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바시는 밀가루, 물, 소금으로 만들어지는 얇고 평평한 빵으로, 아르메니아를 비롯한 서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소비된다. 아르메니아에서는 전통적으로 오븐 벽에 반죽을 붙여 구우며, 신선할 때는 샌드위치, 마르면 보관하거나 요리에 활용한다. 라바시의 어원에 대해서는 아르메니아어와 아람어 설이 있으며, 제조법과 활용 방식은 지역마다 차이를 보인다. 2014년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으로 아르메니아에 등재되었으나, 주변 국가들의 이의 제기로 2016년에는 여러 국가가 공동으로 등재되었다.
라바시는 일반적으로 아르메니아 음식으로 소개되며,[39][40][41] 아르메니아 기원의 음식이라고 하는 문헌도 있다.[42][43][44][45][46][47] 그러나 중동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문헌도 있다.[48][49][50] 미국의 제빵사이자 작가인 피터 라인하르트는 저서에서 "일반적으로 아르메니아 플랫 브레드라고 불리는 라바시는 이란에도 기원을 가지며, 현재 중동 전역에서 먹고 있으며, 전 세계로 퍼져 있다"라고 썼다.[51]
길 마크스(Gil Marks)는 라바시의 역사가 얇은 빵을 테라코타 석쇠에 굽는 초창기 혁신에서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초창기 빵은 뜨겁게 데운 돌이나 숯불 위에서 구웠지만, 석쇠가 사용되면서 성경에 묘사된 '라키크'처럼 타지 않고 완전히 익히기 위해 빵을 더 얇게 만들어야 했다. 이후 오븐의 발전으로 더 두꺼운 빵도 만들 수 있게 되었다.[10]
2. 어원
흐라치아 아자리안은 아르메니아어 어원 사전에서 터키인과 페르시아인에게 상가크가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lavaš''는 예레반과 이란 모두에서 아르메니아의 빵으로 여겨지며, 테헤란에서는 이 빵을 "아르메니아의 빵"을 의미하는 nūn-i armanī라고 부른다고 언급했다.[52][53] 데르심의 경우, sači hacʿ는 쿠르드족의 환대 음식인 반면, lavaš는 아르메니아인의 환대 음식으로 여겨진다.[52]
2. 1. 아르메니아어 어원설
흐라치 마르티로시안은 아르메니아어의 լավաշ|lavashhy(라바시)를 '손바닥, 손의 편평한 부분'을 뜻하는 방언 լափ|lapʿhy(라프), լուփ|lupʿhy(루프), լովազ|lovazhy(로바즈), '평평한, 놀기 위한 연마된 돌'을 뜻하는 լափուկ|lapʿukhy(라프`우크), լեփուկ|lepʿukhy(레프`우크), '매우 얇은'을 뜻하는 լավազ|lavazhy(라바즈)와 잠정적으로 연결하며, 원시 아르메니아어 *lawxcl(평평한)에서 파생되었다고 추정한다. 그는 이 빵이 특히 평평하고 얇다는 점에서 의미상 타당하다고 언급했다.[17]
아르메니아 언어학자 Hrach Martirosyan|흐라치 마르티로시얀영어은 잠정적인 설로, 아르메니아어 լավաշ(lavaš)가 "손바닥"을 의미하는 방언 լափ|lapʿhy(라프), լուփ|lupʿhy(루프), լովազ|lovazhy(로바즈)나, "놀이에 사용하는 평평하고 닦은 돌"을 의미하는 լափուկ|lapʿukhy(라프`우크), լեփուկ|lepʿukhy(레프`우크), 또는 "매우 얇은"을 의미하는 լավազ|lavazhy(라바즈)와 연관성이 있다고 언급하며, Proto-Armenian language에서 "평평한"을 의미하는 *''law''에서 파생된 단어가 아닐까 추정했다. 마르티로시얀은 이 빵이 평평하고 얇은 특징을 가지므로, 의미론적으로 가능한 설이라고 했다.[52]
2. 2. 아람어 어원설
세반 니샤냔은 라바시의 페르시아어 단어를 '반죽하다'라는 의미의 아람어 לושׁ|lwšarc(루쉬) 어근과 연결하며, 1451년의 ''al-Faraj ba'd ash-Shiddah''를 터키어로 이 용어를 사용한 가장 오래된 텍스트로 기록했다.[18] 특히 얇은 빵 조각을 뜻하는 아시리아 신 아람어 ܠܵܘܵܫܵܐ|lawashaaii(라와샤)와 비교해 볼 수 있다.[19]
3. 역사
