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반야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반야경은 대승 불교 경전 중 하나로, 반야부 경전 중 후대에 성립되었다. 산스크리트어로 기록된 원형은 150년경에 성립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645년 현장이 번역을 시작하여 663년에 완료한 한역본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300여 자로 요약된 반야심경과의 관계에 대한 설도 존재한다. 대반야경은 18,000송, 25,000송, 100,000송 등 다양한 크기의 판본으로 존재하며, 내용 구성과 번역본에 따라 여러 갈래로 나뉜다. 고려 시대에는 국가의 보호와 복을 기원하기 위해 널리 독송되었으며, 용수존자는 대반야경을 주석하여 대지도론을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승경전 - 보살영락본업경
    보살영락본업경은 대승불교의 계율서로, 10신과 삼취정계를 설명하며, 섭선법계는 8만 4천 법문, 섭율의계는 사무량심을 포함하고, 원효가 보살영락본업경소를 저술했다.
  • 대승경전 -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은 금강과 같은 지혜로 번뇌를 끊고 피안에 이르는 가르침을 담은 반야경전으로, 석가모니가 수보리와의 문답을 통해 공 사상과 무아의 도리를 설파하는 대승불교의 핵심 경전이며, 구마라습의 한역본이 널리 읽히고 한국 불교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대반야경
개요
종류경전
언어산스크리트어
저자불명
내용
주제반야심경
구성초기 반야경
중기 반야경
후기 반야경
사상
한국어 번역 및 연구
한국어 번역현장
혜능
법성
관련 연구반야심경 오가해
금강경오가해

2. 역사

대승경전 중 가장 초기에 성립된 것으로 알려진 반야부 계통의 경전 중에서도, 대반야경은 후대에 성립됐다. 반야부에 속하는 경전은 전체 경장의 3분의 1에 해당하는데, 그 중 약 4분의 3이 대반야경이다. 그러나 이 경전 전체를 현장이 번역한 것은 아니고, 현장 당시에 번역된 반야부 경들과 현장이 번역한 경들을 총체적으로 수록한 것이다.

반야경전은 150년경에 현재 형태의 원형이 성립되어 산스크리트어 문자로 문서화되었으며, 이후 장단(長短)의 다양한 반야경전으로 발전해 갔다고 여겨진다.

645년[47], 현장이 서역에서 귀국하여 당 태종으로부터 가져온 경전군의 번역을 허가받아 장안의 홍복사[48]에 머물며 번역에 착수했다. 현장이 직접 번역을 지휘하여, 『대반야바라밀다경』은 660년 정월에 한역을 시작하여 4년의 세월을 들여 663년 10월에 번역을 완료했다.

이 한역본은 널리 일본에도 전해져 현재 일본 국내의 각 사찰에 보존되어 있는 대반야경이 바로 이것이다. 하지만 이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산스크리트 원본은 남아 있지 않다.

또한, 이 방대한 교전을 300여 자로 요약한 것이 『반야심경』이라는 설[49]이 있지만, 『대반야바라밀다경』에는 반야심경 자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정설은 없다. 다만, 옛날부터 유사한 부분이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이 부분은 구마라습이 번역한 『마하반야바라밀경』의 해당 부분이 반야심경의 텍스트에 더 가까워서 『반야심경』 위경설의 근거 중 하나가 되고 있다.[50] 현장이 『반야심경』을 번역한 것은 649년 5월로 알려져 있으며[51], 『대반야바라밀다경』의 한역 기간보다 20여 년 더 앞선 시기이다.

2. 1. 경전의 성립과 발전

대승경전 중 가장 초기에 성립된 것으로 알려진 반야부 계통의 경전 중에서도, 대반야경은 후대에 성립된 것으로 여겨진다.

12세기 현장이 중국어로 번역한 대품반야경의 페이지.


