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움라우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움라우트는 게르만어 등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강세를 가진 모음이 뒤따르는 i, e 등의 전설 모음의 영향을 받아 발음이 변하는 것이다. 주로 원순·후설 모음을 원순·전설 모음으로 발음하려는 경우 움라우트 기호(ä, ö, ü 등)를 사용하며, 언어별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움라우트 기호와 같은 모양을 가지지만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동형 기호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운 동화 - 순음화
    순음화는 자음이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발음되는 현상으로, 여러 언어에서 음소적으로 대립되며, 연구개 및 구개수 자음에서 자주 발생하고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위첨자 w (ʷ)로 표기한다.
  • 음운 동화 - 비음화
    비음화는 음성학에서 구강 통로가 막히고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소리를 내는 현상으로, 비음은 비모음과 비음 자음으로 나뉘며, 한국어에서는 자음 동화 현상과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이 대표적이다.
움라우트
개요
명칭움라우트
언어주로 게르만어족 언어
기능모음 변이
문자ä, ö, ü 등
상세 정보
정의어떤 모음의 발음이 뒤따르는 모음이나 반모음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 현상
원인후설 모음이 전설 모음화되는 현상
다른 이름모음 조화
i-움라우트
a-움라우트
역사
기원고대 고지 독일어 시대
과정단모음 a, o, u가 i나 j의 영향을 받아 각각 e, ö, ü로 변화
게르만어파에서의 움라우트
고대 고지 독일어a → e, o → ö, u → ü
독일어a → ä ]
au → äu
o → ö ]
u → ü ]
영어묵음 e에 의한 장모음화 (유사한 현상)
아이슬란드어여러 종류의 움라우트 존재
페로어여러 종류의 움라우트 존재
스웨덴어a → ä, o → ö
노르웨이어a → æ, o → ø, u → y
표기
문자ä, ö, ü 등
표기법원래는 해당 모음 위에 작은 e를 덧붙여 표기
현대 표기e 대신 점 두 개(트레마)를 찍어 표기
음성학적 변화
주요 변화후설 모음의 전설 모음화
예시[u] → ]
음운론적 분석
특징모음의 자질 변화를 유발하는 음운 현상
변별적 자질전설성, 원순성 등

2. 언어별 움라우트

2. 1. 게르만어파

강세를 가진 모음이, 뒤따르는 i, e 등과 같은 전설 모음의 발음에 이끌려 e에 가까운 발음이 되는 현상이다. 게르만어에서 많이 나타난다.

또한, 강세를 가진 모음이 뒤따르는 후설 모음 u, o에 의해 발음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지만, 이것도 움라우트의 일종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i-움라우트 참조). 일례로, 영어에서 발을 의미하는 foot의 복수형 feet의 모음도, i-움라우트에 의해 생겨난 것이다. 고대 영어에서는 발의 단수형은 fōt였고, 문헌 이전의 영어에서는 여기에 복수 어미 *iz를 붙여 복수형 *fōtiz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 복수 어미 *iz가 앞의 모음 ō를 ē로 변화시켰기 때문에, 고대 영어에서는 복수형이 fēt가 되었다. 그 후의 모음 대추이의 결과,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이처럼, 게르만어에서 움라우트는, 명사의 단수와 복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2. 1. 1. 움라우트 기호

움라우트 기호는 주로 원순·후설에서 발음되는 모음(a, o, u)을, 원순·전설로 발음하려 할 때(ä, ö, ü) 사용되며, 독일어, 스웨덴어 등에서 사용된다. 움라우트 현상이 있는 언어가 반드시 움라우트 기호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독일어의 경우 äu는 eu와 마찬가지로 [ɔʏ]로 발음된다.

독일어의 경우, 이 두 점은 필기체의 소문자 e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움라우트 기호를 표시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예를 들어 ä를 ae로 대체하기도 한다.

모음 조화를 가진 언어에서는 단모음을 각각 6종 이상 가지는 경우가 많다. 모음 조화는 움라우트 현상과는 무관하지만, 우랄어족핀란드어, 헝가리어, 튀르크어족의 터키어, 아제르바이잔어, 투르크멘어 등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의 경우, 전설 모음이 없는 모음을 무표로 하는 반면, 전설 모음을 움라우트 기호가 붙은 모음 글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a와 e, u와 y를 짝으로 사용하는 등 예외도 많다.

한편, 헝가리어에서는 보통 장음을 표기할 때 어큐트를 사용하지만, 움라우트 기호가 붙은 모음의 장음을 표기할 때는 어큐트를 두 개 나란히 사용하여 더블 어큐트로 한다.

현대 중국어의 병음에서는, [y] 음 표기에 ü가 사용된다.

한국어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는, 가 a 또는 o 뒤에 오는 경우 ë로 표기된다. 다만, 문화체육관광부 2000년식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2. 2. 켈트어파

모음 변이(Affection 또는 vowel mutation)라고 한다.

예를 들어 웨일스어의 gair (낱말)에 장치를 나타내는 접미사 -iadur가 붙으면 geiriadur (사전)가 되는데, 이때 -ai-가 -ei-로 변화한다.

2. 3. 우랄어족

움라우트 기호는 주로 원순·후설에서 발음되는 모음(a, o, u)을, 원순·전설로 발음하려 할 때(ä, ö, ü) 사용되며, 독일어, 스웨덴어 등에서 사용된다. 모음 조화를 가진 우랄어족핀란드어, 헝가리어, 튀르크어족의 터키어, 아제르바이잔어, 투르크멘어 등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의 경우, 전설 모음이 없는 모음을 무표로 하는 반면, 전설 모음을 움라우트 기호가 붙은 모음 글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a와 e, u와 y를 짝으로 사용하는 등 예외도 많다. 헝가리어에서는 보통 장음을 표기할 때 어큐트를 사용하지만, 움라우트 기호가 붙은 모음의 장음을 표기할 때는 어큐트를 두 개 나란히 사용하여 더블 어큐트로 한다.