미국 헤리티지 영어 사전(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에서는 라바시를 "아르메니아 기원의 얇은 무효소 빵"이라고 정의한다.[20] 2014년, 라바시는 인류 무형 문화 유산에 "아르메니아 문화의 표현"으로 등재되었다. 그러나 이 결정은 아제르바이잔, 이란,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에서 음식의 기원이 "아르메니아"가 아닌 "지역"이라는 항의를 불러일으켰다.[21][22]
라바시의 기원은 아르메니아[23][24][25][26] 또는 이란[27][28][29]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음식 역사학자 길 마크스(Gil Marks)는 중동을 기원으로 본다.[10]
3. 1. 초기 형태
길 마크스(Gil Marks)는 라바시의 역사를 얇은 빵을 테라코타 석쇠에 굽는 초창기 혁신에서 찾는다. 초창기 빵은 뜨겁게 데운 돌이나 숯불 위에서 구웠지만, 석쇠가 사용되면서 성경에 묘사된 빵 '라키크'처럼 타지 않고 완전히 익히기 위해 더 얇게 만들어져야 했다. 초창기 오븐의 혁신으로 더 두꺼운 빵도 가능해졌다.[10]
미국 헤리티지 영어 사전(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에 따르면 라바시는 "아르메니아 기원의 얇은 무효소 빵"이다.[20] 2014년, 라바시는 인류 무형 문화 유산에 의해 "아르메니아 문화의 표현"으로 묘사되었다. 이 결정은 음식의 기원이 "아르메니아"가 아닌 "지역"이라는 주장에 대해 아제르바이잔, 이란,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에서 항의를 불러일으켰다.[21][22]
라바시의 기원은 종종 아르메니아[23][24][25][26] 또는 이란[27][28][29]으로 알려져 있다. 음식 역사학자 길 마크스(Gil Marks)는 일반적으로 중동을 기원으로 본다.[10]
3. 2. 오븐의 발전
길 마크스(Gil Marks)는 라바시의 역사가 얇은 빵을 테라코타 석쇠에 굽는 초창기 혁신에서 시작되었다고 본다. 초기에 빵은 뜨겁게 데운 돌이나 숯불 위에서 구웠지만, 석쇠가 사용되면서 성경에 묘사된 '라키크'처럼 타지 않고 완전히 익히기 위해 빵을 더 얇게 만들어야 했다. 이후 오븐이 발전하면서 더 두꺼운 빵도 만들 수 있게 되었다.[10]
4. 제조법
라바시는 밀가루, 물, 소금으로 만들어지며, 굽기 전에 구운 참깨나 양귀비 씨를 뿌리기도 한다.[30] 반죽은 얇고 평평하게 펴서 오븐이나 화덕의 뜨거운 면에 붙여 굽는다. 갓 구운 라바시는 유연하지만 곧 수분을 잃고 딱딱해진다. 부드러운 라바시는 샌드위치를 만들 때 편리하며, 딱딱해진 라바시는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서는 성찬에 이스트 빵 대신 라바시를 사용하기도 한다.[38]
4. 1. 기본 재료 및 반죽
라바시는 밀가루, 물, 소금으로 만들어지며, 굽기 전에 구운 참깨나 양귀비 씨를 뿌리기도 한다.[30] 반죽은 얇고 평평하게 펴서 오븐이나 화덕의 뜨거운 면에 붙여 굽는다. 갓 구운 라바시는 유연하지만 곧 수분을 잃고 딱딱해진다. 부드러운 라바시는 샌드위치를 만들 때 편리하며, 딱딱해진 라바시는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아르메니아에서는 마른 라바시를 나중에 먹기 위해 높이 쌓아두고, 필요할 때 물에 적셔 부드럽게 만든다.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서는 성찬에 이스트 빵 대신 라바시를 사용하기도 한다.[38] 이란에서는 마른 라바시를 다른 요리에 사용하며, 아르메니아에서는 카시를 만들 때 잘게 부숴 넣기도 한다. 갓 구운 라바시는 코로밧을 싸는 데 사용되고, 이란, 터키, 중동에서는 케밥과 함께 뒤름을 만드는 데 쓰인다.
4. 2. 굽는 방법
전통적으로 라바시 반죽을 얇고 평평하게 편 뒤 오븐의 뜨거운 면 가까이에 갖다 댄다. 굽기 전 구운 참깨나 양귀비 씨를 뿌리기도 한다.[30] 전통적으로는 화덕 벽에 쳐서 굽지만, 현대에는 웍이나 ''타바''에서 굽기도 한다.4. 3. 추가 재료 (선택 사항)
굽기 전에 구운 참깨나 양귀비 씨앗을 뿌리기도 한다.[30]5. 용도 및 활용
라바시는 신선할 때는 매우 유연하지만, 금방 말라서 부스러지고 단단해진다. 부드러운 라바시는 랩 샌드위치를 만들 때 사용하기 쉽다.
