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록 오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록 오페라는 1960년대에 등장한 음악 장르로, 록 음악 형식을 기반으로 서사적인 이야기를 전개하는 특징을 가진다. 1960년대 더 후의 "토미" 앨범이 록 오페라로 홍보되면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앤드루 로이드 웨버의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핑크 플로이드의 "더 월" 등 다양한 작품들이 록 오페라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록 오페라는 앨범 형태로 제작되거나 뮤지컬로 공연되며, 브로드웨이에서도 공연될 정도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대 신조어 -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인공 부위를 이식받아 신체 기능이 복원되거나 향상된 개조 생명체로, 보철, 인공 장기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의료, 윤리, 군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를 낳고 있다.
  • 1960년대 신조어 - 젠트리피케이션
    젠트리피케이션은 저소득층 거주 지역이 고소득층으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도심 재생에 기여하지만 강제 철거와 임대료 상승 등의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여러 분야에서 연구된다.
  • 록 오페라 - 헤드윅 (뮤지컬)
    젠더퀴어 록 가수 헤드윅 로빈슨의 삶과 '열받은 일 인치'에 얽힌 사연을 독백, 노래, 하드록 밴드, 애니메이션 등으로 전달하는 록 뮤지컬 헤드윅은 1998년 오프 브로드웨이 초연 이후 전 세계적으로 공연되었고, 퀴어 정체성 탐구, 사랑의 기원과의 연관성, 이원론적 주제 등을 다루며 영화로도 제작되어 호평을 받았다.
  • 록 오페라 - Music from "The Elder"
    키스의 컨셉 앨범 "Music from 'The Elder'"는 하드 록 스타일로의 회귀 시도와 새로운 팬층 확보를 위한 아트 록적인 변화가 음악적 일관성 부족으로 이어져 상업적 실패를 겪었으며, "The Oath", "A World Without Heroes" 등의 곡과 멤버들의 외형 변화가 있었다.
록 오페라

2. 역사

록 오페라는 전통적인 오페라 방식으로 여러 곡에 걸쳐 극적인 이야기를 들려주는 록 음악 작품이다. 이러한 노래들은 보통 공통된 주제나 이야기를 가진 앨범 형태로 제공된다. 록 오페라는 컨셉트 앨범과 유사하지만, 특정한 이야기 구조를 따르는 경우가 많아 그 경계가 모호하기도 하다. 제스로 툴의 《Aqualung》, 루 리드의 《Berlin》, 라디오헤드의 《OK Computer》, 마이 케미컬 로맨스의 《Welcome to the Black Parade》 등이 그 예시이다.

1960년대부터 많은 록 음악가들이 록 오페라 제작에 관심을 가졌다. 1966년 RPM 매거진은 브루스 콕번과 윌리엄 호킨스가 록 오페라를 작업 중이라고 보도했다.[1] 마크 워츠는 "십대 오페라"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키스 웨스트가 녹음한 "십대 오페라 발췌 (식료품점 잭)"이 1967년에 히트했다.[2][3]

더 후는 1966년 "그가 잠시 떠나는 동안"이라는 6악장 트랙을 통해 록 오페라의 개념을 실험했다.[10] 이후 1969년, 더 후는 《토미》를 발표하며 록 오페라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다.[7] 이 앨범은 "귀머거리, 벙어리, 장님" 소년 토미 워커의 삶과 가족 관계를 다루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토미》는 이후 시애틀 오페라 프로덕션(1971), 루 레이즈너의 오케스트라 버전(1972), 영화(1975), 브로드웨이 뮤지컬(1992) 등 다양한 형태로 재탄생했다.

1970년대 이후에도 록 오페라는 꾸준히 발전했다. 앤드루 로이드 웨버팀 라이스의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1970), 데이비드 보위의 ''지기 스타더스트와 마스에서 온 스파이더스의 흥망성쇠''(1972),[12] 미트 로프의 ''지옥에서 탈출'' (바그너 록이라는 용어로도 불림),[13] 핑크 플로이드의 ''더 월''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프로그레시브 메탈 밴드 드림 시어터는 1999년 ''메트로폴리스 Pt. 2: 기억 속 장면''을 발매했다.[20] 1973년, 더 후는 모즈[58] 청년 지미의 다중 인격과 정신적 갈등을 묘사한 앨범 『사중인격』을 발표했다.[59] 1974년, 제네시스는 『현혹의 브로드웨이』를 발표했다.

