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차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번역차용은 다른 언어의 표현을 번역하여 차용하는 언어학적 현상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구문론적 칼크, 통사론적 칼크, 차용 번역, 의미 칼크, 형태론적 칼크, 음운론적 칼크 등이 있으며, 부분 번역차용도 존재한다. 번역차용은 "벼룩시장"과 같이 특정 언어의 표현이 다른 언어로 번역되어 사용되는 경우나, 라틴어,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한자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유래된 어휘를 통해 나타난다. 언어 간의 문화적, 정치적 요인에 따라 번역차용의 양상이 달라지며, 한국어를 포함한 한자 문화권 언어에서는 한자어를 통해 유럽 언어의 개념을 번역 차용하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번역차용 | |
|---|---|
| 어원 | |
| 명칭 | 번역 차용 |
| 정의 | 다른 언어의 단어나 구절을 문자 그대로 번역하여 새로운 단어나 구절을 만드는 것 |
| 특징 | |
| 과정 | 차용어는 형태나 발음을 그대로 가져오는 반면, 번역 차용은 의미를 번역하여 새로운 단어를 형성한다. |
| 예시 | 영어의 "skyscraper"를 번역한 독일어 "Wolkenkratzer" (de) 포르투갈어 "arranha-céu" (pt) 이탈리아어 "grattacielo" (it) 튀르키예어 "gökdelen" (tr) 일본어 "matenrou(摩天楼)" (ja) |
| 참고 | |
| 관련 용어 | 차용 번역 |
| 언어 | 이스라엘 히브리어 |
2. 번역차용의 유형
번역차용은 번역 방식과 차용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칼크(calque)는 번역차용을 여러 유형으로 분류하는데, 이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3]
- 차용 번역: 단어가 형태소별로, 또는 구성 요소별로 다른 언어로 번역된다.
- 통사론적 칼크: 원어의 통사 기능이나 구문이 의미를 훼손하면서 목표 언어에서 모방된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단어의 발음이 다른 언어에서 모방되는 음운론적 칼크를 언급하기도 한다.[7]
일반적으로 차용어 형성 양상은 언어 내적인 요인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오히려 문화적·정치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2. 1. 구문론적 번역차용
원어의 구문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어를 번역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당연하다"는 프랑스어 ça va sans dire프랑스어를 번역 차용한 것이다.[4]2. 2. 의미론적 번역차용
원어의 추가적인 의미가 목표 언어에서 동일한 기본 의미를 가진 단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마우스"는 쥐(mouse)와 생김새가 비슷하여 영어권에서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3] 다른 많은 언어들도 컴퓨터 마우스를 가리킬 때 "쥐"를 의미하는 단어를 사용하며, 때로는 소형어를 사용하거나, 중국어의 경우 ""라는 단어를 추가하여 ""라고 한다. 또 다른 예로 스페인어의 ''ratón''은 동물과 컴퓨터 마우스 모두를 의미한다.[11]2. 3. 부분 번역차용
부분적 직역 또는 차용 혼합어는 복합어의 일부만 번역하고 나머지는 원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8] 예를 들어, 아일랜드 디지털 텔레비전 서비스인 Saorview|소르뷰ga는 영국 서비스 "프리뷰"(Freeview)의 부분적 직역으로, 단어의 앞부분만 영어에서 아일랜드어로 번역하고 뒷부분은 그대로 남겨둔 것이다. 다른 예로는 "리버워스트" (독일어 Leberwurst|레버부르스트de)[9] 와 "애플 스트루델" (독일어 Apfelstrudel|아펠슈트루델de)[10]이 있다.2. 4. 형태론적 번역차용
단어의 형태소(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단위)를 하나하나 번역하는 방식이다.[6] 예를 들어, 영어 "skyscraper"를 한국어 마천루로 번역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2. 5. 음운론적 번역차용
일부 언어학자들은 다른 언어에서 단어의 발음이 모방되는 음운론적 번역차용을 언급한다.[7] 예를 들어, 영어 단어 "radar"는 비슷한 발음의 중국어 단어 雷达|léidá중국어가 된다.[7] 이는 문자 그대로 "천둥처럼 (빨리) 도착하다"를 의미한다.3. 번역차용의 예시
- 영어 'good morning' → 좋은 아침
- 영어 'road shoulder' → 노견(路肩)
일반적인 영어 표현인 "벼룩 시장"은 프랑스어 marché aux puces|마르셰 오 퓌스프랑스어("벼룩이 있는 시장")의 번역차용이다.[12]
"차용어"는 독일어 명사 Lehnwort|렌보르트de의 번역차용이다. 반대로, "번역차용"이라는 용어는 프랑스어 명사 calque|칼크프랑스어("추적, 모방, 정밀 복사")에서 온 차용어이다.[13]
영어 단어 "마천루"는 "하늘" 또는 "구름"을 뜻하는 단어와 "긁다", "긁어내다", "꿰뚫다", "쓸다", "키스하다" 등의 다양한 단어를 사용하여 번역차용 할 수 있는 켄닝과 같은 용어이다.
