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예는 밭을 뜻하는 '園'과 심는다는 뜻의 '藝'의 합성어로, 식물을 재배하는 기술과 관련된 분야를 의미한다. 관상수, 과일, 채소, 꽃, 잔디, 견과류 등 다양한 식물의 재배를 포함하며, 식물 생산 및 번식, 조경, 화훼 원예 등 여러 분야로 나뉜다. 원예는 1만 년에서 2만 년 전 식물 재배의 시작과 함께 인류 역사와 깊이 연관되어 발전해 왔으며, 식량 수요 충족을 위한 상업적 원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원예는 식물 번식, 재배 환경 관리, 시설 원예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며, 지속 가능한 원예, 도시 농업, 생물 다양성 보존 등의 동향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예 - 코이어
    코이어는 코코넛 열매 껍질에서 추출한 섬유로, 밧줄을 뜻하는 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갈색과 흰색으로 나뉘고, 인도, 베트남, 스리랑카 등에서 주로 생산된다.
  • 원예 - 분재
    분재는 동아시아에서 시작된 수목 재배 및 조경 예술로, 작은 용기에 심은 나무를 통해 자연경관을 축소하여 표현하며, 일본에서 미니멀리즘 스타일로 발전했고 현재는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원예
기본 정보
정의식물을 재배하는 기술과 예술
관련 분야식물학
농업
원예학
생태학
조경학
역사
기원신석기 시대의 식물 재배
발전고대 이집트의 정원 가꾸기
고대 로마의 원예 기술 발전
중세 수도원의 약초 재배
현대 원예18세기 과학적 접근
19세기 온실 발달
20세기 기술 발전
원예의 분야
과수 원예과일 나무 재배
과일 생산
채소 원예채소 재배
식용 작물 생산
화훼 원예꽃 재배
관상용 식물 재배
조경 원예정원 조성
공원 및 녹지 조성
원예의 중요성
경제적 측면식량 생산
일자리 창출
지역 경제 활성화
환경적 측면공기 정화
도시 열섬 완화
생물 다양성 증진
사회적 측면여가 활동
교육 효과
공동체 형성
원예 관련 기술
식물 번식씨앗 파종
삽목
접목
조직 배양
토양 관리토양 개량
비료 시비
관수
병충해 관리친환경적 방제
화학적 방제
재배 시설온실
비닐 하우스
스마트팜
참고 문헌
참고 도서로라 W. 라이스, "Practical Horticulture; A Guide to Growing Indoor and Outdoor Plants"
참고 웹사이트내셔널 지오그래픽 - 가축화
홋카이도 대학 농학부 채소 원예학 자료
참고 논문森 和男 "일본원예경영론(학) 체계화의 의의와 실마리에 대해"
古在 豊樹 "「농」과 「시민」을 기반으로 한 문화·학술"

2. 원예의 정의와 범위

원예는 식물을 재배하는 목적이 다양하여 여러 분야로 나뉜다. 원예사는 식물 재배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실천하는 사람으로, 정원사, 재배자, 농부, 수목 관리사, 화훼 원예사, 조경사, 농업 기술자, 디자이너, 조경 건축가, 잔디 관리 전문가, 묘포장 관리자, 식물원 큐레이터, 원예 치료사 등 다양한 직함을 갖는다.[6] 이들은 식물원, 사유/공공 정원, 공원, 묘지, 온실, 골프장, 포도원, 부동산, 조경 회사, 묘포장, 교육 기관 등 다양한 곳에 고용되거나 자영업을 할 수 있다.

2. 1. 원예의 어원

'원예'(園藝)는 옛 한자로는 '園藝'라고 쓰며, '園'은 을, '藝'는 '심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38] 이 단어가 영어 horticulture의 번역어로 처음 사용된 것은 1867년에 중국에서 출판된 '영화사전II'로 여겨진다.[40]

영어 horticulture는 'hortus'(앵글로색슨어 유래)와 'colere'(culture와 동의어)라는 두 라틴어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둘러싸인 땅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의미한다.[40] 유럽에서는 일상적인 식용 작물은 밭에서 재배되었고, horticulture에는 특히 정성을 들여 귀중한 작물을 집약적으로 재배하는 의미가 있었다.[40]

