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어 문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어 문법은 철자법, 어순, 명사, 관사, 형용사 및 부사, 대명사 및 한정사, 동사, 숫자 등으로 구성된다. 음장, 어순, 명사의 성, 복수형, 격, 관사, 형용사 굴절, 대명사의 인칭 및 소유, 동사의 시제와 활용, 그리고 숫자 체계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네덜란드어는 명사, 형용사, 그리고 동사의 활용에 있어 다양한 규칙과 예외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어 - 네덜란드어 연합
네덜란드어 연합은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네덜란드어 사용 지역 간 협력을 통해 네덜란드어 발전과 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구로, 표준 네덜란드어 기준 정립, 철자법 및 어휘 관리, 교육 및 연구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수리남이 준회원으로, 인도네시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특별 파트너 국가로 참여하고 있다. - 네덜란드어 - 뢰번 가톨릭 대학교
뢰번 가톨릭 대학교는 1425년에 설립되어 인문학, 법학, 교회법학, 약학의 네 개 학과로 시작한 벨기에 뢰번 시의 연구 중심 대학으로, 저명한 학자들을 배출하며 유럽의 대표적인 학술 기관으로 성장했고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언어 갈등을 겪었으나 현재는 여러 캠퍼스에서 다양한 학문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제공하고 있다. - 언어학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는 세계 언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7,000개 이상의 언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언어의 명칭, 화자 수, 지리적 분포, 언어 계통 등을 포함한다. - 언어학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대규모 언어 모델이 원하는 작업을 정확히 수행하도록 지시사항, 맥락, 입력 데이터 등을 조합하여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방법론으로, 컨텍스트 내 학습을 통해 모델의 창발적 능력을 활용하며 텍스트, 이미지, 코드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델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네덜란드어 문법 | |
---|---|
개요 | |
언어 종류 | 굴절어, 교착어 |
사용 지역 | 네덜란드, 벨기에 (플란데런) |
모어 화자 | 약 2,400만 명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게르만어파 |
어군 | 서게르만어군 |
방언 | 플람스어 네덜란드 저지 작센어 |
문자 | 로마자 |
언어 규제 기관 | 네덜란드어 연합 |
음운 | |
음소 문자 수 | 39 |
모음 수 | 13 |
자음 수 | 26 |
문법 | |
어순 | SOV, SVO (둘 다 가능) |
굴절 유형 | 굴절어, 교착어 특징 혼합 |
명사 성 | 3개 성 (중성, 공통성, 남성), 2개 성으로 통합되는 추세 |
동사 활용 | 시제, 인칭, 수에 따라 활용 |
형용사 | 명사 앞/뒤 위치, 성/수 일치 |
관사 | 정관사 (de, het), 부정관사 (een) |
전치사 | 명사 앞에 위치 |
문장 구조 | 주어-동사-목적어 (SVO) 기본, 종속절에서 어순 변화 가능 |
특징 | |
'G' 발음 | 유성 연구 마찰음/무성 연구개 마찰음 (지역에 따라 다름) |
복수형 | '-en' 또는 '-s' 접미사 사용 |
지소사 | '-je' 접미사 사용 (친근함, 작음 표현) |
'IJ' | 합자로 취급 |
역사 | |
기원 | 고대 저지 프랑크어 |
발전 | 중세 네덜란드어를 거쳐 현대 네덜란드어로 발전 |
영향 | 인도네시아어, 아프리칸스어 등에 영향 |
참고 | |
관련 항목 | 네덜란드어 네덜란드어 연합 플람스어 네덜란드 저지 작센어 아프리칸스어 |
2. 철자법
네덜란드어에서 음장(vowel length)은 복모음(double vowel)과 복자음(double consonant)을 혼용하는 철자법에 나타난다. 단자모(single letter)가 복자모(double letter)로 변하는 것은 예측 가능하며, 철자 대체가 문법의 일부를 이루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다루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네덜란드어 철자법을 참조하라.
2. 1. 철자법과 문법
네덜란드어 철자법에서 모음의 길이는 이중 모음과 이중 자음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네덜란드어 문법을 논할 때 단일 문자에서 이중 문자로의 변경이 흔히 발생하지만, 철자 규칙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게 되면 완전히 예측 가능하다. 이는 철자 교체가 문법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세한 내용은 네덜란드어 맞춤법을 참조하라.3. 어순
네덜란드어는 기본적으로 SOV 어순을 따르지만, 주절에서는 V2 규칙이 적용되어 정형동사(주어에 따라 굴절되는 동사)가 문장의 두 번째 자리로 이동한다. 종속절에서는 SOV 어순이 엄격하게 지켜진다.[13][14]
주절에서는 동사가 하나만 있을 때는 SVO 또는 VSO 어순이 나타나지만, 다른 동사나 동사 입자는 SOV 어순에 따라 절의 마지막에 위치한다.
시비의문문(yes–no question)에서는 주절의 동사가 보통 첫 번째 자리에 오지만, 두 번째 자리에 올 경우 불신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명령문에서는 주절의 동사가 항상 첫 번째에 오며, 대상이 되는 사람을 가리키는 명사구가 선행할 수 있다.
종속절의 동사군(verb cluster) 내에서는 '적색 어순'과 '녹색 어순' 두 가지가 가능하다. '적색 어순'은 조동사가 과거분사 앞에 오는 형태로 영어와 유사하고, '녹색 어순'은 과거분사가 조동사 앞에 오는 형태로 독일어 문법과 유사하다.[15] 구어에서는 녹색 어순이, 문어에서는 적색 어순이 주로 사용되지만, 녹색 어순도 쓰인다.
영어와 달리 형용사와 부사는 동사보다 앞에 와야 한다.
종속절 내 SOV 어순은 다양한 명사구와 이들을 이끌어내는 동사를 분리하며, 상대적으로 깊은 내포성(nesting)을 갖는 구조를 만든다.
형용사는 항상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온다.
부치사구(adpositional phrase)는 시간-방법-장소 순서로 배열되어, 시간 한정어가 장소 한정어 앞에 온다.
3. 1. 주절 어순
네덜란드어의 주절 어순은 기본적으로 '주어(subject)-목적어(object)-서술어(verb)'의 SOV형이지만, V2 어순(V2 word order) 규칙에 따라 주어의 성, 수, 시제에 따라 굴절하는 정형동사(finite verb)가 문장의 두 번째 자리에 온다. இதனால் 동사가 하나만 있는 문장은 SVO형이나 VSO형을 띤다.예시:
Jan | hielp | zijn moeder |
Jan | 도왔다 | 그의 어머니를 |
"Jan은 그의 어머니를 도왔다." |
Gisteren | hielp | Jan | zijn moeder |
어제 | 도왔다 | Jan은 | 그의 어머니를 |
"어제, Jan은 그의 어머니를 도왔다." |
그러나 다른 동사나 동사 입자는 SOV 어순에 따라 절의 마지막에 위치하여, 'SVOV(V)(V)...'와 같은 중간형 어순이 나타난다.
Jan | wilde | zijn moeder | gaan helpen |
Jan은 | 원했다 | 그의 어머니를 | 도우러 가기를 |
"Jan은 그의 어머니를 도우러 가고 싶어했다." |
시비의문문(yes–no question)에서 주절의 동사는 보통 첫 번째 자리에 오지만, 두 번째 자리에 올 경우 영어에서처럼 불신(disbelief)의 의미를 갖기도 한다.
Hielp | Jan | zijn moeder? |
도왔나? | Jan이 | 그의 어머니를? |
"Jan이 그의 어머니를 도왔나?" |
Wilde | Jan | zijn moeder | gaan helpen? |
원했나? | Jan이 | 그의 어머니를 | 도우러 가기를? |
"Jan은 그의 어머니를 도우러 가고 싶어했나?" |
명령형 문장(imperative sentences)에서 주절의 동사는 항상 처음에 놓이지만, 대상이 되는 사람을 가리키는 명사구가 선행할 수 있다.
