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마리오루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마리오루군은 1915년 일본이 사할린을 통치하면서 설치된 행정 구역이다. 고대부터 중세 시대까지 스즈야 문화, 오호츠크 문화, 삿분 문화가 번성했으며, 에도 시대에는 서 에조지에 속해 일본의 지배를 받았다. 1855년 러일 화친 조약 이후 러시아와 영토 분쟁을 겪었으며,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여 일본령이 되었다. 1945년 소련에 점령되어 소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라후토청의 군 - 시스카군
시스카군은 1915년에 발족하여 1945년 소련에 점령될 때까지 존재했던 사할린 섬의 군으로, 다양한 문화가 번성했으며, 몽골 제국과의 전투, 일본의 통치 등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 가라후토청의 군 - 에스토루군
1942년부터 1949년까지 존재했던 일본령 사할린의 에스토루군은 우시로군, 구슈나이군, 나요시군의 일부를 통합하여 설치되었으며 에스토루 지청 관할 하에 3개의 읍과 1개의 촌으로 구성되었으나 1945년 소련의 사할린 침공으로 점령당해 1949년 사할린청 폐지와 함께 소멸되었다. - 마오카 지청 - 모네론섬
모네론섬은 동해에 위치한 러시아 섬으로, 다이빙과 조류 관찰 명소이자 바닷새 서식지이며, 과거 아이누족에게 '토도모시리', 일본에게 '가이바토'로 불렸고 현재는 해양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발생지이기도 하다. - 마오카 지청 - 마오카정
마오카정은 일본 제국 시대 가라후토에 있던 정으로 러일 전쟁 후 일본의 통치하에 발전했으나, 1945년 소련군 점령 후 귀환선 출발지가 되었으며 현재는 유적과 관광 명소가 남아있다. - 가라후토청 - 시스카군
시스카군은 1915년에 발족하여 1945년 소련에 점령될 때까지 존재했던 사할린 섬의 군으로, 다양한 문화가 번성했으며, 몽골 제국과의 전투, 일본의 통치 등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 가라후토청 - 마오카정
마오카정은 일본 제국 시대 가라후토에 있던 정으로 러일 전쟁 후 일본의 통치하에 발전했으나, 1945년 소련군 점령 후 귀환선 출발지가 되었으며 현재는 유적과 관광 명소가 남아있다.
도마리오루군 | |
---|---|
개요 | |
정식 명칭 (일본어) | 泊居郡 (とまりおるぐん) |
로마자 표기 | Tomarioru-gun |
위치 | 가라후토청마오카 지청 |
비고 | 1949년 6월 1일, 소련에 의해 소멸 |
역사 | |
1945년 8월 | 소련군이 점령 |
1949년 6월 1일 |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서 소멸 |
행정 | |
군 관할 하의 정촌 | 도마리오루정 (泊居町) 나요리촌 (名寄村) 구슌나이촌 (久春内村) |
2. 역사
4세기 무렵 스즈야 문화가, 5세기 무렵부터 오호츠크 문화가 번성했다. 오호츠크 문화는 일본서기나 속일본기에 기술되어 있으며, 아스카 시대에 아베노 히라후와 교전한 숙신으로 추정된다.[1]
헤이안 시대 중기 (10세기)까지 삿분 문화가 이 지역으로 진출했다. 삿분 문화는 큰바다수리 깃털이나 물개 가죽 등의 교역품 확보를 목적으로 북상한 것으로 보이며, 아베 씨나 오슈 후지와라 씨 등 오슈의 호족이 관여했다. 왜인 사회로부터 철제품이나 식료품 등이 유입되면서, 삿분 문화에서 아이누 문화로의 전환이 일어났다.