1977년, 미트 로프가 『지옥의 록 라이더』를 발표했다. 이 앨범은 록 오페라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여겨지며,[60]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14×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14] ''롤링 스톤''은 이 앨범을 역대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 목록에서 343위로 선정했다.[16][17]

1984년, 헝가리 인민 공화국에서 영화 『국왕 이슈트반』[64]이 공개되어 이슈트반과 코파니의 싸움을 그림으로써, 커다르 야노시와 너지 임레 총리의 대립[65]을 암시적으로 그렸다.

펑크 록 밴드 그린 데이는 2004년 반전 앨범 『아메리칸 이디엇』에서 미국 제43대 대통령 조지 W. 부시의 전쟁을 비판하는 록 오페라를 발표했다. 2006년, 마이 케미컬 로맨스는 암을 앓는 남자를 주인공으로 한 얼터너티브 록 오페라 『더 블랙 퍼레이드』를 발표했다.

2. 1. 1960년대: 록 오페라의 태동

1966년 7월 4일, 토론토에서 발행된 ''RPM 매거진''은 브루스 콕번과 윌리엄 호킨스가 "할 말이 있다"는 전제 하에 록 오페라를 작업 중이라고 보도했다.[1] 같은 해, 더 후의 피트 타운센드는 매니저 키트 램버트의 생일에 농담으로 만든 "Gratis Amatis"라는 곡을 들려주었다. 컨스턴트 램버트의 아들인 램버트는 클래식 음악에 조예가 깊었고, 타운젠드에게 클래식처럼 웅장한 곡을 쓰라고 제안했다. "Gratis Amatis"는 이에 대한 타운젠드의 응답으로, 아리아와 같은 곡이었다. 동료 중 한 명이 "그 이상한 노래는 마치 ''록 오페라'' 같군"이라고 말했고, 램버트도 "그거 좋군!"이라고 말했다.[34]

타운젠드는 그 해, 더 후의 앨범 『어 퀵 원』 제작 중, 프로듀서 램버트로부터 짧은 곡들을 모아 10분 정도의 이야기 곡을 쓰라는 지시를 받았다. 타운젠드는 「퀵 원」(''A Quick One While He's Away'')이라는 약 9분짜리 곡[35]을 썼다. 이 곡은 '''미니 오페라'''라고 불렸으며,[36] 록 오페라의 원형이 되었다.

1967년 마크 워츠는 『십대 오페라』라는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키스 웨스트가 녹음한 "십대 오페라 발췌 (식료품점 잭)"이 발표되어 1967년에 히트했다.[2][3] 그러나 록 오페라 앨범은 1996년에 발매되었고, 2017년에야 비로소 완전하게 실현되어 무대에 올려졌다.[4]

1968년 더 프리티 팅스는 『S.F. 슬픔』(''S.F. Sorrow'')을 발표했다.[48] ''뉴욕 타임스''의 닐 스트라우스는 더 프리티 팅스의 ''S.F. 슬픔''(1968)을 "일반적으로 최초의 록 오페라로 인정받고 있다"고 썼다.[6]

1969년 더 후는 『토미』를 발표했다.[51] ''피츠버그 포스트-가제트''의 스콧 머비스는 더 후의 1969년 음반 ''토미''가 록 오페라로 홍보된 최초의 앨범이라고 썼다.[7] 이 앨범은 "귀머거리, 벙어리, 장님" 아이인 토미 워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토미''는 제목의 등장인물이 겪는 삶의 경험과 가족과의 관계를 보여준다.

2. 2. 1969년: 《토미》의 등장

더 후의 1969년 음반 《토미》는 록 오페라로 홍보된 최초의 앨범이었다.[7] 이 앨범은 "귀머거리, 벙어리, 장님" 아이인 토미 워커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토미가 겪는 삶의 경험과 가족과의 관계를 보여준다. 밴드의 기타리스트 피트 타운센드는 《S.F. 슬픔》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부인했지만, 비평가들은 《토미》를 그것과 비교해 왔다.