아르메니아 마을에서는 말린 라바시를 겹겹이 쌓아 나중에 사용하며, 물을 뿌려 다시 부드럽게 만든다. 말린 빵은 하쉬로 만들고, 신선한 라바시는 코로바츠를 싸거나 허브와 치즈를 곁들인 랩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이란, 튀르키예, 일부 중동 국가에서는 라바시를 케밥과 함께 뒤름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마른 라바시는 물, 버터, 치즈로 다시 수분을 공급하여 이란에서 간단한 식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카슈미르 요리에서 라바스는 전통적으로 아침 차인 눈 차이와 함께 먹는다.[32][33] 현대 조리법에서는 라바시를 피자 반죽처럼 사용하기도 한다.[34]
5. 1. 신선한 라바시
전통적으로 라바시 반죽을 얇고 평평하게 편 뒤 오븐의 뜨거운 면에 가까이 대어 만든다. 갓 만들어졌을 때는 유연하지만 곧 수분을 잃고 딱딱해진다. 갓 만들어진 부드러운 라바시는 샌드위치를 만들 때 쓰기 쉽다.[38] 시간이 지나 딱딱해진 라바시는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이스트를 넣은 빵 대신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의 성찬에 사용되기도 한다.아르메니아 마을에서는 마른 라바시를 나중에 먹기 위해 높이 쌓아두고, 필요할 때 물을 뿌려 부드럽게 만든다. 물에 적신 라바시는 이란에서 다른 음식을 만드는 데 쓰인다. 아르메니아에서는 카시를 만들기 위해 마른 라바시를 잘게 부수기도 한다. 갓 만든 라바시는 코로밧을 싸는 데 사용된다. 이란에서는 터키와 중동 지방의 라바시를 케밥과 함께 뒤름을 만드는 데 쓴다.
라바시는 밀가루, 물, 소금으로 만들어진다. 빵의 두께는 반죽을 얼마나 얇게 펴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굽기 전에 구운 참깨나 양귀비 씨를 뿌리기도 한다.
5. 2. 건조된 라바시
전통적으로 라바시 반죽을 얇고 평평하게 편 뒤 오븐의 뜨거운 면에 붙여 만든다. 갓 구웠을 때는 부드럽지만 금방 수분을 잃고 딱딱해진다. 부드러운 라바시는 샌드위치를 만들 때 쓰기 좋고, 딱딱한 라바시는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의 성찬에 이스트 빵을 대신하여 사용되기도 한다.[38]아르메니아의 많은 마을에서는 마른 라바시를 높이 쌓아두었다가, 필요할 때 물을 뿌려 부드럽게 만들어 먹는다. 이란에서는 물에 불린 라바시를 다른 음식을 만드는 데 사용하며, 아르메니아에서는 마른 라바시를 잘게 부숴 카시를 만들기도 한다. 갓 만든 라바시는 코로밧을 싸는 데 사용된다. 이란, 터키, 중동에서는 라바시로 케밥을 감싼 요리를 두르므라고 한다.
아제르바이잔의 사비라바드 구에서는 결혼식 후 신부가 새 집에 들어갈 때 시어머니가 신부 어깨에 라바시를 올려놓고 "부유한 집에 온 것을 환영한다. 당신의 발에 행운이 있기를"이라고 말하는 풍습이 있다. 압셰론 구의 노브하니에서는 장례식 후 라바시로 할바를 싼 큘차(kyulchya)를 만드는 관습이 있다.
5. 3. 기타 활용
전통적으로 라바시는 이스트가 들어간 빵 대신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의 성찬에 사용된다.[38] 아르메니아의 많은 마을에서는 마른 라바시를 쌓아두고 나중에 물에 적셔 부드럽게 만들어 먹는다.이란에서는 남은 라바시로 물, 버터, 치즈를 곁들여 간단한 식사를 만들며, 터키와 중동 지방에서는 케밥과 함께 뒤름을 만든다. 튀르키예 요리에서 lavaştr는 카이세페 (kaysefe)tr, 하수데 (hasude)tr 등 일부 전통적인 튀르키예 디저트와 함께 제공되는 등 단 음식에도 사용된다.[31]
카슈미르에서는 라바시를 '''라바스'''라고 부르며, 주로 아침에 눈 차이 또는 쉬어 차이와 함께 먹는다.[32][33] 일부 카슈미르인들은 전통에 따라 라바시를 이웃이나 친척들에게 나누어 주기도 하는데, 이는 좋은 일과 풍요로움을 상징한다.
현대에는 라바시를 피자 반죽처럼 사용하기도 한다.[34]
아제르바이잔 사비라바드 구에서는 결혼식 후 신부에게 라바시를 어깨에 올려놓고 축복하는 풍습이 있고, 압셰론 구 노브하니에서는 장례식 후 라바시로 할바를 싼 큘차(kyulchya)를 만드는 관습이 있다.
