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샤오핑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덩샤오핑 이론은 덩샤오핑이 주창한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핵심 이론으로, 경제적으로는 시장 경제를 도입하되 정치적으로는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흑묘백묘론과 실용주의를 바탕으로, 공산주의의 기본 정신, 인민민주독재, 공산당의 지도력을 유지하며,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확립하고자 했다. 개혁개방 정책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으며, 중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끌어 '중국 경제 기적'을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덩샤오핑 이론은 중국 공산당 헌법과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에 반영되었으며, 장쩌민의 세 가지 대표 사상, 후진타오의 과학적 발전관, 시진핑의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으로 이어지며 현대 중국의 주요 이념적 기반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공산당의 이념 - 마르크스-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레닌과 후계자들이 재해석하고 발전시킨 이념으로, 생산수단의 공동소유와 계급투쟁을 중시하며 공산당 주도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평등 사회를 목표로 했으나, 권위주의 통치, 냉전, 소련 붕괴 등으로 영향력이 감소했고 현재 일부 국가에서만 권력을 유지하며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중국공산당의 이념 - 과학적 발전관
과학적 발전관은 후진타오가 제시한 중국 공산당의 통치 이념으로, 인민 중심의 지속가능한 전면적 발전을 추구하며 경제 발전, 사회적 형평성, 환경 보전을 중시하는 포괄적인 발전 개념이다. - 덩샤오핑 - 국공 내전
국공 내전은 1927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무력 충돌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분단으로 이어진 중요한 사건이다. - 덩샤오핑 - 자오쯔양
조자양은 중국 공산당 지도자로서 1980년대 중국 경제 개혁과 개방 정책을 주도하며 중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1989년 톈안먼 사건으로 인해 정치적으로 몰락하여 가택 연금 생활을 하였고 사후 복권되지 못했다. - 자본주의 - 민간 부문
민간 부문은 이윤 추구를 목표로 하는 경제 주체들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국가 경제 체제에 따라 비중과 역할이 다르며, 고용 창출의 원천이 되지만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여 국가의 규제를 받는다. - 자본주의 - 자유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는 국민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한 대의 민주주의 체제로, 선거로 선출된 대표가 권력을 행사하며 입헌주의에 따라 기본권이 보장되지만, 다수의 횡포나 금권 정치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덩샤오핑 이론 | |
---|---|
이념적 기반 | |
핵심 이념 | 마르크스-레닌주의 |
관련 이념 | 모택동 사상, 세 가지 대표론, 과학적 발전관, 일국양제, 습근평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
주요 내용 | |
특징 | 중국 특색 사회주의 건설 및 개혁 개방을 위한 이론적 기반 |
핵심 원칙 | 경제 건설을 중심으로 추진 사회주의 시장 경제 체제 도입 개혁 개방 정책 추진 실사구시적 태도 견지 |
목표 |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 건설 |
주요 정책 | |
개혁 개방 | 대외 개방 정책 추진 및 선부론 주장 |
경제 정책 | 시장 경제 원리를 도입한 사회주의 시장 경제 체제 확립 |
주요 인물 | |
제창자 | 덩샤오핑 |
영향 | |
중국 | 중국의 개혁개방과 경제 성장의 토대 마련 |
국제 관계 | 중국의 대외 관계 및 국제 사회에서의 역할 증대 |
