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시타니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시타니아인은 기원전 300년경 이베리아 반도에 거주했던 민족으로, 현재 포르투갈 중부와 스페인 일부 지역에 걸쳐 여러 부족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로마와의 전쟁에서 저항했으며, 비리아투스는 루시타니아인들의 지도자로 활약했다. 비리아투스 사후 로마 문화와 언어를 점차 받아들였으며, 다신교를 믿고 엔도벨리쿠스, 아타에기나 등의 신을 숭배했다. 루시타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켈트어와 연관성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현대에는 포르투갈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포르투갈어 사용자를 '루소폰'이라고 부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인 - 켈티베리아인
    켈티베리아인은 기원전 6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까지 이베리아 반도 중부에 거주하며 카스트로 문화 기반 유목 생활을 하다 요새화된 도시를 중심으로 부족 국가를 형성, 카르타고와 동맹을 맺었으나 로마에 패배 후 문화에 흡수되었고, 최근 유전자 분석 연구에서 북유럽 및 중앙 유럽계 조상의 비율이 높았음이 밝혀진 켈트족과 이베리아인의 혼혈 민족이다.
  • 고대인 - 네우로이
    네우로이는 데스나 강, 프리피야트 강, 드네프르 강 유역의 고대 벨라루스 지역에 거주하며 스키타이 관습을 따르고 뱀의 침략으로 나라를 떠나기도 했던 민족으로, 늑대 숭배와 관련된 문화를 가졌고 밀로흐라드 문화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루시타니아인

2. 역사

프론티누스는 루시타니아의 지도자 비리아투스를 로마에 대항한 전쟁에서 켈트이베리아인의 지도자로 언급했다.[2] 그리스-로마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루시타니아인을 다른 켈트족과 비슷하다고 묘사하며, "루시타니아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킴브리족과 유사하며 모든 사람들 중 가장 용감하다"라고 기록했다.[3][4] 점술가 아르테미도루스는 루시타니아인을 벨리타니아인이라고도 불렀다.[3][4] 스트라본은 루시타니아인을 이베리아인과 구별했으며, 고대에는 오스트리미니스로 알려졌던 켈트이베리아인으로 간주했다.[5][6][7]

그러나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루시타니아인과 베토네스는 켈트 문화 요소를 인접 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채택한, 켈트족 이전의 인도유럽어족 집단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대 플리니우스와 폼포니우스 멜라는 지리적 저술에서 루시타니아인을 아르타브리아인과 같은 인접한 켈트족과 구별했다.[8]

초기 로마 속주 루시타니아는 잠시 아스투리아스와 갈라이키아의 영토를 포함했지만, 곧 북쪽의 '프로빈키아 타라코넨시스' 관할로 넘어갔고, 남쪽은 '프로빈키아 루시타니아 에트 베토네스'로 남았다. 이후 갈라이키아는 자체적인 속주가 되었으며(오늘날 갈리시아와 북부 포르투갈 대부분을 차지), 루시타니아의 북쪽 경계는 도루 강, 동쪽 경계는 '살만티카'와 '카이사로브리가'를 지나 '아나스' (과디아나 강)에 이르렀다.

루시타니아인들은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의 용병으로 참전했다. 실리우스 이탈리쿠스는 갈라이시와 연합한 루시타니아인들이 비리아투스라는 사령관의 지휘 아래 있었다고 묘사한다.[9] 리비우스는 루시타니아와 켈티베리아인 기병대가 한니발의 누미디아 기병대가 접근하기 어려운 지형에서 이탈리아 북부를 습격했다고 기록했다.[10]

기원전 193년부터 루시타니아인들은 히스파니아에서 로마와 본격적으로 전쟁을 벌였다. 기원전 150년, 프라에토르 세르비우스 갈바는 루시타니아인들을 속여 9,000명을 죽이고 20,000명 이상을 갈리아(오늘날의 프랑스)에 노예로 팔았다.

비리아투스 사후, 루시타니아인들은 타우탈루스의 지도 아래 저항을 계속했지만, 점차 로마 문화와 언어를 받아들였다. 루시타니아 도시들은 로마화된 이베리아 반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결국 "로마 시민" 지위를 얻게 되었다.[1]

2. 1. 기원

기원전 300년경(카르타고 정복 이전) 이베리아 반도의 민족 및 언어 지도.