6. 지역별 라바시 문화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란 등지에서 라바시는 널리 알려진 빵이다. 특히 카슈미르에서는 이 빵을 '라바스'라고 부르며, 가장 기본적인 빵 종류 중 하나로 여긴다. 카슈미르 사람들은 주로 아침에 라바시를 먹으며, 이웃이나 친척들에게 나눠주는 풍습이 있는데, 이는 좋은 일과 풍요로움을 상징한다고 알려져 있다.[32][33]
각 지역별 라바시 문화는 다음과 같다.
지역 | 특징 |
---|---|
아르메니아 | 말린 라바시를 높이 쌓아두었다가 물에 적셔 부드럽게 만들어 먹는다. 하슈를 만들 때 마른 라바시를 부숴 넣기도 하고, 갓 만든 라바시는 코로바츠를 싸 먹는 데 사용한다.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의 성찬에 이스트를 넣은 빵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
아제르바이잔 | 사비라바드 구에서는 결혼식 후 신부가 새 집에 들어갈 때 시어머니가 라바시를 어깨에 올려놓고 축복하는 풍습이 있다. 압셰론 구 노브하니에서는 장례식 후 라바시에 할바를 싸서 만든 퀼챠를 준비한다. |
이란 | 남은 라바시로 다른 음식을 만들거나, 케밥과 함께 뒤름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
튀르키예 | 케밥과 함께 dürüm|뒤륌tr을 만드는 데 사용하며, 달콤한 요리에도 사용될 수 있다. kaysefe|카이세페tr, hasude|하수데tr, pestil kavurması|페스틸 카부르마스tr, ağuz|아우즈tr, helva|헬바tr와 같은 전통 튀르키예 디저트와 함께 제공되기도 한다. |
카슈미르 | 라바스라고 불리며, 주로 아침에 눈 차이와 함께 먹는다. 이웃이나 친척들에게 나눠주는 풍습이 있다. |
6. 1. 아르메니아
전통적으로 라바시 반죽을 펼 때에는 얇고 평평하게 편 뒤 반죽을 오븐의 뜨거운 면 가까이에 갖다 댄다. 갓 만들어진 부드러운 라바시는 샌드위치를 만들 때 쉽게 쓸 수 있다. 하지만 만들어진 지 시간이 꽤 지난 딱딱한 라바시는 장기적으로 저장해 놓을 수 있고 이스트가 들어간 빵을 대신해서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의 성찬에 오르기도 한다.[10]아르메니아의 많은 마을에서는 마른 라바시를 나중에 먹기 위해서 높이 쌓아두며, 특정한 때가 되면 빵을 다시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서 많은 빵을 한꺼번에 물에 적신다. 아르메니아에서는 카시를 만들기 위해 마른 라바시를 잘게 부수기도 한다. 반면 갓 만들어진 라바시는 코로밧을 싸기 위해 쓰인다.[10]
라바시는 밀가루, 물, 그리고 소금으로 만들어진다. 빵의 두께는 빵이 얼마나 펴졌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굽기 전 구운 참깨나 양귀비 씨를 라바시에 뿌리기도 한다.[10]
미국 헤리티지 영어 사전(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에 따르면 라바시는 "아르메니아 기원의 얇은 무효소 빵"이다.[20] 2014년, 라바시는 인류 무형 문화 유산에 의해 "아르메니아 문화의 표현"으로 묘사되었다. 이 결정은 음식의 기원이 "아르메니아"가 아닌 "지역"이라는 주장에 대해 아제르바이잔, 이란,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에서 항의를 불러일으켰다.[21][22]
라바시의 기원은 종종 아르메니아에[23][24][25][26] 귀속된다. 아르메니아에서는 신랑의 어머니가 신혼 부부에게 행운, 다산, 달콤함을 기원하며 라바시와 꿀을 먹이는 것이 전통이다. 말린 라바시는 오랜 기간(거의 1년) 보관할 수 있으며,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성찬례 전통에서 효모를 넣은 빵 대신 사용된다.
여성이 라바시를 굽는 모습은 아르메니아 화가들에게 영감을 주는 흔한 주제이다. 유명한 소련 시대 화가 미나스 미나시안의 초상화가 예레반의 아르메니아 국립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 아르메니아계 미국인 예술가 마누엘 톨레기안의 그림 ''아르메니아 여인들의 라바시 굽기''의 판화는 제럴드 포드 미국 대통령에 의해 백악관 건국 200주년 기념 컬렉션에 걸리도록 선정되었다. 예레반 시내에서 열리는 주말 야외 공예 시장에서는 많은 라바시 관련 그림과 수공예품을 볼 수 있으며, 라바시를 만드는 행복한 여성들의 모습이 흔하게 묘사된다.[37]
라바시는 아르메니아의 일상 식사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다[38]. 아르메니아의 마을에서는, 건조된 라바시를 나중에 먹기 위해 산처럼 쌓아두고, 먹을 때는 물을 뿌려 부드럽게 해서 먹는다. 아르메니아에서는, 건조 라바시를 부수어 하슈(Khash)라는 소고기 조림 요리에 넣기도 한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에서는, 라바시를 성찬의 의식에도 사용한다. 또한, 갓 구운 라바시는 부드러우므로, 코로밧 (양고기 숯불구이)와 허브, 치즈를 싸서 먹기도 한다.