기타 | |
로마자 표기 | Dèng Xiǎopíng Lǐlùn |
2. 역사
덩샤오핑 이론은 대약진 운동과 문화대혁명으로 피폐해진 중국 경제를 재건하고, 마오쩌둥 사후 권력 투쟁에서 승리한 덩샤오핑이 집권하면서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덩샤오핑은 국내 안정을 경제 발전의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그는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이라며 "안정적인 환경 없이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고, 심지어 얻은 것을 잃을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12] 그는 "안정은 개혁과 발전의 기본 전제"라고 덧붙였다.[12]
덩샤오핑은 중국이 사회주의를 달성하고 서구 자본주의와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경제에 시장 요소와 자본주의의 측면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6] 그러나, 덩샤오핑은 이러한 시장 요소의 도입이 국가의 통제하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17] 덩샤오핑의 생각에 따르면, 계획, 생산, 유통과 같은 시장 특성은 사회주의로 해석될 수 있었다.[17]
덩샤오핑은 주은래가 1963년에 제시하고 1976년 이후 화궈펑이 이어받은 4대 현대화 개념, 즉 중국의 농업, 산업, 국방, 과학 기술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발전시켰다.[18] 덩샤오핑주의자들은 토지, 은행, 원자재 및 전략적 중앙 산업의 국유화를 유지하면서도, 완제품 및 서비스 산업에서는 사유 재산을 허용하고 장려했다.[19][20][21] 덩샤오핑주의 이론에서 사기업 소유주는 부르주아지가 아니라 민영 기업이라고 불렸다.[22]
2. 1. 개혁개방 초기
1978년, 덩샤오핑은 개혁개방 정책을 시작하며 실사구시를 강조하고 흑묘백묘론을 제시하여 실용주의 노선을 천명했다.[37] "흰 고양이건 검은 고양이건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말은 자본주의든 공산주의든 상관없이 중국 인민을 잘 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였다.[37]덩샤오핑은 국내 안정을 경제 발전의 중요 요소로 보았고, "안정적인 환경 없이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고, 심지어 얻은 것을 잃을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12]
화궈펑의 4대 현대화를 계승, 발전시켜 농업, 산업, 국방, 과학기술 분야의 발전을 추구했다.[18] 덩샤오핑은 레닌의 신경제정책에서 영감을 얻어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발전시켜, 사회주의 시스템의 개선과 발전을 목표로 했다.[11]
덩샤오핑은 "생산력을 끊임없이 발전시켜야만 국가가 점차 강하고 번영하며 생활 수준이 향상될 수 있다"고 믿었다.[15] 그는 사회주의가 가난한 상태로 남아 있어서는 안 되며, 마르크스주의 사상 체계와 사회주의 체계가 자본주의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13]
덩샤오핑은 이념적 통일을 유지하기 위해 중국 공산당이 지켜야 할 "4대 기본 원칙"을 제시했다.[23][24]
덩샤오핑은 소련의 스탈린 시대나 북한 등에서 나타난 개인 숭배에 대해 매우 강하게 반대했다.[26][27]
2. 2. 사회주의 시장경제 확립
1992년, 덩샤오핑은 중국 남부를 순방하며(南巡중국어[25]) 개혁개방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개방" ()을 외쳤는데, 이는 오늘날까지 중국 경제 발전의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25]덩샤오핑은 “먼저 부유해질 수 있는 일부 사람들은 마음껏 부유해져도 좋다”는 선부론을 제시하며, 마오쩌둥과 화궈펑 시기의 평등주의적 노선과 차별화를 꾀했다. 그는 사회주의 정치 지배는 유지하면서도, 시장경제와 자유무역을 중시하는 경제 정책을 펼쳤다. 이는 기존의 사회주의 중심론과는 다른 성격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중국 국내, 특히 보수층의 반발을 샀으나, 덩샤오핑은 4대 기본 원칙을 고수하며 시장경제를 도입하는 덩샤오핑 이론을 확립했다.
장쩌민은 덩샤오핑 이론을 계승하여 “생산력·문화·인민의 이익”을 중시하는 세 가지 대표 사상을 제시했다. 이러한 사상들은 현재 중국의 행동 지침이 되고 있다.
