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형 리프트 발사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형 리프트 발사체는 무거운 탑재물을 지구 궤도 또는 다른 궤도로 운송하도록 설계된 로켓이다. 1960년대 미국의 새턴 IB와 소련의 프로톤을 시작으로 우주왕복선, 타이탄 IV, 아리안 5, 팰컨 9 등이 개발되었다. 현재 팰컨 9, 프로톤-M, 앙가라 A5, 창정 5호, 벌컨 켄타우루스, 팰컨 헤비가 운용 중이며, 뉴 글렌, 아리안 6, HLV, SHLV, 주췌-3, 그래비티-2, 테란 R, 앙가라-A5V, H3 헤비 등 차세대 발사체가 개발 중이다. 대한민국은 아직 대형 리프트 발사체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중형 발사체 기술을 바탕으로 대형 발사체 개발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2. 역사 및 설계

1960년대 미국의 새턴 IB와 소련의 프로톤 개발은 대형 리프트 발사체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새턴 IB는 아폴로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프로톤은 본래 대형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로 개발되었으나 우주 발사체로 활용되었다.[4] 이후 NASA는 1980년대에 최초의 부분 재사용 발사체인 우주왕복선을 도입하여, 대형 화물과 다수의 우주비행사를 지구 저궤도(LEO)로 운송하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미국은 우주왕복선 외에도 미국 공군 주도로 타이탄 IV[5]델타 IV 헤비와 같은 강력한 성능의 소모성 발사체를 개발하여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 유럽은 아리안 5를 통해 상업 위성 발사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했으며, 중국창정 5호를 개발하여 자체적인 우주 탐사 및 개발 역량을 강화했다.[6] 러시아는 오랜 기간 프로톤 로켓을 주력으로 운용해왔으며, 현재는 차세대 발사체인 앙가라 A5로 점진적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우주 발사체 개발은 민간 기업의 참여가 두드러지는 추세이다. 특히 스페이스X가 개발한 팰컨 9팰컨 헤비는 1단 로켓 재사용 기술을 성공적으로 구현하여 발사 비용을 크게 절감시키고, 발사체 시장에 혁신을 가져왔다.[7][8] 이처럼 대형 리프트 발사체는 초기 정부 주도의 개발 단계를 거쳐, 기술 발전과 함께 상업적 경쟁이 심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2. 1. 정부 주도 개발

AS-203 발사, 무인 새턴 IB


대형 리프트 발사체의 초기 개발은 주로 각국 정부의 주도하에 이루어졌다. 1960년대 미국은 아폴로 우주선을 지구 궤도로 운송하기 위해 설계된 새턴 IB를 선보였다. 이는 이전 모델인 새턴 I보다 엔진 추력을 향상시키고 2단을 재설계한 것이다. 같은 시기 소련은 본래 대형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로 개발되었던 프로톤을 발사체로 활용하기 시작했다.[4] 러시아는 2024년 현재까지도 프로톤의 개량형을 운용하고 있으나, 차세대 발사체인 앙가라 A5를 주력으로 사용하기 위해 점차 퇴역시키는 과정에 있다.

1981년 NASA는 최초의 부분 재사용 발사체인 우주왕복선을 도입하여 우주 개발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우주왕복선은 최대 8명의 승무원과 함께 우주 정거장 모듈이나 국방부의 위성 등 대형 탑재물을 지구 저궤도(LEO)로 실어 날랐다. 또한 원지점 킥 모터와 같은 관성 상단 추진체를 이용하여 탑재물을 더 높은 에너지의 궤도로 진입시킬 수 있었다.