프론티누스는 루시타니아의 지도자 비리아투스를 로마에 대항한 전쟁에서 켈트이베리아인의 지도자로 언급했다.[2]

그리스-로마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루시타니아인을 다른 켈트족과 비슷하다고 묘사하며, "루시타니아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킴브리족과 유사하며 모든 사람들 중 가장 용감하다"라고 기록했다. 점술가 아르테미도루스는 루시타니아인을 벨리타니아인이라고도 불렀다.[3][4] 스트라본은 루시타니아인을 이베리아인과 구별했으며, 고대에는 오스트리미니스로 알려졌던 켈트이베리아인으로 간주했다.[5][6][7]

그러나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루시타니아인과 베토네스는 켈트 문화 요소를 인접 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채택한, 켈트족 이전의 인도유럽어족 집단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대 플리니우스와 폼포니우스 멜라는 지리적 저술에서 루시타니아인을 아르타브리아인과 같은 인접한 켈트족과 구별했다.[8]

초기 로마 속주 루시타니아는 잠시 아스투리아스와 갈라이키아의 영토를 포함했지만, 곧 북쪽의 '프로빈키아 타라코넨시스' 관할로 넘어갔고, 남쪽은 '프로빈키아 루시타니아 에트 베토네스'로 남았다. 이후 갈라이키아는 자체적인 속주가 되었으며(오늘날 갈리시아와 북부 포르투갈 대부분을 차지), 루시타니아의 북쪽 경계는 도루 강, 동쪽 경계는 '살만티카'와 '카이사로브리가'를 지나 '아나스' (과디아나 강)에 이르렀다.

2. 2. 로마와의 전쟁

루시타니아인들은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의 용병으로 참전했다. 실리우스 이탈리쿠스는 갈라이시와 연합한 루시타니아인들이 비리아투스라는 사령관의 지휘 아래 있었다고 묘사한다.[9] 리비우스는 루시타니아와 켈티베리아인 기병대가 한니발의 누미디아 기병대가 접근하기 어려운 지형에서 이탈리아 북부를 습격했다고 기록했다.[10]

기원전 193년부터 루시타니아인들은 히스파니아에서 로마와 본격적으로 전쟁을 벌였다. 기원전 150년, 프라에토르 세르비우스 갈바는 루시타니아인들을 속여 9,000명을 죽이고 20,000명 이상을 갈리아(오늘날의 프랑스)에 노예로 팔았다.

2. 2. 1. 비리아투스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를 위해 싸웠던 루시타니아인 용병들의 사령관 비리아투스[9]와 혼동될 수 있는 비리아투스는 기원전 147년에 루시타니아인의 지도자가 되어 로마에 큰 타격을 입혔다.

기원전 150년, 프라에토르 세르비우스 갈바는 교활한 함정으로 9,000명의 루시타니아인을 학살하고 20,000명 이상을 갈리아(오늘날의 프랑스)에 노예로 팔았다. 비리아투스는 이 학살을 잊지 않았다.

기원전 139년, 비리아투스는 로마로 사절로 보내졌던 그의 동료 3명(아욱스, 디탈쿠스, 미누루스)에게 배신당해 잠자는 동안 살해당했다. 이들은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에나스에게 매수되었는데, 투르데타니인이거나 루시타니아인이 아닌 다른 민족 출신으로 보인다. 그러나 세 사람이 로마로부터 보상을 받으러 돌아오자, 집정관 퀸투스 세르빌리우스 카에피오는 "로마는 반역자에게 돈을 지불하지 않는다"고 선언하며 그들의 처형을 명령했다.[9]

2. 3. 로마화

비리아투스 사후, 루시타니아인들은 타우탈루스의 지도 아래 저항을 계속했지만, 점차 로마 문화와 언어를 받아들였다. 루시타니아 도시들은 로마화된 이베리아 반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결국 "로마 시민" 지위를 얻게 되었다.[1]

3. 문화

루시타니아 문화는 언어를 포함하여 분류하기가 어렵고 논쟁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본질적으로 상당한 켈트족의 영향을 받은 켈트족 이전의 이베리아 문화라고 믿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비커 문화와 관련된 강력한 토착 켈트족 이전의 영향을 받은 켈트족[11] 문화라고 주장한다.