'원예'라는 단어는 일본에서 메이지 시대 이후에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 단어가 정착되기 전에는 원예 관련 분야를 '종예'나 '수예'라고 불렀다.[41] 일본에서는 1870년(메이지 3년)에 민부성 권농국에 '종예과', 1874년(메이지 7년) 이후에는 내무성 권업료 농무과에 '수예걸'이 설치되었다.[41] 빈 세계 박람회(오스트리아 박람회)에 참여한 쓰다 센의 보고서(1897년)에는 '농업 및 원예 심사관'으로 파견되어 '원예 재배의 일'을 배웠다는 기록이 있다.[41] 다만, 메이지 40년경부터 다이쇼 시대 무렵까지 '원예'의 의미는 변동이 있어, 정원을 만드는 기술(조원)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었다.[41]

2. 2. 원예의 분야

원예는 식물을 재배하는 목적에 따라 여러 분야로 나뉜다. 주요 분야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는 관상수, 관목, 식물, 과일, 채소, , 잔디, 견과류, 종자, 허브 및 기타 약용/식용 식물을 포함한 모든 식물의 재배가 포함된다. 이러한 재배는 정원, 묘포장, 온실, 포도원, 과수원, 공원, 휴양 시설 등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네덜란드 브레다의 시장에서 판매되는 꽃 모종


원예를 통해 재배되는 작물을 원예작물이라고 하며, 과수, 채소, 화훼, 관상수목이 있다.[37]

  • 과수: 일반적으로 과실의 구조에 따라 인과류, 핵과류, 장과류, 준인과류, 견과류 등으로 분류된다.[37]
  • 채소: 일반적으로 식용 부위에 따라 과채류, 엽(경)채류, 근채류 등으로 분류된다.[37]
  • 화훼: 일년생, 이년생, 다년생, 구근, 화목 등으로 분류된다.[37] 절화용(화훼, 관엽), 분화용(화훼, 관엽), 구근·종묘용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37]


원예작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37]

; 재배 기간

: 원예작물은 다년생 재배형과 1년생 재배형이 있다. 다년생 재배형은 목본성과 다년생으로 나뉘고, 목본성 작물은 교목성, 관목성, 덩굴성으로 나뉜다.[37] 채소와 화훼는 대부분 1년생 재배형이다.[37] 목본성 과수나 정원수는 육성 기간이 필요하며, 원예 경영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자본 투입이 많은 것일수록 생산의 고정성이 강하다.[37]

; 생산 목적

: 화훼는 개화 단계에서, 과채류는 대부분 미숙과 단계에서, 과실은 거의 성숙과로서 수확되어 상품화된다는 차이가 있다.[37] 반면 엽경채류와 근경채류는 종류, 품종, 재배 방법에 다양성이 있으며, 생육 기간과 수확기의 선택에 폭이 넓기 때문에 단기 작물화하기 쉽다.[37]

; 저장성, 가공성

: 과수, 채소, 화훼는 일반 농작물에 비해 일반적으로 저장성과 가공성이 부족하다.[37] 하지만 과수는 다년생 작물이며, 과실은 채소나 화훼에 비해 저장성이 있다.[37] 반면 채소와 화훼는 저장성이 부족한 일년생 작물인 경우가 많으며, 온실, 냉실, 하우스 재배, 터널 재배, 노지 재배 등으로 생산 기간의 계절적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설 원예라는 특수한 경영 형태가 나타난다.[37]

3. 원예의 역사

원예는 1만 년에서 2만 년 전 식물의 재배가 시작되면서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로 인류 역사와 깊이 얽혀 있다.[2][7] 식물 재배는 전 세계 여러 문명에서 독립적으로 일어났다. 원예의 역사는 농업의 역사와 식물학의 역사와 겹치는데, 이 세 가지 모두 식량을 위한 다양한 식물 재배에서 유래했다.[7] 유럽에서는 중세 어느 시점에 농업과 원예가 분리되었다.[8]

식물은 약효와 영양가 외에도 아름다움 때문에 재배되었고, 재배된 식물을 통제하는 사람들의 권력, 지식, 지위, 부를 과시하는 데 사용되었다. 식물이 지닌 이러한 상징적 힘은 식물 재배가 시작되기 이전부터 존재했다.[13]

아즈텍족이 관리했던 여러 정원은 종교적 가치를 지닌 식물을 재배했기 때문에 신성시되었다는 증거가 있다. 식물은 신과 여신과의 비유적 관계 때문에 재배되었다.[8] 꽃은 신에게 바치거나 지도자들에게 그들의 신과의 연결을 보여주는 의식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종교 의식에서 상징적 힘을 지녔다.[8]