미국 공군(USAF)은 우주왕복선과 별도로 군사적 목적 등의 발사를 위해 타이탄 IV를 운용했다. 이는 기존의 타이탄 ICBM 및 발사체 시리즈를 기반으로 고체 로켓 부스터(SRB)를 추가하고 동체를 연장하는 등 성능을 개선한 모델이다.[5] USAF는 안정적인 우주 발사 수단을 확보하고자 1994년에 진화형 소모성 발사체(EELV)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이를 통해 민간 기업과의 계약을 통해 발사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결과로 델타 IV가 개발되었으며, 특히 헤비 버전은 3개의 1단 코어를 묶어 강력한 발사 능력을 갖추었다. 이후 델타 IV아틀라스 V 로켓을 운용하던 연합 발사 얼라이언스(ULA)는 2024년 이들을 대체할 벌컨 켄타우루스를 새로 선보였다. 벌컨 켄타우루스는 더 넓어진 단일 코어와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는 SRB를 특징으로 한다.

중국 역시 국가 주도로 대형 발사체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16년에 처음 발사된 창정 5호는 창정 로켓 시리즈 중 가장 강력한 성능을 지닌 발사체로, 초고성능 추진제 대신 액체 추진제를 사용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6]

2. 2. 상업적 개발

아리안 5ES가 ATV-004를 운반하는 모습


유럽의 아리안 5는 1996년에 처음 발사되어 GTO로 많은 상업용 탑재체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프랑스령 기아나의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발사하는데, 이곳은 적도 근처에 위치하여 발사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아리안 5는 종종 한 번의 발사로 여러 개의 위성을 동시에 운반했으며, 상업용 탑재체를 GTO로 운반하는 질량에서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스페이스X가 2010년에 도입한 팰컨 9은 재사용 가능한 1단 로켓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 발사체로 개발되었다. 팰컨 9 1단 로켓의 첫 성공적인 착륙은 2015년에 이루어졌다. 팰컨 9은 멀린 엔진 개선 및 로켓 길이 연장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다. 2015년 팰컨 9 풀 스러스트 버전이 도입된 이후, 1단 로켓을 회수하지 않고 폐기하는 조건 하에서는 대형 발사체의 성능 기준을 충족한다. 2021년에는 한 번의 발사로 143개의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7]

팰컨 헤비델타 IV 헤비와 유사하게 3개의 1단 부스터 코어를 사용하지만, 중앙 코어는 강화된 설계를 적용했다. 2017년에 첫 비행을 했으며, 2022년 NASASLS가 발사되기 전까지 운용 중인 발사체 중 가장 강력한 성능을 보유했다.[8] 팰컨 헤비는 중앙 코어와 양쪽 측면 부스터를 모두 회수하는 구성으로 비행할 경우 대형 발사체로 분류된다. 만약 중앙 코어 또는 모든 부스터를 회수하지 않고 폐기할 경우, LEO로의 탑재량이 50000kg을 초과하게 되어 초대형 발사체로 분류된다.

3. 운용 중인 발사체

(소모성 발사 시)미국스페이스X22800kg[19]8300kg[54]2010년프로톤-M러시아흐루니체프23000kg[13]6920kg[56]2001년앙가라 A5러시아흐루니체프24500kg[17]5400kg[58]2014년창정 5/5B중국CALT25000kg[9]14000kg[11]2016년팰컨 헤비
(재사용 발사 시)미국스페이스X38000kg+[22]6465kg[23]2018년벌컨 센타우르
(VC6 구성 시)미국ULA25400kg[25]해당 없음2024년


3. 1. 팰컨 9 (미국, 스페이스X)

팰컨 9스페이스X가 2010년에 도입한 발사체로, 재사용 가능한 1단 로켓을 갖춘 중형 발사체로 설계되었다. 팰컨 9 1단 로켓의 첫 번째 성공적인 착륙은 2015년에 이루어졌다.

팰컨 9은 반복적인 설계를 통해 성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멀린 엔진 개선 및 로켓 1단과 2단의 길이 연장 등 여러 업그레이드를 거쳤다. 2015년 팰컨 9 풀 스러스트 버전이 도입된 이후, 1단 로켓을 회수하지 않고 소모할 경우 지구 저궤도(LEO)로 22800kg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추게 되어 대형 발사체로 분류된다.[54] 정지 천이 궤도(GTO)로는 풀 스러스트(FT) 버전 기준 8300kg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다.[54]

2021년에는 팰컨 9 발사체 하나로 143개의 위성을 동시에 궤도에 진입시키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7] 2010년 첫 비행 이후 92회 이상 발사되었으며(소스 기준 시점), 현재도 활발하게 사용 중인 발사체이다.

