
2019-05-07
[22]
웹사이트
" Cranberry production in 2022, Crops/Regions/World list/Production Quantity/Year (pick lists)"
http://www.fao.org/f[...]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FAOSTAT)
2024-07-01
[23]
웹사이트
Crazy for cranberries in Canada
https://www.fruitand[...]
Fruit & Vegetable, Annex Business Media
2022-05-28
[24]
웹사이트
Cranberry cultivation
http://www.uscranber[...]
US Cranberries
2018-10-18
[25]
학술지
Interaction potential between cranberry juice and warfarin
"2007-03"
[26]
웹사이트
Cranberries, dried (survey)
https://fdc.nal.usda[...]
FoodData Central,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1-04-25
[27]
학술지
Native Bees, Honeybees, and Pollination in Oregon Cranberries
"2011-06"
[28]
웹사이트
Eat this! Cranberries more than a thanksgiving condiment
http://blog.diningch[...]
"Chicago's Restaurant & Entertainment Guide, Inc."
2009-11-25
[29]
웹사이트
Cranberry industry seeks to avoid school ban - The Boston Globe
https://www.bostongl[...]
2023-11-23
[30]
웹사이트
The American Cranberry-Basic Information on Cranberries
http://researchguide[...]
Library.wisc.edu
2010-10-04
[31]
학술지
Cranberries for preventing urinary tract infections
"2023-11-10"
[32]
학술지
Cranberries and Urinary Tract Infections: How Can the Same Evidence Lead to Conflicting Advice?
[33]
학술지
Scientific Opinion on the substantiation of a health claim related to CranMax® and reduction of the risk of urinary tract infection by inhibiting the adhesion of certain bacteria in the urinary tract pursuant to Article 14 of Regulation (EC) No 1924/20061
"2014-05"
[34]
학술지
Guideline of guidelines: management of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s in women (table 2)
"2022-11"
[35]
학술지
Flavonoid composition over fruit development and maturation in American cranberry, Vaccinium macrocarpon Ait
[36]
논문
The effects of cranberry juice consumption on antioxidant status and biomarkers relating to heart disease and cancer in healthy human volunteers
2006-03
[37]
논문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of phenolics in blueberries, cranberries, chokeberries, and lingonberries
2003-01
[38]
논문
Cranberries and their bioactive constituents in human health
[39]
웹사이트
Cranberry
https://www.mskcc.or[...]
Gerstner Sloan Kettering Graduate School of Biomedical Sciences,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2016
[40]
웹사이트
Blocking tooth decay
http://www.webmd.com[...]
Webmd.com
2005-11-23
[41]
논문
Influence of Cranberry Juice on Glucan-Mediated Processes Involved in Streptococcus mutans Biofilm Development.
2006-01
[42]
논문
Influence of cranberry juice on the urinary risk factors for calcium oxalate kidney stone formation
2003-11
[43]
논문
Effect of blackcurrant-, cranberry- and plum juice consumption on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kidney stone formation
2002-10
[44]
논문
Characterisation of genuine and derived cranberry proanthocyanidins by LC–ESI-MS
[45]
논문
Multi-laboratory validation of a standard method for quantifying proanthocyanidins in cranberry powders
[46]
논문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Commercial Cranberry Products. Phenolic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Bioactivity
[47]
서적
The Cranberry Industry and Ocean Spray Cooperative: Lessons in Cooperative Governance
https://www.umass.ed[...]
[48]
서적
Horticultural Reviews
Wiley
[49]
웹사이트
About CMC » Cranberry Marketing Committee
https://www.uscranbe[...]
2021-12-25
[50]
웹사이트
Cranberries: No Longer Just an American Tradition
https://www.fas.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6-11-22
[51]
뉴스
Beyond Thanksgiving: The Humble Cranberry Takes Root in China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7-11-04
[52]
뉴스
How The Trade War Crushed A Growing Chinese Market For U.S. Cranberries
https://www.npr.org/[...]
2019-10-06
[53]
서적
366日 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54]
웹사이트
History
http://www.cranberri[...]
Cranberries.org
[55]
웹사이트
Cranberries
http://www.agf.gov.b[...]
BC Ministry of Agriculture
2014
[56]
웹사이트
Wisconsin -Cranberries
http://www.nass.usda[...]
2010-08-18
[57]
웹사이트
Nutrition facts for raw cranberries
http://nutritiondata[...]
Conde Nast
2013
[58]
웹사이트
Eat this! Cranberries more than a thanksgiving condiment
http://blog.diningch[...]
Chicago's Restaurant & Entertainment Guide, Inc.
2009-11-25
[59]
뉴스
Cranberry industry seeks to avoid school ban.
http://bostonglobe.c[...]
Boston Globe
2012-06-25
[60]
웹사이트
The American Cranberry-Basic Information on Cranberries
http://researchguide[...]
Library.wisc.edu
[61]
논문
Effects of blueberry and cranberry consumption on type 2 diabetes glycemic control: A systematic review
2018-01
[62]
논문
The effects of cranberry on cardiovascular metabolic risk facto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04
[63]
간행물
クランベリー (ツルコケモモ)
hfnet
2018-06-01
[64]
논문
Updated systematic review suggests that cranberry juice is not effective at preventing urinary tract infection
https://ebn.bmj.com/[...]
2013-10
[65]
논문
Cranberries for preventing urinary tract infections
2023-04-17
[66]
문서
市販品は、クランベリー果汁の含有率は低く大量のブドウ糖等が付加されているものが多いため:出典 ハーブ&サプリメント NATURAL STANDARDによる有効性評価 産調出版株式会社 渡邊昌日本語監修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