3. 주요 내용
덩샤오핑 이론은 레닌의 신경제정책에서 영감을 받아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를 발전시켜 중국 내 사회주의 건설을 장려했다.[11] 이는 중국의 경제 개혁 정책을 통해 사회주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11] 덩샤오핑은 기존의 폐쇄적인 경제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개방적인 시스템으로 바꾸는 것을 제안했다.[11]
덩샤오핑은 중국이 사회주의를 달성하고 서구 자본주의와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경제에 특정 시장 요소와 자본주의의 측면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6] 그러나 그는 이러한 요소들의 사용을 국가가 통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17] 덩샤오핑의 생각에 따르면, 이렇게 빌려온 원칙들은 중국의 현대화를 사회주의 국가로 더 자유롭게 해석할 수 있게 해주었다. 여기에는 계획, 생산, 유통과 같은 시장 특성이 포함되는데, 이는 사회주의로 해석될 수 있다.[17]
이념적 통일을 위해 덩샤오핑 이론은 중국 공산당이 지켜야 할 4대 기본 원칙을 제시했다.[23][24]
1992년, 덩샤오핑은 중국 남부를 순방하며 "개방"()을 강조했고, 이는 오늘날까지 중국 경제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25]
덩샤오핑주의자들은 스탈린 시대 소련, 쿠바, 북한에서 나타났던 어떤 형태의 인격숭배에도 매우 강력하게 반대한다.[26][27]
3. 1. 흑묘백묘론과 실용주의
黑猫白猫论중국어은 흰 고양이든 검은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뜻으로, 덩샤오핑의 실용주의 노선을 대표하는 말이다. 덩샤오핑은 이념 논쟁보다는 인민 생활 수준 향상과 국가 발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37] 그는 "시장 경제냐 아니냐가 아니라 인민들이 잘 먹고 잘 사느냐가 사회주의냐 아니냐의 핵심"이라고 주장하며, 자본주의든 공산주의든 상관없이 중국 인민을 잘 살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37]덩샤오핑은 국내 안정을 경제 발전의 핵심 요소로 보았다. 그는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이라며 "안정적인 환경 없이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고, 심지어 얻은 것을 잃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12]
덩샤오핑은 개혁 개방 기간 동안 "빈곤한 사회주의"와 "빈곤한 공산주의"를 추구하고 공산주의가 "정신적인 것"이라고 믿는 문화 대혁명의 이데올로그들을 비판했다.[13] 그는 "사회주의가 가난한 상태로 남아 있다면 지속될 수 없다"고 주장하며,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의 우월성을 증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13]
덩샤오핑은 경제 생산을 강조하는 생산력 이론에 따라 중국 경제 성장을 크게 이루었다. 그는 중국 지도부가 (i) 중국 경제의 현대화 촉진, (ii) 중국 공산당의 이념적 통일과 현대화에 필요한 개혁에 대한 통제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에 직면했다고 보았다.[14] 그는 "생산력을 끊임없이 발전시켜야만 국가가 점차 강하고 번영하며 생활 수준이 향상될 수 있다"고 믿었다.[15]
덩샤오핑은 당시 국제 질서에서 중국의 고립과 낙후된 경제 상황 때문에, 사회주의를 달성하고 서구 자본주의와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경제에 특정 시장 요소와 자본주의의 측면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6] 그는 주은래가 제시하고 화궈펑이 추진한 4대 현대화 개념을 통해 농업, 산업, 국방, 과학 기술을 개선하고자 했다.[18]
덩샤오핑주의자들은 토지, 은행, 원자재 및 전략적 중앙 산업의 국유화가 필요하다고 믿지만, 완제품 및 서비스 산업에서는 사유 재산이 허용되고 장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9][20][21] 덩샤오핑주의 이론에서 사기업 소유주는 부르주아지가 아니라 민영 기업가로 불린다.[22]
덩샤오핑 이론은 이념적 통일을 위해 중국 공산당이 지켜야 할 "4대 기본 원칙"을 제시했다.[23][24]
1992년, 덩샤오핑은 중국 남부를 순방하며 "개방"()을 강조했고, 이는 오늘날까지 중국 경제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25]
덩샤오핑은 “먼저 부유해질 수 있는 일부 사람들은 마음껏 부유해져도 좋다”는 선부론을 중심으로 개혁개방을 실행했다. 이는 마오쩌둥과 화궈펑의 평등주의적 노선과는 다른 것이었다. 시장경제와 자유무역을 중시한 이 이론은 기존의 중화인민공화국의 사회주의 중심론과는 성격이 달랐기 때문에 당시 중국 국내, 특히 보수층의 반발이 많았다.
장쩌민의 “세 가지 대표” 사상과 사회주의 초급 단계론 등과 함께 현재 중국의 행동 지침이 되고 있다.
