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아의 군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디아의 군주는 고대 리디아를 통치했던 세 왕조를 의미한다. 첫 번째는 마에오니아 왕조로, 마네스와 아티스 등이 있었다. 두 번째는 헤라클레스 왕조(틸로니드)로, 아르곤부터 칸다울레스까지 22명의 왕이 505년 동안 통치했으며, 칸다울레스는 기원전 687년경에 사망했다. 세 번째는 메름나드 왕조로, 기게스가 건국하여 리디아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아르디스 2세, 사디아테스, 알리아테스 2세, 크로이소스가 이 왕조에 속했다. 크로이소스는 기원전 546년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대왕에게 패배하며 리디아는 페르시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디아의 왕 - 크로이소스
리디아 왕국의 마지막 왕 크로이소스는 막대한 부를 축적하고 크로이세이드 금화를 발행했지만, 키루스 2세에게 패배하여 왕국을 잃었으며 그의 생애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 리디아의 왕 - 옴팔레
그리스 신화 속 리디아 여왕 옴팔레는 헤라클레스를 노예로 삼아 속죄하게 했고, 결혼 후 그와 옷을 바꿔 입는 등 성 역할 전복을 보여주는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헤라클레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들은 리디아 왕조 및 에트루리아 기원 전승에 등장한다. - 군주 목록 - 잉글랜드 국왕
잉글랜드 국왕은 잉글랜드 왕국을 통치했던 군주를 의미하며, 웨섹스 왕조의 에그버트 이후 잉글랜드 전역에 군주권이 행사되었고, 1707년 연합법으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대체되었다. - 군주 목록 - 바르셀로나 백작
바르셀로나 백작은 카탈루냐 지역을 다스린 역사적 작위로, 프랑크 왕국에서 시작하여 세습 작위로 독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아라곤과의 결혼을 통해 아라곤 연합왕국 형성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스페인 국왕이 계승하는 작위이다.
리디아의 군주 | |
---|---|
리디아 왕국 | |
![]() | |
역사 | |
국가 | 리디아 |
존속 기간 | 기원전 1200년경 ~ 기원전 546년 |
수도 | 사르디스 |
언어 | 리디아어 |
군주 목록 | |
전설 시대 | 마네스 아티스 릴루스 알카에우스 벨루스 닌누스 |
헤라클레스 왕조 (티르세니드) | |
통치 기간 | 기원전 1185년? ~ 기원전 687년 |
군주 | 아그론 1세 17명의 왕 (이름 미상) 아르디스 1세 알리아테스 1세 멜레스 칸다울레스 |
메름나드 왕조 | |
통치 기간 | 기원전 687년 ~ 기원전 546년 |
군주 | 기게스 아르디스 2세 사디아테스 알리아테스 2세 크로이소스 |
2. 마에오니아 왕조
헤로도토스는 마에오니아의 첫 왕 마네스와 그의 아들 아티스를 기록하였는데, 다른 문헌에서는 트몰루스와 그의 아들 탄탈로스가 같은 시대의 시필루스 왕으로 되어있다.[2] 옴팔레는 이들 두 가문 모두에 속하므로 그들이 동일하다고 가정된다.[3]
탄탈리드는 기원전 1300년 또는 그 이전에 해당하며, 알려진 전설적인 왕들은 다음과 같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리두스는 그의 이름을 나라와 백성에게 부여했으며, 그의 혈통은 "헤라클레이다이에게 정사를 넘겨줄 때까지" 수많은 세대에 걸쳐 이어졌다.[7]
2. 1. 마네스
헤로도토스는 마네스를 리디아 최초의 왕으로 언급했다.[1] 스트라보와 같은 다른 자료에서는 토몰루스와 그의 아들 탄탈로스를 같은 시기에 해당 지역의 왕으로 지칭하며, 그들이 시필로스 산 근처에서 통치했다고 한다.[2] 그러나 옴팔레가 두 가문 모두에 속하기 때문에 이 두 사람이 마네스와 아티스와 동일 인물이라는 주장이 있다.[3]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는 코티스를 마네스의 아들이자 아티스의 아버지로 기록한다.[4][5]2. 2. 아티스
마네스의 아들이다.[1] 아티스 통치 기간에 심각한 기근이 발생했고, 아티스의 아들 티레누스가 이끄는 시민의 절반이 이탈리아로 이주하여 티르세니아인이 되었다.[1]알려진 전설적인 왕들은 다음과 같다.