(Jan,) | ga | je moeder | helpen! |
(Jan,) | 가라 | 네 어머니를 | 도우러! |
"(Jan,) 네 어머니를 도우러 가!" |
3. 2. 종속절 어순
종속절에서는 SOV형 어순이 엄격하게 지켜진다.[13][14] 동사군(verb cluster) 내에서는 두 가지 어순이 가능하다. 하나는 '적색 어순(red word order)'으로, omdat ik heb gewerkt|왜냐하면 나는 일했기 때문에nl처럼 조동사(auxiliary verb) 'heb'(hebben의 1인칭 단수 직설법 현재형)가 과거분사(past participle) 'gewerkt'보다 앞에 온다. 이는 영어의 'because I have worked'와 같다. 다른 하나는 '녹색 어순(green word order)'으로, omdat ik gewerkt heb|왜냐하면 나는 일했기 때문에nl처럼 과거분사가 조동사보다 앞에 온다. 이는 영어의 'because I worked have'에 해당하며, 독일어 문법과 같다.[15] 구어에서는 대부분 녹색 어순을 사용하며, 문어에서는 특히 신문 기사에서 대부분 적색 어순을 사용하지만, 녹색 어순도 사용된다.3. 3. 의문문 어순
시비의문문(yes–no question)에서 주절의 동사는 보통 첫 번째 자리에 온다. 동사가 두 번째 자리에 오는 경우에는 영어에서처럼 주로 불신(disbelief)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 'Did the prisoner escape?'는 '죄수가 탈출했는가?'라는 일반적인 질문이지만, 'The prisoner escaped?'는 '정말로 죄수가 탈옥했다고?'라는 불신의 의미를 담고 있다.Hielp | Jan | zijn moeder? | ||
Helped | Jan | his mother? | ||
"Jan이 그의 어머니를 도왔나?" |
Wilde | Jan | zijn moeder | gaan helpen? | |
Wanted | Jan | his mother | to go help? | |
"Jan은 그의 어머니를 도우러 가고 싶어했나?" |
Zei | Jan | dat | hij | zijn moeder | wilde | gaan helpen? | ||
Said | Jan | that | he | his mother | wanted | to go help? | ||
"Jan은 그가 그의 어머니를 도우러 가고 싶어했다고 말했나?" |
3. 4. 명령문 어순
명령문에서 주절의 동사는 항상 첫 번째 자리에 위치하지만, 처치 대상이나 목적어를 나타내는 명사구가 앞에 올 수 있다.(Jan,) | ga | je moeder | helpen! | |
(Jan,) | go | your mother | help! | |
(Jan,) 네 어머니를 도우러 가! |
(Jan,) | zeg | dat | je | je moeder | wilde | gaan helpen! | ||
(Jan,) | say | that | you | your mother | wanted | to go help! | ||
(Jan,) 네가 네 어머니를 도우러 가고 싶어했다고 말해! |
3. 5. 기타 어순 관련 사항
종속절에서 네덜란드어 어순은 SOV(주어-목적어-동사)이다.[13][14] 종속절 내 동사군(verb cluster)에는 두 가지 어순이 가능하다. '적색 어순(red word order)'은 omdat ik heb gewerkt|옴닷 익 햅 헤베르크트|내가 일했기 때문에nl와 같이 조동사가 과거분사 앞에 오는 영어 어순과 유사하다. '녹색 어순(green word order)'은 omdat ik gewerkt heb|옴닷 익 헤베르크트 햅|내가 일했다nl와 같이 과거분사가 조동사 앞에 오는 독일어 어순과 유사하다.[15] 구어에서는 녹색 어순이 주로 사용되며, 문어, 특히 신문 기사에서는 적색 어순이 주로 사용되지만 녹색 어순도 사용된다. 영어와 달리 형용사와 부사는 동사 앞에 위치한다. (예: dat het boek groen is|닷 헷 북 흐룬 이스|그 책이 녹색이다nl).다음 예시에서처럼, 종속절 내 SOV 어순은 명사구와 동사를 분리하고, 깊은 내포성을 갖는 구조를 만든다.
Ik zie dat | de ouders | de kinderen | Jan | het huis | hebben | laten | helpen | schilderen. |
I see that | the parents | the children | Jan | the house | have | let | help | paint |
나는 부모님이 아이들이 Jan이 집을 칠하는 것을 돕게 한 것을 본다. |
형용사는 항상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온다.
:rode appels|로더 아펄스|붉은 사과nl
영어와 달리, 부치사구(adpositional phrase)는 시간-방법-장소 순서로 배열되어, 시간 한정어(time modifier)가 장소 한정어(place modifier) 앞에 온다.
Ik | ben | dit | jaar | naar | Frankrijk | geweest |
I | am | this | year | to | France | been |
나는 올해 프랑스에 다녀왔다. |
4. 명사
네덜란드어에서 명사는 단수와 복수로 나타낸다.[1] 격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격을 나타내는 어미도 사라졌다.[1]
4. 1. 성 (문법)
표준 네덜란드어는 남성, 여성, 중성의 3가지 성을 구분한다. 그러나 네덜란드 대부분 지역에서는 남성과 여성 구분이 사라져 통성과 중성만 남았다.[1] 성은 명사에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으므로, 각 명사의 성을 암기해야 한다.[1]4. 2. 복수형
네덜란드어에서 복수형은 명사에 '-en'( 또는 로 발음) 또는 '-s'를 붙여 만든다. '-en'이 붙는 경우 철자 변화가 동반될 수 있다. 둘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몇 가지 일반적인 규칙은 다음과 같다.- 단음절어는 보통 '-en'을 사용한다.
- deur|뒤르nl "문" → deuren|뒤런nl
- boot|보트nl "배" → boten|보턴nl
- huis|하위스nl "집" → huizen|하위전nl
- dief|디프nl "도둑" → dieven|디번nl
- 슈와(schwa) 로 끝나는 단어는 주로 '-s'를 사용하지만, '-n'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으며, 특히 오래된 단어일수록 더욱 그렇다. 일부 명사는 두 가지 형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형용사의 명사화 형태는 항상 '-n'을 사용한다.
- tante|탄터nl "이모" → tantes|탄터스nl
- chocolade|쇼콜라더nl "초콜릿" → chocolades|쇼콜라더스nl
- bode|보더nl "전달자" → boden|보던nl 또는 bodes|보더스nl
- oxide|옥시더nl "산화물" → oxiden|옥시던nl
- grote|흐로터nl "위대한 사람" → groten|흐로턴nl
- 장모음으로 끝나는 비교적 현대 단어는 '-s'를 사용하지만, '-ee'나 '-é'로 끝나는 경우에는 어퍼스트로피를 붙이지 않는다. 오래된 단어는 '-en'이나 '-ën'을 사용한다.
- baby|베이비nl "아기" → baby's|베이비스nl
- café|카페nl "카페, 바" → cafés|카페스nl
- pizza|피자nl "피자" → pizza's|피자스nl
- radio|라디오nl "라디오" → radio's|라디오스nl
- ree|레이nl "암사슴" → reeën|레이엔nl
- la|라nl (또는 lade|라더nl) "서랍" → laden|라던nl (구어에서는 la's|라스nl도 사용)
- 강세 없는 '-el'이나 '-er'로 끝나는 단어는 주로 '-s'를 사용한다. '-en'은 고어나 시어에서 사용 가능하다.
- akker|아커르nl "농지" → akkers|아커르스nl
- appel|아펄nl "사과" → appels|아펄스nl 혹은 (고어형) appelen|아펄런nl (파생어 aardappel|아르다펄nl "감자"의 복수형 aardappelen|아르다펄런nl은 aardappels|아르다펄스nl와 함께 여전히 흔히 사용)
- lepel|레펄nl "숟가락" → lepels|레펄스nl
- sleutel|슬뢰털nl "열쇠" → sleutels|슬뢰털스nl
- vader|파더르nl "아버지" → vaders|파더르스nl 혹은 (고어형) vaderen|파더런nl
- 두문자어는 마지막 음절에 따라 규칙을 따르며, 보통 '-s'를 붙이지만 가끔 '-en'을 사용하기도 한다.
- APK|아페이카nl "차량 검사" → APK's|아페이카스nl
- cd|세데nl "CD" → cd's|세데스nl
불규칙 복수형 명사는 지소사에서도 불규칙성을 보인다. 그러나 동시에 규칙성을 띤 것도 있다. 일부 명사에서 불규칙성은 지소사의 복수형에서 보다 흔하며, 단수형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4. 2. 1. 모음 변화가 발생하는 복수형
고대 네덜란드어에서 유래된 일부 명사들은 단수형에서는 단모음, 복수형에서는 장모음을 갖는다. 단모음 inl가 길어지면 장모음 enl가 된다.- dagnl "날" → dagennl "날들"
- gebreknl "부족, 결핍" → gebrekennl "결핍들"
- schipnl "배" → schepennl "배들"
- slotnl "자물쇠" → slotennl "자물쇠들" (slootnl "도랑"의 복수형이기도 함)
이러한 변화를 보이는 다른 명사들은 다음과 같다.
