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란도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란도셀은 일본 초등학생들이 사용하는 가죽 또는 인조 가죽으로 만들어진 책가방이다. 네덜란드어 'ransel'에서 유래되었으며, 메이지 시대 일본 육군에서 사용되던 배낭에서 유래되었다. 1887년 황태자 입학 선물로 란도셀이 사용된 것을 계기로 부유층에서 사용되다가, 1950년대 중반부터 전국적으로 보급되었다. 란도셀은 튼튼하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최근에는 디자인과 기능이 다양화되고 가격대도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란도셀은 일본 문화의 일부가 되었으며, 패션 아이템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방 (패션) - 손가방
    손가방은 물건을 휴대하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가방으로, 고대부터 시작되어 중세 시대 오모니에르를 거쳐 현대에는 클러치, 토트백, 숄더백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패션 아이템으로도 활용되고, '가차없이 대하다'라는 의미의 동사로도 사용된다.
  • 가방 (패션) - 책가방
    책가방은 학생들의 필수품으로, 시대와 문화를 반영하며 파우치 형태에서 란도셀, 가죽 가방, 현대적인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해왔다.
  • 학교 문화 - 교사의 날
    교사의 날은 스승의 노고에 감사와 존경을 표하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로, 대한민국에서는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에 교육 공로자를 포상하고 카네이션을 증정하며 스승의 은혜 노래를 부르는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한다.
  • 학교 문화 - 통학
    통학은 학생들이 집에서 학교까지 이동하는 행위로, 학구, 통학 시간, 교통편, 개인 사정에 따라 다양한 교통 수단을 이용하며, 거주지와 학교의 거리, 지역 특성, 학생의 연령과 학교 종류에 따라 통학 방식이 달라지고, 안전한 통학 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와 노력이 필요하다.
  • 일본의 패션 - 세일러복
    세일러복은 19세기 영국 해군 갑판복에서 유래하여 아동복, 여성 패션, 교복 등으로 유행했으며, 큰 칼라와 넥타이가 특징이고, 일본 대중문화에서 젊음과 여성 청소년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사용된다.
  • 일본의 패션 - 비주얼계
    비주얼계는 1980년대 일본 언더그라운드 음악 씬에서 시작되어 화려한 외모와 패션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 현상으로, 1990년대 전성기를 거쳐 쇠퇴 후 현재까지 일본 대중문화의 일부로 남아 재평가되고 있다.
란도셀
개요
란도셀을 멘 일본 초등학생
란도셀을 멘 일본 초등학생
종류가방
용도학생용 가방 (주로 초등학생)
주요 사용 국가일본
어원
명칭란도셀 (ランドセル)
유래 언어네덜란드어
네덜란드어ransel (란셀, 배낭)
일본 유입 시기에도 시대 말기
역사
기원보신 전쟁 당시 에도 막부 군대의 프랑스식 군용 배낭
초기 형태군인용 가죽 가방
발전 과정가쿠슈인에서 학생용으로 사용하며 점차 일반화
현대적 형태 완성 시기메이지 시대
특징
내구성튼튼하고 견고함
재료가죽, 인공 가죽 (클라리노 등)
디자인사각형 형태,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
기능낙하 시 충격 완화
반사경 부착 (안전)
방범 부저 장착 가능
무게약 1kg ~ 1.4kg
가격비싼 편 (수십만원 상당)
사회적 의미
상징성초등학생의 상징, 학업의 시작
경제적 부담고가로 인해 학부모에게 경제적 부담
사회적 현상란도셀 기부 운동, 란도셀 패션
기타
관련 정보란도셀은 일본 초등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가방
튼튼하고 기능성이 뛰어나며 디자인도 다양함
가격이 비싸지만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음
사회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

2. 역사

1938년 잡지 광고에 실린 란도셀


란도셀의 기원은 에도 시대 막말, 막부가 서양식 군대 제도를 도입하면서 네덜란드에서 가져온 배낭이다. 란도셀은 네덜란드어 ransel|란설nl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본어 발음으로 변형된 것이다.[34][35][36]

메이지 시대에는 관립 소학교인 가쿠슈인 초등과에서 교육 평등을 위해 마차인력거를 이용한 등교를 금지하고 학생들이 직접 학용품이 든 가방을 메고 다니도록 하면서 통학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887년 다이쇼 천황이 되는 황태자 요시히토 친왕의 입학 선물로 이토 히로부미가 육군 배낭을 본뜬 가방을 헌상하면서 황족과 화족들 사이에서 유행처럼 퍼져나가 현대 란도셀의 기초가 되었다.[34]