스와 묘진 그림말에 따르면, 중세 가마쿠라 시대에 에미시의 자손을 자칭하는 에미시 관령・안토 씨가 에조(아이누)를 통괄[2][3]하여, 토사미나토를 거점으로 동해 북부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회선식목)[4][5]。
무로마치 시대에 안토 수군은 간토 면제선으로서 활동하며 일본산 물품을 에미시 사회에 공급했다. 또한 북방 산품을 대량으로 매입하여 전국에 유통시켰다 (13왕래)[7][8][9]。
에도 시대 도마리오루 군역은 서에조지에 속했으며, 조쿄 2년 소야 장소에 포함되었다. 간세이 2년 마쓰마에 번이 사할린 상업 장소(바쇼)를 백주에 개설했다. 막부도 사할린에 근무소를 설치했다.
1855년(안세이 2년) 러일 화친 조약으로 국경 획정이 연기되었다. 1857년(안세이 4년) 7월, 러시아군이 구슈나이(구춘내군 구춘내촌)로 이동한 후, 쿠스나이스키 초소(요새)를 건설하려는 사건이 발생했다(러시아 군함 쓰시마 점령 사건이나 제국주의, 남하 정책도 참조). 도마리오루군 지역으로의 침략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1867년 가라후토 잡거 조약으로 가라후토 전 섬이 러일 양국 공동 관리 지역이 되었다. 이후 가라후토-치시마 교환 조약으로 이곳은 러시아령이 되었다.[33]
1905년 (메이지 38년) 7월, 러일 전쟁 중 사할린 전투에서 일본군 제13사단이 사할린을 점령하였다. 9월 5일, 포츠머스 조약 체결에 의해 사할린 남부가 일본에 할양되었다.
1907년 (메이지 40년) 3월 14일 내무성 산하 조직 사할린청이 발족하였다.
1915년 (다이쇼 4년) 6월 26일 "사할린의 군 및 촌 편성에 관한 건" (다이쇼 4년 칙령 제101호)의 시행에 따라 행정 구역으로서 도마리오루 군이 발족하였다. 발족 당시에는 도마리오루 정, 오이테 촌, 나요시 촌의 1정 2촌이었다. (1정 2촌)
1923년 (다이쇼 12년) 4월 1일 오이테 촌이 도마리오루 정에 합병되었다. (1정 1촌)
1929년 (쇼와 4년) 7월 1일 사할린 정촌제의 시행에 따라, '''도마리오루 정''' (일급 정), '''나요시 촌''' (이급 촌)이 발족하였다.
1942년 (쇼와 17년) 11월, 구슌나이 군'''구슌나이 촌''' (이급 촌)의 소속 군이 본 군으로 변경되었다. (1정 2촌)
1945년 (쇼와 20년) 8월 22일 일소 중립 조약을 파기한 소련군의 사할린 침공 후, 소비에트 연방에 의해 점령되었다.
1949년 (쇼와 24년) 6월 1일 국가 행정 조직법의 시행으로 인해 법적으로 사할린 청이 폐지되면서, 같은 날 도마리오루 군은 소멸되었다.
2. 1. 고대 ~ 중세
4세기 무렵에는 스즈야 문화가, 5세기 무렵부터는 오호츠크 문화가 번성했다. 오호츠크 문화는 일본서기나 속일본기에 기술되어 있으며, 아스카 시대에 아베노 히라후와 교전한 숙신으로 추정된다. 삿분 문화가 진출하면서 오호츠크인은 사할린 남부에서 축출되었다.[1]이후, 왜인 사회에서 무사가 대두되기 시작한 헤이안 시대 중기(10세기)까지, 삿분 문화가 이 지역으로 진출했다. 삿분 문화는 화살깃이나 갑옷 등의 재료로 쓰이던 큰바다수리 깃털이나 물개 가죽 등의 교역품 확보를 목적으로 북상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유통에는 아베 씨나 오슈 후지와라 씨 등 오슈의 호족이 관여했다. 동시에 왜인 사회로부터 철제품이나 식료품 등의 생활 물자가 유입되면서, 삿분 문화에서 아이누 문화로의 전환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삿분 문화를 이끌던 이들은 아이누의 조상에 해당한다.
