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등검은말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검은말벌은 유럽말벌보다 작은 말벌로,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며, 대한민국, 일본, 유럽 등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꿀벌을 사냥하여 양봉 산업에 피해를 주고, 사람을 공격하여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일으키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생태계교란 야생생물로 지정되었으며, 일본과 유럽에서도 확산 및 피해가 보고되어, 방제 및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외래종 - 유럽제넷
    유럽제넷은 북아프리카, 유럽 남서부, 아라비아 반도,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분포하는 사향고양이과 포유류로, 날씬한 몸, 뾰족한 주둥이, 줄무늬 꼬리를 가지며 야행성 단독 생활을 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위협받고 있다.
  • 포르투갈의 외래종 - 유럽제넷
    유럽제넷은 북아프리카, 유럽 남서부, 아라비아 반도,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분포하는 사향고양이과 포유류로, 날씬한 몸, 뾰족한 주둥이, 줄무늬 꼬리를 가지며 야행성 단독 생활을 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위협받고 있다.
  • 일본의 외래종 - 족제비
    족제비는 황적갈색 털을 가진 족제비과의 포유류로, 설치류를 주식으로 하며 모피 자원 및 붓 재료로 이용되지만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는 종이다.
등검은말벌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시아 말벌 (Vespa velutina)
학명Vespa velutina
명명자Lepeletier, 1836
기타 학명Vespa auraria Smith, 1852
일반 명칭아시아 검은 말벌
일반 명칭 (영문)Asian predatory wasp
일반 명칭 (영문)Yellow-legged hornet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벌목
아목스즈메바치아목
상과스즈메바치상과
스즈메바치과
아과스즈메바치아과
스즈메바치속
등검은말벌
분포
동남아시아 등검은말벌의 서로 다른 체색변이 분포도. 한반도의 유입종은 nigrithorax이다.
생태 및 습성
먹이꿀벌
먹이 사냥 행동꿀벌 사냥
한국 정보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생태교란종
생태교란종 출처등검은말벌 Vespa velutina nigrithorax

2. 특징

등검은말벌은 유럽말벌보다 현저히 작다. 여왕벌의 길이는 30mm, 수컷은 약 24mm, 일벌은 약 20mm이다.[2] 뚜렷한 노란색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가슴은 벨벳 같은 갈색 또는 검은색이고, 배는 갈색이다. 각 배마디에는 좁은 후면 노란색 테두리가 있으며, 네 번째 마디는 주황색이다. 머리는 검은색이고 얼굴은 노란색이다.[3]

성충의 몸길이는 여왕벌이 20~30mm[52], 일벌이 20mm이다. 체색은 전체적으로 흑색이며, 의 끝은 적갈색이다. 왕말벌이나 말벌에 비해 소형이며, 꼬리가 붉은색인 것이 학명에 붙는 "등검은"의 유래이다.[52]

3. 분포

등검은말벌의 원산지는 동남아시아로, 특히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타이완, 태국, 파키스탄, 부탄, 베트남, 말레이시아, 미얀마, 라오스 등지이다.[3][50]

동남아시아의 말벌(Vespa velutina)의 다양한 색상 형태 분포


등검은말벌은 여러 국가에 유입되었는데, 한국, 일본(쓰시마섬, 규슈, 야마구치현)[50][52], 프랑스, 스페인, 영국, 포르투갈, 벨기에,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룩셈부르크[50], 아일랜드(일시적)[43], 미국(조지아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19][20][21] 등지에서 발견된다.

대한민국에서는 2003년 부산에서 처음 유입이 확인된 이후 개체수가 급증하고 있다.[51] 2019년 환경부는 등검은말벌을 생태계교란 야생생물로 지정하였다.