제2차 세계 대전 전에는 도시 부유층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일반 서민이나 지방에서는 후로시키나 숄더백 등을 사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 성장과 함께 1950년대 중반부터 란도셀이 전국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34]

2. 1. 에도 시대

에도 시대 막말, 막부가 서양식 군대 제도를 도입하면서 장병들의 휴대품 수납용 장비로 네덜란드에서 배낭(Ransel)이 전래되었다. 란도셀의 어원은 네덜란드어 ranselnl인데, 이는 일본어 발음으로 변형된 것이다.[34][35][36] 막말 사용 교련서 호소신시키(歩操新式)에도 양낭(粮嚢)에 란도셀이라는 후리가나가 달려있고, 스고로쿠에도 란도셀과 비슷한 배낭을 멘 병사 그림이 있다. 쇼와 시대 전기까지의 통학용 란도셀과 비슷한 것으로 보아 막말 수입된 군용 배낭이 란도셀의 뿌리임을 알 수 있다.

2. 2. 메이지 시대

메이지 시대 관립 소학교인 가쿠슈인 초등과는 교육 평등 이념에 따라 마차인력거를 이용한 등교를 금지하고, 학생들이 학용품을 직접 넣은 통학 가방을 메고 다니도록 했다. 처음에는 단순한 배낭 형태였으나, 1887년 훗날 다이쇼 천황이 되는 황태자 요시히토 친왕이 입학할 때 이토 히로부미가 축하 선물로 육군 배낭을 본뜬 가방을 헌상했는데, 이것이 황족과 화족들 사이에서 유행처럼 퍼져나가 현대 란도셀의 기초가 되었다.[34]

2. 3. 쇼와 시대와 현대



쇼와 시대 초기까지 통학용 란도셀과 비슷한 것은 에도 시대 막말에 수입된 군용 배낭으로, 이것이 란도셀의 기원임을 알 수 있다. 란도셀은 네덜란드어 'ransel'에서 유래한 말이다.[34][35][36]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 제국 육군에서 가죽제 배낭이 채택되었다. 통학용 란도셀은 가쿠슈인 초등과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1887년 다이쇼 천황이 되는 황태자 요시히토 친왕의 입학 선물로 이토 히로부미가 육군 배낭을 본뜬 가방을 헌상하면서 점차 퍼져나갔다. 하지만 당시에는 비싼 고급품이었기 때문에 도시의 부유층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일반 서민이나 지방에서는 후로시키나 숄더백 등을 사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가 성장하면서 1950년대 중반부터 란도셀이 전국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34] 현대에는 가볍고 튼튼하며 수선이 편리한 인공 가죽인 클라리노를 주로 사용하며, 전체의 약 70%를 차지한다.[34] 그 외에 소가죽이나 코도반 같은 고급 소재도 사용한다.[37]

디자인은 뚜껑이 가방 아랫부분까지 덮는 가쿠슈인형이 주류를 이루지만, 뚜껑 길이가 절반 정도이거나 가로 형태인 디자인도 있다. 2011년 학습지도요령 개정으로 교육 현장에 배포되는 프린트류의 종이 크기가 B5에서 A4로 바뀌면서 A4 용지를 구기지 않고 넣을 수 있는 란도셀의 수요가 늘어났다. 태블릿 컴퓨터를 도입하면서 별도의 전용 수납 공간을 만든 경우도 있다.[37]

색깔은 남학생은 검정을, 여학생은 빨강이 주류이며, 그 외에 분홍, 갈색, 감색, 녹색, 파랑 등을 사용한다. 1960년대에는 검정과 빨강이 대부분이었고, 2000년대에 들어서야 다른 색이 사용되기 시작했다.[34]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일본가방협회 란도셀공업회의 조사에 따르면, 남학생은 70% 정도가 검정을, 15% 정도가 감색을 선택했다.[39][40][41] 여학생은 빨강, 분홍, 보라가 각각 20% 안팎을 차지했다.[39][40][41]

책상에 걸려있는 란도셀


란도셀 커버


신입생들의 교통안전을 위해 노랑 커버를 기증하는 지역이 늘고 있으며, 1학년 동안은 이 커버를 씌워 통학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42] 하지만 1학년이라는 사실을 쉽게 노출시킨다는 점 때문에 이름표와 함께 커버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지역도 있다.