2. 4. 한국어

한국어에서는 ㅣ 모음 역행동화 현상이 움라우트와 유사하다. ㅏ, ㅓ, ㅗ, ㅜ가 ㅣ와 만나 ㅐ, ㅔ, ㅟ, ㅚ로 바뀌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학교'가 '핵교'로, '어미'가 '에미'로, '죽이다'가 '쥐기다'로, '고기'가 '괴기'로 바뀌는 것이다. 표준어 규정에서는 '-내기', '냄비', '동댕이치다' 등을 제외하고는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2. 5. 기타 언어

2. 5. 1. 라틴 문자

독일어에서는 ä, ö, ü/ä, ö, üde가 사용된다. 각각 [ɛ], [ø], [y]를 나타낸다.

네덜란드어에서는 ä, ö, ü/ä, ö, ünl가 움라우트로서 독일어에서 차용된 단어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아이슬란드어에서는 ö/öis가 사용된다. [œ]를 나타낸다.

알바니아어에서는 ë/ësq가 사용된다. [ə]를 나타낸다.

룩셈부르크어에서는 ä, ë/ä, ëlb가 사용되며, 각각 [æ], [ə]를 나타낸다.

헝가리어에서는 ö, ü/ö, ühu가 사용되며, 전설 모음 [ø], [y]를 나타낸다.

슬로바키아어에서는 ä/äsk가 사용되며, [ɛ] 또는 [æ]를 나타낸다.

스웨덴어에서는 ä, ö/ä, ösv가 사용되며, 각각 [ɛ], [ø]를 나타낸다. 독일어와는 달리, 이 두 문자는 독립된 문자로 취급되며, 각각 알파벳의 28번째와 29번째에 위치한다.

핀란드어에서는 ä, ö/ä, öfi가 사용되며, 각각 [æ], [ø]를 나타낸다. 스웨덴어와 마찬가지로 독립된 문자로 취급된다.

중국어(병음)에서는 ü/ücn가 사용된다. [y]를 나타낸다. 예:lǘ/lǘ중국어(驢), nǚ/nǚ중국어(女), lǜ/lǜ중국어(律). 참고로, 정자법상 음절이 n 또는 l로 시작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ü/ü중국어는 단순히 u로 표기된다. 따라서, ǖ/ǖ중국어는 음으로 존재하지만, n이나 l로 시작하는 음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다.

에스토니아어에서는 ä, ö, ü/ä, ö, üet가 사용되며, 각각 [æ], [ø], [y]를 나타낸다. 독립된 문자로 취급된다.

터키어・아제르바이잔어에서는 ö, ü/ö, ütr가 사용되며, 각각 [ø], [y]를 나타낸다.

투르크멘어에서는 ä, ö, ü/ä, ö, ütk가 사용되며, 각각 [æ], [ø], [y]를 나타낸다.

2. 5. 2. 키릴 문자

러시아어벨라루스어에서는 ё ([jo])는 로 발음한다. 러시아어에서는 부호를 붙이지 않고 е 로 쓰는 경우가 많지만, 키릴 문자를 채용하고 있는 중앙아시아나 시베리아의 비슬라브어에서도 ё 가 사용되며, 그 경우에는 е 와 ё 를 구별하여 쓰는 것이 보통이다.

그 외, 다음 문자들을 사용한다.

3. 동형 기호

움라우트 기호와 같은 외형을 가진 기호가 전혀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모음 교체 현상과는 무관하며, 전설성을 함의하는 것도 아니므로, 본래는 "움라우트 기호"라고 불러야 할 것은 아니다.


  • '''분음 기호'''(디에레시스, 다이어리시스)는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등에서 사용되며, 모음이 연속될 경우 덧붙여서 읽는 법을 변경한다. 유니코드에서는 움라우트와 같은 코드 포인트를 공유한다(호모글리프 참조).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 'naïve'가 있다.
  • 네덜란드어의 Ÿ는 IJ 대신 사용하는 문자인 경우가 있다. 필기체에서 ij 와 ÿ 가 거의 같은 형태가 되는 데서 유래한다.
  • 일본어의 상대 특수 가나 사용법의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을류 모음을 ï, ö, ë 로 나타낸다. 이들에는 전설성이나 모음 교체의 의미가 없고, 단지 "갑류와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편의상 덧붙이는 것이다.
  • 티베트 문자의 로마자 표기에서는, 고대 티베트어에서 통상의 ི (i) 대신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 라는 모음 기호를 ï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것도 구별을 위한 편의적인 것으로, 발음과는 관계가 없다.
  •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는, 중설화를 나타내는 보조 기호이다.
  • '''투 도트'''는 수학에서의 미분의 표기법(뉴턴의 표기법)으로 2계 도함수를 나타낸다. 주로 고전 역학이나 기계 공학에서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Einführung in das Mittelhochdeutsche De Gruyter 2012
[2] 학술지 Early "Umlaut" Phenomena in the Germanic Languages
[3] 서적 Principles of historical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2021
[4] 학술지 Phonological vs. morphological rules: on German umlaut and ablaut. 1996
[5] 서적 Umlaut in the Germanic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4
[6]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Celtic Languages Routledge 2014-07-15
[7] 학술지 Review of Umlaut in Romance. An Essay in Linguistic Archeology. Giessener Beiträge zur Sprachwissenschaft, 12, CLIFFORD S. LEONARD JR.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