3. 2. 프로톤-M (러시아, 흐루니체프)

러시아의 흐루니체프에서 제작한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 1967년부터 사용된 프로톤-K 로켓의 개량형으로, 2001년에 처음 발사되었다. 지구 저궤도(LEO)로 최대 23000kg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으며,[55] 정지 천이 궤도(GTO)로는 최대 6920kg까지 발사할 수 있다.[56][57]

프로톤-M은 102회 발사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에도 운용 중인 러시아의 주요 발사체 중 하나이다. 오랜 기간 러시아 우주 발사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왔으나,[4] 향후 안가라 A5 로켓으로 대체될 예정이며 점차 퇴역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4]

3. 3. 앙가라 A5 (러시아, 흐루니체프)

앙가라 A5는 러시아흐루니체프사가 개발한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 기존의 프로톤 로켓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러시아는 점차 프로톤 대신 앙가라 A5를 주력 발사체로 사용할 계획이다.[4] 2014년에 첫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1회 발사 기록을 가지고 현재 운용 중이다.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구분내용
제작 국가러시아
제작사흐루니체프
LEO 발사 중량24500kg[58]
GTO 발사 중량5400kg[58]
GEO 발사 중량2800kg[58]
발사 횟수1회
최초 비행2014년
현황사용 중


3. 4. 창정 5호 (중국, CALT)

창정 5호중국의 CALT가 개발한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 2016년에 첫 비행을 시작했으며, 현재 운용 중이다.[59] 창정 로켓 시리즈 중 가장 강력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LEO에 22800kg, GTO에 13000kg의 탑재체를 올릴 수 있다.[59] 초고성능 추진제가 아닌 액체 추진제를 사용하는 중국 발사체라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6]

3. 5. 벌컨 센타우르 (미국, ULA)

벌컨 센타우르(Vulcan Centaur)는 미국의 ULA가 기존의 델타 IV아틀라스 V 로켓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발사체이다. 2024년에 도입되었으며, 단일의 더 넓은 코어와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는 SRB(Solid Rocket Booster)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LEO로 최대 40000kg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성능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3. 6. 팰컨 헤비 (미국, 스페이스X)

팰컨 헤비미국의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가 개발한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 이는 스페이스X의 주력 발사체인 팰컨 9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델타 IV 헤비와 유사하게 3개의 팰컨 9 1단 부스터 코어를 묶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팰컨 헤비는 측면 부스터 2개와 달리 중앙 코어의 구조를 강화하여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8]

팰컨 헤비는 2017년에 성공적으로 첫 비행을 마쳤다. 발사 당시, 2022년 NASA의 SLS가 등장하기 전까지 현존하는 운용 가능한 로켓 중 가장 강력한 성능을 자랑했다.[8]

팰컨 헤비는 발사 시 부스터 회수 여부에 따라 성능과 분류가 달라진다. 중앙 코어와 양쪽 측면 부스터를 모두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재사용 모드'로 발사할 경우 대형 리프트 발사체로 분류된다. 반면, 중앙 코어나 3개의 부스터 모두를 회수하지 않고 소모하는 '소모 모드'로 발사할 경우, LEO로 보낼 수 있는 최대 탑재량이 50ton을 넘어서게 되어 초대형 발사체로 분류된다.[8] 이러한 특징 덕분에 팰컨 헤비는 발사하는 위성의 무게나 목표 궤도 등 임무의 성격에 따라 최적화된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4. 개발 중인 발사체

현재 여러 국가 및 민간 기업에서 차세대 대형 리프트 발사체를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 미국의 ULA는 LEO 기준으로 40000kg의 탑재량을 목표로 하는 벌컨을 개발 중이다.