초등학생 때만 사용하기 때문에 품질 보증은 6년으로 설정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3. 디자인



란도셀은 뚜껑이 가방 전체를 덮거나 절반 정도만 덮는 형태, 가로로 긴 형태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된다. 소재는 소가죽이나 코도반 같은 고급 소재도 있지만, 현대에는 가볍고 튼튼한 인공 가죽인 클라리노가 주로 사용된다. 색상은 전통적으로 남학생은 검정, 여학생은 빨강을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분홍, 갈색, 남색, 녹색, 파랑, 보라 등 다양한 색상이 사용된다.

3. 1. 형태와 소재

란도셀은 높이 약 30cm, 너비 23cm, 깊이 18cm 정도의 크기이며, 몸에 닿는 부분은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한다. 빈 란도셀의 무게는 약 1.2kg이다.[6] 뚜껑은 가방 전체를 덮는 형태로, 아래쪽에서 클립으로 고정한다.[7]

최근에는 가볍고 튼튼하며 관리가 쉬운 인공 가죽인 클라리노를 사용한 란도셀이 주류를 이루며, 전체의 약 70%를 차지한다.[34] 그 외에 소가죽이나 코도반(말 가죽) 같은 고급 소재도 사용된다.[37]

디자인은 뚜껑이 가방 아랫부분까지 덮는 가쿠슈인형이 주류이지만, 뚜껑 길이가 절반 정도이거나 가로 형태인 디자인도 있다. 2011년 학습지도요령 개정으로 종이 크기가 B5에서 A4로 바뀌면서 A4 용지를 구기지 않고 넣을 수 있는 란도셀 수요가 늘었다. 태블릿 컴퓨터를 도입하는 경우도 있어, 별도의 전용 수납 공간을 만들기도 한다.[37]

색상은 남학생은 검정, 여학생은 빨강이 주류이며, 그 외에 분홍, 갈색, 남색, 녹색, 파랑 등도 사용된다. 1960년대에는 검정과 빨강이 대부분이었지만, 2000년대부터 다양한 색상이 사용되기 시작했다.[34]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일본가방협회 란도셀공업회의 조사에 따르면, 남학생은 70% 정도가 검정을, 15% 정도가 남색을 선택했다. 여학생은 빨강, 분홍, 보라가 각각 20% 안팎을 차지하여 특정 색에 쏠리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39][40][41]

신입생들의 교통안전을 위해 노랑 커버를 씌우기도 하는데, 1학년임을 쉽게 알 수 있어 이름표와 함께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지역도 있다.

3. 2. 색상

란도셀의 색상은 전통적으로 남학생은 검정, 여학생은 빨강이 주류였다. 그 외에 분홍, 갈색, 감색, 녹색, 파랑 등도 사용된다. 1960년대에는 검정과 빨강이 대부분이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색상이 사용되기 시작했다.[34]

일반사단법인 일본가방협회 란도셀공업회의 2018년부터 2020년에 걸친 조사에 따르면, 남학생은 70% 정도가 검정을, 15% 정도가 감색을 선택하여 검정 계열이 주를 이루었다. 한편 여학생은 빨강, 분홍, 보라가 각각 20% 안팎을 차지해 특정 색에 쏠리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39][40][41]

더 보수적인 학교에서는 색상, 브랜드, 디자인이 규정되어 있기도 하지만, 2000년대 초반부터 교육 시스템의 변화와 함께 란도셀 색상의 다양성이 증가했다. 이는 전통적인 교복이나 란도셀 사용을 더 이상 요구하지 않는 현대화된 학교 내에서 일부 전통을 유지하려는 부모들을 위한 타협의 결과이기도 하다.[5]

신입생들의 교통안전을 위해 노랑 커버를 씌우는 경우도 많지만,[42] 1학년이라는 사실을 쉽게 노출시킨다는 점 때문에 이름표와 함께 커버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지역도 있다.

4. 생산

란도셀의 가격은 내구성과 중요성을 반영한다. 체인점이나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가죽 또는 인조 가죽 란도셀은 약 30000JPY~40000JPY이다.[13] 백화점이나 전통적인 작업장에서 판매되는 란도셀은 55000JPY~70000JPY이며, 일부 로고가 새겨진 모델은 100000JPY 이상이다.[14] 클라리노와 같은 합성 소재는 가격을 다소 낮춰준다. 4월 일본 학기 시작 이후에는 경매 사이트에서 란도셀이 저렴하게 판매되기도 한다. 2012년 1월 Amazon.co.jp에서 가장 인기 있는 5개 란도셀 가격은 8280JPY~16980JPY였다.[15]

