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경》은 당나라의 은자 육우가 저술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차 관련 전문 서적으로, 차에 관한 가장 유명한 저서이다. 차나무의 재배, 제다, 다구, 차를 마시는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중국 차 문화를 발전시켰다. 3권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의 기원, 제조법, 효능, 차 관련 자료 등을 담고 있다. 《다경》은 차를 중국의 주요 음료로 자리 잡게 하고, 차 문화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 문화 - 버블티
    버블티는 1980년대 후반 대만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은 타피오카 펄이 들어간 차 음료로, 다양한 차 종류를 기반으로 우유, 과일 등 여러 토핑과 함께 제공되지만 높은 설탕 함량과 타피오카 펄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 차 문화 - 다과회
    다과회는 차, 커피, 음료, 간단한 음식 등을 나누며 친목을 도모하는 모임으로, 오랜 역사를 거쳐 각 문화권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현대에는 편안한 분위기를 추구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소통의 장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당나라 - 황소의 난
    황소의 난은 당나라 말기의 정치 부패, 가혹한 수탈, 자연재해로 삶이 피폐해진 백성들이 소금 밀매업자 왕선지와 황소를 중심으로 874년부터 884년까지 일으킨 대규모 농민 반란으로, 당나라 멸망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당나라 - 안사의 난
    안사의 난은 당나라 말기에 안록산이 일으킨 대규모 반란으로, 당나라의 쇠퇴를 가속화시켰으며,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다경
기본 정보
육우
당나라의 육우
저자육우
창작 시기8세기 (760년경)
언어한문
내용
주제
구성3권 10장
한국어 제목
한국어 제목다경
로마자 표기Da Gyeong
중국어 제목
간체茶经
병음Chájīng
일본어 제목
일본어 제목茶経 (ちゃきょう)

2. 지은이

육우당 현종 시기의 저명한 은자시문, 문학, 유교 경학, 인문지리인 지지(地志)뿐만 아니라 점복에도 밝았다. 생전에 이미 차에 대해 일가견을 이루었다는 평을 받으며 다선(茶仙)으로 불렸으며, 후대에는 다신(茶神)으로 추앙받았다.[6][7][8]

3. 배경

당나라 시기 를 마시는 관습이 크게 유행하였는데, 특히 불교 선종에서 차를 마시는 것을 수행의 도구이자 일상적인 의례로 삼으면서 유행을 주도하였다.[9][10][11][12][8] 과거제를 통해 선발된 관료들 또한 차를 유교적 교양의 하나로 여겨 차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았다. 잦은 금지령 또한 차 문화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9][10][11][12][8]

4. 집필

《다경》은 육우가 후저우에 은거하던 시기인 760년에서 780년 사이에 쓰였다. 초판은 760년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다경》에 덧붙인 육우의 자전에 글을 쓴 해를 상원 2년(761년)으로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역사학자 누노메 쵸후는 제8편까지는 초판 시기에 완성되었고 이후 764년 수정하면서 증보하였고, 773년 안진경의 제안으로 고대 중국의 백과사전인 유서 중 하나인 《운해경원》(韻海鏡源)의 편찬에 참여하면서 《다경》 역시 개정하기 시작하여 780년 무렵 완성하였다고 파악하고 있다.[13]

5. 판본

북송의 시인 진사도는 《다경》의 판본을 정리하여 서로 합쳐질 수 없는 4 종류의 것으로 구분하였다.[14]

남송 함순 9년(1273년) 좌규가 편찬한 총서 《백천학해》에 주석과 함께 수록된 《다경》이 표준 판본으로 인정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이 판본은 베이징의 중국국가도서관일본 궁내청 서릉부가 소장하고 있다. 1927년 (민국 16년) 우진구의 장서가 도상득(陶湘得)이 송대 《백천학해》의 영인본을 제작하면서 《다경》을 수록하였다.[15]