3. 1. 고대와 중세

원예는 1만 년에서 2만 년 전 식물의 재배가 시작되면서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로 인류 역사와 깊이 얽혀 있다.[2][7] 식물의 재배는 전 세계 여러 문명에서 독립적으로 일어났다. 원예의 역사는 농업의 역사와 식물학의 역사와 겹치는데, 세 가지 모두 식량을 위한 다양한 식물의 재배에서 유래했다.[7] 유럽에서는 중세 어느 시점에 농업과 원예가 갈라졌다.[8]

초기 원예 관행에는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사람들이 토지를 관리했던 여러 가지 방법들이 포함되며, 다양한 재배 방법과 여러 용도로 재배되는 식물의 종류가 포함된다. 재배 방법, 도구 및 재배 식물은 항상 문화와 기후에 따라 달라졌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적인 원예 관행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예를 들어, 식민지 이전 북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은 식물성 폐기물을 훈증하여 바이오차(biochar)를 만들어 토양 생산성을 높였다.[9] 유럽 정착민들은 이 토양을 테라 프레타 데 인디오(Terra Preta de Indio)라고 불렀다.[10] 북아메리카에서 원주민들은 옥수수, 스쿼시, 해바라기를 비롯한 여러 작물을 재배했다. 중앙아메리카 문화권에서는 주거지 주변이나 이동 중에 때때로 방문하는 특수한 구획에서 밀파(milpa) 또는 옥수수밭과 같은 소규모 작물 재배에 중점을 두었다.[11] 중앙아메리카에서는 마야 사람들이 파파야, 아보카도, 카카오(Theobroma cacao), 세이바, 사포딜라와 같은 유용한 나무를 이용하여 숲을 증진시켰다. 밭에서는 콩, 스쿼시, 호박, 고추와 같은 여러 가지 작물을 재배했다. 많은 문화권에서 최초의 원예가들은 주로 또는 전적으로 여성이었다.[12]

식물이 지닌 약효와 영양가 외에도, 식물은 그 아름다움 때문에 재배되었고, 재배된 식물의 통제권을 가진 사람들의 권력, 지식, 지위, 심지어 부까지 과시하고 드러내는 데 사용되었다. 식물이 지닌 이러한 상징적 힘은 식물 재배가 시작되기 이전부터 존재했다.[13]

아즈텍족이 관리했던 여러 정원은 종교적 가치를 지닌 식물을 재배했기 때문에 신성시되었다는 증거가 있다. 식물은 신과 여신과의 비유적 관계 때문에 재배되었다.[8] 꽃은 신에게 바쳐지거나 지도자들에게 그들의 신과의 연결을 보여주는 의식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종교 의식에서 상징적 힘을 지녔다.[8]

관상용으로 꽃 등을 기르는 행위의 기원은 오래되었다. 고대 이집트 중왕국 시대 테베유적에서는 약 4000년 전의 화단으로 추정되는 유구가 발견되었다.[44]

일본에서 원예식물이 재배되기 시작한 시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헤이안 시대의 「와명류주초」에는 작약(모란), 「枕草子」에는 석죽(64단)과 작약(143단)이 기재되어 있어, 헤이안 시대 중기에는 중국 원산의 원예식물이 귀족 계급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45]

3. 2. 한국의 원예 역사

한국에서 원예식물이 재배되기 시작한 시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헤이안 시대의 「와명류주초」에는 작약이, 「枕草子」에는 석죽(64단)과 작약(143단)이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헤이안 시대 중기에 중국 원산의 원예식물이 귀족 계급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되었음을 알 수 있다.[45]

고전원예식물은 일본과 중국에서 예로부터 재배되어 온 원예식물을 말한다. 당나라 시대에는 이미 작약 육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송나라 시대에는 난초가 유행하였다. 일본에서는 특히 에도 시대에 원예 문화가 크게 발전하였다. 세계적으로 보더라도 높은 수준의 육종이 이루어져, 진달래, 단풍나무, 벚꽃, 꽃창포 등 현재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식물이 많다. 또한 마쓰바란 등 일본 고유의 미의식이 반영된 식물들도 많아 세계 원예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3. 3. 일본의 원예 역사