벨 비커 문화의 일반적인 분포와 이동


루시타니아 루눌라 (포르투갈 미란다두코르부)

3. 1. 개요

프론티누스는 루시타니아의 지도자 비리아투스를 로마에 대항한 전쟁에서 켈트이베리아인의 지도자로 언급했다.[2] 그리스-로마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그들을 다른 켈트족과 비슷하다고 묘사하며, "루시타니아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킴브리족과 유사하며 모든 사람들 중 가장 용감하다."라고 하였다. 점술가 아르테미도루스에 따르면 루시타니아인은 벨리타니아인이라고도 불렸다.[3][4] 스트라본은 루시타니아인을 이베리아인과 구별했으며, 고대에는 오스트리미니스로 알려졌던 켈트이베리아인으로 간주했다.[5][6][7]

그러나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루시타니아인과 베토네스는 인접 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켈트 문화 요소를 채택한, 켈트족 이전의 인도유럽어족 집단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대 플리니우스와 폼포니우스 멜라는 지리적 저술에서 루시타니아인을 아르타브리아인과 같은 인접한 켈트족과 구별했다.[8]

루시타니아 문화는 언어를 포함하여 분류가 어렵고 논쟁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본질적으로 상당한 켈트족의 영향을 받은 켈트족 이전의 이베리아 문화라고 믿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이것이 비커 문화와 관련된 강력한 토착 켈트족 이전의 영향을 받은 켈트족[11] 문화라고 주장한다.

3. 2. 종교

루시타니아인들은 다양한 다신교 신앙을 가지고 여러 신을 숭배했으며, 동물 희생을 행했다. 그들은 조잡한 조각으로 그들의 신과 전사를 표현했다.

엔도벨리쿠스는 루시타니아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신이었다. 그는 공중 보건과 안전의 신이었으며, 그의 숭배는 이베리아 반도 전역과 로마 제국 전역으로 퍼져 5세기까지 유지되었다.[12] 호세 레이테 드 바스콘셀로스와 같은 학자들에 따르면, "Endovellicus"라는 단어는 원래 켈트어인 ''Andevellicos''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13] 엔도벨리쿠스는 웨일스어브르타뉴어 이름과 비교되며, 아일랜드다그다와 같은 "매우 좋은 신"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로마인들조차 그의 보호 능력 때문에 그를 숭배했다.

페드로 로케 이달고(20세기)의 ''아타에기나'', 빌라 비소사(포르투갈)의 대리석 박물관


여신 아타에기나는 특히 남부에서 인기가 많았으며, 부활(봄), 다산, 자연, 치유의 여신으로서 로마 시대에는 프로세르피나와 동일시되었다.

루시타니아 신화는 켈트 신화와 관련이 있거나 큰 영향을 받았다.[14][15]

비문에서 잘 나타나는 이름으로는 반두아[16][17][18](보르보의 변형 중 하나)[19]가 있으며, 반두아 에토브리코와 같은 지역과 관련된 두 번째 이름이 자주 사용되었고, 나비아[20]는 강과 시내의 여신이었다.[14][21]

스트라보에 따르면 루시타니아인들은 희생 제물을 바치는 데 열중했다. 그들은 희생 제물의 내장과 정맥을 검사하여 점을 쳤다. 또한 전쟁 포로인 인간 희생 제물을 거친 담요 아래에서 쳐서 어느 방향으로 쓰러지는지 관찰했다. 그들은 포로의 오른손을 잘라 신에게 바쳤다.

3. 3. 언어

루시타니아어는 고대 이베리아어에 속하는 언어로, 인도유럽어족에 속한다. 인도유럽어족 내에서 루시타니아어의 정확한 계통은 여전히 논쟁 중이다.[22]

일부 학자들은 루시타니아어가 어휘, 인명, 지명 등에서 켈트족과의 관련성을 보이며 준 켈트어라는 주장을 제기한다.[22] 반면, 다른 학자들은 루시타니아 신들의 이름과 해당 지역의 다른 문법적 요소를 근거로 이탈리아어파와 연관시키기도 한다.[23][24]

루시타니아어는 기저 이탈로-켈트어파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즉, 켈트어파이탈리아어파로부터 독립된 분파로, 야문나 문화의 이주 이후 중앙 유럽에서 서유럽으로 퍼져나간 원시 켈트어와 원시 이탈리아어에서 일찍 분리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혹은, "북서 인도유럽어"라고 불리는 인도유럽어 방언의 유럽 분파가 켈트어, 이탈리아어뿐만 아니라 게르만어와 발토-슬라브어의 조상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25] 엘리스 에반스는 갈라시아어 - 루시타니아어가 "P" 켈트어 변형의 한 언어(별개의 언어가 아님)였다고 본다.[26][27]

3. 4. 사회 구조

루시타니아인들은 단일한 정치적 실체가 아닌, 여러 부족들의 연합체였다. 각 부족은 자체 영토를 가지고 독립적이었으며, 더 작은 씨족들로 구성되었다.[28] 그러나 그들은 문화적 통일성을 가지고 있었고 부족들을 위한 공통된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각 부족은 자체 부족 귀족과 족장에 의해 통치되었다. 많은 루시타니아 부족 귀족들은 다른 많은 로마 이전 시대의 철기 시대 민족들과 마찬가지로 전사였다.