명나라 가정 21년(1542년) 육우의 고향인 경릉에서 《백천학해》에 실린 《다경》만을 따로 뽑아 출간하였다. 베이징의 중국국가도서관이 가정 22년 출간된 《다경》을 소장하고 있으며 이것이 《다경》만을 따로 출간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이다. 이후로도 이 판본을 바탕으로 몇 차례 《다경》이 출간되었다. 명대의 판본은 모두 목판 인쇄로 제작한 것이다. 《백천학해》 이외에도 원나라 말 도종의가 편집한 총서인 《설부》에도 《다경》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판본에는 송대의 주석들이 빠져있다.[13]

6. 내용

760년경에 저술된 《다경(茶經)》은 를 주제로 한 가장 오래된 책으로, 단순한 차 마시는 방법을 넘어 다도(茶道)에 이르는 정신성을 엿볼 수 있다. 여기서 다루는 차는 단차(團茶)이며, 현대 일본에서 음용되고 있는 센차(煎茶)나 말차(抹茶)는 아니다.

《다경》은 "삼권십장(三卷十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7000자의 당나라 문어로 쓰여졌다. 간결하고 세련되며 시적인 중국어 스타일로 차의 기원, 재배, 제조, 도구, 끓이는 법, 마시는 법, 역사, 산지, 그리고 차와 관련된 그림까지 차 문화 전반을 다룬다.[1]

다경의 구성
내용
권상(卷上)일지원(一之源)차나무식물학적 특징, 차의 모양과 명칭, 차나무의 생장 환경, 차의 품질과 선별 방법, 차의 효능
이지구(二之具)차를 채취하고 만드는 도구
삼지조(三之造)차를 채취하여 차를 만드는 방법, 차의 성품에 따른 품질 구분 방법
권중(卷中)사지기(四之器)차를 다리고 마시는 도구
권하(卷下)오지저(五之煮)차를 끓이는 과정과 기법
육지음(六之飲)차의 효능, 차를 마시는 전통적 방법, 차의 품질을 가르는 9가지 요소
칠지사(七之事)상고시대부터 당나라 시기까지의 차와 관련된 역사적 자료, 의학적 효능, 명사들의 일화
팔지출(八之出)당나라 시기 차의 주요 산지에 따른 명칭과 품질
구지략(九之略)산에서 야생 차나무를 보았을 때 간략히 차를 다리는 도구와 방법
십지도(十之圖)이 책에서 이르는 다예를 표현한 그림


6. 1. 권상(卷上)

은 3권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권상(卷上)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일지원(一之源): 차나무식물학적 특징, 차의 모양과 명칭, 차나무의 생장 환경, 차의 품질과 선별 방법, 차의 효능을 설명한다.
  • 이지구(二之具): 차를 채취하고 만드는 도구를 설명한다.
  • 삼지조(三之造): 차를 채취하여 차를 만드는 방법, 차의 성품에 따른 품질 구분 방법을 제시한다.

6. 1. 1. 일지원(一之源)

차나무식물학적 특징, 차의 모양과 명칭, 차나무의 생장 환경, 차의 품질과 선별 방법, 차의 효능을 설명한다.[6]

이 장에서는 중국에서 차의 신화적인 기원을 다룬다. 또한 차나무의 원예학적 설명과 적절한 재배 방법, 그리고 일부 어원학적 추측, 차나무의 특징과 특성을 포함한다. 품질 좋은 차 잎의 특징과 토양 및 지형과 차 품질의 비교, 좋은 차와 나쁜 차의 효능, 지리적 지역, 수확 시기 및 재배 방법과 차 품질의 관계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6. 1. 2. 이지구(二之具)

차를 채취하고 만드는 도구 15가지에 대해 설명한다.[1]

다경의 구성
내용
권상(卷上)이지구(二之具)차를 채취하고 만드는 도구

[1]

6. 1. 3. 삼지조(三之造)

차를 채취하여 만드는 방법과 차의 성품에 따른 품질 구분 방법을 제시한다.[1]

6. 2. 권중(卷中)

이 장에서는 를 다리고 마시는 데 사용되는 28가지 도구를 설명한다.[1]