헤이안 시대의 「와명류주초」에는 작약이, 「枕草子」에는 석죽(64단)과 작약(143단)이 기록되어 있어, 헤이안 시대 중기에는 중국 원산의 원예식물이 귀족 계급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45]

「원예」라는 단어는 메이지 시대 이후에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 단어가 정착되기 전에는 원예 관련 분야는 「종예」나 「수예」라고 불렸다.[41] 일본에서는 1870년(메이지 3년)에 민부성 권농국에 「종예과」, 1874년(메이지 7년) 이후에는 내무성 권업료 농무과에 「수예걸」이 설치되었다.[41] 빈 세계 박람회(오스트리아 박람회)의 쓰다 센의 보고서(1897년)에는 「농업 및 원예 심사관」으로 파견되어 「원예 재배의 일」을 배웠다는 기록이 있다.[41] 다만, 메이지 40년경부터 다이쇼 시대 무렵까지 「원예」의 의미에는 변동이 있어, 정원을 만드는 기술(조원)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었다.[41]

4. 원예작물의 특성

원예를 통해 재배되는 작물을 원예작물이라고 하며, 과수, 채소, 화훼, 관상수목이 있다.[37]


  • 과수: 일반적으로 과실의 구조에 따라 인과류, 핵과류, 장과류, 준인과류, 견과류 등으로 분류된다.[37]
  • 채소: 일반적으로 식용 부위에 따라 과채류, 엽(경)채류, 근채류 등으로 분류된다.[37]
  • 화훼: 일년생, 이년생, 다년생, 구근, 화목 등으로 분류된다.[37] 절화용(화물, 관엽), 분화용(화물, 관엽), 구근·종묘용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37]


원예작물에는 다음과 같은 특이성과 유사성이 있다.[37]

; 재배 기간

: 원예작물의 재배 기간에는 다년생 재배형과 1년생 재배형이 있으며, 다년생 재배형은 목본성과 다년생으로 나뉘고, 목본성 작물은 교목성, 관목성, 덩굴성으로 나뉜다.[37] 채소와 화훼의 대부분은 일반 농작물과 마찬가지로 1년생 재배형이다.[37] 목본성 과수나 정원수 등은 육성 기간이 필요하며, 원예 경영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자본 투입이 많은 것일수록 생산의 고정성이 강하다.[37]

; 생산 목적

: 원예 경영에서 화훼는 개화 단계에서, 과채류는 대부분 미숙과 단계에서, 과실은 거의 성숙과로서 수확되어 상품화되므로 차이가 있다.[37] 반면, 엽경채류와 근경채류는 종류, 품종, 재배 방법에 다양성이 있으며, 생육 기간과 수확기의 선택에 폭이 넓기 때문에 단기 작물화하기 쉽다.[37]

; 저장성, 가공성

: 과수, 채소, 화훼는 일반 농작물에 비해 일반적으로 저장성과 가공성이 부족하다.[37] 하지만 과수는 다년생 작물이며, 과실은 채소나 화훼에 비해 저장성이 있다.[37] 반면, 채소와 화훼는 저장성이 부족한 일년생 작물인 경우가 많으며, 온실, 냉실, 하우스 재배, 터널 재배, 노지 재배 등으로 생산 기간의 계절적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설 원예라는 특수한 경영 형태가 나타난다.[37]

원예작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심미적 요소를 지닌 보건적·기호적 생산물을 생산하는 작물이다.[37]
  • 과실, 채소, 화훼는 신선도가 요구되며, 화훼는 심미적 요소가, 채소와 과실은 식미와 영양가가 중요한 상품적 요소가 된다.[37]
  • 다양한 종류, 품종, 계통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일반 농작물보다 재배 환경의 영향을 받기 쉽다.[37]
  • 일반 농작물에 비해 생산 기간과 생산 목적이 다른 다품종·다계통을 포함하며, 자연환경과 재배 조건의 좋고 나쁨의 영향을 받기 쉽다.[37]
  • 노동 집약적, 자본 집약적이다.[37]
  • 적합한 자연 조건과 가격 형성력 등 생산 입지 조건에 크게 좌우된다.[37]
  • 기술 수준에 따른 수익 격차가 크다.[37]
  • 자연환경과 재배환경의 영향을 받기 쉽고, 일반적으로 저장성도 부족한 계절 상품이기 때문에 가격의 불안정성이 비교적 현저하다.[37]
  • 종묘 생산 과정(종묘 생산 부문)이 독립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37]

5. 원예 기술

원예 기술에는 식물 번식, 재배 환경 관리, 시설 원예 등이 있다.