유럽에서는 2004년 프랑스에 처음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23] 2009년까지 보르도와 주변 지역에 수천 개의 둥지가 발견되었고, 2015년 말에는 프랑스 대부분 지역에서 보고되었다.[24][25][26] 2016년부터는 '우려되는 연합 외래종 목록'에 포함되어 유럽 연합 내에서 의도적인 수입, 보관, 사육, 운송(제거 목적 제외), 판매, 사용 또는 교환, 번식 허용, 환경 방출이 금지되었다.[18]

일본에서는 2010년경부터 쓰시마섬에 정착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6]

기후 변화로 인해 북유럽과 미국에서 온도가 상승하면서 등검은말벌의 침입 성공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22]

4. 생태

등검은말벌은 파리, 꿀벌, 잠자리 등을 포식하며, 공격성이 매우 강하다. 둥지는 종이로 만들어졌으며, 거대한 달걀 모양으로 보통 길이가 50cm 이상이다. 둥지 출구는 보통 바닥이 아닌 측면에 있다. 처음에는 덤불이나 관목 속, 지중에 집을 짓고, 군체가 커지면 나무 상부로 둥지를 옮긴다. 큰 둥지에서는 1m를 넘는 것도 있으며, 아파트 등의 벽에 집을 짓는 경우도 있다.[53]

인도 중앙 히말라야에서 발견된 등검은말벌(''V. velutina'')

4. 1. 꿀벌과의 관계

등검은말벌은 꿀벌, 특히 서양 꿀벌(Apis mellifera)을 집중적으로 사냥하여 양봉 산업에 큰 피해를 준다. 말벌은 벌집 위 1m2 면적 안에서 날아다니며 꿀벌을 감시하고, 잡는 즉시 날아가 다른 말벌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1]

원래 서식지에서 등검은말벌(''V. velutina'')은 주로 동양 꿀벌(Apis cerana)을 사냥하는데, 동양 꿀벌은 말벌을 피하거나 공격하여 죽이는 전략을 진화시켰다. 그러나 서양 꿀벌이 수입된 지역에서는 등검은말벌이 동양 꿀벌보다 서양 꿀벌을 더 쉽게 사냥하는데, 이는 서양 꿀벌이 등검은말벌의 공격에 대한 방어 전략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서양 꿀벌은 맴도는 말벌을 감지했을 때 동양 꿀벌처럼 빨리 벌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말벌 공격 시에도 덜 효과적이며 온도도 충분히 높이지 못한다. 또한 동양 꿀벌은 말벌이 공격하면 둥지로 물러나는 경향이 있지만, 서양 꿀벌은 그렇지 않다.[1]

동양 꿀벌(Apis cerana) 경계 꿀벌은 등검은말벌의 존재에 대응하여 날개 떨림을 사용하는데, 이는 말벌에 대한 공격을 준비하는 내열 열 생산으로 나타났다.[8] 반면 서양 꿀벌(Apis mellifera)은 이러한 행동을 보이지 않으며, 등검은말벌은 서양 꿀벌의 일벌을 우선적으로 사냥한다.[1]

쓰시마섬에서 꿀벌의 대량 실종에는 농약이 아닌 등검은말벌이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014년에는 등검은말벌을 대상으로 한 덫을 설치한 결과, 꿀벌은 무사했다.[57] 등검은말벌은 공중에서 호버링할 수 있어 꿀벌이 벌구(체온으로 쪄 죽이는)를 면하고 포식에 성공하는 비율이 높아 양봉에 위협이 된다.[52]

5. 인간과의 관계

등검은말벌은 사람을 공격하기도 하며, 여러 번 쏘이면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일으킬 수 있다. 대한민국, 프랑스, 스페인 등지에서 등검은말벌에 쏘여 사망한 사례가 보고되었다.[9][10][11][12][13][14]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서도 자상에 의한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53]

2017년 11월, 스페인 갈리시아에서 한 남성이 사과나무를 가지치기하다가 20번 이상 쏘여 사망했다.[11] 최초 유입 지역 근처인 남부 프랑스에서는 샤일레베트, 샤랑트마리팀 거주자[12], 2019년 지롱드, 누벨아키텐의 60세 여성[13], 2020년 오리발, 샤랑트의 농부[14] 등이 사망했다.