인도 11세기 파라바타의 필사본


티베트 불교 전통에서는 반야바라밀다경을 장, 중, 단 세 가지 텍스트로 분류한다. 이 문헌을 연구한 에드워드 콘체는 세 가지 가장 큰 반야바라밀다경을 "대반야바라밀다"라고 칭하며 하나의 경전의 서로 다른 버전으로 보았다. 루이스 랭카스터 역시 세 경전이 "기본적으로 동일한 텍스트를 담고 있으며, 그 길이는 반복되는 양에 따라 결정된다"고 평가했다.[2]

그러나 스테파노 자케티와 같은 학자들은 이것이 하나의 텍스트라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 자케티는 "대반야바라밀다"를 "텍스트 패밀리"로 보았는데, 이들은 구조, 내용, 어구 등에서 여러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하며, 가족적 유사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 대 PP 그룹의 구성원들은 다양한 수준에서 복잡한 변동 패턴에 의해 차별화되어 하나의 단일 텍스트로 분류할 수 없다고 한다.[2]

자케티에 따르면, "대 PP 텍스트" 패밀리에 속하는 상당수의 산스크리트어 원고가 존재하며, 이 원고들은 6세기경부터 19세기에 이르는 기간, 그리고 작은 조각에서 완전하거나 거의 완전한 원고까지 연대, 기원 및 크기가 크게 다르다고 한다.[2]

쇼고 와타나베에 따르면, 인도에서 반야바라밀다 텍스트의 수가 증가하면서 식별을 위해 별도의 지정을 할 필요가 있었고, 이는 나중에 포함하고 있는 줄의 수에 따라 이름을 붙임으로써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명명 규칙은 중국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았으며, 중국어 번역본은 경전의 첫 번째 장에 따라 이름이 붙여지는 경우가 많았다. 제목에 나열된 "줄"의 수도 정확하지 않으며, 서로 다른 원고 및 판본에서 종종 다르다. 세 가지 주요 대반야바라밀다경 버전은 18,000, 25,000 및 100,000 줄의 반야바라밀다이다. 레나가라 시리니와사 테로에 따르면, 125,000줄이 넘는 ''"뮬라브루핫프라지냐파라미타 수트라"''의 네팔어 원고도 있다.[2]

조셉 왈서는 세 가지 대반야바라밀다경은 법상부 학파와 교리적 연관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왈서는 25,000줄과 100,000줄 경전이 법상부의 ''사리불아비달마-샤스트라''에서 발견되는 여섯 종류의 공(空) 목록을 재현한다고 언급한다.[2]

자케티는 세 가지 주요 버전(18, 25, 100만 ślokas 또는 akṣaras)으로의 구분이 보리유지(6세기) 시대까지 불교 자료에 나타나지 않는다고 언급한다. 이 전에는 "대반야바라밀다"라는 용어가 17,000줄보다 큰 PP경전을 지칭하는 데 다소 느슨하게 사용되었다. 이러한 더 긴 PP경전 분류 방식은 현장 (7세기)의 번역과 티베트 경전에서 세 가지 다른 긴 버전을 분류하는 주요 체계가 되었을 때, 6세기 이후에야 널리 퍼지게 되었다.[2]

중국 자료는 또한 "대반야바라밀다경"이라는 용어를 현장이 번역한 16개의 반야바라밀다경의 전체 컬렉션을 지칭하는 데 사용한다.[2]

  • '''아슈타다샤사하스리카 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 (''18,000행'' ''반야바라밀경'', 티베트어: ''’phags pa shes rab kyi pha rol tu phyin pa khri brgyad stong pa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중국어: 會第, 병음: ''Sānhuì dì sānhuì xù'')는 산스크리트어, 티베트어, 중국어 및 몽골어 번역본으로 보존되어 있다. 가장 오래된 산스크리트어 원고는 길기트 원고인 ''아슈타다샤사하스리카''로, 서기 5세기 또는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2][4] Zacchetti는 길기트 원고에 18,000~20,000 슬로카가 포함되어 있다고 추정한다.[18]
  • '''Pañcaviṃśati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2만 5천 송 반야경》, T: ''shes rab kyi pha rol tu phyin pa stoq phrag nyi shu lnga pa, dum bu dang po'', C: 摩訶般若波羅蜜經, 병음: ''móhê bânruò bôluó mì jíng'')는 네팔카슈미르에서 발견된 여러 산스크리트어 사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두 개의 티베트어 번역본이 존재한다(토호쿠 목록에서 Tōh. 9 및 Tōh. 3790).[19] 이 경전은 묵가라(c. 291 CE), 족호(c. 286 CE), 구마라집(c. 403 CE), 그리고 현장(c. 660 - 663 CE)에 의해 4개의 중국어 번역본으로 전해진다.[20][21][22][23] 일부 산스크리트어 사본은 ''Abhisamayālaṃkāra''의 8개 장에 따라 이 경전을 나누고 있으며, 와타나베는 이를 "수정판"이라고 부른다. 수정된 판본에는 수많은 다른 추가 내용과 변경 사항도 포함되어 있다.[24][12] 다양한 대품 반야경의 자료에 대한 쇼고 와타나베의 비교 연구에 따르면, ''Pañcaviṃśatisāhasrikā''와 ''Aṣṭadaśasāhasrikā''는 "동일한 출처에서 파생된 변형 텍스트"라고 한다. 그는 두 경전이 발전한 원전을 가정한다.[12] 와타나베는 또한 현장의 중국어 번역본에 가장 많은 확장과 추가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텍스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성장했는지를 보여준다고 언급한다.[12]