4. 1. 수작업 공정

란도셀 생산은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란도셀은 단일 본체와 약 200개의 부속품으로 구성되며, 다이 커팅된 재료와 폴리우레탄 백킹 플레이트가 조합되어 있다. 조립에는 압착, 기계 재봉, 호두 접착, 각 어깨 끈 드릴링, 리벳팅이 포함된다. 가방의 재료와 솜씨는 어린이가 초등학교 6년 동안 배낭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일반적으로 란도셀은 잘 관리하면 성인이 된 후에도 오랫동안 거의 완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란도셀의 유용성과 많은 일본인들이 비교적 걱정 없는 어린 시절을 상징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정서를 증명한다.[12]

4. 2. 내구성과 품질 보증

란도셀은 초등학생이 6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튼튼하게 설계되었다. 란도셀의 재료와 제작 기술은 가방의 내구성을 보장한다.[12] 란도셀은 6년 사용 후에도, 심지어 성인이 된 후에도 거의 완벽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란도셀의 뛰어난 내구성과 더불어, 많은 일본인에게 란도셀이 걱정 없던 어린 시절을 상징하는 정서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12]

5. 가격

란도셀의 가격은 품질, 재료, 판매처 등에 따라 다양하다. 가죽 또는 인조 가죽으로 만든 새 란도셀은 체인점이나 슈퍼마켓에서 약 30000JPY-40000JPY에 판매된다.[13] 백화점이나 전통적인 작업장에서 판매되는 란도셀은 55000JPY-70000JPY 정도이며, 일부 모델은 100000JPY 이상에 판매되기도 한다.[14] 클라리노와 같은 합성 소재는 가격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중고 란도셀은 경매 사이트에서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5. 1. 가격 변동 추이

1970년대 란도셀 가격은 6,000円|엔일본어 정도였으나, 2014년 후쿠오카시에서는 4만円|엔일본어까지 상승했다.[37] 최근에는 인터넷 통신 판매를 통해 1만円|엔일본어 이하로 구입할 수 있는 저렴한 란도셀도 등장했다.[43]

일본 가방 협회 란도셀 공업회는 2018년부터 평균 구매 가격을 조사하고 있는데, 2024년 4월 입학분은 5만 9138円|엔일본어으로 2018년 대비 약 7800円|엔일본어 증가했다.[21] 이는 저출산으로 아이 1인당 사용하는 금액이 높아지고, '란카츠'(ラン活)의 확산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21][26]

1970년대 6000円|엔일본어이었던 란도셀 가격은 2014년 후쿠오카현 가방 가게 기준 4만円|엔일본어부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상승했고, 저소득층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27] 이러한 상황에 따라 저렴한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26][28]

5. 2. 다양한 가격대

1970년대 란도셀 가격은 6,000 정도였으나, 2014년 후쿠오카시에서는 4만 엔까지 상승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신입생에게 란도셀을 나눠주거나 중고 란도셀을 수선해주는 사업을 벌이기도 한다.[37]

최근에는 인터넷 통신 판매를 통해 란도셀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아마존 등에서는 1만 엔 이하로 구입할 수 있는 란도셀도 있다.[43] 과거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고가의 란도셀만 구입할 수 있었지만, 인터넷 통신 판매 보급으로 저렴한 란도셀도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대부분의 란도셀은 수작업으로 만들어진다. 란도셀은 약 200개의 부속품으로 구성되며, 조립에는 압착, 기계 재봉, 접착, 리벳팅 등이 포함된다.

가죽 또는 인조 가죽으로 만든 새 란도셀은 체인점이나 슈퍼마켓에서 약 30000JPY–40000JPY에 판매된다.[13] 백화점이나 전통적인 작업장에서 판매되는 란도셀은 55000JPY–70000JPY 정도이며, 일부 모델은 100000JPY 이상에 판매되기도 한다.[14] 클라리노와 같은 합성 소재는 가격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중고 란도셀은 경매 사이트에서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2012년 1월, Amazon.co.jp에서 가장 인기 있는 5개의 란도셀 가격은 8280JPY–16980JPY이었다.[15]

일본 가방 협회 란도셀 공업회에 따르면, 2024년 4월 입학 란도셀의 평균 구매 가격은 59138JPY로, 2018년에 비해 약 7800JPY 증가했다.[21] 이는 저출산으로 인해 아이 1인당 사용하는 금액이 높아지고, '란카츠'(란도셀 구매 활동)가 활발해진 영향으로 분석된다.[21][26]

1970년대에는 6000JPY에 판매되던 란도셀 가격은 2014년 후쿠오카현의 한 가방 가게에서 40000JPY부터 판매될 정도로 지속적인 가격 상승을 보였고, 이는 저소득층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27] 이러한 수요에 맞춰 저렴한 제품도 등장하고 있다.[26][28]

6. 다양화

현대 사회의 요구에 맞춰 란도셀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신입생들의 교통안전을 위해 노랑 커버를 씌워 통학하는 경우가 늘고 있지만,[42] 1학년임을 쉽게 알 수 있어 이름표와 함께 커버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지역도 있다. 란도셀은 보통 초등학생 때만 사용하므로 품질 보증 기간은 6년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지만, 학생 사정에 따라 사용을 중단하기도 한다.