  • 절구 (砧椎)
  • 화로 (風爐)
  • 숯바구니 (炭筥)
  • 숯망치 (炭檛)
  • 불집게 (火筴)
  • 가마솥 (鍑)
  • 가마솥 받침 (交床)
  • 차집게 (夾)
  • 종이주머니 (紙囊)
  • 맷돌 (碾)
  • 체 (羅合)
  • 차받침 (則)
  • 물병 (水方)
  • 물걸이주머니 (漉水囊)
  • 표주박 퍼는 도구 (瓢)
  • 대나무 집게 (竹夾)
  • 소금통 (鹺簋)
  • 끓인 물 그릇 (熟盂)
  • 찻잔 (碗)
  • 찻잔 바구니 (畚)
  • 솔 (劄)
  • 물동이 (滌方)
  • 찻잎 버리는 그릇 (滓方)
  • 차포 (巾)
  • 다구 상 (具列)
  • 다구 바구니 (都籃)

6. 2. 1. 사지기(四之器)

화로


이 장에서는 차를 끓이고 마시는 데 사용되는 28가지 물품을 설명한다.

  • 절구 (砧椎)
  • 화로 (風爐)
  • 숯바구니 (炭筥)
  • 숯망치 (炭檛)
  • 불집게 (火筴)
  • 가마솥 (鍑)
  • 가마솥 받침 (交床)
  • 차집게 (夾)
  • 종이주머니 (紙囊)
  • 맷돌 (碾)
  • 체 (羅合)
  • 차받침 (則)
  • 물병 (水方)
  • 물걸이주머니 (漉水囊)
  • 표주박 퍼는 도구 (瓢)
  • 대나무 집게 (竹夾)
  • 소금통 (鹺簋)
  • 끓인 물 그릇 (熟盂)
  • 찻잔 (碗)
  • 찻잔 바구니 (畚)
  • 솔 (劄)
  • 물동이 (滌方)
  • 찻잎 버리는 그릇 (滓方)
  • 차포 (巾)
  • 다구 상 (具列)
  • 다구 바구니 (都籃)

6. 3. 권하(卷下)

《다경》 권하(卷下)는 차를 끓이고, 마시는 방법, 차와 관련된 역사와 산지, 그리고 간략한 다법 등을 다루는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오지저(五之煮): 차를 끓이는 과정과 기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 육지음(六之飲): 차의 효능, 차를 마시는 전통적인 방법, 차의 품질을 가르는 9가지 요소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 칠지사(七之事): 상고시대부터 당나라 시기까지 차와 관련된 역사적 자료, 의학적 효능, 명사들의 일화를 간략하게 포함한다.
  • 팔지출(八之出): 당나라 시기 차의 주요 산지에 따른 명칭과 품질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 구지략(九之略): 산에서 야생 차나무를 보았을 때 간략히 차를 다리는 도구와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 십지도(十之圖): 이 책에서 이르는 다예를 표현한 그림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6. 3. 1. 오지저(五之煮)

차를 끓이는 과정과 기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1]

6. 3. 2. 육지음(六之飲)

차는 정신을 맑게 하고, 피로를 덜어주며,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이 있다.[1] 전통적으로 차를 마실 때는 차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고, 뜨거울 때 마셔야 한다.[1]

차의 품질은 다음 9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1]

  • 제조: 찻잎의 모양, 색깔, 향
  • 외형: 찻잎의 크기, 모양, 색깔
  • 색깔: 찻물의 색깔
  • 향기: 차의 향
  • 맛: 차의 맛
  • 탕색: 찻물의 맑고 탁함
  • 엽저: 찻잎 찌꺼기의 모양과 색깔
  • 보관: 차의 보관 상태
  • 물: 차를 끓이는 물의 종류

6. 3. 3. 칠지사(七之事)

《다경》 칠지사(七之事)는 상고시대부터 당나라 시기까지 차와 관련된 역사적 자료, 의학적 효능, 명사들의 일화를 소개한다.[1] 여기에는 신농부터 당나라까지 차와 관련된 전설, 인물, 민속, 차시(茶詩), 의서 기록, 약재로서의 차, 요리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된다.[1]

6. 3. 4. 팔지출(八之出)

당나라 시기 차의 주요 산지에 따른 명칭과 품질을 비교하고 순위를 매겼다.[1]

당시 중국의 차 생산 지역 8곳을 비교하여 의 산지 순위를 매겼다.[1]

6. 3. 5. 구지략(九之略)

이 장에서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재배 및 가공 과정에서 생략할 수 있는 절차와 그 상황, 제외할 수 있는 도구 및 방법, 그리고 다양한 야외 및 특이한 환경에서 간소화하거나 임시변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구 및 탕차법을 설명한다. 이 장은 산에서 야생 차나무를 보았을 때 간략히 차를 다리는 도구와 방법을 설명한다.