라바시는 일반적으로 아르메니아 음식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많다.[39][40][41] 아르메니아 기원의 음식이라고 하는 문헌도 있다.[42][43][44][45][46][47]
흐라치 마르티로시얀이라는 아르메니아 언어학자는 잠정적인 설로, 아르메니아어의 라바시(լավաշ, lavaš)는 라프(լափ, lapʿ), 루프(լուփ, lupʿ), 로바즈(լովազ, lovaz)와 같은 "손바닥"을 의미하는 방언이나, "놀이에 사용하는 평평하고 닦은 돌"을 의미하는 단어 라푸크(լափուկ, lapʿuk), 레푸크(լեփուկ, lepʿuk) 또는 "매우 얇은"을 의미하는 단어 라바즈(լավազ, lavaz) 와의 연관성이 있다고 언급하며, 원시 아르메니아어에서 "평평한"을 의미하는 단어 *''law''에서 파생된 단어가 아닐까 추정했다. 마르티로시얀은 이 빵이 평평하고 얇은 특징을 가지므로, 의미론적으로 가능한 설이라고 했다.[52] 흐라치아 아자리안이 아르메니아어 어원 사전에서 언급한 설에 따르면, 터키인과 페르시아인에게 상가크가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lavaš''는 예레반과 이란 모두에서 아르메니아의 빵으로 여겨지며, 테헤란에서는 이 빵을 "아르메니아의 빵"을 의미하는 nūn-i armanī라고 부른다고 한다.[52][53] 비슷한 예는 다른 지역에서도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데르심에서는 sači hacʿ가 쿠르드족의 환대 음식의 특징인 반면, lavaš가 아르메니아인의 환대 음식의 특징으로 여겨진다.[52]
6. 2.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사비라바드 구에서는 결혼식 후 신부가 새 집에 들어갈 때 시어머니가 라바시를 어깨에 올려놓고 "부유한 집에 오게 하시고, 발걸음이 행운을 가져다주기를"이라고 말한다.[35] 압셰론 구 노브하니 정착지에서는 장례식 후 라바시에 할바를 싸서 만든 ''퀼챠''를 준비하는 것이 관례이다.[36]6. 3. 이란
전통적으로 라바시 반죽을 만들 때에는 얇고 평평하게 편 뒤 오븐의 뜨거운 면 가까이에 붙인다. 이렇게 만든 빵은 갓 만들었을 때는 부드럽지만 곧 수분을 잃고 딱딱해진다.이란에서는 남은 라바시를 다른 음식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이란, 터키, 중동에서는 라바시를 케밥과 함께 뒤름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라바시는 밀가루, 물, 소금으로 만든다. 빵의 두께는 얼마나 얇게 펴졌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굽기 전에 구운 참깨나 양귀비 씨를 뿌리기도 한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란에서 라바시는 가장 유명한 빵 종류이다.
이란, 터키, 중동 일부 지역에서는 라바시를 케밥과 함께 뒤룸 (dürüm)|뒤륌tr 랩(예: 탄투니 (tantuni)|탄투니tr)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마른 라바시는 물, 버터, 치즈를 넣어 수분을 보충한 후 이란에서 간단한 식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라바시 재료는 밀가루, 물, 소금이다. 반죽을 원통형 막대로 얇고 평평하게 편 후, 항아리 모양의 빵 굽는 가마(탄두르와 같은 종류)의 뜨겁게 달궈진 벽에 붙여 굽는다. 갓 구운 라바시는 매우 부드럽지만 금방 건조되어 부스러지므로, 딱딱해지면 장기 보존이 가능하다.
이란에서는 건조 라바시를 패스트푸드처럼 물에 불려 버터, 치즈와 함께 먹는다.