《토미》 앨범은 1971년 시애틀 오페라 프로덕션, 1972년 루 레이즈너의 오케스트라 버전, 1975년 영화, 1992년 브로드웨이 뮤지컬 등 다른 매체로 발전했다.[7] 오리지널 앨범은 2천만 장이 팔렸고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토미》는 팻 보이즈의 랩 오페라인 ''온 앤 온''[8]그린 데이의 펑크 록 오페라 ''아메리칸 이디엇''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린 데이는 또 다른 록 오페라인 ''21세기 붕괴''를 만들었다.[9] 더 후는 이전에 1966년의 6악장 트랙 "그가 잠시 떠나는 동안"을 통해 본격적인 록 오페라로 이어질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10]

2. 3. 1970년대 이후: 다양한 발전

1970년 앤드루 로이드 웨버는 작사가 팀 라이스와 함께 컨셉트 앨범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를 발표했고, 앨범의 히트로 얻은 자금으로 1971년에 록 오페라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를 발표했다. 이 작품은 브로드웨이 공연으로 유명해졌다.[11]

1973년, 더 후는 2장짜리 앨범 《사중인격》을 발표했다. 이 앨범은 1960년대 런던에 실존했던 젊은이들의 집단인 모즈[58]에 속하는 가상의 청년 지미의 다중 인격과 정신적 갈등을 묘사하는 총 17곡으로 구성되었으며, 《토미》에 이은 더 후의 두 번째 록 오페라로 여겨졌다.[59]

1974년, 피터 가브리엘을 주축으로 한 제네시스는 대작 《현혹의 브로드웨이》를 발표했다. 이 앨범은 뉴욕에 사는 라엘이라는 비행 청소년이 지하 세계에 들어가 잃어버린 자신의 일부를 찾는다는 내용으로, 욕망, 기괴한 크리처, 광기, 구원 등의 이야기가 전개된다.

1977년, 미트 로프가 《지옥의 록 라이더》를 발표했다. 이 앨범은 '''록 오페라'''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여겨지며[60], 미국이나 영국 등에서 롱런하여 2012년 기준 누적 판매량은 에 달해[61]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 중 하나로 꼽힌다.[62]

1979년, 핑크 플로이드의 《더 월》은 을 판매했다.[63] 이 앨범의 곡은 주로 로저 워터스가 썼다. 핑크 플로이드에 의해 1980년1981년에, 워터스에 의해 1991년 베를린 장벽에서 대규모 세트를 사용하여 공연이 이루어졌다. 또한 1982년에는 그 플롯을 사용하여 장편 영화 《핑크 플로이드 더 월》이 제작되었다. 워터스는 더욱 브로드웨이 스타일로 각색했다.

같은 해인 1979년, 프랭크 자파는 《조의 차고》를 발표했다. 이 작품은 음악이 비합법화된 이란 혁명에 영감을 받아 9월에 ''Joe's Garage, Act I'', 11월에 ''Joe's Garage, Acts II & III''가 발표되었다.

1984년, 사회주의 체제의 헝가리 인민 공화국에서 영화 《국왕 이슈트반》[64]이 공개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영화는 1000년 내지 1001년에 즉위한 헝가리 초대 국왕 이슈트반이 국왕이 되기까지의 이야기이지만, 등장인물이나 장면 구성이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를 연상시키는 작품이 되었다. 작가는 처음에 영화 시작 부분에 "그리고 그 천 년 후…"라고 표시할지 고민했다고 한다. 이 이슈트반의 이야기로부터 천 년 후인 1956년에는 헝가리 혁명이 발발했다. 즉, 본 작품은 천 년 전의 예수유다의 대립 이야기를 염두에 두면서 이슈트반과 코파니의 싸움을 그림으로써, 커다르 야노시와 너지 임레 총리의 대립[65]의 비극을 암시적으로 그렸다. 일본에서는 이 작품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성공을 거둔 것은 보도되었다.[66] 공연은 영화 촬영을 위해서만 부다페스트의 중앙 공원인 바러시게트에서 이루어졌지만, 영화가 큰 성공을 거두면서 무대에서도 자주 상연되었다.

같은 해, 자파는 극중극 형식의 ''Thing-Fish''를 발표했다.

1989년, 팻 보이즈는 오페라 《On and On》을 발표했다.

1996년, 존 마이너가 《Heavens Cafe》를 라스베이거스의 플라밍고 극장에서 상연했다. 2004년에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재상연했다.

펑크 록 밴드 그린 데이2004년 반전 앨범 《아메리칸 이디엇》에서 미국 제43대 대통령 조지 W. 부시의 전쟁을 비판하는 록 오페라를 발표했다.