3. 2. 선부론
"부유할 수 있는 사람부터 먼저 부유해져라"라는 선부론은 덩샤오핑이 개혁개방 초기에 제시한 경제 정책 방향이다.[39]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 등으로 피폐해진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1978년 덩샤오핑은 '선부론'을 기본 원칙으로 제시하였다.[40] 이는 일부 지역과 개인이 먼저 성장하면, 그 성장이 다른 지역과 개인의 발전을 이끌 수 있다는 논리였다.덩샤오핑은 마오쩌둥·화궈펑의 평등주의적인 노선과 달리, 경제에 시장경제와 자유무역을 중시하고, 사회주의적인 정치 지배는 유지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러한 정책은 기존의 중국의 사회주의 중심론과는 다른 것이었기에, 당시 중국 국내, 특히 보수층의 반발이 많았다.
그러나 개혁개방 이후, 선부론을 앞세워 자본주의를 받아들였지만, 이는 국민에게 분배되지 못하고 빈부격차를 심화시켰다는 비판을 받는다.[41]
장쩌민의 “생산력·문화·인민의 이익”을 중시하는 “세 가지 대표” 사상과 사회주의 초급 단계론 등과 함께 현재 중국의 행동 지침이 되고 있다.
3. 3. 사회주의 시장경제
덩샤오핑은 사회주의 국가에도 시장 경제가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8] 그는 자본주의 국가에도 계획 경제가 존재하듯이, 사회주의 국가에서도 시장 경제가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덩샤오핑의 주장은 사회주의 시장경제라는 개념으로 이어졌다.덩샤오핑은 레닌의 신경제정책에서 영감을 받아,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건설을 장려했다. 이는 중국의 경제 개혁 정책을 통해 사회주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11]
덩샤오핑은 시장경제의 요소와 자본주의의 측면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6] 그러나, 그는 국가가 이를 통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17]
덩샤오핑 이론에 따르면, 4대 현대화를 통해 농업, 산업, 국방, 과학 기술을 개선하며, 동시에 토지, 은행, 원자재 및 전략적 중앙 산업의 국유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19][20][21] 그러나, 완제품 및 서비스 산업에서는 사유 재산이 허용되고 장려된다.[19][20][21]
덩샤오핑은 국내 안정을 경제 발전의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그는 "안정은 개혁과 발전의 기본 전제"라고 강조했다.[12]
그러나, 일부 자유주의 성향의 학자들은 중국의 노동 인권이나 경제적인 상황을 봤을 때,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사회주의가 아니라 국가자본주의의 한 형태라고 비판한다.
3. 4. 4대 기본 원칙
덩샤오핑은 중국 공산당의 지도력과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4대 기본 원칙을 제시했다.[23][24]4대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사대원칙을 고수하면서도 시장경제를 중시한 이 이론은 기존의 중화인민공화국의 사회주의 중심론과는 성격이 다른 것이었다. 따라서 당시 중국 국내, 특히 보수층의 이 이론에 대한 반발이 많았다.
4. 마오쩌둥 사상과의 관계
덩샤오핑 이론은 "마오쩌둥 사상에도 모순이 존재한다"고 주장하여 마오 주석을 무조건적으로 추종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마오쩌둥 사상의 계급 투쟁 중심 관점을 경제 발전에 장애가 된다는 이유로 경시했다.[28] 그러나 이 이론은 공산주의, 무산계급 독재, 중국 공산당의 지도, 마르크스-레닌주의, 그리고 마오쩌둥 사상을 옹호한다고 주장한다.[28] 이 관점에 따르면, 마오쩌둥 사상을 옹호한다는 것은 화궈펑 정부에서 보였듯이 마오쩌둥의 행동을 별다른 수정 없이 맹목적으로 모방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그렇게 하는 것은 "마오쩌둥 사상에 모순된다"는 것이다.[29]
학자 리처드 바움에 따르면, 덩샤오핑에게서 마오쩌둥의 접근 방식을 보여주는 증거는 거의 없다.[30] 덩샤오핑은 “먼저 부유해질 수 있는 일부 사람들은 마음껏 부유해져도 좋다”는 선부론을 중심으로 정책을 실행했다. 이는 마오쩌둥·화궈펑이 제창한 평등주의적인 노선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사회주의적인 정치 지배를 계속한다는 명분은 남겨두었지만, 시장경제와 자유무역을 중시한 이 이론은 지금까지의 사회주의 중심론과는 성격이 다른 것이다.