2014년, 라바시는 인류 무형 문화 유산에 "아르메니아 문화의 표현"으로 등재되었다. 이 결정은 아제르바이잔, 이란,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에서 음식의 기원이 "아르메니아"가 아닌 "지역"이라는 주장을 불러일으켰다.[21][22]
라바시의 기원은 아르메니아[23][24][25][26] 또는 이란[27][28][29]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음식 역사학자 길 마크스(Gil Marks)는 일반적으로 중동을 기원으로 본다.[10]
"일반적으로 아르메니아 플랫 브레드라고 불리는 라바시는 이란에도 기원을 가지며, 현재 중동 전역에서 먹고 있으며, 전 세계로 퍼져 있다"라고 썼다.[51]
아르메니아어 어원 사전에 따르면, 터키인과 페르시아인에게는 가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lavaš''는 예레반과 이란 모두에서 아르메니아 빵으로 여겨지며, 테헤란에서는 이 빵을 "아르메니아 빵"을 의미하는 nūn-i armanī라고 부른다.[52][53]
6. 4. 튀르키예
튀르키예 요리에서 lavaştr는 달콤한 요리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kaysefe|카이세페tr, hasude|하수데tr, pestil kavurması|페스틸 카부르마스tr ('조린 과일 가죽'), ağuz|아우즈tr 및 helva|헬바tr와 같은 일부 전통적인 튀르키예 디저트 요리와 함께 제공된다.[31] 이란, 튀르키예, 일부 중동 국가에서는 라바시를 케밥과 함께 사용하여 dürüm|뒤룸tr 랩, 예를 들어 tantuni|탄투니tr를 만든다.6. 5. 카슈미르
카슈미르에서는 이 빵을 '''라바스'''라고 부른다. 카슈미르의 가장 간단한 빵 종류 중 하나이기도 하다. 카슈미르인들은 라바시를 주로 아침에 정해진 양으로 섭취한다. 일부 카슈미르인들은 전통에 따라 라바시를 이웃, 친구, 또는 몇 촌 이내의 친척들에게 나누어 주기도 한다. 이 풍습은 많은 카슈미르인들에게 흔히 좋은 일과 풍부한 음식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32][33] 카슈미르 요리에서 라바스는 전통적으로 아침 차, 즉 눈 차이와 함께 사용된다.7.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 논란
2014년 라바시가 인류 무형 문화 유산에 "아르메니아 문화의 표현"으로 등재되자,[21][22] 아제르바이잔, 이란,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등 주변 국가들은 이에 대해 항의했다. 이들은 라바시가 특정 국가의 문화유산이 아니라, 서아시아 지역 전체의 음식 문화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논란 끝에 2016년 유네스코는 "납작빵을 만들고 나누는 문화: 라바시, 카트르마, 주프카 또는 유프카"를 아제르바이잔, 이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터키의 공동 유산으로 등재했다. 결과적으로 2017년 현재 라바시는 아르메니아의 단독 유산, 그리고 여러 국가들의 공동 유산, 이렇게 두 개의 다른 무형 문화유산으로 취급되고 있다.
7. 1. 아르메니아의 단독 등재 (2014년)
길 마크스(Gil Marks)는 라바시의 역사를 얇은 빵을 테라코타 석쇠에 굽는 초창기 혁신에서 찾는다. 빵의 초기 형태는 뜨겁게 데운 돌이나 숯불에서 빵의 형태로 구워졌지만, 석쇠가 사용되면서 빵은 성경에 묘사된 빵 '라키크'처럼 타지 않고 완전히 익히기 위해 더 얇게 만들어져야 했다. 초창기 오븐의 혁신으로 더 두꺼운 빵도 가능해졌다.[10]미국 헤리티지 영어 사전(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에 따르면 라바시는 "아르메니아 기원의 얇은 무효소 빵"이다.[20] 2014년, 라바시는 인류 무형 문화 유산에 의해 "아르메니아 문화의 표현"으로 묘사되었다. 이 결정은 음식의 기원이 "아르메니아"가 아닌 "지역"이라는 주장에 대해 아제르바이잔, 이란,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에서 항의를 불러일으켰다.[21][22]
라바시의 기원은 종종 아르메니아[23][24][25][26] 또는 이란[27][28][29]에 귀속된다. 음식 역사학자 길 마크스(Gil Marks)는 일반적으로 중동을 기원으로 본다.[10]
2014년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보호 위원회는 아르메니아 공화국 정부가 등록을 요청한 "라바시: 문화의 표현으로서의 전통적인 아르메니아 빵의 제조법, 의미, 외관"을 "라바시: 아르메니아에서의 문화의 표현으로서의 전통적인 빵의 제조법, 의미, 외관"으로 무형 문화유산 보호 협약에 정의된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등록했다. 등록에 즈음하여 "유니크"나 "오리지널"과 같은 단어는 주의 깊게 피했지만, 라바시가 "아르메니아 문화의 표현"이라고도 해석될 수 있는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 아제르바이잔 정부는 유네스코에 이의를 제기했다. 이어서 터키, 이란,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도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보호 위원회에 항의했다. 아제르바이잔을 비롯한 각국의 주장에 따르면 라바시는 아르메니아의 음식이라기보다는 서아시아 지역 전체의 음식에 가깝다.