앞서 언급한 《국왕 이슈트반》 외에도, 록 오페라는 다양한 언어로 제작되어 왔다. 예를 들어, 스페인의 록 그룹 마고 데 오즈의 《Gaia II - La Voz Dormida》(2005년) 등이 있다.

2005년9월 22일, 록 밴드 루도가 발매한 《브로큰 브라이드/Broken Bride》는 '더 트래블러'라고 불리는 남자가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수년 후 타임머신으로 그녀를 구하기 위해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스토리이다. 그의 여정은 연대기적으로 이야기된다.

2006년뉴저지주의 4인조 록 밴드 마이 케미컬 로맨스을 앓는 남자를 주인공으로 한 얼터너티브 록 오페라 《더 블랙 퍼레이드》를 발표했다.

2006년, 더 후가 24년 만에 발표한 앨범 《엔드리스 와이어》에는 타운젠드의 소설 《The Boy Who Heard Music》에 기초한 미니 록 오페라 ''Wire & Glass''가 수록되었다. 이 작품은 더 큰 컨셉을 가진 록 오페라 ''The Boy Who Heard Music''의 일부로 사용되었고, 후에 무대극이 되어 2007년 7월 13일부터 15일에 걸쳐 바사 칼리지에서 상연되었다.[67]

2. 4. 그 외 주목할 만한 작품들

더 후의 《토미》가 록 오페라로 홍보된 최초의 앨범이라는 주장이 있으나,[7] 록 오페라라는 용어는 그 이전부터 사용되었다. 1966년 7월 4일자 ''RPM 매거진''은 브루스 콕번과 윌리엄 호킨스가 록 오페라를 작업 중이라고 보도했다.[1] 마크 워츠는 "십대 오페라" 프로젝트를 통해 이 아이디어를 탐구했으며, 키스 웨스트가 녹음한 "십대 오페라 발췌 (식료품점 잭)"이 1967년에 히트했다.[2][3]

영국 사이키델릭 밴드 니르바나의 ''사이먼 시모패스의 이야기''(1967)는 "록 오페라 하위 장르에 대한 초기 시도"로 묘사되기도 한다.[5] 더 프리티 팅스의 ''S.F. 슬픔''(1968)은 "일반적으로 최초의 록 오페라로 인정받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6]

''토미''는 다른 매체로도 발전하여, 1971년 시애틀 오페라 프로덕션, 1972년 루 레이즈너의 오케스트라 버전, 1975년 영화, 1992년 브로드웨이 뮤지컬 등으로 제작되었다. 팻 보이즈의 랩 오페라 ''온 앤 온''[8]그린 데이의 펑크 록 오페라 ''아메리칸 이디엇'', ''21세기 붕괴''[9] 등에 영향을 주었다.

앤드루 로이드 웨버팀 라이스의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1970), 데이비드 보위의 ''지기 스타더스트와 마스에서 온 스파이더스의 흥망성쇠''(1972),[12] 미트 로프의 ''지옥에서 탈출'' (바그너 록이라는 용어로도 불림),[13] 핑크 플로이드의 ''더 월'' 등도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프로그레시브 메탈 밴드 드림 시어터는 1999년 ''메트로폴리스 Pt. 2: 기억 속 장면''을 발매했다.[20]

1973년, 더 후는 앨범 『사중인격』을 발표했다. 이 앨범은 모즈[58]에 속하는 가상의 청년 지미의 다중 인격과 정신적 갈등을 묘사하는 총 17곡으로 구성되었으며, 『토미』에 이은 더 후의 두 번째 록 오페라로 여겨졌다.[59]

1974년, 제네시스는 『현혹의 브로드웨이』(The Lamb Lies Down on Broadway)를 발표했다.

1977년, 미트 로프가 『지옥의 록 라이더』를 발표했다. 이 앨범은 록 오페라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여겨지며,[60]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14×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14] 2019년 6월 현재, 영국 앨범 차트에서 522주를 기록하여 스튜디오 앨범 중 두 번째로 긴 차트 런을 기록했다.[15] ''롤링 스톤''은 이 앨범을 역대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 목록에서 343위로 선정했다.[16][17]

1984년, 헝가리 인민 공화국에서 영화 『국왕 이슈트반』[64]이 공개되어 이슈트반과 코파니의 싸움을 그림으로써, 커다르 야노시와 너지 임레 총리의 대립[65]을 암시적으로 그렸다.