6. 3. 6. 십지도(十之圖)

十之圖|십지도중국어는 이 책에서 이르는 다예를 표현한 그림으로, 《다경》의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하여 벽에 걸어 두고 참고하도록 권장한다.[1]

7. 영향

茶經중국어은 중국의 차 마시는 문화를 더욱 촉진시켰고 물, 술과 함께 차를 중국의 3대 음료로 자리잡게 하였다. 茶經중국어은 차의 제조 방법을 공예 수준으로 끌어 올렸고 음용 방식 역시 정리하여 차 문화를 개혁하였다. 차 제조에는 찻잎에 미세하게 남아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인 증청법을 소개하였고 차를 마시는 방법으로는 전다법을 주장하여 끓기 전의 뜨거운 물에 말차를 넣어 다리는 방법을 소개하였다.[16][12][10]

당 현종자전 개원문자음의(開元文字音義)에 차를 수록하면서 기존에 나무 목(木) 변과 풀 초(艸) 두 가지가 혼용되어 오던 것을 茶經중국어의 용례에 맞추어 풀 초(艹)를 덧붙인 '茶'로 확정하였다.[9]

8. 평가

《다경》은 차에 대한 단순한 지식을 넘어, 차와 관련된 문화, 역사, 철학을 종합적으로 다룬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차의 정신성을 강조하며, 차를 단순한 음료가 아닌 수양과 교류의 매개체로 제시한 점은 현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1] 현대 사회에서 차는 건강 음료, 기호 식품, 문화 상품 등 다양한 형태로 소비되고 있다. 《다경》은 이러한 현대적 차 문화의 뿌리를 이해하고, 차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9. 육우를 기리는 시

당나라 시인 황보증(皇甫曾)은 〈차 따러 떠나는 육우를 배웅하며〉라는 시를 지어 육우의 고고한 삶과 차에 대한 애정을 기렸다.[4] 이 시는 육우가 차를 따는 모습과 자연 속에서 은거하는 삶을 묘사하며, 《다경》에 담긴 정신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천 개의 산이 떠나는 벗을 맞이하리라,

:봄 차가 다시 피어날 때.

:그 넓고 지혜로운 마음으로,

:고요히 차를 따는 모습—

:아침 안개 속에서

:혹은 붉은 저녁 구름 아래—

:그 고독한 여정이 부럽구나.

:우리는 외딴 산사에서 만나,

:맑은 조약돌 분수 곁에서 차를 즐기리라.

:그 고요한 밤,

:촛불만이 밝히는 곳에서,

:나는 대리석 종을 쳤네—

:그 종소리가 나를 데려가

:숨겨진 사람

:깊은 옛 시대의 생각 속으로.

참조

[1] 서적 The Classic of Tea Little, Brown and Co.
[2] 서적 The Classic of Tea Little, Brown and Co.
[3] 서적 Unknown
[4] 웹사이트 The Way of Tea https://books.google[...] Tuttle 2011-04-11
[5] 서적 중국차 이야기 살림출판사
[6] 서적 中国历代名家散文大系 隋唐五代卷 人民日报出版社
[7] 웹사이트 新唐书·列传第一百二十一·隐逸传 https://ctext.org/wi[...]
[8] 서적 贡赐之间 茶与唐代的政治 四川人民出版社
[9] 서적 茶经述评 中国农业出版社
[10] 서적 中国饮食史 卷3 杭州出版社
[11] 서적 中国茶文化 中国书店
[12] 서적 茶经译注 上海古籍出版社
[13] 서적 茶经校注 中国农业出版社
[14] 웹사이트 后山集·卷十一 https://ctext.org/wi[...]
[15] 저널 宋刻百川学海本《茶经》考论
[16] 웹사이트 松陵集·卷四·茶中雜詠序 https://ctext.org/w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