저출산으로 인해 각 제조업체는 다양한 란도셀을 개발하고 있다. 캔버스를 사용한 란도셀은 과거 중학교 지정 가방이었던 것을 복각하여 어른용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대형 사철 계열 백화점에서는 각 사의 이미지 색상이나 대표 차량을 본뜬 란도셀을 출시하기도 한다. (한큐 백화점의 한큐 마룬 색, 긴테쓰 백화점의 「시마카제」, 「히노토리」, 도부 백화점의 「스페이시아 X」 등)[29]

6. 1. 디자인 및 기능 변화

현대에 들어서는 튼튼하면서도 가볍고 수선이 편한 인공 가죽인 클라리노를 주로 사용하여 란도셀을 제작하고 있다. 클라리노가 전체의 약 70% 정도를 차지하며, 그 외에 소가죽이나 코도반 같은 고급 소재도 사용되고 있다.[34][37]

디자인은 뚜껑이 가방의 아랫부분까지 덮는 가쿠슈인형이 주류를 이루지만, 뚜껑의 길이가 절반 정도이거나 가로 형태를 취하는 디자인도 있다. 2011년 학습지도요령이 개정되면서 교육 현장에 배포되는 프린트류의 종이 크기가 B5에서 A4로 바뀌면서 A4 용지를 구기지 않고 넣을 수 있는 란도셀의 수요가 늘어났다. 하지만 란도셀을 대형화하는 문제는 제조사 측에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38] 태블릿 컴퓨터를 도입한 경우가 있는가 하면 별도의 전용 수납 공간을 만든 경우도 있다.[37]

색깔은 남학생은 검정을, 여학생은 빨강이 주류이며 그 외에 분홍, 갈색, 감색, 녹색, 파랑 등을 사용한다. 1960년대에는 검정과 빨강이 대부분이었고 2000년대가 되어서야 다른 색이 사용되기 시작했다.[34] 일반사단법인 일본가방협회 란도셀공업회가 2018년부터 2020년에 걸쳐서 진행한 조사에 의하면 남학생은 70% 정도가 검정을, 15% 정도가 감색을 선택해 검정 계열이 주를 이루었다. 한편 여학생은 빨강, 분홍, 보라가 각각 20% 안팎을 차지해 특정 색에 쏠리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39][40][41]

저출산 문제가 심화되면서 업체들은 다양한 제품 개발에 나서고 있다.[34] 2005년 무렵부터 란도셀의 뚜껑 길이를 반으로 줄이고 바닥의 두께를 얇게 한 이른바 '학원 가방'(塾バッグ)이 판매되고 있다. 고급 가죽 소재를 사용해서 단단하며 오래 사용할 수 있고 성인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덩치에 맞게 끈을 바꿀 수 있는 형태의 란도셀도 등장했다. 가죽제가 아닌 범포(帆布)를 사용한 란도셀도 있는데 이는 과거 중학교 지정 가방이었던 것이 복구된 것으로 성인용 란도셀로 판매되기도 한다.

일부 소학교는 란도셀을 지정해주기도 하는데 남녀 공통으로 검정이나 갈색 계통에 학교 문장을 찍은 형태가 일반적이다. 란도셀과 배낭의 중간 형태를 취해 합성 섬유제로 만든 것을 지정하기도 한다.

6. 2. 학교 지정 란도셀

일부 소학교는 란도셀을 지정하기도 하는데, 남녀 공통으로 검정이나 갈색 계통에 학교 문장을 찍은 형태가 일반적이다. 란도셀과 배낭의 중간 형태를 취해 합성 섬유제로 만든 것을 지정하기도 한다. 반대로 지자체가 나서 란도셀 사용을 금지했다가 이를 폐지한 사례도 있다.[26]

사립·국립 초등학교에서는 지정 란도셀을 사용하게 하는 경우가 비교적 많다. 남녀 공통 가방에 교표를 금박 또는 압착한 경우가 많다. 또한 란도셀과 백팩의 중간 형태인 합성 섬유제 란삭 등이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교토부 등에서 사용되는 란릭(란 류크)이나, 홋카이도 오타루시에서 사용되는 "냅 랜드" 등이 있다. 1970년대에 한때 란도셀을 폐지했던 자치단체(효고현 니시노미야시, 사이타마현 후지미시 등)가 부활시킨 예도 있다.