스와 묘진 그림말에 따르면, 중세 가마쿠라 시대에 에미시의 자손을 자칭하는 에미시 관령・안토 씨가 에조(아이누)를 통괄[2][3]하여, 토사미나토를 거점으로 동해 북부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회선식목)[4][5]。중세의 안토 씨는 육지의 호족이자 안도 수군을 이끌었고, 에미시 사회에서 소란이 있을 때에는 종종 쓰가루 해협 이북으로 출병했다.[6]
무로마치 시대에 안토 수군은 간토 면제선으로서 활동하며 일본산 물품을 에미시 사회에 공급했다. 또한 북방 산품을 대량으로 매입하여 전국에 유통시켰다 (13왕래)[7][8][9]。안토 씨는 오에이 연간에 "북해의 이적 동란"을 평정하고 '''일본 장군'''이라고 칭했다.
2. 2. 근세 (일본 에도 시대)
에도 시대 도마리오루 군역은 서에조지에 속했으며, 게이초 8년 소야의 역택이 관할했다. 조쿄 2년 소야 장소에 포함되었다. 이때 에조・사할린 아이누들은 쌀 외에 철기나 목면 등의 생활 필수품을 입수하기 위해 소야까지 가야 했다. 겐로쿠 13년 마쓰마에 번이 막부에 제출한 '''[https://ja.wikisource.org/wiki/%E6%9D%BE%E5%89%8D%E5%B3%B6%E9%83%B7%E5%B8%B3 마쓰마에 섬 향장]'''에 "쓰나요로"가 기재되어 있다. 호레키 2년경 이시마(소야)에서 시라누시(혼토군 요시히토촌 백주)로 교역선이 왕래하게 되었고, 간세이 2년 백주에 마쓰마에 번이 사할린 상업 장소(바쇼)를 개설했다. 장소 청부인은 아베야 무라야마 가였다. 막부도 사할린에 근무소를 설치했다. 이때 톤나이(혼토케시, 혼토군 혼토정)에도 교역 거점이 개설되었고, 여기서 주민에 대한 무육 정책으로 '''옴샤''' 등이 행해졌다. 당시 지방 행정의 상세한 내용은 장소 청부제 성립 후의 행정 및 에도 시대의 일본 인구 통계를 참조. 옴샤에서는 현지의 유력자를 소을명 등에 임명, 역직에 취임한 자는 역 에조라고 불렸다.그 후, 장소 청부인은 간세이 8년부터 오사카 상인・고야마야 곤베에와 번사・이타가키 도요시로, 다음 해 9년부터는 이타가키 도요시로가 단독으로 청부했다. 간세이 12년부터 도마리오루 군역도 마쓰마에 번 직영이 되었고, 번사・다카하시 소시로와 메야 야스지로가 관리했으며, 효고 상인・시바야 조타유가 청부했다.
2. 3. 러시아의 진출과 영토 분쟁
1855년(안세이 2년) 러일 화친 조약으로 국경 획정이 연기되었다. 1857년(안세이 4년) 7월, 로타노스케가 이끄는 러시아군이 나요로(名寄)에 상륙하여 구슈나이(구춘내군 구춘내촌)로 이동한 후, 쿠스나이스키 초소(요새)를 건설하려는 사건이 발생했다(러시아 군함 쓰시마 점령 사건이나 제국주의, 남하 정책도 참조). 이때는 일본의 경계가 굳건하여 8월 1일에 철수했다. 도마리오루군 지역으로의 침략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1867년 가라후토 잡거 조약으로 가라후토 전 섬이 러일 양국 공동 관리 지역이 된 후, 신정부의 관리와 오테코로(추수)의 석탄 채굴권을 둘러싼 분쟁이 있었다. 이후 가라후토-치시마 교환 조약으로 이곳은 러시아령이 되었다.[33]2. 4. 일본의 재점령과 통치 (1905년 ~ 1945년)
- 1905년 (메이지 38년)
- 7월 - 러일 전쟁 중 사할린 전투에서 일본군 제13사단이 사할린을 점령하였다. 7월 31일, 사할린 주둔 러시아군이 항복하였다.
- 8월 1일 - 군정이 실시되어 남사할린에 4개의 군정서가 설치되었다. 남사할린 서안에는 마오카 부근에 제4가군정구의 마우카 군정구서가 설치되었다.