2010년경부터 일본 쓰시마섬에 정착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6] 2016년과 2020년 사이에는 잉글랜드에서 등검은말벌이 19번 목격되었으며, 10개의 둥지를 포함하여 모두 파괴되었다.[15]

2023년 8월, 조지아주 농무부는 미국 농무부 식물 및 동물 건강 검사 서비스 및 조지아 대학교와 협력하여 조지아주 사바나 근처에서 등검은말벌의 존재를 확인했다. 이것은 미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이 종의 살아있는 표본이다.[19] 2023년 11월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 이 종에 대한 첫 번째 보고가 있었고, 2024년에 둥지가 발견되었다.[20][21]

5. 1. 대한민국에서의 피해 및 관리

등검은말벌은 벌집 하나에 3000여 마리까지 서식하며 공격성이 강해 인명 피해를 자주 일으킨다. 산청군에서 등검은말벌 집을 제거하던 소방관이 등검은말벌의 공격으로 목숨을 잃는 사건이 발생했다.[61]

털보말벌과 함께 양봉 산업에 큰 피해를 주는 말벌로, 2018년에는 남한 대부분 지역에서 발견될 정도로 빠르게 확산되었다.[61] 2019년 환경부는 등검은말벌을 대한민국의 생태계교란 야생생물로 지정하였다.

등검은말벌은 사람을 공격하거나 꿀벌을 사냥하는 습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쏘이면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사세보 공업 고등 전문학교에서는 등검은말벌의 날개 소리를 인공 지능(AI)에 학습시켜 둥지를 특정하는 등 구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52]

5. 2. 일본에서의 피해 및 관리

등검은말벌은 2012년쓰시마섬에서 처음으로 정착이 확인되었고,[50] 이후 규슈 본토와 야마구치현에서도 발견되었다.[58][59] 일본에서는 재래종 말벌과의 경쟁, 재래종 곤충 포식, 양봉업에 대한 영향이 우려되어 2015년 1월 9일에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되었고(같은 해 3월 시행),[54] 같은 해에 환경성의 생태계 피해 방지 외래종 목록에 있는 종합 대책 외래종 중, 긴급 대책 외래종으로 지정되었다.[54] 2016년부터 털보말벌 방제 계획이 수립되어 방제가 실시되고 있다.[55]

최근 세계적으로 꿀벌의 대량 실종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쓰시마섬에서 꿀벌 대량 실종의 원인으로 등검은말벌이 꿀벌을 습격하는 것이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57] 2014년에는 털보말벌을 대상으로 한 덫을 설치한 결과, 꿀벌은 무사했다는 결과가 나왔다.[57]

등검은말벌은 공중에서 호버링할 수 있기 때문에, 습격당한 꿀벌이 말벌에게 달려들어 체온으로 쪄 죽이는 "벌구"를 피하고 포식에 성공하는 비율이 높아 양봉에 위협이 된다.[52] 이러한 이유로 사세보 공업 고등 전문학교는 날개 소리를 인공 지능(AI)에 학습시켜 둥지를 특정하는 등 구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52]

2015년에는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에서도 둥지 틀기가 확인되었는데, 기타큐슈시의 것은 쓰시마섬의 것과는 달리 한국에 서식하는 벌의 특징과 비슷하며, 한국의 부산항과의 사이에 여객선 왕래가 있는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항을 경유하여 들어왔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8] 2019년 11월에는 야마구치현 호후시의 가로수에서 둥지 틀기가 확인되었고, 번식이 가능한 수컷 및 암컷이 발견되었다. 혼슈에서 둥지 틀기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며, 환경성이 긴급 생태 조사를 시작했다.[59]

5. 3. 유럽에서의 확산 및 관리

등검은말벌은 2004년 중국에서 수입된 도자기 상자에 실려 프랑스에 도착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유럽 각지로 확산되었다.[23] 2009년까지 보르도와 주변 지역에 수천 개의 둥지가 있었으며,[24][25] 2015년 말까지 프랑스 대부분 지역에서 보고되었다.[26]

2010년에는 스페인 북부에서 번식 개체가 확인되었고,[27] 2011년에는 포르투갈[30]과 벨기에 남부[31]에서 처음 관찰되었다. 2012년에는 이탈리아 리구리아에서 보고되었으며,[34] 2014년에는 독일에서 처음 발견되었다.[36]