단수형 | 복수형에서 변화 |
---|---|
badnl "목욕" | 장모음화 |
bedragnl "(금전) 기여" | 장모음화 |
bevelnl "명령" | 장모음화 |
bladnl "종이 한 장; 잡지" ( "잎" 아님) | 장모음화 |
(aan)bodnl "제안" | 장모음화 |
daknl "지붕" | 장모음화 |
dalnl "계곡" | 장모음화 |
gatnl "구멍" | 장모음화 |
gebednl "기도" | 장모음화 |
gebodnl "계명" | 장모음화 |
gennl "유전자" | 장모음화 |
glasnl "유리" | 장모음화 |
godnl "신" | 장모음화 |
hertognl "공작" | 장모음화 |
hofnl "궁정" | 장모음화 |
holnl "동굴; 굴" | 장모음화 |
lidnl "회원" | 장모음화 |
lotnl "복권" | 장모음화 |
oorlognl "전쟁" | 장모음화 |
padnl "길" | 장모음화 |
schotnl "발사" | 장모음화 |
slagnl "타격, 전투" | 장모음화 |
smidnl "대장장이" | 장모음화 |
spelnl "큰 게임; 구경거리" (일상적인 작은 게임의 의미 아님) | 장모음화 |
stafnl "직원" | 장모음화 |
vatnl "통, 배럴" | 장모음화 |
verbodnl "금지, 금지령" | 장모음화 |
verdragnl "조약" | 장모음화 |
verlofnl "허가" | 장모음화 |
wegnl "길, 방법" | 장모음화 |
stadnl "마을, 도시" | 장모음화 및 움라우트 |
명사 stadnl "마을, 도시"는 복수형에서 장모음화와 함께 움라우트를 갖는다. (stedennl "마을들, 도시들").
4. 2. 2. '-eren' 복수형
일부 중성명사는 '-eren' 복수형을 갖는다. 이러한 어미는 고대 독일어 z-어간de(z-stem) 명사에서 유래하였으며, 영어에서 '-ren'으로 끝나는 명사들(children|칠드런영어, brethren|브레드런영어 등)과 같은 어원이다.단수 | 복수 |
---|---|
been|벤nl "뼈" | beenderen|벤데런nl ("다리"라는 의미로 사용하면 복수형은 규칙형인 benen|베넌nl이다.) |
blad|블라트nl "잎" | bladeren|블라데런nl (종이 혹은 잡지라는 뜻으로 사용하면 복수형은 bladen|블라던nl이다.) |
ei|에이nl "달걀" | eieren|에이러런nl |
gelid|헬리트nl "rank, file" | gelederen|헬레더런nl |
gemoed|헤무트nl "mood, emotion" | gemoederen|헤무더런nl |
goed|훗nl "good" | goederen|후더런nl |
hoen|훈nl "fowl" | hoenderen|훈더런nl |
kalf|칼프nl "송아지" | kalveren|칼버런nl |
kind|킨트nl "아이" | kinderen|킨데런nl |
kleed|클레이트nl "cloth" | (고어) klederen|클레더런nl 혹은 kleren|클레런nl "clothes" (현재는 영어처럼 절대복수이다.) |
lam|람nl "어린 양" | lammeren|람머런nl |
lied|리트nl "노래" | liederen|리더런nl (다소 구식임. 지소사의 복수형은 자주 사용됨. liedjes|리트여스nl) |
rad|라트nl "바퀴" | raderen|라더런nl |
rund|륀트nl "cattle" | runderen|륀더런nl |
volk|폴크nl "people, nation" | volkeren|폴커런nl (규칙형 volken|폴컨nl도 사용됨) |
합성어에서 사용되면 어간은 보통 '-er'를 포함한다. 예: ei'''er'''schaal|에이어르스할nl "달걀 껍질", kind'''er'''arbeid|킨더르아르베이트nl "아동 노동", kled'''er'''dracht|클레더르드라흐트nl "전통 의상", rund'''er'''tartaar|륀더르타르타르nl "쇠고기 타르타르". 그러나 이는 규칙이 아니며 단수형 합성어도 존재한다. eivorm|에이포름nl "달걀 모양", rundvlees|륀트플레이스nl "쇠고기".
4. 2. 3. 외래어 복수형
라틴어에서 유래한 명사는 라틴어식 복수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스어나 라틴어에서 차용한 일부 과학 용어는 모음을 길게 늘여 복수형을 만든다. 영어나 프랑스어에서 차용한 단어는 보통 '-s'형 복수형을 취한다.4. 3. 지소사
네덜란드어에서 많은 명사들은 기본형 외에 지소사 형태를 갖는다. 지소사는 작거나 사랑스러운 성격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며, 명사의 굴절형 중 하나로 간주될 만큼 흔하게 사용된다.지소사는 기본적으로 '-tje' 또는 '-ke(n)'의 두 가지 형태로 만들어진다. '-tje'는 표준형이며, '-ke(n)'은 남부 브라반트(Brabant)나 림뷔르흐(Limburg) 지방 등의 방언이나 벨기에 네덜란드어 속어에서 나타난다. 네덜란드어에서는 단어 끝의 'n'을 생략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ke(n)'의 마지막 'n'은 주로 발음되지 않는다.
지소사는 명사의 성(性)에 관계없이 붙을 수 있으며, 지소사가 붙은 명사는 항상 중성 명사가 된다. 지소사의 복수형은 எப்ப상 '-s'를 붙여 만든다.
4. 3. 1. '-tje'형 지소사
'-tje'형 지소사는 작은 것 또는 사랑스러운 성격을 나타내기 위해 명사에 붙이는 접미사이다. 이 형태는 표준 네덜란드어에서 사용되며, 명사의 마지막 글자 발음에 따라 '-tje'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된다.- 마찰음이나 파열음으로 끝나는 단어에는 '-t-'를 빼고 '-je'만 붙인다.
- 마지막 음절의 모음이 짧고 강세가 있으며 공명음(m, n, l, r 등)이 뒤에 오면 '-etje'가 된다.
브라반트(Brabant)나 림뷔르흐(Limburg) 지방 등 남부 방언이나 벨기에 네덜란드어 속어에서는 '-ke(n)' 형태가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네덜란드어에서는 단어 끝의 'n'을 생략하는 경향이 있어, '-ke(n)'의 마지막 'n'은 주로 발음되지 않는다.
지소사는 어떤 성(性)의 명사에도 붙을 수 있으며, 지소사가 붙은 명사는 항상 중성(中性)이 된다. 지소사의 복수형은 항상 '-s'를 붙여 만든다.
불규칙 복수형을 가진 명사는 지소사에서도 불규칙적인 변화를 보이기도 하지만, 규칙적인 형태를 따르는 경우도 있다. 일부 명사에서는 단수형보다 지소사의 복수형에서 불규칙성이 더 자주 나타난다.