10만 송(頌)의 지혜 경(般若經) 원고의 한 면


보살 반야바라밀다를 묘사한 10만 송(頌)의 지혜 경(般若經) 원고의 한 면

  • '''사타사하스리카 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 (Śat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는 ('10만 줄' '반야경', T: 'shes rab kyi pha rol tu phyin pa strong phrag brgya pa', C: 初會, 병음: 'chū hùi') 여러 네팔 산스크리트어 사본으로 존재한다.[25][26] 또한 예셰 데 (730–805)가 번역한 티베트어 번역본과 쉬안장이 번역한 400권의 "초회(The Initial Assembly)"(初 會, chū huì)라는 제목의 중국어 번역본이 있다.[27][28]


자케티는 대품반야경(Larger PP) 계열의 다양한 텍스트를 분석할 때, "대응 패턴이 복잡할지라도... 일반적으로 버전 분류에 따라 그룹으로 나뉘지 않는다"고 썼다.[29] 이는 예를 들어 티베트 깐주르(Kanjur)의 ''Pañcaviṃśati''가 실제로 다른 ''Pañcaviṃśati'' 텍스트(현장의 ''Pañcaviṃśati''나 네팔 본과 같은)와 더 가깝지 않고, 오히려 산스크리트어 ''Śatasāhasrikā''와 더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29] 따라서 자케티는 "대품반야경 원본(Larger PP Ur-text)"의 다양한 전파 계열이 존재하며, "각 전파 계열(또는 텍스트 그룹), 즉 이른바 렉션(recension)은 서로 다른 버전을 포함할 수 있다(또는 포함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29]

자케티의 가설적 도식은 이러한 다양한 전파 계열 중 일부(특히 ''Pañcaviṃśatisāhasrikā''에 초점을 맞춤)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30]

  • A 그룹: 깐주르의 티베트어 ''Pañcaviṃśatisāhasrikā''와 산스크리트어 ''Śatasāhasrikā''.
  • B 그룹: 현장의 ''Pañcaviṃśatisāhasrikā''와 그의 ''Śatasāhasrikā''.
  • C 그룹: 네팔어 버전의 ''Pañcaviṃśatisāhasrikā''.
  • D 그룹: ''Pañcaviṃśatisāhasrikā''의 세 가지 초기 중국어 번역본.


자케티는 덧붙여 "버전 수준에서 우리는 특정 렉션을 반영하는 어떤 기본 텍스트가 이 경전에 나오는 목록을 조작하여 쉽게 확장되거나 축약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다양한 버전(18,000, 25,000 및 100,000)은 "전통적인 의미에서 엄격하게 확립된 "텍스트"라기보다는 특정 텍스트 생성 원리로 간주되어야 한다."[31] 따라서 텍스트의 크기는 텍스트 자체의 내용이나 연대를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데, 이는 어떤 렉션이라도 경전에 있는 다양한 목록을 확장하여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서로 다른 렉션 내에서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버전이 생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32]

반야경전은 150년경에 현재 형태의 원형이 성립되어 산스크리트어 문자로 문서화되었으며, 이후 장단 다양한 반야경전으로 발전해 갔다고 여겨진다.

645년[47], 현장이 서역에서 귀국하여 당 태종으로부터 가져온 경전군의 번역을 허가받아 장안의 홍복사[48]에 머물며 번역에 착수했다. 현장이 직접 번역을 지휘하여, 『대반야바라밀다경』은 660년 정월에 한역을 시작하여 4년의 세월을 들여 663년 10월에 번역을 완료했다.