또한, 미국의 민간 우주 기업 블루 오리진이 개발하는 뉴 글렌, ESA 주도로 개발되는 아리안 6 등도 대표적인 차세대 대형 리프트 발사체 프로젝트이다. 이 외에도 인도,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여러 국가와 민간 기업에서 다양한 성능의 대형 및 초대형 발사체 개발을 진행하며 우주 발사체 기술 경쟁에 참여하고 있다.

4. 1. 뉴 글렌 (미국, 블루 오리진)

뉴 글렌(New Glenneng)[27]미국블루 오리진에서 개발 중인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 지구 저궤도 (LEO) 기준으로 45000kg의 탑재량을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28] 첫 발사는 2024년으로 예정되어 있다.[29]

4. 2. 아리안 6 (유럽, 아리안그룹)

아리안 6(Ariane 6)는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했던 아리안 5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 중인 유럽의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30] ESA가 주관하고 아리안그룹(ArianeGroup)이 제작을 맡고 있으며, 프랑스가 개발을 주도하고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 오스트리아, 스위스, 스웨덴 등 여러 유럽 국가들이 참여하고 있다.

아리안 6의 주요 모델 중 하나인 A64 버전은 LEO까지 21650kg의 탑재체를 운반할 수 있는 성능을 목표로 설계되었다.[30] 현재 개발 단계에 있으며, 첫 발사는 2025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4. 3. HLV, SHLV (인도, ISRO)

인도인도우주연구기구(ISRO)는 현재 대형 발사체(HLV, Heavy Lift Launch Vehicle)와 초대형 발사체(SHLV, Super Heavy Lift Launch Vehicle)를 개발하고 있다. 이 발사체들의 구체적인 발사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발사체제조사LEO 탑재량 (kg)예상 발사 시기
HLV인도우주연구기구20,000미정
SHLV인도우주연구기구41,300[31]미정


4. 4. 주췌-3 (중국, 랜드스페이스)

중국의 민간 우주 기업인 랜드스페이스에서 개발 중인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 지구 저궤도(LEO)까지 21000kg의 탑재체를 운반할 수 있는 성능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으며[32], 첫 발사는 2025년으로 예상된다.

4. 5. 그래비티-2 (중국, 오리엔스페이스)

그래비티-2(Gravity-2영어)는 중국의 민간 우주 기업인 오리엔스페이스가 개발하고 있는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 LEO로 최대 25600kg[33]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2025년에 첫 발사가 예정되어 있다.

4. 6. 테란 R (미국, 렐러티비티 스페이스)

테란 R은 미국의 렐러티비티 스페이스가 개발 중인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 저궤도(LEO)로 33500kg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2026년에 첫 발사가 예정되어 있다.[34]

4. 7. 앙가라-A5V (러시아, 흐루니체프)

앙가라-A5V(Ангара-А5Вrus)는 러시아의 흐루니체프와 폴리오트 생산 공사가 개발 중인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 이 발사체는 기존의 앙가라 A5 로켓을 개량한 모델로, 저궤도(LEO)로 38000kg의 탑재체를 운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 발사는 2027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4. 8. H3 헤비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

H3 헤비(H3 Heavy)는 일본미쓰비시 중공업이 개발 중인 H3 (로켓)의 개량형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 지구 저궤도(LEO)로 28300kg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35] 첫 발사는 2030년으로 예상된다.

5. 퇴역한 발사체

과거에 운용되었으나 현재는 퇴역한 주요 대형 리프트 발사체는 다음과 같다. 각 발사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발사체제작 국가제작자발사 중량
LEO
발사 중량
기타 궤도
발사 횟수최초 비행일최후 비행일
델타 IV 헤비미국ULA28790kg[60]14220kg (GTO)[60]16회2004년2024년
아리안 5유럽에어버스21000kg[61]10865kg (GTO)[61]99회1996년2023년
새턴 IB미국크라이슬러
맥도넬 더글러스
21000kg[62]9회1966년1975년
프로톤-K소련
러시아
흐루니체프22776kg311회1967년2012년
우주왕복선미국ULA
티오콜
ATK
보잉
마틴 마리타
로크웰
27500kg3810kg (GTO)135회1981년2011년
타이탄 IV미국록히드마틴21680kg[63]39회1989년2005년


5. 1. 새턴 IB (미국, 크라이슬러/맥도넬 더글러스)

새턴 IB는 미국크라이슬러와 맥도넬 더글러스가 제작한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 지구 저궤도(LEO)로 최대 21000kg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성능을 가졌다.[62] 총 9회 발사되었으며, 1966년에 첫 비행을 시작하여 1975년 마지막 비행을 끝으로 은퇴하였다.