원형 | 지소사 | 지소사 복수형 |
---|---|---|
blad|블라트|잎; 종이nl | blaadje|블라아졔|작은 잎; 폴리오nl | bladertjes|블라더르졔스nl (가능) |
dag|다흐|날nl | dagje|다흐여|짧은 날nl | daagjes|다아흐여스nl (가능) |
glas|흐라스|유리잔nl | glaasje|흐라아셰|작은 유리잔nl | |
kind|킨트|아이nl | kindje|킨졔|유아nl | kindertjes|킨더르졔스nl (가능) |
pad|팟|길nl | paadje|파아졔|좁거나 짧은 길nl | |
pad|팟|두꺼비nl | padje|팟여|작은 두꺼비nl | |
rad|랏|바퀴nl | radje|랏여nl 혹은 radertje|라더르졔|작은 바퀴nl | |
schip|스힙|배nl | scheepje|스헤이펴|작은 배nl | |
spel|스펠|게임nl | speeltje|스페일졔|장난감nl | |
vat|밧|통nl | vaatje|바아졔|작은 통nl |
4. 3. 2. '-ke(n)'형 지소사
'-ke(n)'형 지소사는 브라반트(Brabant)나 림뷔르흐(Limburg) 지방 등 남부 방언에서 사용되는 형태이다. 벨기에에서 사용되는 네덜란드어 속어에서도 보인다. 표준형은 '-tje'를 붙이는 형태이다. 네덜란드어에서 마지막 n은 주로 발음하지 않는다. 모든 지소사는 중성 명사이며, 복수형은 '-s'를 붙인다.[1]4. 3. 3. 지소사의 움라우트
일부 동부 방언에서는 지소사 선행 모음에 움라우트가 붙는 경우가 있다.4. 3. 4. 불규칙 복수명사 지소사
불규칙 복수형 명사는 지소사에서도 불규칙성을 보인다. 그러나 동시에 규칙성을 띤 것도 있다. 일부 명사에서 불규칙성은 지소사의 복수형에서 더 흔하며, 단수형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명사 | 지소사 | 복수형 지소사 |
---|---|---|
blad|블라트|bladnl "잎; 종이" | blaadje|블라아졔|blaadjenl "작은 잎; 낱장" | bladertjes|블라더르졔스|bladertjesnl |
dag|다흐|dagnl "날" | dagje|다흐여|dagjenl "짧은 날" | daagjes|다흐여스|daagjesnl |
glas|글라스|glasnl "마시는 유리잔" | glaasje|글라스여|glaasjenl "작은 유리잔" | |
kind|킨트|kindnl "아이" | kindje|킨트여|kindjenl "유아" | kindertjes|킨데르졔스|kindertjesnl |
pad|팟|padnl "길" | paadje|파아졔|paadjenl "좁거나 짧은 길" | |
rad|랏|radnl "바퀴" | radje|랏여|radjenl 또는 radertje|라데르졔|radertjenl "작은 바퀴" | |
schip|스힙|schipnl "배" | scheepje|스헤이펴|scheepjenl "작은 배" | |
spel|스펠|spelnl "게임" | speeltje|스페일졔|speeltjenl "장난감" | |
vat|밧|vatnl "통" | vaatje|바아졔|vaatjenl "작은 통" |
4. 4. 격
명사격(Noun cases)은 1940년대까지 표준 맞춤법으로 규정되어 있었으나, 구어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소멸되어 왔기에 이후로는 폐지되었다. 때문에 현재는 일부 관용구(set phrase)에만 사용되는 고어적 문법이 되었다. 이전 시기 네덜란드어의 격 체계는 현대 독일어의 격 체계와 비슷하게 4격으로 구성된다.[17]- 주격(Nominative case) : 주어
- 속격(Genitive case) : 소유 혹은 관계 표시
- 여격(Dative case) : 간접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 대격(Accusative case) : 직접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현재는 주격과 속격만이 사용되고 있으나, 속격도 거의 사용되지 않은 채 간신히 살아남아 있다. 주격을 제외한 나머지 세 격의 관용구 용례는 다음과 같다.[17]
- 속격 : de dag des oordeels|심판의 날nl, Koninkrijk der Nederlanden|네덜란드 왕국nl
- 여격 : in feite|사실nl, heden ten dage|요즘nl, bij deze|이에nl
- 대격 : op den duur|결국nl, goedenavond|안녕nl
현대 네덜란드어에서는 격의 역할을 전치사와 어순이 대신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현재는 직접 목적어 앞에 간접 목적어를 두는 어순을 통해, 혹은 영어의 to에 해당하는 전치사 'aan'을 간접목적어와 함께 사용하는 방식을 통해,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의 차이를 두고 있다. 속격은 영어 of에 해당하는 전치사 'van'으로 대체되었다. 전치사와 함께 격을 사용하는 용례 역시 소멸되었다.[17]
그러나 격은 종종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번역차용(calque)에서 보인다. 특히 속격의 경우가 흔한데,[17] 이는 공식적인 것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런 격이 원래 어떻게 사용되었는가에 대하여서 사용자들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은 고대 남성/중성 속격 관사 desnl와 그에 상응하는 명사 어미(noun ending) -snl를, 어미가 없는 여성형 혹은 복수형 관사 dernl와 혼동한다.[17]
5. 관사
네덜란드어에는 영어의 'the'에 해당하는 정관사(definite article)와 'a(n)'에 해당하는 부정관사(indefinite article)가 있다.[18][19]
남성 | 여성 | 중성 | |
---|---|---|---|
정관사 단수 | de man | de vrouw | het huis |
정관사 복수 | de mannen | de vrouwen | de huizen |
부정관사 단수 | een man | een vrouw | een huis |
Hetnl와 eennl은 각각 /ət/와 /ən/으로 발음된다. 이러한 발음의 특성을 반영하여 각각 'tnl, 'nnl으로 축약하여 표기하기도 한다.
복수형에는 부정관사가 없으며, 명사 자체만 사용된다. 그러나 부정형 부정관사(negative indefinite article)로 영어의 'no, not a, not any'에 해당하는 geennl이 있다. eennl처럼 성이나 수에 따라 굴절되지 않고 불변이다.
- Dat is geen mannl ("그것은 남자가 아니다")
- Dat is geen vrouwnl ("그것은 여자가 아니다")
- Dat is geen huisnl ("그것은 집이 아니다")
- Dat zijn geen mannennl ("그들은 남자가 아니다")
- Ik heb geen waternl ("나는 물이 없다", "나는 물을 가지고 있지 않다")
과거에는 관사가 다양한 격을 위한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고대 네덜란드어 격변화를 참조한다.
6. 형용사•부사
네덜란드어의 명사구에서 형용사는 명사 앞에 위치하며, 관사가 있는 경우에는 관사 뒤에 위치한다.
6. 1. 형용사 굴절
네덜란드어 명사구에서 형용사는 명사 앞에 위치하며 관사(있는 경우) 뒤에 위치한다.형용사의 굴절은 뒤따르는 명사의 성과 수에 따른다. 또한 다른 많은 게르만어파 언어처럼 정해짐에 따라 굴절된다. 정관사, 지시 한정사, 소유 한정사 또는 다른 특정 사물을 구별하는 역할을 하는 단어가 앞에 오는 경우, 형용사의 정해진 형태가 사용된다. 부정관사, 부정 한정사(예: veelnl "많은" 또는 allenl "모든")와 같은 다른 경우에는 부정 형태가 사용된다.
형용사는 무굴절형(어미가 없는 기본형)과 굴절형(-e 어미)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형용사의 굴절은 다음과 같다.
남성 | 여성 | 중성 | 복수 | |
---|---|---|---|---|
부정 | een kleine man | een kleine vrouw | een klein huis | kleine mannen, vrouwen, huizen |
정해짐 | de kleine man | de kleine vrouw | het kleine huis | de kleine mannen, vrouwen, huizen |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며 명사 앞에 오는 한정 형용사 역할일 때만 이러한 방식으로 굴절된다. 계사 역할의 동사와 함께 서술 문장에서 사용되는 서술 형용사는 굴절되지 않으며 항상 무굴절 형태를 사용한다.
- de klein'''e''' mannl ("작은 남자") — de man is kleinnl ("그 남자는 작다")
- klein'''e''' huizennl ("작은 집들") — huizen zijn kleinnl ("집들은 작다")
- de houten stoelnl ("나무 의자")
- het stenen huisnl ("벽돌 집")
- de gebroken lampennl ("부서진 램프")
무굴절형에서 모음으로 끝나는 형용사는 드물며, 이에 대한 고정된 규칙은 없다. 종종 무굴절형과 굴절형은 같지만, 때로는 추가 -ënl가 추가되기도 한다.
6. 1. 1. 무굴절형 추가 활용
중성명사에서 형용사가 관용구의 일부로 명사의 일부분일 경우, 정형 단수형에서 무굴절형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het openbaar vervoer'는 특정 실체로서의 '대중교통'을 의미하는 반면, 'het openbare vervoer'는 공공의 교통수단을 의미하며 어떤 교통수단도 될 수 있다. 'het groot woordenboek van de Nederlandse taal'는 고유 제목으로서 '네덜란드어 대사전'을 의미하지만, 'het grote woordenboek van de Nederlandse taal'는 우연히 큰 사전을 의미한다. 'het Burgerlijk Wetboek'는 고유명사로서 '민법'을 의미한다.개인의 성격을 표현하는 경우, 사람을 묘사하는 한정 형용사는 무굴절일 때도 있다. 이는 문체상 중립적이지 않지만 공식적, 수사적, 시적인 뉘앙스를 가진다. 그리고 형용사의 문자적 의미와 비유적 의미를 구분하기도 하며, 일부 명사에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een talentvol schrijver'와 'een talentvolle schrijver'는 둘 다 '재능 있는 작가'를 의미하지만, 전자가 좀 더 공식적이거나 문학적인 표현이다. 'een groot man'은 비유적 의미로 '위대한 사람'을, 'een grote man'은 문자적 의미로 '큰/키가 큰 사람'을 의미한다. 하지만 'een grote vrouw'는 '위대한/큰/키가 큰 여자'를 의미하며, '-e'는 항상 'vrouw'와 함께 쓰인다.
6. 2. 부분사
형용사는 'ietsnl'(무언가), 'nietsnl'(무), 'veelnl'(많은, 다수의), 'weinignl'(적은, 소수의)와 같은 부정 대명사 뒤에 사용되는 부분사(partitive)라는 특별한 형태를 갖는다. 부분사 형태는 어미 '-snl'를 취한다.- Vertel me iets interessant'''s'''.nl (나에게 무언가 흥미로운 것을 말해줘.)
- Ik heb iemand nieuw'''s''' leren kennen.nl (나는 새로운 누군가를 만나게 되었어.)
'-snl' 또는 '-schnl'로 끝나는 형용사는 이 어미를 취하지 않는다.