펑크 록 밴드 그린 데이는 2004년 반전 앨범 『아메리칸 이디엇』에서 미국 제43대 대통령 조지 W. 부시의 전쟁을 비판하는 록 오페라를 발표했다.

2006년, 마이 케미컬 로맨스는 암을 앓는 남자를 주인공으로 한 얼터너티브 록 오페라 『더 블랙 퍼레이드』를 발표했다.

3. 형식 및 특징

록 오페라는 전통적인 오페라 방식으로 여러 곡에 걸쳐 극적인 이야기를 들려주는 록 음악 작품이다. 이러한 노래들은 보통 공통된 주제나 이야기를 통합한 앨범 형태로 제공된다.

대부분의 록 오페라는 연극으로 무대에 올려진 적이 없고 오디오 뮤지컬 작품으로만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종종 칸타타나 모음곡과 더 유사하다고 여겨지며, 콘셉트 앨범의 부분 집합으로 간주되기도 한다.[5] 특정한 이야기 구조를 따르지 않는 콘셉트 앨범과 달리, 이야기 구조를 따르는 록 오페라는 콘셉트 앨범과의 경계를 더욱 모호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제스로 툴의 《Aqualung》과 《Thick As a Brick》, 루 리드의 《Berlin》, 라디오헤드의 《OK Computer》, 마이 케미컬 로맨스의 《Welcome to the Black Parade》 등이 있다.

가디언의 앤드루 클레멘츠는 ''토미''를 "반역적으로 이름 붙여진 뮤지컬"이라고 부르며, 록 오페라가 가사에 의해 주도되기 때문에 진정한 형태의 오페라가 아니라고 주장한다.[22] 록 오페라가 허세 부리고 과장되었다는 비판에 대해, 피트 타운센드는 팝 음악 자체가 본질적으로 단순한 형태이며, 청중에게 도달하는 것이 유일한 목표이고, 록 오페라는 이를 위한 또 다른 방법일 뿐이라고 반박했다.[23] 반면, 피터 키제월터는 록 음악과 오페라가 "모두 과장되고 거대한 볼거리"이며 같은 주제를 다룬다고 말했다.[24]

뉴욕 타임스의 앤 미지트는 록 오페라의 브로드웨이 공연을 "키보드와 드럼 세트를 추가한 것 이상이 없는" 뮤지컬이라고 비판했다.[25]

전통적인 록 앨범은 독립된 곡들을 모아 놓은 것으로, 수록곡 사이에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록 오페라는 앨범에 통일된 스토리나 일관된 테마를 부여하고, 그것을 극의 형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가수가 극 중 등장인물의 역할을 맡고, 가사는 1인칭 형식을 취하는 것이 기본이다.

음악 및 연극 전문 서적 중에는 록 오페라라는 용어를 오류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지만, 오페라가 가극을 의미하며, "역할을 연기하는 가수들에 의해 전개되는 극"으로 정의한다면 록 오페라는 용어가 타당하다고 여겨진다.[26]

앨범이 스토리나 테마를 가지고 있더라도 극의 형식을 취하지 않고 가수가 그것을 부르기만 하는 것은 컨셉 앨범[27]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즉, 록 오페라는 극의 형식을 갖춘 컨셉 앨범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참조