이 한역은 널리 일본에도 전해져 현재 일본 국내의 각 사찰에 보존되어 있는 대반야경이 바로 이것이다. 하지만 이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산스크리트 원본은 남아 있지 않다.

또한, 이 방대한 교전을 300여 자로 요약한 것이 『반야심경』이라는 설[49]이 있지만, 『대반야바라밀다경』에는 반야심경 자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정설은 없다. 다만, 옛날부터 유사한 부분이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이 부분은 구마라습이 번역한 『마하반야바라밀경』의 해당 부분이 반야심경의 텍스트에 더 가까워서 『반야심경』 위경설의 근거 중 하나가 되고 있다.[50] 현장이 『반야심경』을 번역한 것은 649년 5월로 알려져 있으며[51], 『대반야바라밀다경』의 한역 기간보다 20여 년도 더 앞선 시기이다.

2. 2. 현장과 대반야경

645년[47], 현장은 서역에서 귀국하여 당 태종으로부터 가져온 경전군의 번역을 허가받아 장안의 홍복사[48]에 머물며 번역에 착수했다. 현장이 직접 번역을 지휘하여, 『대반야바라밀다경』은 660년 정월에 한역을 시작하여 4년의 세월을 들여 663년 10월에 번역을 완료했다.

현장은 매우 많은 불전을 번역했지만 가장 큰 업적은 바로 <대반야경>의 완역이다. 현장은 62세 때인 10월 23일 『대반야경』을 완역하고 105일 뒤인 이듬해 2월 5일 입적했는데, 이는 경전의 완역과 현장의 삶이 마무리 된 것을 의미한다.

이 한역본은 널리 일본에도 전해져 현재 일본 국내의 각 사찰에 보존되어 있는 대반야경이 바로 이것이다. 하지만 이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산스크리트 원본은 남아 있지 않다.

중국 자료는 "대반야바라밀다경"이라는 용어를 현장이 번역한 16개의 반야바라밀다경의 전체 컬렉션을 지칭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3. 구성

대반야경은 전체 16부(회), 275분, 60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회)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부(회)해당 경전
제1회79분1-400권십만송반야경 (크기는 비슷하지만 대응이 명확하지 않음)
제2회85분401-478권이만오천송반야경 (구마라집 번역 마하반야바라밀경(대품반야경)에 해당하지만, 마지막 상제보살품 이후는 생략)
제3회31분479-537권일만팔천송반야경
제4회29분538-555권팔천송반야경 (구마라집 번역 소품마하반야바라밀경)
제5회24분556-565권팔천송반야경 (사분 결여)
제6회17분566-573권승천왕반야경 (승천왕반야바라밀경) / 여래비밀경
제7회문수사리분574-575권문수반야경 (문수사리소설(마하)반야바라밀경)
제8회나가실리분576권유수보살경 (유수보살무상청정분위경)
제9회능단금강분577권금강반야경
제10회반야이취분578권이취경
제11회보시바라밀다분579-583권
제12회지계바라밀다분584-588권
제13회인욕바라밀다분589권
제14회정진바라밀다분590권
제15회선려바라밀다분591-592권
제16회반야바라밀다분593-600권선용맹반야경 (이천오백송반야경)


4. 한국 불교와 대반야경

고려몽골군의 침입으로 나라가 위태로울 때 고려대장경을 만들었는데, 그 첫머리에 이 반야경을 배열했다. 이는 반야가 부처의 어머니이므로 모든 불법(불교의 가르침)은 반야에서 나온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이처럼 대반야경은 국가를 보호하고 재앙을 막으며 복을 빌기 위해 널리 읽혔다.[53]

4. 1. 호국불교 사상

몽골군의 침입으로 고려가 위태로울 때, 고려대장경을 새기고 첫 부분에 이 반야경을 배열했다. 이는 국가를 보호하고, 재앙을 없애며 복을 구하기 위해 이 경이 널리 독송되었기 때문이다. 반야가 곧 부처의 어머니이므로 모든 불법은 반야에서 나온다는 생각에 기인한 것이다.[53]