- Ik heb iets paars aangetrokken.nl (나는 보라색 무언가를 입었어.) (기본 형태는 이미 'paarsnl'이다)
- Er is niet veel fantastisch aan.nl (그것에 대해 그다지 환상적인 것은 없어.)
긴 모음으로 끝나는 몇 안 되는 형용사는 특정 명사 복수와 같이 '-'snl'(아포스트로피)를 대신 사용한다.
- Ik vond paars niet zo mooi, dus heb ik nu iets lila'''
' s'''.nl (나는 보라색이 별로 마음에 안 들어서, 지금은 라일락색 무언가를 가지고 있어.)
6. 3. 부사로 사용되는 형용사
형용사 무굴절형은 부사로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네덜란드어에서는 형용사와 부사의 구분이 어려울 때가 있다.- Dat is een snelle auto. De auto rijdt snel.nl ("저것은 빠른 차이다. 그 차는 빠르게 달린다.")
- Wij werden vriendelijk begroet door die vriendelijke mensen.nl ("우리는 그 친절한 사람들에 의해 친절하게 환영받았다.")
6. 4. 명사로 사용되는 형용사
형용사 무굴절형은 명사로도 사용된다.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경우가 있다.- 형용사가 지시하는 명사는 생략되지만 내포되어 있다. 형용사는 명사가 있는 것처럼 굴절한다. 그러나 굴절형은 부정형 중성 단수에서도 사용한다.
- Je kunt deze auto kopen in verschillende kleuren. Wil je de '''groene''', de '''blauwe''' of de '''gele'''?nl (이 차는 다양한 색상으로 구매할 수 있다. '''녹색''', '''파란색''' 또는 '''노란색'''을 원하는가?)
- Wij hebben drie kinderen, twee '''grote''' en een '''kleine'''.nl (우리에게는 세 명의 아이가 있는데, 두 명은 '''크고''', 한 명은 '''작다.''' 또는 Wij hebben drie kinderen, twee grote en een klein.nl으로 쓸 수 있다.)
- 사람을 지시하는 경우, 형용사는 본질적으로 남성/여성 명사로 사용된다. -enl가 추가되며, -ennl으로 끝나는 명사에도 추가된다. 복수형은 -nnl과 함께 쓴다.
- Je rijdt als een '''blinde'''!nl ('''눈먼 사람'''처럼 운전하는군!)
- Waar ben je, mijn '''geliefde'''?nl (내 '''사랑''', 어디 있는가?)
- Laat de '''gevangene''' vrij!nl ('''죄수'''를 풀어주어라! 과거 분사 gevangennl "체포된, 투옥된"에서 유래)
- De '''rijken''' moeten de '''armen''' helpen.nl ('''부자'''는 '''가난한 사람'''을 도와야 한다.)
- 개념을 설명하는 데에는 형용사가 중성 물질명사로 사용된다.
- Ik kan geen antwoord geven, omdat ik het '''gevraagde''' niet begrijp.nl ('''요청된 것'''을 이해하지 못해 대답할 수 없다.)
- Angst voor het '''onbekende''' is heel gewoon.nl ('''미지'''에 대한 두려움은 매우 흔한 일이다.)
6. 5. 비교급•최상급
형용사는 비교급('-er' 어미)과 최상급('-st' 어미)을 갖는다. 비교급은 그 자체로 형용사로서 굴절하며 굴절형과 부분형이 있다. 최상급은 보통 정관사를 동반한다. 부사로 사용하면 최상급 앞에는 중성 관사 'het'이 항상 온다. 일부 비교급과 최상급은 보충법을 따르며, '형용사+부사' 혹은 '형용사+분사' 형의 합성어는 부사나 분사 부분만 바뀐다.[1]비교급은 기본형에 '-er'를 추가한다. '-r'로 끝나는 형용사의 비교급은 '-der'를 붙인다. 무굴절 비교급은 부사로도 사용한다.[1]
- Ik ben groot, maar jij bent groter.|나는 크지만, 너는 더 크다.nl
- Dit speelgoed kan gevaarlijk zijn voor kleinere kinderen.|이 장난감은 더 작은 아이들에게 위험할 수 있다.nl
- Deze jas is duurder.|이 코트는 더 비싸다.nl
- Heb je niets goedkopers?|더 싼 거 없니?nl
- Dat heb je nog fantastischer gedaan dan de vorige keer!|너는 지난번보다 훨씬 더 환상적으로 해냈어!nl
최상급은 뒤에 '-st'를 붙인다. 형용사가 '-s'나 '-sch'로 끝나면 '-st'와 '-scht'가 되지만, 이러한 형태는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며, 'meest'를 사용하는 분해형으로 만드는 것이 더 선호된다.[1]
- De Mont Blanc is de hoogste berg van de Alpen.|몽블랑은 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nl
- Dit is het vieste toilet dat ik ooit heb gezien.|이것은 내가 본 것 중 가장 더러운 화장실이다.nl (또는 Dit is het meest vieze toilet|이것은 내가 본 것 중 가장 더러운 화장실이다.nl)
한 사물을 다른 모든 사물들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기에, 최상급은 보통 정관사를 동반한다. 부사로 사용하면 최상급 앞에는 중성 관사 'het'이 항상 온다. 무굴절형이든 굴절형이든 의미 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1]
- Deze jas is het duurst(e).|이 코트는 가장 비싸다.nl
- Dit huis is het grootst(e).|이 집은 가장 크다.nl
- Onze auto rijdt het hardst(e) van allemaal.|우리 차는 모든 차 중에서 가장 빠르다.nl
일부 비교급과 최상급은 보충법을 따르며, 기본형과 다른 어원을 사용한다. 이는 불규칙적이다.[1]
- goed, beter, best|좋은/잘, 더 좋은/더 잘, 가장 좋은/가장 잘nl
- veel, meer, meest|많은, 더 많은, 가장 많은nl
- weinig, minder, minst|적은, 더 적은, 가장 적은nl
- graag, liever, liefst|기꺼이, 더 기꺼이, 가장 기꺼이nl
- dikwijls, vaker, vaakst|자주, 더 자주, 가장 자주nl
'형용사+부사' 혹은 '형용사+분사' 형의 합성어는 부사나 분사 부분만 바뀐다.[1]
- dichtbij, dichterbij, dichtstbij|가까운, 더 가까운, 가장 가까운nl
- dichtbevolkt, dichter bevolkt, dichtstbevolkt|인구 밀도가 높은, 더 인구 밀도가 높은,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nl
7. 대명사•한정사
네덜란드어의 대명사와 한정사는 다양한 형태와 용법을 가지며, 격, 수, 성, 그리고 화자와의 관계 등에 따라 형태가 변화한다.
인칭대명사는 주격, 목적격 등 격에 따라 구별되며, T-V 구분이 존재하여 2인칭 단수 대명사에는 비공식적인 형태와 공식적인 형태가 있다. 또한, 강세형과 비강세형(접어형)을 가진다.
소유 한정사에도 강세형과 비강세형이 있으며, 한정적으로 사용할 때는 굴절되지 않지만, 서술형으로 사용될 때는 굴절형이 사용된다.
지시 한정사는 영어처럼 거리에 따라 두 가지(deze, die)를 사용하며, 부정 형용사처럼 굴절되지만 불규칙하다.
대명부사는 전치사와 대명사의 조합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며, 네덜란드어에서 흔하게 사용된다.
7. 1. 인칭대명사
네덜란드어 인칭대명사는 영어처럼 주격, 대격/여격과 같이 격에 따라 구별된다. 과거에는 3인칭 복수 대명사 hennl(대격)과 hunnl(여격) 사이에 구분이 있었지만, 이는 인위적인 구분이었고, 현대 구어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사라졌다. 그러나 학교 교육과 공식적인 네덜란드어에서는 여전히 이러한 구분을 가르치고 사용하기도 한다.[20]다른 유럽 언어들처럼 네덜란드어 인칭대명사에도 T-V 구분이 존재한다. 2인칭 단수 대명사에는 비공식적인 형태와 공식적인 형태가 있다. 하지만 네덜란드어 대명사는 복잡하고 방언에 따라 다르게 발전했기 때문에, 프랑스어나 독일어만큼 명확하지 않다.
고대 게르만어/인도유럽어의 2인칭 단수 대명사 dunl/doenl(영어의 thou영어)는 중세 시대에 네덜란드어에서 사라졌지만, 림뷔르흐어, 저지 독일어, 서프리지아어, 독일어 등 관련 언어에서는 여전히 사용된다.
네덜란드어에서는 북부와 남부 방언이 서로 다르게 발전했다.