[1] 서적 The People's Songs: The Story of Modern Britain in 50 Records https://books.google[...] 2013
[2] 뉴스 Excerpt from a Teenage Opera by Keith West https://www.independ[...] 2021-07-10
[3] 서적 The Who on Record https://books.google[...] MacFarland 2015
[4] 뉴스 Grocer Jack has his day as A Teenage Opera finally goes on stage https://www.theguard[...] 2017-07-30
[5] 뉴스 The Who Made the Best Rock Opera Ever, but It's Not the One You Think https://www.theatlan[...] 2014-05-24
[6] 뉴스 THE POP LIFE; The First Rock Opera (No, Not 'Tommy') https://www.nytimes.[...] 2014-05-24
[7] 뉴스 The Who resurrects its 'other' rock opera, 'Quadrophenia' http://www.post-gaze[...] 2014-05-24
[8] 뉴스 Fat Boys Built To Rap Opera Album Hits Stores Today http://articles.phil[...] 2014-05-24
[9] 뉴스 'American Idiot' brings heart of rock 'n' roll to stage http://www.accessatl[...] 2014-05-24
[10] 웹사이트 A Quick One, While He's Away - The Who https://www.allmusic[...] 2022-12-10
[11] 웹사이트 ''Jesus Christ Superstar'', a Rock Opera - Classic Rock Review http://www.classicro[...]
[12] 간행물 Every song on David Bowie's Ziggy Stardust, ranked https://ew.com/music[...]
[13] 웹사이트 35 Years Ago: Meat Loaf's 'Bat Out of Hell' Released http://ultimateclass[...] Ultimate Classic Rock 2014-12-28
[14] 웹사이트 RIAA Database, Bat Out of Hell https://www.riaa.com[...] 2011-02-11
[15] 뉴스 Meat Loaf: In and Out of Hell http://www.bbc.co.uk[...] 2015-07-15
[16] 간행물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18-09-09
[17] 웹사이트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9-09-09
[18] 간행물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0-09-24
[19] 문서 Grammy Award Winners (search for The Wall) http://www.grammy.co[...] National Academy of Recording Arts and Sciences 2009-10-07
[20] 웹사이트 Dream Theater Metropolis, Pt. 2 A Legendary Prog Rock Opera https://www.classicr[...] 2023-01-11
[21] 뉴스 At last, a rock opera that sings https://www.boston.c[...] 2014-05-24
[22] 뉴스 When is an opera not an opera? https://www.theguard[...] 2014-05-24
[23] 뉴스 Tommy, get your gun... https://www.theguard[...] 2014-05-24
[24] 뉴스 Rock Opera. Seriously. https://www.washingt[...] 2014-05-24
[25] 뉴스 Cruising and Schmoozing While Looking for Mr. Right https://www.nytimes.[...] 2014-05-24
[26] 문서 オペラのコンサートでは歌い手が衣装を着て歌いながら演技を行なう。しかしロック・オペラのコンサートは必ずしも演技を伴わない。例えばロック・オペラの代表作であるザ・フーの『トミー』のコンサートは、ヴォーカリスト、ギタリスト、ベーシスト、ドラマーの4人編成であるザ・フーだけによって行なわれた。そこでは、メンバーが登場人物の役を分担して演奏しながら代わる代わるに歌い、演技は一切行わなかった。つまりオペラのコンサートに比べると、ロック・オペラのそのコンサートでは、視覚の面での『劇』の要素が希薄になるきらいがあると言えよう。歌い手が衣装を着けて演技を行ないながら歌う形式をとるものは、ロック・ミュージカルとされる傾向がある。ちなみに、『トミー』も1992年にブロードウェイでロック・ミュージカル”The Who's Tommy"として上演された。