식물 번식은 의 개체 수를 늘리는 과정으로, 유성 번식과 무성 번식 방법이 있다.[14] 유성 번식은 종자를 사용하고, 무성 번식은 꺾꽂이, 휘묻이, 접붙이기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15]

식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에는 온도, 빛, 물, pH, 영양소, 기상 현상, 습도, 고도, 지형 등이 있다.[1] 원예에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조절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핫 캡이나 터널을 이용하여 온도를 조절하고, 멀칭으로 겨울철 식물을 보호하며, 실내에서는 형광등을 통해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17] 물 관리는 관개/배수 시스템을 이용하며, 토양 관리는 비료 사용, 윤작 등을 포함한다.[17]

시설 원예는 날씨, 빛, 온도와 같은 환경 요인을 온실, 비닐하우스 등에서 조절하는 기술이다.[17] 냉상자는 재배 시기를 앞당기는 데 사용되며, 온실은 규모가 더 크고 외부 에너지원으로 가열된다.[17] 시설원예는 넓게는 피복물로 경작지를 덮어 노지 재배가 불가능한 시기에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의미하며, 좁게는 온실이나 하우스 내 재배를 말한다.[42]

5. 1. 식물 번식

원예에서 식물 번식은 의 개체 수를 늘리는 과정이다. 번식에는 유성 번식과 무성 번식 방법이 모두 포함된다.[14] 유성 번식에서는 종자를 사용하는 반면, 무성 번식에는 꺾꽂이, 휘묻이, 접붙이기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식물의 분주, 괴경, 구경, 구근의 분리 등이 포함된다.[15]

5. 2. 재배 환경 관리

식물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에는 온도, 빛, 물, pH, 영양소 가용성, 기상 현상(비, 눈, 진눈깨비, 우박, 동결비, 이슬, 바람, 서리), 습도, 고도, 지형 및 미기후 효과가 포함된다.[1] 원예에서는 실내 재배 환경에서 이러한 환경 변수를 회피하거나, 조절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

식물은 제대로 자라고 성장하기 위해 특정 온도를 필요로 한다. 온도 조절은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핫 캡이나 터널이라고 불리는 원뿔 모양의 플라스틱으로 식물을 덮는 것은 주변 온도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멀칭 또한 겨울철 야외 식물을 서리로부터 보호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실내에서는 바람 발생기, 히터, 스프링클러를 사용하는 등 다른 서리 방지 방법이 있다.[17]

식물은 서로 다른 양의 빛과 일장(낮의 길이)을 필요하도록 진화했으며, 그 성장과 발달은 받는 빛의 양/광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실내 환경에서 형광등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빛의 양을 조절하면 개화도 조절된다. 일장을 연장하면 장일 식물의 개화를 촉진하고 단일 식물의 개화를 억제한다.[17]

물 관리 방법에는 관개/배수 시스템을 이용하고, 식물 종의 필요에 맞게 토양 수분을 조절하는 것이 포함된다. 관개 방법에는 표면 관개, 스프링클러 관개, 지하 관개 및 점적 관개가 있다. 생장 환경을 최적화하기 위해 물의 양, 압력 및 빈도를 변경한다. 소규모 재배에서는 수동으로 물을 줄 수 있다.[17]

재배 배지와 배지 구성 요소의 선택은 식물 생장을 돕는다. 온실 환경에서는 재배자가 토양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식물을 재배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온실 환경에서 재배자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토양의 실제 구성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무토양 혼합물을 자주 선택한다. 이러한 혼합물은 흡수성, 살균성과 같은 장점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업계에서 매우 쉽게 구할 수 있다.

토양 관리 방법은 광범위하지만 비료 사용, 단일 경작에서 볼 수 있는 토양의 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계획된 윤작, 비료 사용 및 토양 분석을 포함한다.[17]

5. 3. 시설 원예

재배 배지와 배지 구성 요소의 선택은 식물 생장을 돕는다. 온실 환경에서는 재배자가 토양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온실 환경에서 재배자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토양의 실제 구성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무토양 혼합물을 자주 선택한다. 이러한 혼합물은 흡수성, 살균성과 같은 장점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업계에서 매우 쉽게 구할 수 있다.