- 북부 및 표준 네덜란드어: 새로운 공식 대명사 unl가 도입되면서, jijnl는 비공식적인 형태가 되었다. 또한, lie(den)nl(사람들)를 덧붙여 만든 jullienl가 2인칭 복수 비공식 대명사로 사용된다. 공식 대명사 unl는 단수와 복수 모두에 사용된다.
- 남부 방언: gijnl가 여전히 한 사람에게 말할 때 중립적인 형태로 사용된다. 하지만 북부처럼 비공식적인 jijnl와 공식적인 unl도 표준어에서 흔히 사용된다.
- 일부 방언: 2인칭 복수 형태인 gijlienl(남부)나 3인칭 복수 형태인 hullienl와 같이 고유한 복수 대명사를 만들기도 했다. hullienl는 아프리칸스어의 표준어가 되었지만, 표준 네덜란드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많은 네덜란드어 대명사는 강세형과 비강세형(접어형)을 가진다. 강세형은 원래 모음을 그대로 유지하며 강조나 대조가 필요할 때 사용하고, 비강세형은 모음을 슈와(/ə/)로 바꾸어 사용한다.
인칭 | 주어 | 목적어 |
---|---|---|
1인칭 단수 | ik ('k) | mij (me) |
2인칭 단수, 비격식 | jij (je) | jou (je) |
2인칭 단수, 격식 | u | u |
2인칭 단수, 남부 | gij (ge) | u |
3인칭 단수, 남성 | hij (ie) | hem ('m) |
3인칭 단수, 여성 | zij (ze) | haar (r, dr) |
3인칭 단수, 중성 | het ('t) | het ('t) |
colspan="3" | | ||
1인칭 복수 | wij (we) | ons |
2인칭 복수, 비격식 | jullie (je) | jullie (je) |
2인칭 복수, 격식 | u | u |
2인칭 복수, 남부 | gij (ge) | u |
3인칭 복수, 사람에게 | zij (ze) | hun, hen (ze) |
3인칭 복수, 사물에게 | zij (ze) | die (ze) |
표준어에서 3인칭 복수 hennl은 직접목적어, hunnl은 간접목적어에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구분이 잘 지켜지지 않는다. 비강세형 zenl는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8]
일부 젊은 층이나 서부 지역에서는 비격식적으로 hunnl을 주격 대명사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매우 비표준적인 용법으로 간주된다.[9]
7. 2. 소유 한정사
소유 한정사에도 강세형과 비강세형이 있다.인칭 | 무굴절 | 굴절 |
---|---|---|
1인칭 단수 | mijn (m'n) | mijne |
2인칭 단수, 비공식 | jouw (je) | jouwe |
2인칭 단수, 공식 | uw | uwe |
2인칭 단수, 남부 | uw | uwe |
3인칭 단수, 남성 | zijn (z'n) | zijne |
3인칭 단수, 여성 | haar (r, dr) | hare |
3인칭 단수, 중성 | zijn (z'n) | zijne |
colspan="3" | | ||
1인칭 복수 | ons | onze |
2인칭 복수, 비공식 | jullie (je) | — |
2인칭 복수, 공식 | uw | uwe |
2인칭 복수, 남부 | uw | uwe |
3인칭 복수 | hun | hunne |
형용사와 달리 소유 한정사는 한정적으로 사용할 때 굴절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과 같다.
- Hij is mijn man.nl ("그는 나의 남편이다.")
- Dat is mijn huis.nl ("저것은 나의 집이다.")
단, 예외로 onsnl는 부정 형용사처럼 굴절되어 남성, 여성, 복수명사와 사용될 때 -enl를 받는다. 소유 한정사는 자체로는 의미상 정형이기에, 소유격 자체가 정형이 아니더라도 그 뒤에 오는 형용사는 정형이 된다.
- ons grote huisnl ("우리의 큰 집")
- onze grote huizennl ("우리의 큰 집들").
한정사가 서술형으로 사용될 때 굴절형도 사용된다. 이 경우 항상 정관사가 먼저 오고, 숨겨진 명사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Dit is mijn auto. De auto is de mijne.nl ("이것은 내 차이다. 그 차는 내 것이다.", 더 직역하면 "그 차는 나의 것이다"). Jullienl는 굴절형이 없으며 문장은 보통 vannl으로 대신 사용된다. De auto is van jullie.nl ("그 차는 너희의 것이다.")
문어에서 격 체계가 폐기되기 전, onsnl뿐 아니라 모든 소유 한정사는 부정 형용사로 굴절되었다. 이들은 격에 따라 굴절되기도 하였다. 현대에는 더 이상 활용되지 않지만, 일부는 여전히 관용구에서 흔적이 남아 있다.
7. 3. 지시 한정사
네덜란드어는 영어처럼 거리에 따라 두 가지 지시사(deze, die)를 사용한다. 제3의 불특정 지시사도 있는데, 이는 인칭 대명사에 의해 수행되며 자세한 내용은 대명 부사 항목에서 다룬다.지시사는 부정 형용사처럼 굴절되나 불규칙하다. 지시사는 의미상 정형이기에 뒤에 오는 형용사들은 정형이 된다.
남성 | 여성 | 중성 | |
---|---|---|---|
단수 | deze | deze | dit |
복수 | deze | deze | deze |
남성 | 여성 | 중성 | |
---|---|---|---|
단수 | die | die | dat |
복수 | die | die | die |
지시 대명사가 계사적 동사와 함께 외용(外用, 텍스트에 언급되지 않은 것을 언급하는 것)한 명사로 활용할 경우, 항상 무굴절형 dit|딧nl과 dat|닷nl이 사용된다.
- '''Dit''' is mijn nieuwe auto. Ik heb '''deze''' gisteren gekocht.|'''딧''' 이스 메인 니우어 아우토. 익 헵 '''데저''' 히스터런 허코흐트.nl ("이것은 나의 새 차이다. 나는 어제 이것을 샀다.")
auto|아우토nl는 통성임에도 deze|데저nl 형을 사용한다. 이 문장에서 첫 대명사(dit|딧nl)는 외용으로 사용한 것이나, 두번째 대명사(deze|데저nl)는 auto|아우토nl를 지시한 것이다.
외용 대명사는 서술형 문장에서 사용하면 항상 보어형이며 주어형이어선 안된다. 동사 굴절은 다른 논리를 따르며, 대명사에 상관없이 복수형이다.
- Dat is een nieuw huis.|닷 이스 언 니우 하위스.nl ("저것은 새 집이다")
- Dit is mijn vader.|딧 이스 메인 파더르.nl ("이분은 나의 아버지이다")
- Dat zijn nieuwe huizen.|닷 제인 니우어 하위전.nl ("저것들은 새 집들이다", 단수 dat|닷nl가 복수 동사 zijn|제인nl와 어울리고 복수 명사 huizen|하위전nl과 호응한다는 것에 주의)
- Dit zijn mijn kinderen.|딧 제인 메인 킨더런.nl ("이 아이들은 나의 아이들이다", dit|딧nl도 마찬가지)
7. 4. 대명부사
대명부사(pronominal adverb)는 의미상 대명사에 상당하지만 그 역할을 대신하는 장소부사(location adverb)를 말한다. '전치사+대명사' 형태의 구를 '(대명사의 의미에 가까운) 장소부사+전치사'의 한 단어로 만드는 것이다. 영어에도 있지만 드물다. 예를 들어 thereby영어 ("by that"), herewith영어 ("with this"), whereupon영어 ("upon what" or "upon which") 등이 있다.대명부사는 전치사와 대명사의 조합을 대체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네덜란드어에서는 흔하며 일부에선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다음 표는 부사 형태를 갖는 대명사들이다.
유형 | 대명사 | 부사 | 의미 |
---|---|---|---|
인칭 | hem, haar, het, hun/hen/ze | er | him, her, it, them, there (불특정) |
근접지시 | dit | hier | this, here |
원격지시 | dat | daar | that, there |
의문 혹은 관계 | wat, welk, welke | waar | what, which, where |
전칭 | alles | overal | everything, everywhere |
부정(indefinite) | iets | ergens | something, somewhere |
부정(negative) | niets | nergens | nothing, nowhere |
'전치사+대명사' 조합과 대명부사 모두 사용되지만, 대명부사형이 더 흔하다. 대명사는 그것에 대해 특정해야 할 때 주로 사용한다. 중성대명사 hetnl는 전치사 목적어로 사용할 수 없다. 부사형은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전치사 1개와 관계대명사 1개의 조합 역시 보통 대명부사로 대체된다. 예를 들어 met dewelkenl (with which)은 고어적 표현이며 항상 waarmeenl (wherewith)로 대체된다. 남성대명사와 여성대명사는 특히 사람을 지칭할 때 대명사형에서 더 자주 사용되지만, 대명부사형도 가끔 사용한다.