일부 게르만어파와 슬라브어파는 라틴어 translātiōla 또는 trādūcōla에서 번역차용하여 "운반하다" 또는 "가져오다"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번역"에 대한 단어를 유래했다.[14]
라틴어 요일 이름은 고대 게르만어 사용자들에 의해 interpretatio germanicala로 알려진 관행에 따라 그들 자신의 신들과 관련되게 되었다. 라틴어 "수성의 날", Mercurii diesla(후에 현대 프랑스어에서 mercredi프랑스어)는 후기 원시 게르만어로 "Wōđanaz의 날"(''Wodanesdag'')로 차용되었고, 이는 고대 영어에서 Wōdnesdægang이 되었고, 현대 영어에서는 "Wednesday"가 되었다.[15]
일반적으로 차용어 형성 양상은 언어 내적인 요인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오히려 문화적·정치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3. 1. 합성어의 번역차용: 벼룩시장
'''벼룩시장'''은 어원으로 알려진 프랑스어 '''''marché aux puces''''' (영어 직역: "market with fleas")[1]의 번역차용 숙어이다. 다음은 다른 언어에서의 그같은 번역차용 사례이다.| 언어 | 사례 |
|---|---|
| 네덜란드어 | vlooienmarkt |
| 노르웨이어 | loppemarked |
| 덴마크어 | loppemarked |
| 독일어 | Flohmarkt |
| 러시아어 | блошиный рынок |
| 세르비아어 | buvlja pijaca |
| 스페인어 | mercado de pulgas |
| 영어 | flea market |
| 이탈리아어 | mercato delle pulci |
| 일본어 | 蚤の市 |
| 중국어 | 跳蚤市场 |
| 체코어 | bleší trh |
| 튀르키예어 | bit pazarı |
| 폴란드어 | pchli targ |
| 핀란드어 | kirpputori |
| 헝가리어 | bolhapiac |
| 히브리어 | שוק פשפשים |
3. 2. 유럽 언어의 번역차용
유럽의 언어에는 모두 라틴어를 어원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단어가 많다. 그러나 영어나 프랑스어 등에서는 라틴어와 어형이 비슷한 단어가 많은 반면, 독일어에서는 번역 차용을 많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Television"을 독일어로는 직역하여 "Fernsehen"이라고 한다. 이는 프랑스어가 속라틴어를 기원으로 하는 로망스어족에 속해 라틴어와 원래부터 친화성이 있는 것,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영어도 프랑스계의 노르만 왕조, 플랜태저넷 왕조의 지배로 프랑스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프랑스어계의 음역 차용어가 많은 것, 반면 영어와 같은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독일어는 17세기 이후 프랑스어(및 가톨릭)로부터의 문화적 자립을 의식하여 음역 차용을 최대한 피하려고 했기 때문이다.[12]3. 3. 불교 문화권의 번역차용
버마어, 태국어, 크메르어, 라오어는 상좌부 불교 수용과 함께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등 인도이란어족의 고전어에서 음역 차용된 어휘가 매우 많다. 근대 이후 유럽 여러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는 번역 차용에 의존하지만, 그 역시 팔리어에 의한 칼크(calque)가 대부분이다. 티베트어는 인도에서 대승불교를 도입하여 티베트 불교로 발전시켰지만, 번역 불경에는 고유어를 사용한 번역 차용이 많아 대조를 이룬다.몽골어는 티베트 불교 수용으로 티베트어에서 음역 차용을 했지만, 근대 이후의 차용어는 거의 칼크에 의한 것이다.