영국 본토에서는 2016년 9월 테트베리 근처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둥지는 파괴되었다.[37] 같은 해 채널 제도의 올더니에서도 둥지가 보고되었다.[38] 2017년 네덜란드 젤란트에서 첫 관찰이 기록되었으며,[39] 2020년에는 룩셈부르크에서 처음 기록되었다.[41][42] 2021년에는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살아있는 개체가 발견되었으나, 정착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43]

등검은말벌은 둥지가 위협받는다고 느낄 시 집단으로 공격하는 습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10] 여러 번 쏘인 결과 아나필락시스 쇼크로 입원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10]

유럽 연합은 2016년부터 등검은말벌을 '우려되는 연합 외래종 목록'에 포함시켜 관리하고 있다.[18] 이에 따라 유럽 연합 내에서는 등검은말벌의 의도적인 수입, 사육, 운송(제거 목적 제외), 판매, 사용, 번식, 방출 등이 금지된다.[18]

5. 4. 기타 국가

2023년 8월, 조지아주 농무부는 미국 농무부 식물 및 동물 건강 검사 서비스 및 조지아 대학교와 협력하여 조지아주 사바나 근처에서 등검은말벌의 존재를 확인했다. 이것은 미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이 종의 살아있는 표본이다.[19] 2023년 11월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 이 종에 대한 첫 번째 보고가 있었고, 2024년에 둥지가 발견되었다.[20][21]

기후 변화는 북유럽과 미국에서 온도가 상승하여 등검은말벌의 침입 성공을 증가시킬 수 있다.[22] 하지만, 이러한 지역에서 이 종이 정착하는데 더 따뜻한 온도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6. 생물학적 방제

자주색 벌레잡이통풀( ''Sarracenia purpurea'')을 이용하여 등검은말벌의 생물학적 방제를 시도하였다. 벌레잡이통풀은 천연 병 모양의 덫이다. 이 두 종 모두 프랑스에서 외래종이며, 벌레잡이통풀이 말벌을 자연적으로 포획하는 것으로 밝혀져 생물학적 방제 수단으로 조사되었다.[44] 그러나, 자세한 연구 결과 자주색 벌레잡이통풀은 너무 비선택적이어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45][46] 내생 기생파리인 Conops vesicularis는 프랑스에서 등검은말벌 여왕벌을 공격하여 피해를 입은 여왕벌이 군체를 형성하는 것을 막는 것으로 밝혀졌다.[47]

7. 천적

때까치, 직박구리, 은무늬줄명나방, 오소리, , 담비 등이 등검은말벌의 천적으로 알려져 있다.[62]

Xenos moutoni|제노스 무토니영어와 Xenos oxyodontes|제노스 옥시돈테스영어는 등검은말벌의 복부에 기생하는데, 이들 벌레가 기생하는 등검은말벌 일벌은 사냥이나 벌집 짓기 등 본연의 임무를 거의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63]

가끔 등검은말벌이 고양이를 공격하는 경우도 있어서, 고양이의 천적 중 하나이기도 하다.