외부의 위협이 발생했을 때만 다양한 부족들이 정치적으로 연합했는데, 이는 비리아투스가 루시타니아 부족의 단일 지도자가 되었던 로마의 영토 정복 시기에 발생했다. 푸니쿠스, 카우케누스 그리고 카이사루스는 로마 정복 이전의 다른 중요한 루시타니아 족장들이었다. 그들은 (비리아투스 이전) 루시타니아인들을 얼마 동안 통치하며 로마의 정복 시도에 대한 저항을 이끌었고 성공을 거두었다.[28]

알려진 루시타니아 부족들은 다음과 같다:

부족 이름
아라브리겐세스
아라오켈렌세스
아라비
코일라르니/콜라르니
인터람니엔세스
란키엔세스
* 란키엔세스 오피다니
* 란키엔세스 트란스쿠다니
* 란키엔세스 오켈렌세스 (오피다니와 동일할 수 있음)
메이두브리겐세스
파에수리 - 도루 및 보우가 (포르투갈)
팔란티 (학자들 사이에서는 그들이 베토네스인지 루시타니아인인지에 대한 합의가 없다)
* 칼론티엔세스
* 칼루리
* 코에렌세스
페트라비오이
탄기
* 엘보코리
* 이가에디타니
* 타포리/타폴리 - 포르투갈과 스페인 사이의 국경 지역 주변의 테주 강 옆
탈루레스
베아미니코리
비사이에이치



투르둘리 베테레스, 투르둘리 오피다니, 투르둘리 바르딜리, 그리고 투르둘리가 루시타니아 부족(해안 부족)이었는지, 관련 켈트 민족이었는지, 아니면 투르데타니 (켈트, 켈트 이전 인도유럽 또는 이베리아인)와 관련이 있어 남쪽에서 왔는지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오늘날의 아베이루 현에 거주했던 투르둘리 베테레스(더 오래되거나 고대 투르둘리)라는 이름은 그들이 남쪽이 아닌 북쪽에서 왔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지도에서 추정하는 것과는 반대). 여러 투르둘리 민족은 처음에는 북쪽에서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그 다음에는 테주 강과 아나스(과디아나 강) 계곡을 따라 내륙으로 이주한 칼라이치 부족일 가능성이 높다.[28]

더 많은 루시타니아 부족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으며, 그들의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28]

4. 군사

루시타니아인들은 게릴라전에 특히 능숙했던 것으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이들 중 가장 강한 전사들은 산악 지형에서 주민들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29] 루시타니아 전사들은 쇠갈고리 창이나 사우니온이라 불리는 무기를 사용했고, 검과 헬멧은 켈트이베리아인과 비슷한 것을 착용했다. 이들은 투창을 던져 목표물에 깊은 상처를 입히는 데 능숙했다. 또한, 활동적이고 민첩하여 적을 추격하고 참수하는 데에도 뛰어났다.[29]

평화 시기에는 다리의 민첩성과 날렵함을 요구하는 특별한 춤을 추었고, 전쟁 시에는 적에게 돌격할 준비가 될 때까지 시간에 맞춰 행진했다.[30]

아피아노스의 기록에 따르면, 비리아투스 사후 프라에토르 브루투스가 루시타니아를 약탈했을 때, 여성 전사들이 남성들과 함께 용감하게 싸웠다고 한다.[3]

5. 부족 목록

Arabrigenesesla, Araocelensesla, Arabila, Coelarnila/Colarnila, Interamniensesla, Lanciencesla, Meidubrigensesla, 파에수리, 팔란티, Paesurila, Palantila, Petravioila, Tangila, Tapolila/타포리, Taluresla, Veaminicorila, Visaieicila 등의 부족이 루시타니아인에 속했다.[28]

루시타니아인들은 여러 부족들로 구성된 민족으로, 각 부족은 자체 영토를 가지고 독립적이었으나 문화적 통일성을 공유했다. 알려진 루시타니아 부족들은 다음과 같다.