7. 2. 주변 국가들의 이의 제기
2014년, 라바시가 인류 무형 문화 유산에 "아르메니아 문화의 표현"으로 등재되자, 아제르바이잔, 이란,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에서 이 결정에 대해 항의했다.[21][22] 이들은 라바시의 기원이 "아르메니아"가 아닌 "지역"이라고 주장했다.
아제르바이잔을 비롯한 각국의 주장에 따르면 라바시는 아르메니아 음식이라기보다는 서아시아 지역 전체의 음식에 가깝다. 아제르바이잔 정부는 라바시가 "아르메니아 문화의 표현"이라고 해석될 수 있는 표현에 대해 유네스코에 이의를 제기했고, 터키, 이란,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도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보호 위원회에 항의했다.
2016년, 유네스코는 "납작빵을 만들고 나누는 문화: 라바시, 카트르마, 주프카 또는 유프카"를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등록하고, 아제르바이잔, 이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터키를 해당 무형 문화유산이 보존되고 있는 국가로 인정했다. 그 결과, 2017년 현재 라바시는 두 개의 다른 무형 문화유산으로 취급되고 있다.
7. 3. 공동 등재 (2016년)
2014년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보호 위원회는 아르메니아 공화국 정부가 등록을 요청한 "라바시: 문화의 표현으로서의 전통적인 아르메니아 빵의 제조법, 의미, 외관"을 "라바시: 아르메니아에서의 문화의 표현으로서의 전통적인 빵의 제조법, 의미, 외관"으로 무형 문화유산 보호 협약에 정의된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등록했다. 등록할 때 "유니크"나 "오리지널"과 같은 단어는 주의 깊게 피했지만, 라바시가 "아르메니아 문화의 표현"이라고도 해석될 수 있는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 아제르바이잔 정부는 유네스코에 이의를 제기했다. 이어서 터키, 이란,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도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보호 위원회에 항의했다. 아제르바이잔을 비롯한 각국의 주장에 따르면 라바시는 아르메니아의 음식이라기보다는 서아시아 지역 전체의 음식에 가깝다.
그 후 2016년,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보호 위원회는 "납작빵을 만들고 나누는 문화: 라바시, 카트르마, 주프카 또는 유프카"를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등록하고, "아제르바이잔, 이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터키"를 해당 무형 문화유산이 보존되고 있는 국가로 인정했다. 그 결과, 2017년 현재 라바시는 독립된 두 개의 다른 무형 문화유산으로 취급되는 상황이 되었다.
7. 4. 현재 상황
2014년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보호 위원회는 아르메니아 공화국 정부가 등록을 요청한 "라바시: 문화의 표현으로서의 전통적인 아르메니아 빵의 제조법, 의미, 외관"을 "라바시: 아르메니아에서의 문화의 표현으로서의 전통적인 빵의 제조법, 의미, 외관"으로 무형 문화유산 보호 협약에 정의된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등록했다. 등록할 때 "유니크"나 "오리지널"과 같은 단어는 주의 깊게 피했지만, 라바시가 "아르메니아 문화의 표현"이라고도 해석될 수 있는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 아제르바이잔 정부는 유네스코에 이의를 제기했다. 이어서 터키, 이란,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도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보호 위원회에 항의했다. 아제르바이잔을 비롯한 각국의 주장에 따르면 라바시는 아르메니아의 음식이라기보다는 서아시아 지역 전체의 음식에 가깝다.그 후 2016년,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보호 위원회는 "납작빵을 만들고 나누는 문화: 라바시, 카트르마, 주프카 또는 유프카"를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등록하고, "아제르바이잔, 이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터키"의 각국을 해당 무형 문화유산이 보존되고 있는 국가로 인정했다. 그 결과, 2017년 현재 라바시는 독립된 두 개의 다른 무형 문화유산으로 취급되는 상황이 되었다.
참조
[1]
인용구
[2]
서적
Food Cultures of the World Encyclopedia, Volume 1
Greenwood Press
[3]
서적
A Taste of Russia: A Cookbook of Russian Hospitality
https://archive.org/[...]
Russian Life Books
[4]
서적
Encycl. Ethnography Of Middle-East And Central Asia (3 Vols. Set)
Global Vision
[5]
간행물
Ethnic and traditional Iranian breads: different type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2017-03-01
[6]
서적
Encyclopedia of Jewish Food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0
[7]
서적
The Bread Baker's Apprentice: Mastering the Art of Extraordinary Bread
Potter/TenSpeed/Harmony
2011
[8]
서적
The Culinarian: A Kitchen Desk Reference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2-04-11
[9]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10]
서적
Encyclopedia of Jewish Food
John Wiley and Sons
[11]
서적
Skinny Dips
Chronicle Books
2010
[12]
웹사이트
Tastes of Memory: How to Bake an Authentic Armenian Lavash
https://www.smithson[...]