737년(덴표 9년) 다이안 사의 도지 율사가 조정에 대반야경의 전독을 여러 나라의 연중 행사에 추가할 것을 청원하여 허락받았다. 도지의 발원에 의해 대반야경은 일본 전역에 보급되었는데, 그 발단은 다이안 사 증축 당시 뇌신이 모셔져 있던 나무를 베었기 때문에 낙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벼락을 진정시키기 위해 대반야회를 개최한 결과 효과가 있었다는 주술적인 것이었다.[53] 각지에 전해진 대반야경은 신도 제사나 민간 신앙에 통합되어 오늘날에도 제사 속에 그 흔적을 남기는 지역이 있다. 헤이안 시대 이후에는 귀족의 사경과 전독이 유행했는데, 그 동기의 대부분은 액막이나 원걸이를 위해서였다.[53] 이처럼 대반야경은 토착 종교관과 결부되어 수용된 예가 매우 많다.[53]

현재 일본에서는 이 600여 권의 경전을 독경하는 대반야회가 진언·천태 등의 밀교계 종파와 선종에서 성행하고 있다. 다만 이 방대한 경전을 완전히 독송하는 것은 과거에 몇몇 사례만 기록되어 있을 뿐이며, 현재는 전독이라고 불리는, 경전을 휙휙 넘기면서 반야심경 말미의 진언이나 『전독대반야경중창문[54]』 등을 독송하여 한 권을 독송한 것으로 하는 의전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니치렌종·정토진종 등을 제외한 일본의 대부분의 종파는 이 경전을 그 교의의 기초로 위치시키고 의용하고 있지만, 현장 이전에는 구역의 각종 반야경이 사용되었다.

4. 2. 대반야경과 관련된 한국의 인물/사건

고려가 몽골군의 침입으로 위태로울 때 고려대장경을 새겼는데, 그 첫 부분에 반야경이 배열되었다. 이는 반야가 곧 부처의 어머니이므로 모든 불법은 반야에서 나온다는 생각에 기인한 것이다. 이처럼 대반야경은 국가의 보호, 재앙의 제거, 복을 구하기 위해 널리 독송되었다.[53]

5. 주석서

동아시아 불교에서 구마라집 (344–413 CE)이 번역한 대지도론 (*''Mahāprajñāpāramitopadeśa,'' T no. 1509)은 이십오만송반야경에 대한 크고 백과사전적인 주석서로, 수많은 반야바라밀 관련 주제에 대한 중요한 자료이다.[33] 대지도론은 대반야경에 대한 가장 초기의 주석서로 알려져 있다.[34]

지장 (549–623)은 이십오만송 경전에 대한 또 다른 주석서를 썼으며, 그는 중국 중관학파의 중요한 인물이었다.[35]

티베트 불교에서 ''반야바라밀'' 전통은 현관장엄론 (날짜 미상)과 그 수많은 주석서를 중심으로 한다. John J. Makransky에 따르면, ''현관장엄론''은 이십오만송 반야경을 기반으로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0] Ārya Vimuktisena (c. 6세기)의 ''현관장엄론'' 주석서는 ''이십오만송 반야경''에 대한 주석이기도 하다.[36]

Daṃṣṭrasena (Diṣṭasena, c. 8세기 후반 또는 9세기 초)라는 카슈미르 학자는 티베트어로 번역되어 전해지는 두 개의 주석서를 썼다.


  • ''백만송 반야바라밀에 대한 주석'' (산스크리트어: ''Shatasāhashrikā Prajñāpāramitābrhattīkā'', 티베트어: ''Shes rab kyi pha rol tu phyin pa vbum pa rgya cher vgrel pa'')은 Surendrabodhi와 Yeshe De에 의해 번역되었다.[37]
  • ''백만송, 이십오만송, 십팔만송의 고귀한 반야바라밀에 대한 긴 해설'' (''*Ārya­śatasāhasrikā­pañcaviṃśatisāhasrikāṣṭā­daśasāhasrikā­prajñā­pāramitā­bṛhaṭṭīkā,'' 티베트어: ''P'hags pa shes rab kyi pha rol tu phyin pa vbum pa daq nyi khri lqa stoq pa daq khri brgyad stoq pavi rgya cher bshad pa'') 역시 Surendrabodhi와 Yeshes De에 의해 티베트어로 번역되었다.[38][39] 일부 자료에서는 이것이 세친의 저작이라고 주장하지만, 텍스트에 문제가 있다.[39]