5. 평가와 영향
덩샤오핑 이론은 마오쩌둥 사상과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계승하고 발전시킨 이론으로, 장쩌민의 세 가지 대표 사상으로 이어졌다.[33] 1978년 제11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 3차 전체회의에서 중국 공산당의 주요 정책 지침으로 채택되었고, 1997년 당 헌법에 지도 이념으로,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에도 반영되었다.
제11차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 이후, 덩샤오핑 동지를 중심으로 한 중국 공산당은 신중국 건국 이후 긍정적, 부정적 경험을 모두 종합하고, 정신 해방과 사실로부터 진리를 구하는 원칙을 실행하며, 당의 업무 초점을 경제 발전으로 전환하고, 개혁과 개방을 도입하여 사회주의 사업 발전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으며,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건설에 관한 노선, 원칙, 정책을 점차 형성하고, 중국의 사회주의 건설, 강화, 발전에 관한 기본적인 문제를 설명하며, 덩샤오핑 이론을 창출하였다. 덩샤오핑 이론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기본 이론과 현대 중국의 실천 및 현재 시대의 특징을 통합한 산물이며, 새로운 역사적 조건하에서 마오쩌둥 사상의 계승과 발전이며, 중국에서 마르크스주의 발전의 새로운 단계이자 현대 중국의 마르크스주의이며, 중국 공산당의 집단적 지혜의 결정체로서 중국의 사회주의 현대화 사업을 꾸준히 앞으로 나아가도록 인도하였다.[35]
5. 1. 긍정적 평가
덩샤오핑 이론은 개혁개방을 통해 중국을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31] 30년 동안 연평균 8%가 넘는 GDP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명목 GDP 기준으로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이 되었다.[32] 사회주의 시장경제라는 독특한 경제 모델을 제시하여, 사회주의 국가의 경제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덩샤오핑의 이러한 사상은 베트남과 라오스 등 다른 사회주의 국가에도 영향을 주어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32]덩샤오핑은 "생산력을 끊임없이 발전시켜야만 국가가 점차 강하고 번영하며 생활 수준이 향상될 수 있다"고 믿었다.[15] 그의 관점에서 중국 지도부가 직면한 과제는 중국 경제의 현대화 촉진과 중국 공산당의 이념적 통일, 그리고 현대화에 필요한 개혁에 대한 통제 유지였다.[14]
5. 2. 부정적 평가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은 경제 성장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빈부격차를 심화시키고 사회 불평등 문제를 야기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 특히, 톈안먼 사건에서 보듯이 민주화 요구를 무력으로 진압하고 중국 공산당의 일당 독재 체제를 유지한 점은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았다.[1] 이러한 평가는 한국의 진보적 관점에서 더욱 비판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5. 3. 영향
덩샤오핑 이론은 중국을 국유 계획경제에서 사회주의 시장경제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중국 경제 기적"으로 알려진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31] 30년 동안 중국의 GDP 성장률은 연평균 8%를 넘었으며, 현재 중국은 명목 GDP 기준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이다. 덩샤오핑 사상의 영향으로 베트남과 라오스도 유사한 신념과 정책을 채택하여 라오스의 실질 GDP 성장률을 8.3%까지 증가시켰다.[32] 쿠바 또한 이러한 사상을 받아들이기 시작하고 있다.덩샤오핑 이론은 마오쩌둥 사상과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측면과 함께 장쩌민의 세 가지 대표 사상으로 계승되었다.[33] 이 이론은 2002년 중국 공산당 헌법에 추가되었으며,[34] 1978년 제11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 3차 전체회의 이후 중국 공산당의 주요 정책 지침으로 활용되었다. 1997년에는 공산당 헌법에 지도 이념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에도 반영되었다.
장쩌민이 주창한 “생산력·문화·인민의 이익”을 중시하는 “세 가지 대표” 사상과 사회주의 초급 단계론 등과 함께 현재 중국의 행동 지침이 되고 있다.
6. 관련 항목
참조
[1]
서적
Dilemmas of Reform in Jiang Zemin's China
https://books.google[...]
Lynne Rienner Publishers
1999
[2]
서적
Public Opinion and Political Change in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
[3]
백과사전
Marxism
SAGE Publications
2011
[4]
뉴스
The Years of Hardship and Danger
http://cpcchina.chin[...]