- 8월 28일 - 내무성 산하 사할린 민정서 코르사코프(오토마리정) 지소 관할이 되었다.
- 9월 1일 - 러일 휴전 조약이 체결되었다.
- 9월 4일 - 사할린 민정서 마우카 지소 관할이 되었다.
- 9월 5일 - 포츠머스 조약 체결에 의해 사할린 남부가 일본에 할양되었다.
- 1907년 (메이지 40년) 3월 14일 - 내무성 산하 조직 사할린청이 발족하면서, 마우카 지청 관할이 되었다.
- 1908년 (메이지 41년) 4월 - 관할 지청을 마오카 지청으로 개칭하였다.
- 1909년 (메이지 42년)
- 6월 - 마오카 지청 하쿠이 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같은 해, 사할린청령으로 '부락 총대 규정'을 제정하였다. 주요 집락에 촌장에 상당하는 총대를 두고, 행정 사무를 수행하도록 했다.
- 1913년 (다이쇼 2년)
- 6월 - 하쿠이 출장소를 나요시 지청으로 이관하였다. 같은 날 나요시 지청은 구슌나이 지청으로 개칭되었다.
- 10월 - 관할 지청을 하쿠이 지청으로 개칭하였다.
- 1915년 (다이쇼 4년) 6월 26일 - "사할린의 군 및 촌 편성에 관한 건" (다이쇼 4년 칙령 제101호)의 시행에 따라 행정 구역으로서 도마리오루 군이 발족하였다. 발족 당시에는 도마리오루 정, 오이테 촌, 나요시 촌의 1정 2촌이었다. 도마리오루 지청이 관할하였다. (1정 2촌)
- 1918년 (다이쇼 7년) - 공통법 (다이쇼 7년 법률 제39호) (다이쇼 7년 4월 17일 시행) 1조 2항에서 사할린을 내지에 포함한다고 규정[34]하여, 종전까지 기본적으로 국내법이 적용되게 되었다.
- 1922년 (다이쇼 11년) 4월 1일 - "사할린의 지방 제도에 관한 법률" (다이쇼 10년 4월 8일 법률 제47호)과 그 세칙 "사할린 정촌제" (다이쇼 11년 1월 23일 칙령 제8호)를 동시에 시행하였다. "부락 총대 규정"은 폐지되었다.
- 1923년 (다이쇼 12년) 4월 1일 - 오이테 촌이 도마리오루 정에 합병되었다. (1정 1촌)
- 1929년 (쇼와 4년) 7월 1일 - 사할린 정촌제의 시행에 따라, '''도마리오루 정''' (일급 정), '''나요시 촌''' (이급 촌)이 발족하였다.
- 1942년 (쇼와 17년) 11월
- 도마리오루 지청이 마오카 지청에 통합됨에 따라, 관할 지청이 마오카 지청으로 변경되었다.
- 구슌나이 군'''구슌나이 촌''' (이급 촌)의 소속 군이 본 군으로 변경되었다. (1정 2촌)
- 1943년 (쇼와 18년)
- 4월 1일 - "사할린에 시행하는 법률의 특례에 관한 건" (다이쇼 9년 칙령 제124호)이 폐지되어, 내지에 편입되었다.
- 6월 1일 - 사할린 정촌제가 폐지되어, 사할린에서 정촌제가 시행되었다. 이급 촌은 지정 정촌이 되었다.
- 1945년 (쇼와 20년) 8월 22일 - 일소 중립 조약을 파기한 소련군의 사할린 침공 후, 소비에트 연방에 의해 점령되었다.
- 1949년 (쇼와 24년) 6월 1일 - 국가 행정 조직법의 시행으로 인해 법적으로 사할린 청이 폐지되면서, 같은 날 도마리오루 군은 소멸되었다.
3. 행정 구역
참조
[1]
논문
9 ~ 11・12 世紀における北方世界の交流
https://cir.nii.ac.j[...]