대명부사는 대명사를 상응하는 장소부사로 바꾸고 전치사를 부사형으로 바꾼 후 순서를 바꾸는 식으로 만든다. 장소부사 overalnl, ergensnl, nergensnl는 전치사 부분과 한 칸 띄워 쓰지만, 다른 네 가지는 붙여 쓴다. 예는 다음과 같다.
- Ik reken op je steun.nl ("I'm counting on your support.")
- Ik reken '''er'''op.nl ("I'm counting on it.")
- Ik reken '''nergens''' op.nl ("I'm counting on nothing.", 더 자유롭게는 "I'm not counting on anything.")
전치사 대부분은 대명부사형과 같지만 두 가지 예외가 있다.
- metnl "with" → meenl
- Hij stemt '''met''' alle voorstellen in.nl ("He agrees with all proposals.")
- Hij stemt er'''mee''' in.nl ("He agrees with it.")
- Hij stemt overal '''mee''' in.nl ("He agrees with everything.")
- totnl "(up) to" → toenl
- Ik kan me niet brengen '''tot''' deze wandaden.nl ("I can't bring myself to (commit) these atrocities.")
- Ik kan me hier'''toe''' niet brengen.nl ("I can't bring myself to this.")
대명부사를 갖지 않는 sindsnl, vianl, vanwegenl 같은 전치사도 있다. 이들을 가지고 관계 구문(relative construction)을 만들기 어려운데, 관계대명사 dewelkenl, hetwelknl 등은 구식이 되어가기 때문이다.
반대로 전치사로 사용할 수 없는 전치부사(prepositional adverb) heennl 혹은 afnl가 있지만, 이들은 대명부사나 구동사(separable verb)의 일부분으로 사용한다.
부사적 대명사(adverbial pronoun)와 전치부사(prepositional adverb)는 서로 분리할 수 있으며, 전치사 부분은 절(clause) 끝에 둔다. 그러나 이는 항상 그러한 것이 아니며 일부 상황에서는 같이 두기도 한다.
- '''Daar''' reken ik '''op'''.nl ("That, I am counting on."), 함께 조합할 수도 있다. : '''Daarop''' reken ik.nl or Ik reken '''daarop'''.nl
- Ik reken '''er''' niet '''op'''.nl ("I am not counting on it."), 여기서는 반드시 분리시켜야 한다.
네덜란드어에서 마지막 단어 opnl은 보통 전치사가 아니라 부사로 분석된다. 따라서 문장이 전치사로 끝나서는 안 된다는 규칙이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8. 동사
네덜란드어 동사는 인칭, 수, 시제(현재, 과거), 서법(직설법, 접속법, 명령법)에 따라 굴절된다. 현대 네덜란드어에서는 현재형 단수 직설법에서만 인칭에 따른 형태 변화가 나타나며, 다른 경우에는 모든 인칭에서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네덜란드어 동사는 현재와 과거 두 시제로 굴절한다.
- 현재시제는 현재 또는 미래를 나타내며, 규칙적, 진행적, 습관적 행동을 표현할 수 있다.
- 과거시제는 과거를 나타내며, 완료된 규칙적인 사건은 현재형을 대신하여 현재 완료형으로 표현한다.
동사는 서법에 따라 굴절된다.
- 직설법은 일반적인 진술에 사용되는 기본 서법이다.
- 접속법은 가설적 혹은 소망적 진술에 사용되나, 현대 네덜란드어에서는 일부 공식 문구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예: leve de koning|라번 더 코닝nl "왕이시여 영원하소서", mogen zij in vrede rusten|모헌 제이 인 브레더 뤼스턴nl "그들이 평화롭게 잠들기를")
- 명령법은 지시할 때 사용되며, 2인칭만 존재한다. 현대에는 단수 및 복수 명령형 모두에 단 하나의 명령형만 사용된다.
미래시제, 수동태, 진행상, 완료상은 우회적으로 표현되며, 동사마다 부정사, 현재분사, 과거분사가 존재한다.
영어와 마찬가지로, 네덜란드어는 kunnen|퀴넌nl ("can"), mogen|모헌nl ("may"), zullen|쥘런nl ("shall/will"), moeten|무턴nl ("must"), 그리고 willen|빌런nl ("want")과 같은 조동사를 사용한다. 조동사는 현재 시제에서 불규칙 활용을 하는 몇 안 되는 동사 중 하나이다.
네덜란드어 조동사의 특별한 특징은 화자들이 조동사가 활용형이고 전치사가 있을 때 동사 원형 gaan|한nl ("go"), komen|코먼nl ("come") 및 유사한 동사를 생략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 Ik '''wil''' niet '''naar''' school.|익 빌 닛 나르 스홀nl ("나는 학교에 가고 싶지 않아.")
- Hij '''wil''' '''met''' een auto.|헤이 빌 멧 언 아우토nl ("그는 차로 오고 싶어한다.")
8. 1. 동사활용
네덜란드어 동사활용은 약변화 동사와 강변화 동사로 나뉜다. 약변화 동사는 치음('-d-'나 '-t-')을 포함하는 어미와 함께 과거시제를 형성한다. 강변화 동사는 어간의 모음을 변화시켜 과거형을 만든다. 흔히 사용되는 동사 중 일부는 불규칙 활용을 한다.[22][23][24]약변화 동사는 네덜란드어에서 가장 흔하며, 유일하게 생산적인 유형이다. 즉, 새로 만들어지는 동사는 모두 약변화 동사이다. 과거 시제를 만들 때, 동사 어간의 마지막 자음에 따라 '-d-'나 '-t-'를 붙인다. 어간이 무성음으로 끝나면 '-t-'를, 유성음으로 끝나면 '-d-'를 사용한다. 't kofschip' (t, k, f, s, ch, pnl)로 끝나는 동사는 과거 시제가 '-t-'로 끝난다.
- werken|베르컨nl (일하다), werkte|베르크터nl (일했다)
- leren|레런nl (배우다/가르치다), leerde|레르더nl (배웠다/가르쳤다)
- razen|라전nl (격노하다), raasde|라스더nl (격노했다)
- lossen|로선nl (잃다/제거하다), loste|로스터nl (잃었다)
강변화 동사는 어간의 모음을 변화시켜 과거형을 만든다. (인도유럽어족 모음교체)
예시:
- rijden|레이던nl (타다), reed|레이트nl (탔다), gereden|허레이던nl (탔다, 1류)
- binden|빈던nl (묶다), bond|본트nl (묶었다), gebonden|허본던nl (묶였다, 3a류)
- geven|헤번nl (주다), gaf|하프nl (주었다), gegeven|허헤번nl (주어졌다, 5류)
- lopen|로펀nl (걷다/뛰다), liep|립nl (걸었다), gelopen|헐로펀nl (걸었다, 7b류)
일부 동사는 강변화 과거와 약변화 과거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 lachen|라헌nl (웃다), lachte|라흐터nl (웃었다), gelachen|헐라헌nl (웃었다, 약변화 과거, 강변화 과거분사)
- zouten|자우턴nl (소금치다), zoutte|자우터nl (소금쳤다), gezouten|허자우턴nl (소금쳐졌다, 약변화 과거, 강변화 과거분사)
- vragen|브라헌nl (묻다), vroeg|브루흐nl (물었다), gevraagd|허브라흐트nl (물었다, 강변화 과거, 약변화 과거분사)
많이 사용되는 동사 중 일부는 불규칙 활용을 한다. 특히 과거-현재 동사가 그렇다.
부정사 | -en | ||
---|---|---|---|
직설법 | |||
현재 | 약변화 과거 | 강변화 과거 | |
1인칭 단수 | - | -de, -te | - |
2인칭 단수 jij|에이nl | -(t) | -de, -te | - |
2인칭 단•복수 gij|헤이nl | -t | -de(t), -te(t) | -t |
2인칭 단•복수 u|위nl | -t | -de, -te | - |
3인칭 단수 | -t | -de, -te | - |
복수 | -en | -den, -ten | -en |
접속법 | |||
현재 | 약변화 과거 | 강변화 과거 | |
단수 | -e | -de, -te | -e |
복수 | -en | -den, -ten | -en |
명령법 | |||
일반 | - | ||
복수 | -t | ||
분사 | |||
현재 | 약변화 과거 | 강변화 과거 | |
-end | ge- -d, ge- -t | ge- -en |
8. 2. 비정형
네덜란드어에서 비정형은 부정사, 현재분사, 과거분사가 있다.[1]8. 2. 1. 현재분사
네덜란드어에서 현재분사는 의미상 진행형이며, 주체가 무언가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한정 형용사로 사용되며 굴절하기도 한다.- Ik heb een '''vallende''' ster gezien.nl ("나는 '''떨어지는''' 별을 보았다.")