3. 4. 한자 문화권의 번역차용
한국어 외에도 한자 문화권 언어에서는 유럽 언어의 추상적인 개념이나 새로운 사물을 번역하여 차용한 한자어가 많이 보인다. 그중에는 한적 고전에 보이는 단어를 그대로 옮겨 새로운 뜻으로 사용한 것("자유", "문학"), 한적을 근거로 하면서도 글자를 조합하여 새로운 어형을 만든 것("경제", "격치"), 근거가 없는 글자 조합으로 새롭게 만든 것("전뇌", "철학") 등, 칼크(calque)가 아닌 독자적인 신조어가 많다. 차용 원어에 세 개 이상의 형태소가 있을 경우 두 글자로 된 한자어로 칼크하기 어려운 점과, 당시 지식인들이 한적을 통해 지식을 흡수했기 때문에 고상한 지식의 표현을 한역으로 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던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일본어에서도 언문일치체의 완성으로 실용적인 측면에서 한문의 지위가 낮아지고, 패전 후 영어 지식이 널리 보급되면서 음역 차용(소위 "가타카나어")이 증가하였다.
번역 차용에 의해 현대 중국어에 도입된 어휘는 다음과 같다(여기서는 편의상 일본 신자체로 표기): 熱線←hot line, 熱狗←hot dog, 黃頁←yellow pages, 二手←secondhand, 黑匣子←black box, 手冊←handbook, 水印←watermark, 微軟←Microsoft, 藍牙←Bluetooth, 西屋←Westinghouse.
번역 차용에 의해 일본어에 도입된 어휘는 다음과 같다: 脚注←footnote, 제왕절개←Kaiserschnitt(Kaiserschnitt|카이저슈니트de), 平方根←square root, 鍵盤←keyboard, 啞鈴(亜鈴)←dumbbell.
또한 일본어에는 한문 훈독 특유의 표현에 한자어에서 일본어(야마토고토바)로의 번역 차용이 많다. 예를 들어 "をもって"(以), "において"(於), "...するところの"(所), "これ"(是, 之, 惟) 등이 있으며, 현대에도 사용되는 것도 있다. 이는 훈독 자체가 한문 번역의 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참조
[1]
서적
Lexique-grammaire, domaine anglais
https://books.google[...]
Université de Saint-Etienne
[2]
서적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http://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3]
서적
The Influence of French on Eighteenth-century Literary Russian
[4]
웹사이트
Vocabulary § Foreign Words
http://www.bartleby.[...]
Bartelby.com
[5]
웹사이트
"It's OK by Me" as a Syntactic Calque
https://languagelore[...]
2013-01-25
[6]
서적
The Authorship of the Qur'ān
[7]
서적
An Ideal Specialised Lexicography for Learners in China based on English-Chinese Specialised Dictionaries
https://books.google[...]
de Gruyter
[8]
서적
The Oxford Guide to Etymology
[9]
사전
liverwurst
[10]
사전
apple strudel
[11]
웹사이트
ratón
https://www.rae.es/d[...]
Real Academia Española y Asociación de Academias de la Lengua Española
2024-05-30
[12]
웹사이트
flea market
https://www.bartleby[...]
[13]
웹사이트
Robb: German English Words
http://germanenglish[...]
2011-01-27
[14]
간행물
The Translator's Endless Toil
[15]
서적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D.S. Brewer
[16]
학술지
Expressions hybrides
https://archive.org/[...]
1894
[17]
학술지
Slav Linguistic Purity and the Use of Foreign Words
1926
[18]
웹사이트
flea market
http://www.bartleb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