Bhadanta Vimuktisena (Ārya Vimuktasena의 제자)와 Dharmakīrtishrī (Tōh. 3794)는 이십오만송 경전에 대한 또 다른 두 개의 인도 주석서를 썼으며, 티베트어로 전해진다.[40][41]

Smṛtijñānakīrti (Tōh. 3789) (c. 12세기)의 인도 주석서는 세 개의 대반야경과 ''현관장엄론''에 대한 주석서이다. 제목은 ''세 가지 작품, 즉 10만, 25만, 8천 게송의 의미를 '지혜의 보석'에서 일관되게 제시함'' (티베트어: ''Bum dang nyi-khri lnga stong-pa dang khri-brgyad stong-pa gsum don mthun-par-mngon-rtogs brgyad-du bstan-pa bzhugs-so'')이다.[42]

티베트 닝마파 저자 Lochen Dharmaśrī (1654–1717)는 ''백만송 반야바라밀경에 대한 완전한 주석'' (''Stoq-phrag-brgya-pavi rnam-par bshad-pa zhes-bya-ba'')이라는 제목의 10만 송 경전에 대한 주석서를 썼다.[43]

겔룩파 인물 Longdol Lama Ngawang Lobzang (1719–1794)은 ''사타사하시리카 반야바라밀에서 다루는 108가지 주제에 대한 간략한 설명'' ('''bum-gyi' grel-rkang brgya-rtsa-brgyad ngos-'dzin'')이라는 제목의 티베트 주석서를 썼다.[44]