대형 사철 계열 백화점에서는 각 사의 이미지 컬러를 사용하거나, 플래그십 차량을 모티브로 한 란도셀을 출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한큐 백화점의 한큐 마룬 색, 긴테쓰 백화점의 「시마카제」, 「히노토리」, 도부 백화점의 「스페이시아 X」를 모티브로 한 란도셀이 있다.[29]

7. 란도셀과 사회 문화

란도셀은 단순한 가방을 넘어 일본 사회와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교통안전, 패션, 그리고 건강과 관련된 측면에서 란도셀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

신입생들의 교통안전을 위해 노란색 커버를 씌우는 경우가 많지만, 1학년임을 쉽게 드러내어 이름표와 함께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지역도 있다.[42]

패션 아이템으로 활용되기도 하는데, 1982년 도가와 준, 1997년 시노하라 도모에가 란도셀을 패션에 활용한 적이 있다.[44] 2014년에는 미국의 배우 조이 데이셔넬이 란도셀을 착용한 사진이 공개되면서 젊은 층 사이에서 유행하기도 했다.[44] 일본 애니메이션의 영향으로 외국인 관광객들이 란도셀을 구매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45]

최근에는 교과서와 태블릿 단말기 등으로 인해 란도셀의 무게가 늘면서, 어린이들의 어깨 결림, 요통, 등교 거부 등의 "란도셀 증후군"이 나타나기도 한다.[20]

7. 1. 교통안전

신입생들의 교통안전을 위해 교통안전협회 등에서 노랑 커버를 기증하는 지역이 늘고 있으며, 1학년 동안은 이 커버를 가방에 씌워 통학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42] 하지만 1학년이라는 사실을 쉽게 노출시킨다는 점 때문에 이름표와 함께 커버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지역도 있다.

학교 통학 시 어린이들의 교통 안전을 높이기 위해, 많은 지역 사회에서는 란도셀 뒤에 씌워 가시성을 높이는 노란색 플라스틱 커버를 배포하기 위해 교통안전협회(交通安全協会|교통안전협회일본어)와 협력하기 시작했다.[9]

7. 2. 패션 아이템

란도셀을 메고 있는 성인 여성


도가와 준은 1982년 라이브 무대에서 감색 플리츠 스커트를 입고 빨강 란도셀을 멘 모습으로 나타나 한때 유행을 끌었다. 시노하라 도모에도 1997년 란도셀을 패션으로 채용한 적이 있다.[44]

과거에 사용한 란도셀을 어린 시절의 추억으로 남기길 원하는 사람들이 있어 작게 가공한 미니 란도셀을 만드는 업체도 있다.

2014년 미국의 여배우 조이 데이셔넬이 빨강 란도셀을 멘 사진이 공개되면서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 란도셀을 메는 것이 붐이 된 적이 있었다.[44]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통해 란도셀을 알게 된 외국인들이 일본에 여행을 갈 때 선물로서 란도셀을 구입하는 경우도 있다. 공항 면세점 등에서 외국인을 위해 란도셀을 파는 사례도 있다.[45]

7. 3. 란도셀 증후군

최근 란도셀은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교과서 페이지 수 증가와 태블릿 단말기 도입으로 인해 내용물의 무게가 증가하고 있다. 풋 마크의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교 1~3학년이 메는 란도셀은 평균 3.97kg에 달하며, 어깨 결림이나 요통과 같은 신체적 부담을 준다. 또한 무거운 짐을 메는 것에 대한 거부감으로 등교 시 우울 상태가 되는 "란도셀 증후군"이 증가하고 있다.[20] 2022년 조사에서는 교과서 등을 포함한 평균 무게는 4.28kg으로 더욱 무거워졌다.[21]

8. 란도셀의 대안

최근 란도셀은 아이의 신체와 가계에 부담을 주는 경우가 있어, 제조사들은 소재 변경 등을 통해 경량화를 추진하고 있다.[21] 모든 학교가 란도셀을 지정 통학 가방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21] 도쿄도 아다치구교육위원회는 2023년 1월, 란도셀이 아닌 가벼운 가방도 허용한다는 통지를 발표했다.[21] 야마구치현 호후시오카야마현 비젠시는 백팩을 무상으로 배포하기도 했다.[21] 백팩 외에도 캐리 카트 등을 이용하는 대안도 있다.[30][20] 시마네현 이즈모시의 일부 지역에서는 란도셀을 폐지하거나, 자치 단체가 신입생 전원에게 가방을 배포하거나, 기증받은 중고 란도셀을 수리하여 양도하는 사례도 있다.[19][31]