- '''Blaffende''' honden bijten niet.nl ("'''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
- Het nieuws verspreidt zich als een '''lopend''' vuurtje.nl ("그 소식은 '''번개처럼''' 퍼진다." — 문자 그대로 "'''달리는''' 불처럼")
부사로도 사용 가능하며 '~하는 동안(while ...ing)'을 의미한다. 무굴절형, 굴절형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관용구 외에는 무굴절형이 보다 흔하다.
- Al '''doende''' leert men.nl ("'''하면서''' 배운다.")
- Dit werk is zo makkelijk, ik word '''slapend''' rijk.nl ("이 일은 너무 쉬워서, 나는 '''자는 동안''' 부자가 된다.")
- '''Huilend''' vertelde de jongen wat er die dag gebeurd was.nl ("'''울면서''' 그 소년은 그날 무슨 일이 있었는지 말했다.")
드물게 현재분사가 서술어로 사용되어 영어에서처럼 진행형을 만들기도 한다. 예 : De bal was '''rollende'''.nl ("공이 '''굴러가고''' 있었다."). 이는 지나치게 격식을 차리는 문체나 과도한 격식체와 보통 어울린다. 부정사에 aan hetnl를 사용하는 것이 더 흔하다.
타동사 현재분사 앞에는 목적어나 부사를 둘 수 있다. 두 단어 사이는 하이픈을 넣거나 띄어쓰기를 하지 않고 붙여서 합성형용사를 만들기도 한다.
- Ik zat vast in '''langzaam rijdend''' verkeer.nl ("나는 '''느리게 움직이는''' 교통 체증에 갇혔다.")
- Het hondje slaakte een '''hartverscheurende''' kreet.nl ("그 작은 개는 '''가슴 아픈''' 비명을 질렀다.")
- '''Stenengooiende''' jongeren zijn een steeds ernstiger probleem.nl ("'''돌을 던지는''' 젊은이들은 점점 더 심각한 문제이다.")
8. 2. 2. 과거분사
네덜란드어에서 과거분사는 완료된 행동을 가리킨다. 또한 여러 조동사와 결합하여 완료나 수동태를 만들기도 한다.형용사로서 과거분사의 의미는 동사 유형에 따라 능동형(활동을 수행한 것) 혹은 수동형(활동을 경험한 것)으로 나뉜다.
- 타동사의 경우 의미는 수동형이다. 예:
- *: De '''gemaakte''' keuze bleek niet zo geweldig.nl ("'''만들어진''' 선택은 그렇게 좋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 *: '''Gebroken''' glas is gevaarlijk.nl ("'''깨진''' 유리는 위험하다.")
- 비대격 자동사의 경우 의미는 능동형이다. 예:
- *: De '''gevallen''' man kon niet meer opstaan.nl ("'''넘어진''' 남자는 다시 일어설 수 없었다.")
- *: Iedereen ging op zoek naar het '''verdwenen''' hondje.nl ("모두가 '''사라진''' 강아지를 찾으러 갔다.")
- 비능격 자동사의 과거분사는 형용사로 쓸 수 없다. 또한 zijnnl ("이다")와 같은 계사와도 쓸 수 없다. 오로지 완료형만 쓸 수 있다.
현재분사처럼 과거분사도 앞에 부사가 올 수 있다.
- '''Haastig gemaakte''' keuzes leiden later vaak tot problemen.nl ("'''급하게 만들어진''' 선택은 나중에 종종 문제를 야기한다.")
- Ik heb het liefst '''versgemaakt''' sinaasappelsap.nl ("나는 '''갓 짜낸''' 오렌지 주스를 가장 선호한다.")
- '''Jong geleerd''' is '''oud gedaan'''.nl ("'''어릴 때 배운 것은''' '''늙어서 행해진다'''.", 속담)
8. 2. 3. 부정사
네덜란드어에서 비정형(non-finite form)은 현재형과 과거분사이다.8. 3. 타동성
의미와 사용에 따라 동사들은 여러 타동사 부류(transitivity class)에 속한다.- 비능격 자동사(unergative intransitive verb)는 목적어를 취하지 않으며, 능동(active)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주어는 행위자이다. 완료형은 조동사 hebbennl으로 만든다. 비인칭 수동태(impersonal passive voice)를 갖는다.
- 비대격 자동사(unaccusative intransitive verb)는 목적어를 취하지 않으며, 수동태나 중간태(middle voice)의 의미를 갖는다. 주어는 피동작주(patient)이거나 명확한 행위자가 없다. 완료형은 조동사 zijnnl으로 만든다.
- 타동사(transitive verb)는 목적어를 취한다. 주어는 행위자이며, 목적어는 직접 목적어(피동작주)이거나 간접 목적어이다. 수동태는 조동사 wordennl으로 만든다. 완료형은 직접목적어를 주어로 할 때는 조동사 hebbennl으로, 간접목적어를 주어로 할 때는 조동사 krijgennl으로 만든다. 완료형 수동태는 zijnnl으로 만든다.
- 이중타동사(ditransitive verb)는 목적어를 2개(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 취한다. 대부분 타동사처럼 역할한다.
- 중간동사(middle verb) 혹은 결백동사(verb of innocence)는 비대격 타동사(transitive unaccusative verb)이며 목적어를 취한다. 완료형은 zijnnl으로 만들지만, 수동태는 wordennl으로, 완료 수동태도 zijnnl으로 만든다. 완료 조동사 zijnnl은 주어가 행동의 직접적인 주창자는 아니거나 행동에 대해 책임질 수 없거나 책임지려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로는 vergetennl "to forget"과 verliezennl "to lose (목적어)"가 있다.
- 재귀동사(reflexive verb)는 재귀대명사(reflexive pronoun)를 목적어로 취한다.
- 비인칭동사(impersonal verb)는 부정대명사(indefinite pronoun) hetnl (it)을 주어로 사용한다.
- 절대동사(absolute verb)는 비능격 동사와 비슷하지만 비인칭 수동형은 없다.
동사는 활용에 따라 여러 부류에 속한다. 특히 여러 타동사는 자동사로도 사용 가능하기에 자타양용동사(ambitransitive verb)가 된다. 예를 들어, ik eet een appelnl "나는 사과를 먹는다"에서 'eet'는 타동사이지만, ik eetnl "나는 먹는다"에서는 비능격 자동사이다. 이중타동사는 대개 단일타동사(monotransitive, 간접목적어나 직접목적어 하나만 취하는 동사)로 사용 가능하며, 자동사로도 사용할 수 있다.
자동사가 비능격인지 비대격인지 여부는 동사와 의미에 달려 있다. 일반적으로 타동사에 목적어를 빼버리면 그 타동사는 대격동사(accusative verb)가 된다. 하지만 능격동사(ergative verb)는 목적어가 없으면 비대격동사가 된다. 결과적으로 이런 동사들은 목적어가 사라지면 능동태에서 수동태나 중간태가 된다. 예를 들어, ik breek het glasnl "나는 유리를 깬다"에서는 'breek'가 타동사인 반면, het glas breektnl "유리가 깨진다"에서는 비대격형이 된다. 두 문장에서 '유리(het glas)'는 피동작주이지만, 첫 번째 문장에서는 유리가 직접목적어인 반면 두 번째 문장에서는 주어가 되어 있다. 이러한 동사들의 조동사 zijnnl은 수동태와 자동사 모두에 사용되어 구분이 불가하다. het glas is gebrokennl은 '유리가 저절로 깨져 있다'라는 자동사적 의미, '유리가 무언가에 의해 깨졌다'라는 수동태적 의미 모두 가능하다.
8. 3. 1. 완료, 미래, 수동
openen|nl|열다nlIk heb de doos geopend.|nl|나는 상자를 열었다.nl
De doos wordt geopend.|nl|상자가 열리고 있다.nl
De doos is geopend.|nl|상자가 열렸다.nl
breken|nl|부수다nl
Het glas breekt.|nl|유리가 부서진다.nl
Ik heb het glas gebroken.|nl|나는 유리를 부쉈다.nl
Het glas wordt gebroken.|nl|유리가 부서지고 있다.nl
Het glas is gebroken.|nl|유리가 부서졌다.nl
blaffen|nl|짖다nl
De hond heeft geblaft.|nl|개가 짖었다.nl
Er wordt geblaft (door de hond).|nl|≈ 짖는 소리가 들린다.nl
Er is geblaft (door de hond).|nl|≈ 짖는 소리가 들렸다.nl
vallen|nl|떨어지다nl
De boom is gevallen.|nl|나무가 떨어졌다.n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