날씨, 빛, 온도와 같은 비생물적 요인은 온실, 온실(conservatory), 비닐하우스 및 차광하우스와 같은 밀폐된 환경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시설의 건설에 사용되는 자재는 기후, 목적 및 예산에 따라 선택된다.

냉상자(cold frame)는 밀폐된 환경을 제공하며, 지면 가까이에 건설되고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상단 부분을 가지고 있다. 유리 또는 플라스틱은 낮 동안 햇빛이 구조물 안으로 들어오게 하고, 밤에 장파 복사열로 손실되었을 열 손실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재배 시기가 시작되기 전에 식물 재배를 시작할 수 있다. 온실은 기능이 유사하지만 규모가 더 크고 외부 에너지원으로 가열된다. 유리로 지어질 수 있지만 현재는 주로 플라스틱 시트로 만들어진다. 더 비싸고 현대적인 온실에는 차광 및 조명 제어 또는 에어컨을 통한 온도 제어뿐만 아니라 자동 관수 시스템이 포함될 수 있다. 차광하우스는 증산을 통한 수분 손실을 제한하기 위해 차광을 제공한다.[17]

시설원예는 넓은 의미로는 유리나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피복물로 경작지를 덮어, 일반 노지 재배에서는 불가능한 시기에 원예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말한다.[42]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유리온실이나 플라스틱하우스 내에서 재배하는 것을 말한다.[42] 통계 등에서는 “사람이 보통 자세로 시설 내에서 작업할 수 있는 것으로, 비닐하우스, 온실, 유리온실 등을 말하며 터널재배 등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43]

6. 현대 원예의 동향과 과제

산업적 측면에서 원예는 생산원예라고 하며,[38] 원예작물 생산 중심의 경영은 원예경영이라고 한다.[37] 축산경영만큼 집약적이지는 않지만, 벼농사 경영 등 일반 농작물 경영보다는 노동과 자본 모두 더 집약적인 것으로 여겨진다.[37]

6. 1. 지속 가능한 원예

급증하는 인구의 식량 수요를 충족하려면 상업적 원예가 필수적이다.[18] 지구 온난화는 극심한 기온 변화, 강한 강수 현상, 잦은 홍수, 가뭄의 지속 기간 및 빈도 증가를 야기한다. 염분, 중금속 독성, 자외선 손상, 대기 오염과 같은 비생물적 스트레스 요인들은 작물 생산에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을 조성한다. 이는 증산량 증가, 토양 영양소 고갈, 산소 수준 감소를 유발하여 최대 70%의 작물 수확량 감소를 초래한다.

6. 2. 생물 다양성 보존

세균, 바이러스, 균류, 기생충, 곤충, 잡초 및 토착 식물과 같은 생물체는 생물적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며, 기주(숙주)로부터 영양분을 빼앗을 수 있다.[19] 식물은 형태적 및 구조적 장벽, 화학 물질, 단백질, 효소 및 호르몬과 같은 방어 기작을 사용하여 이러한 스트레스에 반응한다.[20] 생물적 스트레스의 영향은 경운(耕耘), 살포 또는 종합병해충관리(IPM)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예방할 수 있다.[21]

6. 3. 신기술 개발

클러스터드 규칙적으로 간격을 둔 짧은 회문 반복 서열(CRISPR/Cas9)은 최근 종의 게놈을 변형하는 매우 효율적이고 단순하며 정확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24] 2013년 이후로 CRISPR은 다양한 종류의 곡물, 과일 및 채소를 개량하는 데 사용되었다. 작물은 기생충, 질병 및 가뭄과 같은 생물적 및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수확량, 영양가 및 풍미를 향상시키도록 변형된다.[25] 또한 CRISPR은 감자의 갈변 및 독성 및 쓴맛 물질 생성 감소와 같이 바람직하지 않은 형질을 편집하는 데 사용되었다. CRISPR은 온실에서 흔히 발생하는 낮은 수분 매개율 및 낮은 과일 수확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유전자 변형 생물체(GMO)와 비교하여 CRISPR은 식물의 유전자에 어떠한 외래 DNA도 추가하지 않는다.[26]

7. 한국 원예 산업의 현황과 전망

산업적 측면에서 원예는 생산원예라고 한다.[38] 원예작물 생산을 중심으로 하는 경영은 원예경영이라고 한다.[37] 10a당 농업 고정자본액, 농업경영비, 농업노동시간, 농업조수익을 비교하면, 축산경영만큼 집약적이지는 않지만, 벼농사 경영 등 일반 농작물 경영보다는 노동과 자본 모두 더 집약적인 것으로 여겨진다.[37]

8. 원예 관련 단체

국제원예학회[27]와 미국원예학회[28]는 전 세계적으로 원예 과학의 연구와 교육을 장려하는 대표적인 단체이다.