8. 1. 경량화 노력

란도셀은 가죽으로 만들어져 무거워 초등학생이 사용하기에 부담이 컸다. 그래서 현대에는 튼튼하고 가벼우면서 수선도 쉬운 인공 가죽인 클라리노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클라리노는 전체 란도셀 소재의 약 70%를 차지하며[34], 그 외에 소가죽이나 코도반 같은 고급 소재도 사용된다.[37]

2022년 시점에서는 소재와 구조 개선으로 란도셀 자체는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교과서 등의 내용물 무게가 증가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풋 마크의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교 1~3학년이 메는 란도셀은 평균 3.97kg에 달하며, 어깨 결림이나 요통과 같은 신체적 부담과 등교 시 우울 상태가 되는 "란도셀 증후군"이 증가하고 있다.[20] 같은 회사의 조사에 따르면 2022년에는 교과서 등을 포함한 평균 무게가 4.28kg으로 더욱 무거워졌다.[21]

이 때문에 제조사들은 소재 변경 등을 통해 경량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6년간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추도록 노력하고 있다.[21]

8. 2. 다양한 가방 허용

최근 란도셀은 아이의 신체와 가계에 부담을 주는 경우가 있어, 제조사들은 소재 변경 등을 통해 경량화를 추진하고 6년간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추도록 노력하고 있다.[21]

하지만 모든 학교가 란도셀을 지정 통학 가방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21] 도쿄도 아다치구교육위원회는 2023년 1월, 란도셀이 아닌 가벼운 가방도 허용한다는 통지를 발표했다.[21] 야마구치현 호후시오카야마현 비젠시는 백팩을 무상으로 배포하기도 했다.[21] 백팩 외에도 캐리 카트 등을 이용하는 대안도 있다.[30][20]

시마네현 이즈모시의 일부 지역에서는 란도셀을 폐지하거나, 자치 단체가 신입생 전원에게 가방을 배포하거나, 기증받은 중고 란도셀을 수리하여 양도하는 사례도 있다.[19][31]

9. 해외의 유사한 책가방

유럽에서도 란도셀과 비슷한 책가방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독일의 슐란젠이나 네덜란드의 북타스 등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일본의 란도셀에 비해 검소하고 가벼운 것이 많다.

10. 란도셀 제조 회사

제조사주요 브랜드 및 특징
세이반천사의 날개 (일본 최대 점유율)
교와 일본 홀딩스후와리
하시모토핏토 짱
이쿠타
이케다야피카 짱
이치자와 신자부로 범포
오쿠마 가방점토끼 마크
가방의 후지타뿅 짱
카와노 백
칸다야 가방 제작소카루 짱
산에이 가방란도셀 가게
츠치야 가방
나카무라 가방 제작소
무라세 가방
라라야라라 짱