5. 2. 프로톤-K (소련/러시아, 흐루니체프)

프로톤-K는 소련 시절 흐루니체프에서 개발한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 본래 대형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로 설계되었으며[4], 1960년대에 등장한 초기 대형 리프트 발사체 중 하나로 꼽힌다.[4]

1967년 첫 비행을 시작으로 2012년 마지막 비행까지 총 310회의 발사가 이루어졌다.[38] 지구 저궤도(LEO)로 최대 22776kg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었으며[36], 정지 천이 궤도(GTO) 또는 정지 궤도(GSO)에는 4723kg, 고궤도(HEO) 이상으로는 6220kg까지 탑재 가능했다.

프로톤-K는 현재 은퇴하였으며, 후속 모델인 프로톤-M이 운용되다가 점차 안가라 A5로 대체될 예정이다.

5. 3. 우주왕복선 (미국, ULA 외)

미국에서 개발한 우주왕복선은 대형 리프트 발사체였다. ULA, 티오콜, ATK, 보잉, 마틴 마리타, 로크웰 등 여러 기업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지구 저궤도(LEO)로 최대 27500kg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었으며, 정지 천이 궤도(GTO)로는 3810kg까지 수송 가능했다. 1981년 첫 비행을 시작으로 총 135회 발사되었으며, 2011년에 최종적으로 은퇴하였다.

5. 4. 타이탄 IV (미국, 록히드마틴)

미국의 록히드마틴이 제작한 대형 리프트 발사체이다.[63] 미국 공군우주왕복선 발사를 보완하기 위해 타이탄 IV를 운용하였다.[5] 이 발사체는 기존의 타이탄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및 발사체 계열에서 파생되었으며, 고체 로켓 부스터(SRB) 추가, 동체 연장, 선택적 3단 추가 등의 개량을 거쳤다.[5] 지구 저궤도(LEO)로 최대 21680kg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었다.[63] 1989년 첫 비행을 시작으로 총 39회 발사되었으며, 2005년에 퇴역하였다.[63]

5. 5. 아리안 5 ECA/ES (유럽, 아리안그룹)



유럽아리안 5 로켓은 1996년에 처음 발사되어 주로 상업용 위성을 GTO로 운반했다. 이 로켓은 에어버스에서 제작했고, LEO로는 21000kg, GTO로는 10865kg의 탑재체를 운반할 수 있는 성능을 가졌다.[61]

아리안 5는 프랑스기아나에 위치한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발사되었는데, 이곳은 적도에 가까워 GTO 임무 수행에 유리했다. 종종 한 번의 발사로 여러 개의 위성을 동시에 궤도에 올렸으며, 상업용 탑재체를 GTO로 운반하는 데 있어 질량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총 99회의 발사를 기록한 아리안 5는 2023년 마지막 비행을 끝으로 은퇴했다.

5. 6. 델타 IV 헤비 (미국, ULA)

델타 IV 헤비미국 공군(USAF)이 우주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 1994년 시작한 진화형 소모성 발사체(EELV) 프로그램의 결과로 개발된 델타 IV 발사체의 파생형이다.[5] 이 발사체는 3개의 공통 부스터 코어를 1단으로 묶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5] 연합 발사 얼라이언스(ULA)가 제작 및 운용을 담당했다.

제작 국가제작자발사 중량
(LEO)
발사 중량
(GTO)
발사 횟수현황최초 비행일최후 비행일
미국ULA28790kg[60]14220kg[60]16회은퇴2004년2024년



델타 IV 헤비는 2004년 첫 비행 이후 총 16회 발사되었으며, 2024년 마지막 발사를 끝으로 은퇴했다. ULA는 델타 IV의 후속 기종으로 벌컨 켄타우루스를 도입했다.