부족 이름비고
Arabrigenesesla
Araocelensesla
Arabila
Coelarnila/Colarnila
Interamniensesla
Lanciencesla
Meidubrigensesla
파에수리 (Paesurila)도루 및 보우가 (포르투갈)
팔란티 (Palantila)학자들 사이에서 베토네스인지 루시타니아인인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음.[28]
Petravioila
Tangila
Taluresla
Veaminicorila
Visaieicila



투르둘리 베테레스, 투르둘리 오피다니, 투르둘리 바르딜리, 그리고 투르둘리가 루시타니아 부족(해안 부족)이었는지, 관련 켈트 민족이었는지, 아니면 투르데타니와 관련이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6. 현대적 의미

오늘날 "루시타니아인"은 종종 환유포르투갈인을 지칭하며, 이와 유사하게 '''루소폰'''은 포르투갈어 사용자를 지칭하는데, 이는 포르투갈, 브라질, 마카오, 동티모르, 앙골라, 모잠비크, 카보베르데, 상투메 프린시페, 기니비사우 및 기타 지역과 국가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포함한다.[1]

참조

[1] 문서 Lusitani
[2] 웹사이트 Stratagems: Book II. V. On Ambushes https://penelope.uch[...]
[3] 서적 Lusitania: historia y etnología Real Academia de la Historia 2000
[4] 서적 As Antiguidades da Lusitânia Imprensa da Univ. de Coimbra
[5] 웹사이트 Espana Sagrada. Theatro geographico-historico de la iglesia de Espana. Origen, divisiones, y limites de todas sus provincias. Antiguedad, traslaciones, y estado antiguo y presente de sus sillas en todos los dominios de Espana, y Portugal. Con varias dissertaciones criticas, para ilustrar la historia eclesiastica de Espana. ... Su autor el P.M. Fr. Henrique Florez, del orden de San Augustin ... Tomo 1.[-51!: Espana sagrada, tomo 32. La Vasconia. Tratado preliminar a las Santas Iglesias de calahorra, y de Pamplona: ... Su autor el P. FR. Manuel Risco del orden de San Augustin https://books.google[...]
[6] 서적 The Geography of Strabo: An English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No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5-29
[7] 학술지 Los coceptos de "Iberia" e "ibero" en Estrabon http://dialnet.uniri[...]
[8] 문서 Pomponius Mela, Chorographia, III.7-9
[9] 문서 Punica
[10] 서적 Cannae: The Experience of Battle in the Second Punic War Routledge 2005-08
[11] 문서 Wodtko 2010: 355–362
[12] 서적 Divindades indígenas sob o domínio romano em Portugal Universidade de Coimbra 2015
[13] 웹사이트 Celts myths and religion in the Iberian Peninsula and Great-Britain: a common origin? https://europe-natio[...]
[14] 웹사이트 Celtic Gods of the Iberian Peninsula http://www4.uwm.edu/[...] 2010-05-12
[15] 웹사이트 Celtic Elements in Northwestern Spain in Pre-Roman times http://www4.uwm.edu/[...] Center for Celtic Studies,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2010-05-12
[16] 웹사이트 Inventaire des divnités celtiques de l’Antiquité http://www.arbre-cel[...]
[17] 서적 Los cántabros antes de Roma https://books.google[...] Real Academia de la Historia 2003
[18] 문서 CIL II, 00215 Corpus Inscriptionum Latinarum
[19] 서적 The Religion of the Ancient Celt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03-01
[20] 학술지 A Cultura Castreja no Minho. Espaço Nuclear dos grandes povoados do Noroeste peninsular.
[21] 웹사이트 Book III, Chapter 3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2019-10-12
[22] 서적 Celtic from the West Chapter 11: The Problem of Lusitanian Oxbow Books
[23] 학술지 Revisiting the classification of Gallo-Italic: A dialectometric approach https://academic.oup[...]
[24] 학술지 The inscription of Cabeço das Fráguas revisited. Lusitanian and Alteuropäisch populations in the West of the Iberian Peninsula
[25] 학회발표 The Indo-Europeanization of Atlantic Europe https://www.oxbowboo[...] Oxbow Books 2013
[2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ilg.usc.es/a[...]
[27] 서적 Celtic Culture: A-Celti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8] 학술지 Novas perspectivas sobre os Lusitanos (e outros mundos) http://www.julianus.[...]
[29] 웹사이트 The Historical Library of Diodorus Siculus http://www.maryjones[...]
[30] 서적 Hispaniae: Spain and the Development of Roman Imperialism, 218-82 BC
[31] 서적 Indoeuropeos y no Indoeuropeos en la Hispania Prerromana Universidad de Salamanca
[32] 서적 Religión, lengua y cultura prerromanas de Hispan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