영국에는 1768년에 설립되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원예 학회인 요크 고대 화훼협회(Ancient Society of York Florists)[29]와 1804년에 설립된 왕립원예협회(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30]가 있다. 요크 고대 화훼협회는 매년 영국 요크에서 네 번의 원예 박람회를 개최하고, 왕립원예협회는 영국의 자선 단체로 원예 과학, 예술 및 실무의 장려와 개선을 주도하며 지역 사회, 교육 프로그램, 정원과 전시회를 통해 원예 지식을 공유한다.

https://www.horticulture.org.uk/ Chartered Institute of Horticulture(CIH)는 영국, 아일랜드 및 해외의 모든 원예 산업 부문을 대표하는 원예사 및 원예 과학자를 위한 공인 전문 기관으로, 최고의 전문가들이 공인 자격을 취득하고 공인 원예사가 될 수 있는 유일한 원예 전문 기관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예 연구소(Australian Institute of Horticulture)와 오스트레일리아 원예 과학회(Australian Society of Horticultural Science)는 1990년에 설립된 전문 학회로, 오스트레일리아 원예 과학 및 산업의 발전을 촉진한다.[31] 뉴질랜드 원예 연구소(New Zealand Horticulture Institute)도 유명한 원예 단체이다.[32]

인도에서는 1941년 펀자브주 라이알푸르(현재 파키스탄)에 설립된 인도 원예 학회(현 인도 원예 과학 아카데미)가 가장 오래되었으며, 1949년에 델리로 이전되었다.[33] 2005년부터 운영 중인 원예 진흥 학회는 벵갈루루에 본부를 두고 있다.[34] 두 학회는 모두 원예 과학 발전을 위해 학술지인 인도 원예 저널(Indian Journal of Horticulture)과 원예 과학 저널(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s)을 발행한다. 인도 케랄라주에서는 케랄라주 원예 사업단(Kerala State Horticulture Mission)이 원예를 주도하고 있다.

전국 청소년 원예 협회(National Junior Horticultural Association, NJHA)는 1934년에 설립되었으며, 청소년과 원예에만 전념하는 세계 최초의 단체였다.[35]

글로벌 원예 이니셔티브(Global Horticulture Initiative, GlobalHort)는 원예 분야의 파트너십과 공동 행동을 촉진하며, 개발을 위한 원예(H4D)에 특히 중점을 두고 전 세계적으로 빈곤을 줄이고 영양 개선을 하는 것을 포함한다. GlobalHort는 벨기에에 등록된 비영리 단체이다.[36]