[27] 문서 ビートルズが1967年に発表した『サージェント・ペパーズ・ロンリー・ハーツ・クラブ・バンド』が初期のコンセプト・アルバムの代表作である。
[28] 문서 1962年に彼がシンガーのレイ・コリンズと発表したシングル'Hey Nelda'の名義に因んだ名前だった。
[29] 문서 日曜日のテレビ番組の一つで様々な実験を取り上げて放送していたCBS Repertoire Workshopの番組プロデューサーだった。
[30] 문서 ザッパが高校の同級生だったドン・グレン・ヴリートらとスタジオZで録音した主題歌は、ザッパの『ミステリー・ディスク』(1998年)に収録されている。ドン・グレン・ヴリートは、後にドン・ヴァン・ヴリートと改名して、キャプテン・ビーフハートとして活動した人物である。
[31] 문서 ザッパが当時ロック・オペラという言葉を用いていたかどうかは不明。
[32] 서적 The People’s Songs: The Story of Modern Britain in 50 Records https://books.google[...] 2013
[33] 문서 1964年4月から1978年8月までのメンバーはピート・タウンゼント、ロジャー・ダルトリー、ジョン・エントウィッスル、キース・ムーン。代表曲は「マイ・ジェネレーション」、「ババ・オライリィ」、「無法の世界」など。
[34] 문서 1996年に再発されたCD『トミー』のライナー・ノートに寄せられた、リチャード・バーネス(Richard Barnes)の『Deaf, Dumb and Blind Boy』という一文が出典である。
[35] 문서 6つの小曲から構成され、各曲のヴォーカルをメンバーが分担した。
[36] 문서 「ラエル1」と「ラエル2」からなり、「クイック・ワン」に続く2作目のミニ・オペラとして扱われることもある。「ラエル2」のインストルメンタル部分が後述するアルバム『トミー』(1969年)に流用されたが、曲の内容には『トミー』との関係はない。
[37] 웹사이트 imdb.com https://www.imdb.com[...] 2023-09-09
[38] 문서 「ロッキー」のテーマをヒットさせた。
[39] 웹사이트 Kenrick, John, "Rock: 'The Age of Aquarius'" article at the Musicals101 website http://www.musicals1[...]
[40] 문서 別名'Grocer Jack'。ウェストと共に当時トゥモローに在籍していた[[スティーヴ・ハウ (ギタリスト)|スティーヴ・ハウ]]も録音に参加してギターを弾いた。
[41] 웹사이트 merurido.jp https://merurido.jp/[...] 2023-09-09
[42] 웹사이트 Discogs https://www.discogs.[...] 2023-09-17
[43] 웹사이트 Discogs https://www.discogs.[...] 2023-09-17
[44] 웹사이트 merurido.jp https://merurido.jp/[...] 2023-09-09
[45] 웹사이트 merurido.jp https://merurido.jp/[...] 2023-09-09
[46] 문서 同年11月、ワーツは再度ウェストを起用して第二弾シングル'SAM (from "A Teenage Opera'')'を発表したが、前作に比べると売り上げは振るわず、全英シングルチャートで最高位38位に終わった。翌1968年2月、ワーツは自らヴォーカリストを務めて第三弾シングル'(He's Our Dear Old) Weatherman (from "A Teenage Opera'')'を発表したが、チャートインを逃してしまった。
[47] 문서 1996年、全曲を収録したCDがワーツのプロデュースで発表された。
[48] 문서 [[ビートルズ]]の[[レコーディング・エンジニア]]や[[ピンク・フロイド]]の[[音楽プロデューサー|プロデューサー]]として知られる[[ノーマン・スミス]]をプロデューサーに迎えて制作された。
[49] 문서 後述するザ・フーのアルバム『トミー』(1969年)を史上初のロック・オペラ・アルバムとする記述が散見されるが、タウンゼンドは自伝で、自分達が『トミー』を発表した時には『ティーンエイジ・オペラ』と『S.F.ソロウ』というロック・オペラが既に存在していた、と記している。
[50] 문서 1998年8月、ザ・プリティ・シングスはロンドンの[[アビー・ロード・スタジオ]]に少人数の聴衆を集めて、[[デヴィッド・ギルモア]]を客演者に迎えて『S.F.ソロウ』の完全再演を行ない、インターネット配信した。この音源は1999年1月にライブ・アルバム''[[:en:Resurrection_(The_Pretty_Things_album)|Resurrection]]''として発表された。
[51] 문서 アルバムの正式名はTommyで、ロック・オペラという語句はジャケットには見られない。殆んどの広告ははっきりと「ロック・オペラ」と謳っていたが、いくつかの広告には「トミー(1914-1984)」と書かれてあった。タウンゼンドは自伝で、当時ザ・フーもキンクスも、『トミー』や『アーサー』についてロック・オペラという語句を半ば冗談めかして使っていたと述べている。