참조

[1] 논문 Bee-hawking by the wasp, ''Vespa velutina'', on the honeybees ''Apis cerana'' and ''A.mellifera'' 2007-06
[2] 웹사이트 ''Vespa velutina'' http://www.vespa-bic[...]
[3] 논문 The diversity of hornets in the genus ''Vespa'' (Hymenoptera: Vespidae; Vespinae), their importance and interceptions in the United States 2020
[4] 웹사이트 European Alien Species Information Network - Species Explorer - Species Factsheet - ''Vespa velutina nigrithorax'' https://easin.jrc.ec[...] 2023-12-30
[5] 뉴스 Pitcher plant in France eats bee-killing Asian hornets https://www.bbc.com/[...] BBC News 2015-08-10
[6] 웹사이트 ''Vespa velutina'' https://www.cabi.org[...] CAB International
[7] 논문 Observations on colony defense of ''Apis nuluensis'' and predatory behaviour of the hornet, ''Vespa multimaculata'' Pérez, 1910 https://www.apidolog[...]
[8] 논문 Wasp hawking induces endothermic heat production in guard bees
[9] 논문 Vespa velutina: a new invasive predator of honeybees in Europe
[10] 뉴스 Tourists warned as Asian hornets terrorise French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9-08-19
[11] 뉴스 Morre un veciño do Porriño atacado por avespas velutinas mentres cortaba unha árbore http://www.crtvg.es/[...] CRTVG 2017-11-15
[12] 웹사이트 Charente-Maritime : polémique sur la lutte contre les frelons asiatiques après la mort d'un habitant de Chaillevette http://france3-regio[...] 2020-11-13
[13] 웹사이트 Gironde : une sexagénaire décède après une piqûre de frelon asiatique à Grayan-et-l'Hôpital http://france3-regio[...] 2020-11-13
[14] 웹사이트 Charente : un agriculteur meurt attaqué par un essaim de frelons asiatiques http://france3-regio[...] 2020-11-13
[15] 웹사이트 Asian hornet: UK sightings https://www.gov.uk/g[...] 2020-12-09
[16] 뉴스 外来種ツマアカスズメバチの巣採取 数年前から対馬に帰化 http://www.yomiuri.c[...] Yomiuri Shimbun 2013-09-18
[17] 웹사이트 List of Invasive Alien Species of Union concern - Environment - European Commission https://ec.europa.eu[...] 2021-07-27
[18] 웹사이트 REGULATION (EU) No 1143/201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2 October 2014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invasive alien species https://eur-lex.euro[...]
[19] 웹사이트 Georgia Department of Agriculture Yellow-Legged Hornet https://agr.georgia.[...] 2023-08-15
[20] 웹사이트 Yellow Legged Hornet {{!}} Public {{!}} Clemson University, South Carolina https://www.clemson.[...] 2024-10-31
[21] 웹사이트 Yellow-Legged Hornet {{!}} Animal and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 https://www.aphis.us[...] 2024-10-31
[22] 논문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risk of invasion by the Yellow-legged hornet https://www.scienced[...] 2013-01-01
[23] 뉴스 Invasion of the Asian bee-eating horne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12-13
[24] 웹사이트 Evaluation des populations du Frelon asiatique (''Vespa velutina'', Lepeletier 1836) en France http://spn.mnhn.fr/s[...] 2022-03-16
[25] 웹사이트 Evaluation des populations du Frelon asiatique (''Vespa velutina'', Lepeletier 1836) en France: Conséquences écologiques et socio-économiques. Proposition de mise en œuvre d'un plan d'action. http://spn.mnhn.fr/s[...] 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2009-10
[26] 웹사이트 Lutte contre le frelon asiatique à pattes jaunes http://www.inra.fr/%[...] French National Institute for Agricultural Research 2019-03-20
[27] 웹사이트 Bee killing Asian hornet confirmed in Spain http://www.thereader[...]
[28] 뉴스 La avispa asiatica ´devora-abejas´ llega Cantabria http://www.rtve.es/a[...] rtve.es/ 2015-06-29
[29] 뉴스 Retiran un panal de avispa asiática en Santander https://www.europapr[...] Europa Press 2015-06-29
