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후보 경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후보 경선은 더불어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일반 국민 참여 경선제를 통해 권리당원, 대의원, 국민 선거인단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전국을 11개 권역으로 나누어 순회 경선을 진행했다. 예비 경선을 통해 6명의 후보를 선출하고, 본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최종 후보로 선출되었다. 총 투표율은 67.30%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연기된 선거 - 2020년 뉴질랜드 총선
2020년 뉴질랜드 총선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연기되어 2020년 10월 17일에 치러졌으며, 노동당이 50%의 득표율로 과반수를 차지하여 단독 정부를 구성했다.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연기된 선거 -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후보 경선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후보 경선은 조 바이든, 버니 샌더스, 엘리자베스 워런 등이 참여하여 예비 선거와 당원대회를 통해 민주당 대통령 후보를 선출하는 경선으로, 조 바이든이 최종 후보로 확정되어 카멀라 해리스를 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 -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 심상정
심상정은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구로동맹파업을 주도하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결성에 참여했으며, 민주노동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하여 진보신당, 통합진보당을 거쳐 정의당 창당을 주도하고 고양시 덕양구 갑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대선에 두 번 출마하고 재벌개혁, 경제민주화,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의 진보적 의제를 제기해 온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 안철수
안철수는 의사이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V3 백신을 개발하고 안철수연구소를 창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을 역임하고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서울시장 후보 등을 지냈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후보 경선 | |
---|---|
선거 정보 | |
선거명 |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후보 경선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대통령 |
이전 선거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후보 경선 |
이전 선거 연도 | 2017년 |
선거일 | 2021년 10월 10일 |
차기 선거 |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후보 경선 |
차기 선거 연도 | 2026년 |
투표율 | 67.30% ( 9.29%) |
후보 정보 | |
![]() | |
후보1 | 이재명 |
득표수1 | 719,905 |
득표율1 | 50.3% |
![]() | |
후보2 | 이낙연 |
득표수2 | 560,392 |
득표율2 | 39.1% |
![]() | |
후보4 | 추미애 |
득표수4 | 129,035 |
득표율4 | 9.0% |
![]() | |
후보5 | 박용진 |
득표수5 | 22,261 |
득표율5 | 1.6% |
선거 결과 | |
직책 | 대통령 후보 |
선거 전 | 문재인 |
선거 전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선거 후 직함 | 대통령 후보 |
선거 후 | 이재명 |
선거 후 정당 | 더불어민주당 |
2. 선출 방법
더불어민주당은 대의원이나 권리당원(당비 납부 당원)뿐 아니라 일반 국민들도 대통령 후보 선출 당내 경선에 투표할 수 있도록 하는 국민 참여 경선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더불어민주당은 3차례에 걸쳐 국민 선거인단을 모집하였다.[1]
2021년 5월 9일, 박용진 의원이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하였다.[1] 이후 양승조 충청남도지사(5월 12일[2]), 이광재 의원(5월 27일[3]), 최문순 강원도지사(6월 3일[4]), 정세균 전 국무총리(6월 17일[5]),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6월 23일[6])이 차례로 대선 출마를 선언하였다.