[52] 문서 2曲がベーシストの[[ジョン・エントウィッスル]]の作品、1曲がドラマーの[[キース・ムーン]]の作品、1曲が[[ブルース]]歌手[[サニー・ボーイ・ウィリアムソンII]]の『Eyesight to the Blind』、残りはタウンゼントの作品。但し[[キース・ムーン|ムーン]]によるとされた作品は、実際には彼の案に基づいてタウンゼントが書いた(http://www.thewho.net/discography/songs/TommysHolidayCamp.html) 。
[53] 문서 全英、全米のアルバムチャートでそれぞれ最高位2位、4位を記録した。
[54] 문서 1970年にカナダの[[:en:Les_Grands_Ballets_Canadiens|Les Grands Ballets Canadiens]]が『トミー』を伴奏にした[[バレエ]]を[[:en:Fernand_Nault|Fernand Nault]]の振り付けで制作し、1971年4月2日にニューヨークの[[:en:New_York_City_Center|シティ・センター・シアター]]で上演した。このバレエは好評を持って迎えられたので同年10月に再演された。
[55] 문서 1971年4月28日から3週間、[[シアトル]]の[[:en:Moore_Theatre|ムーア・シアター]]で、[[:en:Seattle_Opera|シアトル・オペラ]]による独自の解釈版が上演され、[[ベット・ミドラー]]がジプシー役を務めた。1971年3月に[[南カリフォルニア大学]]で制作された舞台版は、約一年後の1972年2月から約1か月間、[[ハリウッド]]の[[サンセット大通り]]と[[:en:Vine_Street|バイン通り]]の交差点にある[[:en:Earl_Carroll_Theatre_(Los_Angeles)|アクアリウス劇場]]で、Joel Rosensweigの制作の下に上演された。
[56] 문서 [[ロンドン交響楽団]]と[[:en:English_Chamber_Choir|イギリス室内合唱団]]が、ザ・フーのメンバー、[[リンゴ・スター]]、[[ロッド・スチュワート]]らを客演者に迎えて制作した。
[57] 문서 映画でピンボールの魔術師を演じた[[エルトン・ジョン]]による「ピンボールの魔術師」は全英シングルチャートで7位に達し、日本でも一部で話題を呼んだ。
[58] 문서 ザ・フーは1964年にデビューして、[[モッズ]]の間で非常に人気があった。
[59] 문서 様々な人物が登場した『[[トミー (アルバム)|トミー]]』とは異なり、ジミー以外の登場人物はゴッドファーザーとベル・ボーイの二人だけで、ゴッドファーザーが「パンクとゴッドファーザー」、ベル・ボーイが「ベル・ボーイ」という曲で、ジミーと会話を交わす形式で登場する。残りの曲は全てジミーの独白であり、抽象的な内容の物語を補足説明する為にタウンゼントによるライナーノーツと写真集とが添付された。作品の評価は高く、売れ行きも好調であり、[[1978年]]には本作品に基づいた[[さらば青春の光 (映画)|映画]]が制作された。この映画では多くの新しい登場人物が加えられ、ジミーを含めた登場人物全員の台詞は全て会話で、内容は具体的な物語だった。原作からの数曲が、ザ・フーの他の曲や設定年代時のヒット曲と共に挿入歌として用いられた。
[60] 웹사이트 "ロック・オペラ"とは何ですか? - CDJournal.comリサーチ http://www.cdjournal[...] 2023-12-18
[61] 웹사이트 Rocker Meat Loaf endorses Romney | thetelegraph.com.au http://www.dailytele[...] 2023-12-18
[62] 뉴스 米歌手ミートローフさん死去 74歳 「地獄のロック・ライダー」 https://www.afpbb.co[...]
[63] 문서 売り上げの数字に関しては、[[ザ・ウォール]]を参照のこと。
[64] 웹사이트 imdb.com https://www.imdb.com[...] 2023-08-15
[65] 문서 [[ハンガリー動乱]]は、1956年2月の[[ソ連共産党第20回大会]]における[[ニキータ・フルシチョフ]][[第一書記]]の秘密報告による[[スターリン批判]]がきっかけとなった。スターリン批判は東ヨーロッパの衛星国に大きな衝撃をもたらし、ハンガリーでも民主化の動きが起こった。10月23日に動乱が勃発して[[ハンガリー勤労者党]]政権の下で一時期失脚していたナジ・イムレ元首相が首相に返り咲き、同日ソ連共産党は事態を憂いてソ連軍を介入させた。停戦によって事態は一旦沈静化したが、ナジは民主化・自由化政策を推進しようとしたので、ソ連共産党はハンガリー勤労者党改め[[ハンガリー社会主義労働者党]]の[[カーダール・ヤーノシュ]][[書記長]]に圧力をかけてナジの民主化を「反革命」の動きとして終結させようとした。11月4日に再びソ連軍の軍事介入が起こり、ナジは捕えられて2年後に処刑。カーダールはソ連に支援されて新しい共産主義政府を組織して、ハンガリーを統治していった。
[66] 뉴스 文化 ― ロック・オペラにハンガリー国民“熱狂” ― 史話劇『国王イシュトヴァーン』 朝日新聞 1985-02-13
[67] 웹사이트 The Hypertext Who > Liner Notes > Endless Wire http://www.thewho.ne[...] 2010-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