[13]
웹사이트
Lavash
https://www.saveur.c[...]
2020-02-26
[14]
웹사이트
Lavash, the preparation, meaning and appearance of traditional bread as an expression of culture in Armenia, ''Inscribed in 2014 (9.COM) on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Country(ies): Armenia
http://www.unesco.or[...]
2016-03-16
[15]
웹사이트
Flatbread making and sharing culture: Lavash, Katyrma, Jupka, Yufka
http://www.unesco.or[...]
2016-12-01
[16]
웹사이트
İNCE EKMEK YAPMA VE PAYLAŞMA KÜLTÜRÜ
http://www.kulturpor[...]
[17]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rmenian inherited lexicon
https://books.google[...]
Brill
2011
[18]
웹사이트
lavaş
https://nisanyansozl[...]
2020-05-24
[19]
웹사이트
Search Entry
http://assyrianlangu[...]
2023-02-05
[20]
웹사이트
Lavash
https://www.ahdictio[...]
[21]
뉴스
Armenia, Azerbaijan at Loggerheads Over Lavash
http://www.eurasiane[...]
2014-12-03
[22]
뉴스
A 'pizza war' has broken out between Turkey and Armenia
https://www.independ[...]
2016-10-27
[23]
서적
Cereal Grains: Laboratory Reference and Procedures Manual.
CRC Press
[24]
서적
Food Cultures of the World Encyclopedia, Volume 1
Greenwood Press
[25]
서적
A Taste of Russia: A Cookbook of Russian Hospitality
https://archive.org/[...]
Russian Life Books
[26]
서적
Encycl. Ethnography Of Middle-East And Central Asia (3 Vols. Set)
Global Vision
[27]
간행물
Ethnic and traditional Iranian breads: different type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2017-03-01
[28]
서적
Encyclopedia of Jewish Food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0
[29]
서적
The Bread Baker's Apprentice: Mastering the Art of Extraordinary Bread
Potter/TenSpeed/Harmony
2011
[30]
웹사이트
Mayasız lavaş ekmek tarifi
https://www.hurriyet[...]
2020-04-16
[31]
서적
Her Yönü ile Ani
TTOK
2019
[32]
웹사이트
From Lavasa to Sheermal: Journey Through Kashmir's Bread Culture
https://www.slurrp.c[...]
2024-03-08
[33]
웹사이트
Into The Heart of Kashmir Culture- Kashmiri Bakery
https://thekashmiriy[...]
2024-03-08
[34]
뉴스
Lavash Pizza With Tomatoes, Mozzarella and Goat Cheese
https://cooking.nyti[...]
2010-10-26
[35]
문서
Кулиева Н. М. Современная сельская семья и семейный быт в Азербайджане / Под ред. доктора исторических наук Т. Г. Мусаевой. — Б.: «Элм», 2011. — С. 97.
[36]
서적
Современная сельская семья и семейный быт в Азербайджане
«Элм»
[37]
뉴스
Lavash
https://armenia.trav[...]
2021-07-28
[38]
서적
Encyclopedia international, Volume 2
Lexicon Publications
[39]
서적
A Taste of Russia: A Cookbook of Russian Hospitality
Russian Life Books
[40]
서적
Encycl. Ethnography Of Middle-East And Central Asia (3 Vols. Set)
Global Vision
[41]
서적
Food Cultures of the World Encyclopedia, Volume 1
Greenwood
[42]
웹사이트
Provided by wordnik.com website
http://www.wordnik.c[...]
[43]
웹사이트
Provided by Yahoo Education website
http://education.yah[...]
[44]
서적
Cereal Grains: Laboratory Reference and Procedures Manual.
CRC Press
[45]
서적
Food Cultures of the World Encyclopedia, Volume 1
Greenwood
[46]
서적
Encycl. Ethnography Of Middle-East And Central Asia (3 Vols. Set)
Global Vision
[47]
서적
A Taste of Russia: A Cookbook of Russian Hospitality
Russian Life Books
[48]
서적
The Culinarian: A Kitchen Desk Reference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5-06-01
[49]
서적
Encyclopedia of Jewish Food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0
[50]
서적
Encyclopedia of Jewish Food
John Wiley and Sons
[51]
서적
The Bread Baker's Apprentice: Mastering the Art of Extraordinary Bread
Potter/TenSpeed/Harmony
2011
[52]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rmenian Inherited Lexicon
Brill Academic Publishers
2010
[53]
서적
Hayerēn armatakan baṙaran [Dictionary of Armenian Root Words]
http://www.nayiri.co[...]
Yerevan State Univers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