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철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기는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사용한 도구 및 무기로, 철기 시대에 농기구, 공구, 무기 등이 널리 제작되었다. 기원전 2500년에서 2000년 사이에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에서 자연철을 이용한 철기가 처음 등장했으며, 기원전 5세기경 아나톨리아에서 단철을 강철로 변환하는 기술이 보급되었다. 중국에서는 상나라 시대에, 한반도에서는 기원전 3세기경부터 철기가 사용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야요이 시대에 중국 동북 지역에서 유입된 철기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본 각지에서 철기가 생산되었으며, 남부철기, 다카오카 철기, 오사카 철기 등이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물 - 투탕카멘의 가면
    투탕카멘의 가면은 하워드 카터 발굴팀이 발견한, 금과 보석으로 장식된 투탕카멘 파라오의 미라 마스크로, 복원 과정에서의 논란이 있었으며 현재 카이로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고 이전이 계획 중이다.
  • 유물 - 부장품
    부장품은 고인과 함께 매장되는 물건으로, 장례 의식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사회적 지위, 신앙, 사후 세계관을 반영하는 지표로서 고고학 연구에 활용되고 현대 장례 문화에도 남아있다.
  • 도구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 도구 - 호루라기
    호루라기는 입으로 불어넣는 공기나 증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도구로, 스포츠 경기, 경비, 교통 정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호 전달 및 경고 목적으로 활용되며 악기로도 사용된다.
철기
철기 시대
할슈타트 시대 전사
기원전 800년에서 기원전 600년 사이의 할슈타트 문화 시대 전사의 복원도.
시기기원전 1200년경 ~
이전 시대청동기 시대
이후 시대역사 시대
개요
정의철을 사용하여 도구를 만들고 사용한 시대
시작 시기지역마다 다름
특징철제 도구와 무기의 사용, 사회 구조 변화
주요 변화농업 생산성 증가, 인구 증가, 전쟁 방식 변화
지역별 철기 시대
유럽할슈타트 문화, 라텐 문화
아시아인더스 문명, 중국, 한반도
아프리카고대 이집트, 누비아
기술
제철 기술철광석에서 철을 추출하는 기술
단조 기술철을 두드려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기술
주조 기술녹인 철을 거푸집에 부어 만드는 기술
사회와 문화
사회 구조계급 사회 발전, 도시 국가 등장
종교다신교 신앙, 제사 의식 발달
예술철제 장신구, 토기, 암각화 등
철의 장점
단단함청동보다 단단하여 도구와 무기 제작에 적합함
풍부함청동의 원료인 구리보다 매장량이 풍부함
경제성생산 비용이 청동보다 저렴함
한반도의 철기 시대
시기기원전 4세기경 ~ 서기 3세기
특징초기 철기 시대, 원삼국 시대
유물철제 농기구, 철제 무기, 민무늬 토기

2. 역사

철기는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널리 사용했으며 철기 시대에는 농기구, 공구, 무기 등과 같은 철기가 많이 생산되었다. 기원전 2500년부터 기원전 2000년 사이에 고대 메소포타미아, 고대 이집트에서 자연철을 이용한 철기가 처음 등장했다. 기원전 5세기경에는 아나톨리아 지방에서 단철을 강철로 변환시키는 방식이 널리 보급되면서 철제 무기, 농기구가 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16세기부터 기원전 11세기 사이에 상나라 시대에 철기가 처음 등장했다. 전국 시대에는 철제 농기구가 널리 전파되었고 서한 후반에는 철제 무기가 널리 보급되었다. 한반도에서는 기원전 3세기경부터 중국을 통해 철기가 처음 등장했고 삼국 시대에는 신라, 가야에서 철제 농기구, 무기가 널리 제작되었다.

2. 1. 중국

2. 2. 한반도

2. 3. 일본

2. 3. 1. 야요이 시대

야요이 시대가 시작되고 논농사가 시작된 후 약 600년 후, 중국 동북 지역의 주조 철기가 기원전 3세기에 북큐슈로 유입되면서 일본에서의 철기 사용이 시작되었다.(기원전 3~4세기 후쿠오카현 이토시마군 니죠정 이시자키마가리타 유적의 주거지에서 판상 철부의 머리 부분이 출토되었다.) 기원전 3세기 이후에는 한국계 등의 소형 철기 단조품도 출현한다. 기원전 2세기 이후에는 북큐슈에서 철도끼와 철제 괭이 및 보습 등 농기구의 철기화가 진행됨에 따라 경지 개발이 진행되었다. 야요이 시대 3세기까지 철기가 보급된 지역은 북큐슈 지역에 한정되어 있으며, 일본의 다른 지역에서 출토되는 철기는 극소량이다.

2. 3. 2. 고분 시대

고분 시대 전기에는 판상철부(板狀鐵斧)에서 주머니형 철부(袋狀鐵斧)로 변화해 갔다. 이것은 간단한 기술로 제작되던 철기가 복잡한 기술을 요하는 철기로 발전해 갔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써레와 괭이가 일본 열도 전역에 걸쳐 전기 전반기에 보급되었다. 같은 시기에 일본 열도 각지에서 벼 이삭을 벨 때 사용하던 돌칼(야요이 시대)이 낫으로 바뀌어 간다.

무기로는 철촉과 단검형 무기가 대량으로 제작된다. 철촉은 “유동촉식(類銅鏃式)”이라 불리는 정교한 기술로 전기 초기에 등장하여, 그 후 규격화되어 제작되고 부장품에 많이 포함되게 된다. 단검형 무기는 단검과 창이 제작되었다.

중기에는 U자형 써레 끝이 제작 기술과 함께 한반도에서 수입되어 농기구, 개간 도구로 보급되고, 전기에 보급된 주머니형 철부 기술을 몰아내고 보급된다. 갑옷은 뛰어난 금속 세공 기술이 도입된 중기 중엽에는 국내에서 생산되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로 제작된 무기와 무구가 부장품으로 포함된다. 이 시기에는 승마 풍습이 시작되어 마구가 보급되고 중기 후반기에는 부장품으로 포함되게 된다.

후기에는 철기가 대량으로 부장품으로 포함되는 일은 없어지지만, 뛰어난 금속 세공 기술로 제작된 무기, 무구, 마구류가 부장품으로 포함되었다. 또한 철의 사용 장면이 증가하여, 목관의 조립에 철못이 사용되는 예가 나타나기 시작한다.[1]

3. 일본의 유명한 철기

일본에서는 각지에서 철기가 생산되었으며, 유명한 철기는 다음과 같다.


  • 남부철기: 이와테현에서 생산되는 철기의 총칭이다.
  • 다카오카 철기: 도야마현에서 생산되는 주물 제품으로, 금형을 이용한 주조 기술이 뛰어나다.
  • 오사카 철기: 오사카부에서 생산되었던 주물 제품이다. 철포와 다관 제조 기술이 발달했다.
  • 교토 철병: 다도 문화와 함께 발달했다. 오늘날 교토 철병은 남부철기의 계보를 잇고 있다.[2] 남부철기와 달리 구리 뚜껑을 사용하고 병 바닥에 울림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가가 철병: 다도 문화와 함께 발달했다.
  • 야마가타 철기: 현재에도 공방이 모여 철병을 포함한 철기를 생산하고 있다.


이 외에도 전국 각지에 철기 생산지가 존재했다. 철기와는 다르지만, 도쿄에서는 은제품(도쿄 은기)이 발달했다.

참조

[1] 논문 古墳時代の鉄器とその生産 奈良文化財研究所 2007
[2] 웹사이트 株式会社 岩鋳 http://iwachu.co.jp/[...] 2017-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