제19·20대 성남시장
더불어민주당은 전국을 11개 권역으로 나누어 권역별 순회 경선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다만 국민 선거인단은 유선전화로 선거인단에 가입한 경우에만 순회 경선에 참여하도록 하고, 온라인 또는 휴대전화로 가입한 경우 별도의 날짜에 투표하도록 하였다.[1]
순회 경선은 권역마다 5일씩 진행하기로 하였는데, 첫 이틀은 온라인 투표, 그 다음 사흘은 ARS 투표, 그리고 ARS 투표의 마지막 날인 다섯째 날에는 현장 투표를 실시하기로 하였다. ARS 투표의 경우 첫 이틀은 당에서 선거인에게 전화를 거는 강제 ARS 투표로, 마지막 하루는 선거인이 전화를 거는 자발 ARS 투표로 진행하기로 하였다. 또한 권리당원 선거인단은 온라인 투표와 ARS 투표 중 하나를 선택하여 투표하도록 하고, 대의원 선거인단과 유선전화로 가입한 국민 선거인단은 현장 투표를 하도록 하였다.[1]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는 9월 6일 의결을 통해 대구·경북 경선부터는 대의원 선거인단도 온라인 투표와 ARS 투표 중 하나를 선택하여 투표하도록 하고, 유선전화로 가입한 국민 선거인단만 현장 투표를 하도록 변경하였다.[1]
온라인 또는 휴대전화로 가입한 국민 선거인단은 1차 모집 기간에 가입한 경우 9월 8일에서 9월 12일 사이에, 2차 모집 기간에 가입한 경우 9월 29일에서 10월 3일 사이에, 3차 모집 기간에 가입한 경우 10월 6일에서 10월 10일 사이에 투표하도록 하였다. 투표 방법은 순회 경선과 마찬가지로 첫 이틀 동안은 온라인 투표, 그 다음 사흘 동안은 ARS 투표를 진행하기로 하였다.[1]
만약 경선 결과 과반을 득표한 후보가 없을 시 상위 득표자 2인을 놓고 결선 투표를 실시하기로 하였다.[1]
경선에 너무 많은 후보가 참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경선 이전에 예비경선을 실시하여 상위 득표자 6명만이 본 경선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비경선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와 당원 여론조사를 실시한 후 각각 50%씩 반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
3. 경과
6월 25일, 더불어민주당은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일정을 확정하였다.[7] 비이재명계에서 경선 연기를 주장하였으나,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경선 연기는 없다"며 일정을 확정했다.
6월 28일부터 30일까지 예비경선 후보자 등록이 진행되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 정세균 전 국무총리,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김두관 의원, 박용진 의원, 양승조 충청남도지사, 이광재 의원, 이낙연 의원등 총 9인이 예비경선 후보로 등록하였다.[8][9]
7월 1일,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김두관 의원이 각각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하였다.[10][11] 7월 3일부터 8일까지는 예비경선 후보자 TV 토론회가 실시되었다.
6월 28일, 이광재 후보와 정세균 후보가 단일화에 합의하였다.[12] 7월 5일, 이낙연 후보가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하였다.[14] 같은 날, 이광재 후보가 정세균 후보와의 단일화를 선언하며 후보직을 사퇴하였다.[15]
7월 9일부터 11일까지 일반 국민 여론조사와 당원 여론조사를 50%씩 반영하는 방식으로 예비경선 여론조사가 실시되었다. 7월 11일, 더불어민주당은 예비경선 결과를 발표, 최문순, 양승조 후보가 탈락하고 추미애, 이재명, 정세균, 이낙연, 박용진, 김두관 6인이 본경선에 진출했다.[22]
7월 19일, 코로나19 범유행 4차 대유행으로 인해 경선 일정이 4~5주 연기되어 후보 선출일이 10월 10일로 변경되었다.[16]
9월 4일 대전·충남 경선을 시작으로 권역별 순회 경선이 시작되었다. 해당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54.81%를 득표하여 승리하였다.[17] 9월 5일 세종·충북 경선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54.54%로 승리하였다.[18] 9월 6일, 더불어민주당은 대의원 선거인단의 투표 방식을 현장 투표에서 온라인 투표 및 ARS 투표로 변경하였다.[19] 9월 11일 대구·경북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51.12%로 승리하였다. 9월 12일 강원 및 1차 국민 선거인단 투표 결과, 이재명 후보가 승리하였다.
9월 13일, 정세균 후보가 사퇴하였고,[20] 9월 26일에는 김두관 후보가 이재명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사퇴하였다(9월 27일 정식 사퇴).
4. 후보자
최종 후보자 선출 2 김두관 1958년 제5대 행정자치부 장관
제34대 경상남도지사
제38·39대 경남 남해군수
제20·21대 국회의원9월 26일 사퇴 3 정세균 1950년 제20대 전반기 국회의장
제46대 국무총리
제15·16·17·18·19·20대 국회의원9월 13일 사퇴 4 이낙연 1952년 제45대 국무총리
제37대 전라남도지사
제16·17·18·19·21대 국회의원5 박용진 1971년 제20·21대 국회의원 6 추미애 1958년 제67대 법무부 장관
제15·16·18·19·20대 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