참조

[1] 서적 Great Russian Encyclopedia https://bigenc.ru/te[...] Great Russian Encyclopedia 2021-06-09
[2] Webarchive NASA Space Technology Roadmaps – Launch Propulsion Systems, p.11 http://www.nasa.gov/[...] 2016-03-24
[3] 웹사이트 What Is a Heavy Lift Launch Vehicle? http://www.nasa.gov/[...] NASA 2014-08-27
[4] 웹사이트 Proton Rocket: Russian Workhorse https://www.space.co[...] 2024-12-17
[5] 웹사이트 Lockheed Martin Titan IV Rocket https://www.national[...] 2024-12-17
[6] 웹사이트 Launch of China Heavy Rocket a success; Continues its Roadmap to Moon & Beyond https://www.techtime[...] 2024-12-17
[7] 웹사이트 SpaceX launches 143 satellites on one rocket in record-setting mission https://www.cnn.com/[...] 2021-01-24
[8] 웹사이트 SpaceX’s Falcon Heavy rocket, world’s most powerful rocket, launches after three-year hiatus https://www.cnn.com/[...] 2024-12-17
[9] 웹사이트 Long March 5B launch clears path for Chinese space station project https://spacenews.co[...] 2020-06-05
[10] 웹사이트 长五B火箭打赢空间站建造关键之战 http://www.xinhuanet[...] 新华网 2022-07-26
[11] 웹사이트 China launches large classified optical satellite towards geostationary orbit https://spacenews.co[...] SpaceNews 2024-03-13
[12] 웹사이트 Historic journey from Chang'e 6 lifts off https://www.cnsa.gov[...] 2024-05-03
[13] 웹사이트 Proton Launch System Mission Planner's Guide – Section 2. LV Performance http://www.ilslaunch[...] International Launch Services 2017-06-11
[14] 웹사이트 Nauka science module launches to ISS https://www.nasaspac[...] 2021-08-13
[15] 웹사이트 ViaSat 1 http://space.skyrock[...] 2017-06-11
[16] 웹사이트 ExoMars Trace Gas Orbiter (TGO) http://exploration.e[...] European Space Agency 2014-03-08
[17] 웹사이트 Spaceflight101, Angara-a5 http://spaceflight10[...] 2015-12-22
[18] 웹사이트 The cargo was delivered to orbit: the launch of the "Angara" was carried out in the normal mode. (In Russian) https://www.vesti.ru[...] 2020-12-14
[19] 웹사이트 Capabilities & Services (2016) http://www.spacex.co[...] SpaceX 2012-11-28
[20] 간행물 Falcon 9 launches to orbit 56 Starlink satellites—weighing in total more than 17.4 metric tons—marking the heaviest payload ever flown on Falcon 2023-01-27
[21] 뉴스 Record-setting commercial satellite awaits blastoff from Cape Canaveral https://spaceflightn[...] Spaceflight Now 2018-07-21
[22] 웹사이트 Capabilities & Services | SpaceX http://www.spacex.co[...] 2016-05-03
[23] 웹사이트 Arabsat 6A https://space.skyroc[...] 2019-04-13
[24] 웹사이트 Liftoff! NASA’s Europa Clipper Sails Toward Ocean Moon of Jupiter https://www.jpl.nasa[...] 2024-11-04
[25] 간행물 United Launch Alliance Building Rocket of the Future with Industry-Leading Strategic Partnerships https://www.ulalaunc[...] United Launch Alliance 2018-09-28
[26] 웹사이트 Certification Flight 2 https://nextspacefli[...] 2024-12-16
[27] 웹사이트 New Glenn https://www.blueorig[...] 2024-04-19
[28] 웹사이트 Eutelsat first customer for Blue Origin's New Glenn http://spacenews.com[...] 2017-03-08