専修大学社会知性開発研究センター古代東ユーラシア研究センター
2019-03
[2]
웹사이트
函館市史 通説編1 通説編第1巻 第3編 古代・中世・近世 第1章 安東氏及び蠣崎氏 第2節 安東氏の支配
https://adeac.jp/hak[...]
[3]
웹사이트
十三湊から解き明かす 北の中世史 - JR東日本
https://www.jreast.c[...]
[4]
웹사이트
五所川原市の地域経済循環分析
https://www.chisou.g[...]
[5]
웹사이트
十三湊遺跡
http://www.go-kankou[...]
五所川原観光情報局(公式ウェブサイト). 五所川原観光協会
[6]
서적
道南十二館の謎
[7]
서적
エゾの歴史
[8]
서적
道南十二館の謎
[9]
웹사이트
函館市史 通説編1 通説編第1巻 第3編 古代・中世・近世 第1章 安東氏及び蠣崎氏 第3節 中世期の商品流通
https://adeac.jp/hak[...]
[10]
웹사이트
松前町「松前の文化財」 - 松前家伝 銅雀台瓦硯
http://www.town.mats[...]
[11]
논문
18,19世紀におけるアムール川下流域の住民の交易活動
https://doi.org/10.1[...]
国立民族学博物館
[12]
웹사이트
稚内史 第一章 天明の蝦夷地調査
https://www.city.wak[...]
[13]
웹사이트
稚内史 第三章 松田伝十郎と間宮林蔵の樺太踏査
https://www.city.wak[...]
[14]
웹사이트
稚内史 第二章 ロシアの乱暴と山崎半蔵の宗谷警備
https://www.city.wak[...]
[15]
문서
文化四(千八一七)年ロシアの択捉島襲撃を巡る諸問題 川上淳
[16]
논문
フヴォストフ文書考
https://hdl.handle.n[...]
[17]
논문
近世期~明治初期、北海道・樺太・千島の海で操業した紀州漁民・商人
http://id.nii.ac.jp/[...]
日本福祉大学知多半島総合研究所
[18]
웹사이트
稚内史 第五章 樺太詰松田伝十郎の山丹交易改革
https://www.city.wak[...]
[19]
논문
北蝦夷地紀行の食文化考 北夷談について
https://doi.org/10.2[...]
[20]
문서
敦賀屋文書(鳥井家文書)
[21]
문서
新潟県北洋漁業発展誌
[22]
웹사이트
石狩ファイル/0044荒井金助 - 石狩市
http://www.city.ishi[...]
[23]
문서
目賀田帯万が[[安政]]3年4年(1856・57)頃のカラフト沿岸を写生した「延叙歴検真図」の再写図
[24]
논문
「日露和親条約」がカラフト島を両国の 雑居地としたとする説は正しいか?
http://id.nii.ac.jp/[...]
東北学院大学東北文化研究所
[25]
논문
旧樺太時代の神社について -併せて北方領土の神社について-
https://hdl.handle.n[...]
神奈川大学日本常民文化研究所 非文字資料研究センター
[26]
논문
樺太の神社の終戦顛末
https://hdl.handle.n[...]
神奈川大学日本常民文化研究所 非文字資料研究センター
[27]
문서
北海道の歴史と文化」(北海道史研究協議会編)史料紹介 樺太南部を中心とした栖原家家譜(秋田俊一)
[28]
웹사이트
平成18年度 秋田県公文書館企画展 秋田藩の海防警備
https://www.pref.aki[...]
[29]
논문
「日露和親条約」調印後の幕府の北方地域政策について
http://id.nii.ac.jp/[...]
[30]
논문
明治初年の樺太 日露雑居をめぐる諸問題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スラブ研究センター
[31]
웹사이트
第十七回資料紹介展 徳島県人の北海道移住 徳島県立文書館
https://library.toku[...]
[32]
웹사이트
「近世蝦夷地の地名」髙木崇世芝
https://www.ff-ainu.[...]
[33]
논문
橋立出身 忠谷・田端家の函館に於ける商業活動
https://sitereports.[...]
市立函館博物館
[34]
간행물
法律第39号
https://dl.ndl.go.jp[...]
1918-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