Peoples Daily China
2017-10-24
[5]
서적
Ideology and Economic Reform under Deng Xiaoping, 1978–1993
https://archive.org/[...]
Routledge
[6]
웹사이트
Carry out the policy of opening to the outside world and learn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from other countries
https://global.china[...]
2009-01-04
[7]
웹사이트
Ideological Foundation
http://english.cpc.p[...]
2009-01-04
[8]
학술지
How Xi Jinping Sees the World… and Why
https://www.brooking[...]
2016-02-00
[9]
학술지
Lièníng de xīn jīngjì zhèngcè yǔ dèngxiǎopíng de gǎigé kāifàng zhī bǐjiào
https://www.1xuezhe.[...]
2005
[10]
서적
The Chinese Dream: Educating the Future
Routledge
[11]
서적
Proceedings of the 2016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CSSTE 2016)
Atlantis Press
2016
[12]
서적
Police Reform in China
Routledge
2011
[13]
서적
The Southern Tour: Deng Xiaoping and the Fight for China's Future
Bloomsbury Academic
[14]
학술지
Is there an alternative to (capitalist) globalization? The debate about modernity in China
https://www.jstor.or[...]
1996
[15]
서적
China-India Relations in the Contemporary: World Dynamics of National Identity and Interest
Routledge
2016
[16]
뉴스
La construction de l'économie socialiste de marché
https://www.lemonde.[...]
2004-01-21
[17]
서적
China’s Economic Rise and Its Global Impact
Palgrave Macmillan US
2015
[18]
서적
A Histor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oover Institution Press
1988
[19]
뉴스
Selected Works of Deng Xiaopeng Volume 1 (1938–1965)
http://english.cpc.p[...]
[20]
뉴스
Selected Works of Deng Xiaopeng Volume 2 (1975–1982)
http://english.cpc.p[...]
[21]
뉴스
Selected Works of Deng Xiaopeng Volume 3 (1982–1992)
http://english.cpc.p[...]
[22]
웹사이트
Lìyǐníng: Mínyíng qǐyè jiā bùshì jiù zhōngguó zīběnjiā de yánxù shāngyè píndào
http://biz.163.com/0[...]
2020-10-03
[23]
서적
The Modern Chinese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Four Cardinal Principles'
http://www.china.org[...]
2021-01-10
[25]
학술지
Deng Xiaoping's southern tour: elite politics in post-Tiananmen China
1993
[26]
웹사이트
(Wǔ) dèngxiǎopíng duì gèrén chóngbài de pīpàn
http://book.people.c[...]
[27]
웹사이트
Dèngxiǎopíng bādà fāyán: Jiānchí mínzhǔ jízhōng zhì fǎnduì gèrén chóngbài
https://m.sohu.com/n[...]
[28]
서적
Mao and Markets: The Communist Roots of Chinese Enterprise
Yale University Press
2022
[29]
웹사이트
Hold high the banner of Mao Zedong Thought and adhere to the principle of seeking truth from facts
https://global.china[...]
2010-10-15
[30]
서적
Burying Mao: Chinese politics in the age of Deng Xiaopi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6
[31]
뉴스
China anniversary: How the country became the world's 'economic miracle'
https://www.bbc.co.u[...]
2021-10-28
[32]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33]
학술지
The Communist Party as Polity and the Chinese Party-State Constitutional Order
https://papers.ssrn.[...]
2021-11-07
[34]
서적
An Ideological Histor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Royal Collins
2020
[35]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http://www.china.org[...]
1997-09-18
[36]
웹인용
덩샤오핑(등소평) 이론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2020-11-30
[37]
웹인용
흑묘백묘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2020-11-30
[38]
웹사이트
중국의 개혁. 개방 - 중국 경제개혁의 총설계사 덩샤오핑
http://www.rfa.org/k[...]
[39]
서적
불멸의 이노베이터 덩샤오핑
[40]
웹인용
중국의 두 개의 100년, 광주의 새로운 100년
http://www.gwangnam.[...]
광남일보
2020-12-04
[41]
웹인용
‘사회주의’라는 中서 81조 巨富 탄생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0-1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