참조

[1] 문서 Zacchetti 2005 p. 17.
[2] 웹사이트 The Perfection of Wisdom in Eighteen Thousand Lines https://read.84000.c[...] 2022
[3] 문서 Nattier 1992, pp. 158, 202
[4] 서적 The Gilgit manuscript of the Aṣṭādaśasāhasrikāprajñāpāramitā, chapters 70 to 82, corresponding to the 6th, 7th and 8th Abhisamayas Series Orientale Roma, 46, Roma, 1962, reprint 1974 1974
[5]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6] 서적 Buddhism: A Modern Perspective Penn State Press 2010
[7] 서적 The Perfection of Wisdom in Eight Thousand Lines and Its Verse Summary (Bibliotheca Indo-Buddhica) South Asia Books; New edition, October 19, 1994 1994
[8] 문서 大 般若 波羅蜜 多 經 Basic Meaning: Mahāprajñāpāramitā-sūtra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 佛教 辭典), July 1995 1995
[9] 간행물 Buddhist Refuge, Class 1 (PDF) https://web.archive.[...] Asian Classics Institute Course II: Buddhist Refuge-November 1993 1993
[10] 서적 Buddhahood Embodied: Sources of Controversy in India and Tibet SUNY Press 1997
[11] 문서 Zacchetti 2005 p. 36.
[12]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the 'Pancavimsatisahasrika Prajnaparamita' 1994-07
[13]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 Routledge 2008
[14] 학위논문 A comparative study on Sūnyatāvāda with reference to 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and Mahāsuññata sutta in Theravāda Buddhist and Pali University of Sri Lanka
[15] 서적 Nagarjuna in Context: Mahayana Buddhism and Early Indian Culture Hardcover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16] 문서 Zacchetti 2005 p. 40.
[17] 문서 T05N0220 大般若波羅蜜多經 WWW Database of Chinese Buddhist texts, versjon 2A 2002-12-02
[18] 문서 Zacchetti 2005 p. 22.
[19] 서적 The Complete Catalog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s (Bkaḩ-ḩgyur and Bstan-ḩgyur) Tōhoku Imperial University and Saitō Gratitude Foundation, Sendai, Japan 1934-08
[20] 문서 Taishō Shinshū Daizōkyō (大 正 新 修 大 大 藏經), volume 8, text no. 221 Zhōnghuá dàzángjīng (大 日本 續 藏經), volume 7, text no. 2
[21] 문서 Taishō Shinshū Daizōkyō (大 正 新 修 大 大 藏經), volume 8, text no. 222 Zhōnghuá dàzángjīng (大 日本 續 藏經), volume 7, text no. 4
[22] 문서 Taishō Shinshū Daizōkyō (大 正 新 修 大 大 藏經), volume 8, text no. 223 Zhōnghuá dàzángjīng (大 日本 續 藏經), volume 7, text no. 3
[23] 문서 Taishō Shinshū Daizōkyō (大 正 新 修 修 大 藏經), volume 7, text no. 220 [2], scrolls 401-478 Zhōnghuá dàzángjīng (大 日本 續 藏經), volume 1-6, text no. 1 [2]
[24] 웹사이트 Perfection of Wisdom https://read.84000.c[...] 2022-06-14
[25] 서적 Catalog of the Buddhist Sanskrit Manuscripts in the University Library, Cambridge. With Introductory Notices and Illustrations of the Paleography and Chronology of Nepal and Bengal (PDF) University Press, Cambridge 1883-05
[26] 문서 On the Satasahasrika Prajnaparamita Manuscripts Preserved in Japan University of Kelanya, Sri Lanka
[27] 웹사이트 (D.9) Catalog Record. https://www.thlib.or[...] 2005
[28] 문서 Taishō Shinshū Daizōkyō (大 正 新 修 修 大 藏經 藏經), Volumes 5–6, Text No. 220 [1] Zhōnghuá dàzángjīng (大 日本 續 藏經), Volumes 1-6, Text No. 1 [1]
[29] 문서 Zacchetti 2005 p. 42.
[30] 문서 Zacchetti 2005 pp. 42-44.
[31] 문서 Zacchetti 2005 p. 46.
[32] 문서 Zacchetti 2005 pp. 47-49.
[33] 문서 See: Lamotte, Etienne (French trans.); Karma Migme Chodron (English trans.); The Treatise on the Great Virtue of Wisdom of Nagarjuna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Vol I, Introduction.
[34] 문서 Zacchetti 2005 p. 6.
[35] 문서 Taishō Shinshū Daizōkyō (大 正 新 修 大 藏經), volume 33, text no. 1696
[36] 서적 Abhisamayalamkara with Vrtti and Aloka Jain Publishing Company 2006
[37] 간행물 Derge Tenguyr, Shes Phyin
[38] 간행물 Derge Tenguyr, Shes Phyin
[39] 웹사이트 The Long Explanation of the Noble Perfection of Wisdom in One Hundred Thousand, Twenty-Five Thousand, and Eighteen Thousand Lines / 84000 Reading Room https://read.84000.c[...] 2024-02-09
[40] 논문 Ārya and Bhadanta Vimuktisena on the Gotra-Theory of the Prajñāpāramitā 1969
[41] 웹사이트 Perfection of Wisdom https://read.84000.c[...] 2022-06-14
[42] 간행물 Derge Tenguyr, Shes Phyin
[43] 간행물 Derge Tenguyr, Shes Phyin
[44] 문서 To 6542, Da, folios 1-16 in the 1st volume of the printed Gsung 'bum («collected works» by Tibetan and Mongolian Lamas and mystics)
[45] 서적 The Large Sutra on Perfect Wisdom: With the Divisions of the Abhisamayalankara Center for South and Southeast Asia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lifornia 1985-01-24
[46] 서적 The Great Prajna Paramita Sutra Wheatmark, Inc. 2017
[47] 기타 玄奘の年次問題について http://repo.komazawa[...] 2015-10
[48] 문서 高宗 (唐)
[49] 서적 般若心経・金剛般若経 岩波文庫 1960
[50] 기타 何以故。舍利弗。色不異空空不異色。色即是空空即是色。受想行識亦如是。舍利弗。是諸法空相。不生不滅。不垢不淨不増不減。是空法非過去非未來非現在。是故空中無色無受想行識。無眼耳鼻舌身意。無色聲香味觸法。無眼界乃至無意識界。亦無無明亦無無明盡。乃至亦無老死亦無老死盡。無苦集滅道。亦無智亦無得。――
[51] 기타 開元釈教録 卷第八に「般若波羅蜜多心經一卷見内典録第二出與摩訶般若大明呪經等同本貞觀二十三年五月二十四日於[[終南山]]翠微宮譯沙門知仁筆受」とある。
[52] 기타 戸崎宏正によるサンスクリットからの現代語訳 1973
[53] 서적 庶民信仰と日本文化 法蔵館 2009
[54] 위키 転読大般若経中唱文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