참조

[1] 서적 Practical Horticulture; A Guide to Growing Indoor and Outdoor Plants Reston
[2] 웹사이트 Domestication https://education.na[...] 2023-04-03
[3] 서적 The biology of horticulture: an introductory textbook John Wiley & Sons
[4] 서적 Introduction to Horticultural Science Cengage Learning
[5] 웹사이트 Why Horticulture? https://horticulture[...] University of Minnesota 2019-05-02
[6] 웹사이트 22 Jobs in Horticulture (With Salaries and Primary Duties) https://www.indeed.c[...] 2024-02-14
[7] 서적 Sunday Best Yale University Press 2022-11-15
[8] 간행물 THE DEVELOPMENT AND HISTORY OF HORTICULTURE. https://www.eolss.ne[...] Encyclopedia of Life Support Systems (EOLSS)
[9] 논문 Molecular signature and sources of biochemical recalcitrance of organic carbone in Amazonian Dark Earths
[10] 논문 Ameliorating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highly weathered soils in the tropics with charcoal – a review
[11] 서적 The Ancient Sun Kingdoms Of The Americas The World Publishing Company
[12] 논문 Women, Horticulture, and Society in Tropical America
[13] 서적 The Botany of Desire Random House 2001
[14] 서적 Introduction to Horticultural Scienc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4-02-14
[15] 서적 Basics Of Horticulture https://books.google[...] New India Publishing 2009-02-05
[16] 웹사이트 Horticultural Practices https://www.saanich.[...] 2022-12-06
[17] 웹사이트 Horticulture Definition, Types, Techniques, & Use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2-07
[18] 서적 Stress tolerance in horticultural crops: challenges and mitigation strategies Woodhead Publishing 2021
[19] 서적 Encyclopedia of food grains Elsevier 2016
[20] 서적 Postharvest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fruits and vegetables Elsevier 2019
[21] 서적 Intelligent data mining and fusion systems in agriculture Elsevier 2020
[22] 논문 Harvest and Postharvest Factors Affecting Bruise Damage of Fresh Fruits https://www.scienced[...] 2020-01-01
[23] 서적 Postharvest technology of perishable horticultural commodities Elsevier 2019
[24] 논문 CRISPR/Cas9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in horticultural crops 2022-07-01
[25] 논문 CRISPR/Cas9-Mediated Gene Editing Revolutionizes the Improvement of Horticulture Food Crops https://pubs.acs.org[...] 2021-11-17
[26] 웹사이트 Gene-editing primer: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CRISPR crops and GMOs? https://geneticliter[...] 2023-11-30
[27] 웹사이트 ISHS http://ishs.org/abou[...]
[28] 웹사이트 ASHS http://www.ashs.org/ ashs.org 2016-06-11
[29] 웹사이트 Ancient society of York Florists,oldest horticultural society in world,longest running horticultural show in world established 1768, flower shows in york yorkshire uk,horticultural shows in york yorkshire uk, vegetable shows in york yorkshire uk, fruit shows in york yorkshire uk, floral art shows in york yorkshire uk,handicrafts and baking shows in york uk,dahlia shows in york yorkshire uk,gladioli shows in york yorkshire uk,chrysanthemum shows in york yorkshire uk, auricula shows in york yorkshire uk, sweet pea shows in york yorkshire uk http://www.ancientso[...] 2016-07-13
[30] 웹사이트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UK charity focussed on the art, science and practice of horticulture. https://www.rhs.org.[...] 2018-01-13
[31] 웹사이트 Australian Society of Horticultural Science – Australian Society of Horticultural Science http://aushs.org.au/ 2016-06-11
[32] 웹사이트 RNZIH – Royal New Zealand Institute of Horticulture – Home Page http://www.rnzih.org[...] 2012-10-26
[33] 웹사이트 Headquarters https://www.iahs.org[...] 2021-08-19
[34] 웹사이트 SPH https://sph.iihr.res[...] 2021-08-19
[35] 웹사이트 Home – NJHA http://www.njha.org/ 2016-06-11
[36] 웹사이트 The Global Horticulture Initiative http://www.globalhor[...] 2016-06-11
[37] 논문 日本園芸経営論(学)体系化の意義と手がかりについて https://agriknowledg[...] 富民協会 1980
[38] 웹사이트 蔬菜園芸学 http://lab.agr.hokud[...] 2023-04-10
[39] 논문 「農」と「市民」を基盤とした文化・学術 https://doi.org/10.2[...] 文化看護学会 2009
[40] 웹사이트 5.園芸作物の特徴 https://ocw.kyoto-u.[...] 2023-04-10
[41] 논문 近代における園芸領域への団らんの浸透―女学雑誌と園芸書の分析から― https://dl.ndl.go.jp[...] 日本家政学会 2008
[42] 논문 施設園芸の現状と今後の課題 https://doi.org/10.1[...] 農業施設学会 1971
[43] 웹사이트 6.施設園芸 https://www.city.hir[...] 2023-04-10
[44] 뉴스 エジプト 「ガーデニング」跡か 4000年前の花壇 https://mainichi.jp/[...] 毎日新聞インターネット版 2017-05-05
[45] 웹사이트 「くらしの中に息づく植物—園芸植物の歴史—」 https://www.rekihaku[...] 2023-04-10
[46] 논문 特集・イングリッシュガーデンから『ジャパニーズガーデン』へ ガーデニングブームの実態と背景―雑誌、出版物を通して見たガーデニングブーム― https://doi.org/10.5[...] 日本造園学会 2001
[47] 논문 ガーデニングと明治期の家庭園芸 http://id.nii.ac.jp/[...] 恵泉女学園大学園芸文化研究所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