참조

[1] 웹사이트 ランドセル - Weblio辞書 https://www.weblio.j[...] GRAS Group 2021-08-21
[2] 웹사이트 ランドセルの意味 - goo国語辞書 https://dictionary.g[...] NTT Resonant Inc. 2021-08-21
[3] 뉴스 The Book Bag That Binds Japanese Societ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4-07-15
[4] 웹사이트 ニッポン・ロングセラー考 Vol.11 ランドセル http://www.nttcom.co[...] NTTコムウェア 2004-03-24
[5] 서적 The Map of My Lif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2-05-24
[6] 웹사이트 The Story of the Birth of New Products: CLARINO https://www.kuraray.[...] 2006
[7] 웹사이트 These Iconic Japanese Randoseru Backpacks Aren't Just For Kids Anymore https://livejapan.co[...] 2020-04-13
[8] 웹사이트 ランドセルの『A4クリアファイル対応』『A4フラットファイル対応』は、何がどう違うの? http://www.kabankobo[...] 2016-01-01
[9] 웹사이트 The Japanese Randoseru, the Ultimate Schooler's Backpack http://yabai.com/p/3[...] 2017-08-25
[10] 웹사이트 The future and past of Japanese randoseru https://www3.nhk.or.[...] 2020-01-31
[11] 웹사이트 The Japanese backpack: facts and origins of the randoseru https://gogonihon.co[...] 2020-02-01
[12] monthly column Randoseru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2-03-20
[13] 웹사이트 Randoseru report http://www.randoseru[...] 2016-09-17
[14] 웹사이트 Department store Randoseru section http://www.takashima[...] 2016-09-17
[15] 웹사이트 Randoseru: How to Choose the Best Japanese Backpack https://japanobjects[...] 2019-01-01
[16] 간행물 第2部 5.幕末の西洋兵学受容 江戸時代の日蘭交流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04-28
[17] 간행물 わかる!国際情勢 Vol.29 オランダ~日蘭通商400周年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18] 웹사이트 ランドセルの最新事情 {{!}} NHK {{!}} WEB特集 https://www3.nhk.or.[...] 2022-05-26
[19] 뉴스 ランドセル 人気の色は?金額は? “ラン活”最新事情 {{!}} NHKニュース https://www3.nhk.or.[...] 2021-07-02
[20] 웹사이트 「首が痛い…」ランドセル症候群なぜ起きる?小学生の約7割が陥る…適正な重量と対処法を解説 https://www.fnn.jp/a[...] 2021-12-02
[21] 뉴스 ランドセル文化 再考の芽/リュック無料配布の自治体も タブレット・教科書ズシリ 家計も肩も負担軽く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4-04-28
[22] 웹사이트 ランドセル購入に関する調査 2020年|ランドセル購入に関する調査|ランドセル工業会 https://archive.vn/y[...] 2021-03-05
[23] 웹사이트 ランドセル購入に関する調査 2019年|ランドセル購入に関する調査|ランドセル工業会 https://archive.vn/D[...] 2021-03-05
[24] 웹사이트 ランドセル購入に関する調査 2018年|ランドセル購入に関する調査|ランドセル工業会 https://archive.vn/e[...] 2021-03-05
[25] 웹사이트 なぜランドセルが一番売れるのは7月なのか {{!}} 子育て https://toyokeizai.n[...] 2018-07-02
[26] 웹사이트 ワークマン「8800円ランドセル」に込められた狙い https://www.yomiuri.[...] 2024-07-04
[27] 뉴스 ランドセル、家計に重荷 無料で配布の自治体も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2016-03-25
[28] 웹사이트 布製ランドセル、価格高騰に一石 ワークマンが8800円品 値札の経済学 https://www.nikkei.c[...] 2024-09-10
[29] 웹사이트 新型特急「スペーシアX」モチーフのランドセル4月登場! https://news.mynavi.[...] マイナビ 2024-03-24
[30] 웹사이트 大人たちから1000件超の猛批判 ランドセルを体感で90%軽くする「さんぽセル」が誕生した理由 https://www.itmedia.[...] 2022-06-12
[31] 웹사이트 ランドセルってそもそも必要? 「ラン活」過熱 出雲には使わぬ地域 https://www.sanin-ch[...] 2022-03-26
[32] 문서 海外セレブも愛用!ランドセルの意外な魅力 | ファッション・トレンド | 東洋経済オンライン | 経済ニュースの新基準 https://toyokeizai.n[...]
[33] 뉴스 日本のランドセルが世界で人気 女子が「カワイイ」「おしゃれ」 https://www.j-cast.c[...] 2015-12-19
[34] 웹인용 ニッポン・ロングセラー考 Vol.11 ランドセル http://www.nttcom.co[...] NTTコムウェア 2004-03-24
[35] 간행물 제2부 5. 막말의 서양 병학 수용 - 에도 시대의 일란 교류 https://www.ndl.go.j[...] 국립국회도서관
[36] 간행물 外務省 わかる!国際情勢 Vol.29 オランダ~日蘭通商400周年 https://www.mofa.go.[...]
[37] 뉴스 ランドセル 人気の色は?金額は? “ラン活”最新事情 https://www3.nhk.or.[...] NHK 뉴스 2022-01-22
[38] 웹인용 ランドセル 1センチの攻防 http://www.yomiuri.c[...] 2022-01-22
[39] 웹인용 ランドセル購入に関する調査 2018年 http://www.randoseru[...] 2022-01-22
[40] 웹인용 ランドセル購入に関する調査 2019年 http://www.randoseru[...] 2022-01-22
[41] 웹인용 ランドセル購入に関する調査 2020年 http://www.randoseru[...] 2022-01-22
[42] 문서
[43] 웹사이트 ランドセルの売れ筋ランキング https://www.amazon.c[...] Amazon.co.jp
[44] 웹사이트 해외 유명 인사들도 애용! 란도셀의 의외의 매력 https://toyokeizai.n[...]
[45] 뉴스 日本のランドセルが世界で人気 http://www.j-cast.co[...] J-CAS 뉴스 2022-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