[30] 뉴스 Já foram destruídos 78 ninhos de vespa asiática em Viana do Castelo https://www.publico.[...] Público 2013-09-28
[31] 웹사이트 Aziatische hoornaar voor het eerst in België https://www.natuurpu[...] 2023-12-30
[32] 뉴스 Asian hornets alert in Belgium: warning to beekeepers https://www.brussels[...] The Brussels Times 2024-02-11
[33] 뉴스 Allesverslindende "monsterwesp" opnieuw gesignaleerd in Vlaanderen https://www.vrt.be/v[...] 2017-10-04
[34] 뉴스 Cresce l'allarme in Italia per la vespa velutina http://www.repubblic[...] la Repubblica 2006-12-06
[35] 웹사이트 Mappa degli avvistamenti http://www.stopvelut[...]
[36] 뉴스 Gefahr für Honigbienen? Immer mehr asiatische Hornissen https://www.zdf.de/n[...] 2023-03-05
[37] 웹사이트 Asian hornet identified in Gloucestershire https://www.gov.uk/g[...] 2016-09-21
[38] 웹사이트 Asian hornet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in the Channel Islands https://web.archive.[...] 2016-07-12
[39] 웹사이트 Asian hornet reported on 2017-09-17 at 11:15 in Dreischor, Zeeland https://observation.[...]
[40] 간행물 De opmars van de Aziatische hoornaar (Vespa velutina) naar Nederland https://www.eis-nede[...] 2018
[41] 서적 neobiota.lu - Invasive Alien Species in Luxembourg https://neobiota.lu/[...]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Luxembourg 2020-09-15
[42] 문서 Ries, C. ''et al.'', 2021. First records and distribution of the invasive alien hornet ''Vespa velutina nigrithorax'' du Buysson, 1905 (Hymenoptera: Vespidae) in Luxembourg. ''Bulletin de la Société des naturalistes luxembourgeois'' 123: 181-193.
[43] 뉴스 Single Asian hornet found 'alive but dying' in north Dublin home https://www.thejourn[...] TheJournal.ie 2021-05-07
[44] 웹사이트 Morphological, colour and odour traits of ''Sarracenia'' pitcher plants involved in the capture of the Asian hornet https://web.archive.[...] 2020-10-09
[45] 간행물 Sarracenia carnivorous plants cannot serve as efficient biological control of the invasive hornet ''Vespa velutina nigrithorax'' in Europe 2018
[46] 웹사이트 Can carnivorous plants control an invasive hornet? http://www.botany.on[...] 2018-11-20
[47] 간행물 A scientific note about a parasitoid that can parasitize the yellow-legged hornet, ''Vespa velutina nigrithorax'', in Europe 2015-01
[48] 간행물 Nutritional Value of the Larvae of the Alien Invasive Wasp ''Vespa velutina nigrithorax''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Larval Saliva 2020-07
[49] 서적 Extraordinary Animals: An Encyclopedia of Curious and Unusual Animals https://archive.org/[...] Bloomsbury Academic
[50] 웹사이트 ツマアカスズメバチ https://www.nies.go.[...] 2014-03-11
[51] 웹사이트 危険なスズメバチが我が国に侵入 http://www.agr.kyush[...] 九州大学大学院農学研究院生物的防除研究施設 2014-03-11
[52] 뉴스 ハンタータイプ外来スズメバチ襲来 ツマアカスズメバチ「やっかいなやつ」-ミツバチ捕食成功率77%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06-14
[53] 웹사이트 ツマアカスズメバチ http://www.agr.kyush[...] 九州大学大学院農学研究院生物的防除研究施設 2014-03-11
[54] 문서 特定外来生物等一覧
[55] 문서 環境省九州地方環境事務所 2023 ツマアカスズメバチ防除計画 https://kyushu.env.g[...]
[56] 뉴스 ミツバチ大量死、原因は害虫用殺虫剤 分析で成分検出 http://www.asahi.com[...] 2014-12-25
[57] 뉴스 全国でミツバチが消えた…何が起こったんだ? https://web.archive.[...] 2014-12-25
[58] 뉴스 外来スズメバチ本土に、対馬以外で初めて巣を確認 http://www.yomidr.yo[...] 2016-01-12
[59] 뉴스 長崎・対馬に侵入のスズメバチ、特定外来種に 中国原産 http://www.asahi.com[...] 2015-01-25
[60] 웹사이트 등검은말벌 Vespa velutina nigrithorax https://www.keis.go.[...]
[61] 뉴스 '등검은말벌' 15년 만에 전국 확산…기후변화에 민감 www.ecomedia.co.kr/n[...] 환경미디어 김명화 기자 2018-11-19
[62] 뉴스 꿀벌 죽이는 침입종 '등검은말벌' 천적이 나타났다 http://www.ecomedia.[...]
[63] 뉴스 '꿀벌 잡는 외래종 등검은말벌 확장 막을 기생 벌레 첫 확인' https://www.yna.co.k[...] 연합뉴스 김도윤 기자 2021-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