[29] 간행물 For what it's worth: a NASA presentation at a COSPAR planetary protection meeting this morning listed a Sept. 29 launch date for ESCAPADE, the Mars orbiter smallsat mission flying on Blue Origin's New Glenn 2024-04-24
[30] 웹사이트 Ariane 6 User's Manual Issue 1 Revision 0 http://www.arianespa[...] Arianespace 2018-05-27
[31] 웹사이트 ULV http://www.b14643.de[...] 2021-01-06
[32] 웹사이트 China's Landspace conducts first VTVL test for reusable stainless steel rocket https://spacenews.co[...] 2024-03-29
[33] 웹사이트 Orienspace breaks Chinese commercial launch records with Gravity-1 solid rocket https://spacenews.co[...] 2024-01-11
[34] 웹사이트 Relativity Space is moving on from the Terran 1 rocket to something much bigger https://arstechnica.[...] 2023-04-12
[35] 웹사이트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ulls upgraded H3 rocket variants for lunar missions https://spacenews.co[...] 2021-01-06
[36] 웹사이트 ГКНПЦ имени М.В.Хруничева {{!}} Служебный модуль «Звезда» http://www.khruniche[...] 2021-01-06
[37] 웹사이트 Proton https://sma.nasa.gov[...] 2024-12-20
[38] 웹사이트 Proton Data Sheet http://www.spacelaun[...] 2021-01-06
[39] 웹사이트 The Recent Large Reduction in Space Launch Cost https://ntrs.nasa.go[...] 2024-12-17
[40] 웹사이트 Magellan https://science.nasa[...] 2024-12-21
[41] 웹사이트 astronautix.com, Titan IV http://www.astronaut[...]
[42] 서적 Satellites Missions and Technologies for Geosciences 2021-05-18
[43] 웹사이트 Ariane 5 Users Manual, Issue 4, P. 39 (ISS orbit) http://www.arianespa[...] Arianespace 2007-11-13
[44] 웹사이트 Lanzamiento del ATV-5 Georges Lemaître (Ariane 5 ES) http://danielmarin.n[...] 2014-07-30
[45] 웹사이트 Ariane Flight VA255 https://www.arianesp[...] 2021-11-04
[46] 웹사이트 Webb https://www.esa.int/[...] 2021-12-27
[47] 웹사이트 Delta IV Launch Services User's Guide, June 2013 http://www.ulalaunch[...] United Launch Alliance 2013-06
[48] 웹사이트 NASA Orion Exploration Flight Test-1 PRESS KIT http://www.nasa.gov/[...] NASA 2014-12
[49] 문서 https://www8.cao.go.[...]
[50] 웹사이트 TELESCOPE Magazine {{!}} 인터뷰 {{!}} 次世代の主力大型ロケット「H3」 https://www.tel.co.j[...] 2022-11-30
[51] 웹사이트 JAXA {{!}} H3ロケット https://www.jaxa.jp/[...] 2022-11-30
[52] 웹사이트 【追記あり】中国大型ロケット「長征5号B」コアステージは日本時間11月4日夜に再突入 https://sorae.info/s[...] 2022-11-30
[53] 뉴스 Russian Space Agency Plans World’s Biggest Rocket http://en.ria.ru/rus[...] RIA Novosti 2014-01-28
[54] 웹인용 Capabilities & Services https://www.spacex.c[...] 2018-08-08
[55] 웹인용 Proton Launch System Mission Planner’s Guide http://www.ilslaunch[...] 2018-08-07
[56] 문서 초속 1.8km일 때
[57] 문서 초속 1.5km일 때
[58] 웹인용 Angara A5 http://spaceflight10[...] 2018-08-08
[59] 웹인용 China conducts Long March 5 maiden launch https://www.nasaspac[...] 2016-11-03
[60] 웹인용 Gallery https://www.ulalaunc[...] 2018-08-07
[61] 웹인용 Ariane 5 http://www.arianespa[...] 2018-08-07
[62] 웹인용 Entering the Race to the Moon: Autobiography of an Apollo Rocket Scientist https://books.google[...] 2018-08-08
[63] 웹인용 Titan IV http://www.astronaut[...] 2018-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