- 마네스[1]
- 아티스, 마네스의 아들[6]
- 리두스, 아티스의 아들[7]
2. 3. 리두스
아티스의 아들이다. 헤로도토스는 리두스가 그의 이름을 나라와 백성에게 부여했다고 말한다.[7] 리두스의 혈통은 헤로도토스가 말하듯이 "헤라클레이다이에게 정사를 넘겨줄 때까지" 수많은 세대에 걸쳐 이어졌다.[7] 헤로도토스는 리디아의 헤라클레이다이는 헤라클레스와 이아르다누스(Iardanus)의 노예 소녀 사이에서 태어난 자손이며, 혈통은 헤라클레스에서 알카이오스, 벨루스, 니누스를 거쳐 아그론에 이르렀고, 아그론은 리디아의 첫 번째 헤라클레이다이 왕이었다고 덧붙인다.[7]3. 헤라클레스 왕조 (틸로니드)
틸로니드는 헤라클레스 가문으로 기원전 1185년부터 22대에 걸쳐 505년 동안 리디아를 다스렸다고 전해진다.[8] 이들은 헤라클레스와 옴팔레의 후손으로, 사르디스를 도읍으로 삼았다. 이 왕조는 칸다울레스 왕을 마지막으로 막을 내렸다.[7][10]
헤라클레스 왕조의 알려진 왕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 비고 |
---|---|
아그론 | 기원전 1192년경 활동, 헤라클레스와 리디아 노예 여인의 증손자[7] |
19명의 왕 | 이름 불명, 부자간 왕위 계승[7] |
멜레스 | 미르수스라고도 불림, 칸다울레스의 아버지[7] |
칸다울레스 | 미르실루스라고도 불림, 기원전 687년경 사망, 멜레스의 아들, 기게스에게 살해됨[10][9] |
3. 1. 아르곤
니누스의 아들이자 벨루스의 손자, 알카이우스의 증손이며, 헤라클레스와 옴팔레의 현손이다.[8] 헤라클레스 왕조의 시조로 여겨진다.3. 2. 멜레스
알리아테스 1세의 아들이며, [7] ''별칭''은 미르수스이다.[7] 칸다울레스의 아버지이다.3. 3. 칸다울레스 (미르실로스)
칸다울레스(미르실로스)는 멜레스의 아들로, 헤라클레스 왕조의 마지막 왕이었다. 그는 7년간 리디아를 다스렸으나, 그의 신하였던 기게스에게 살해당했다.[10][9] 기게스는 칸다울레스를 죽이고 리디아의 왕위를 계승하였다.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 왕조는 아그론부터 칸다울레스까지 22대에 걸쳐 505년 동안 리디아를 통치했다고 한다.[8] 칸다울레스는 사르디스를 통치한 마지막 헤라클레스 왕조의 왕이었다.[7]
4. 메름나드 왕조
메름나드 왕조는 기게스가 건국한 왕조로, 기원전 7세기부터 6세기까지 리디아를 통치했으며, 리디아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이 왕조는 역사적이지만, 그 연대는 확실하게 결정된 적이 없다. 전통적인 연대는 헤로도토스의 기록에서 비롯되었으며, 그는 몇몇 통치 기간을 제시했지만, 이는 아시리아 역사와의 연대기적 일치에 근거하여 현대 학자들에 의해 의문이 제기되었다.[11][12][13] 왕조의 이름(Μερμνάδαιgrc)은 리디아어로 -𐤪𐤷𐤦𐤪𐤫𐤠 ''mλimna-''로 기록되었을 수 있다.[14] 어원적으로, 이 이름은 칼리아어 단어 ''mno-'' '아들' 또는 '후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메르므나드 가문의 카리아 기원을 주장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14]
메름나드 왕조에는 다섯 명의 왕이 있었으며, 모두 역사적 인물이다. 왕조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이름 | 비고 |
---|---|
기게스 | 칸다울레스의 미망인의 남편[15][16][17] |
아르디스 | 기게스의 아들[17][18] |
사디아테스 | 아르디스 2세의 아들[18] |
알리아테스 | 사디아테스의 아들[18] |
크로이소스 | 알리아테스의 아들[18][19] |
4. 1. 기게스
기게스는 아시리아 비문에 루두의 구구(687-652 BC 또는 690-657 BC)로 불렸다.[11][12][13] 그는 수도를 히데에서 사르디스로 옮겼다. 킴메르족이 리디아의 도시들을 약탈하였지만 사르디스는 예외였다.기게스는 다스킬루스의 아들로, 카파도키아 유배지에서 리디아 왕 무르실로스(그리스인들은 칸다울레스라고 불렀으며, 개를 교살하는 자라는 뜻으로 리디아의 헤르메스를 의미한다)에게 불려왔다. 그는 아들 대신 리디아로 보내졌다.
기게스는 이집트로 방향을 바꾸어 충성스러운 카리아 군대와 이오니아 용병을 프삼티쿠스에게 보내 아시리아의 지배에서 벗어나도록 도왔다. 몇몇 성경학자들은 기게스를 성경에 나오는 마고그의 지배자 곡으로 보기도 하며, 에제키엘서에 언급되어 있다. 기게스는 기원전 644년경 킴메르족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9]
4. 2. 아르디스 2세
기게스의 아들이다.[17][18] 기원전 644년경 킴메르족과의 전투에서 기게스가 사망하자, 아르디스가 왕위를 계승했다.[9]4. 3. 사디아테스
아르디스 2세의 아들로, 키악사레스가 이끄는 메디아와 전쟁을 벌이고 킴메르족을 아시아에서 몰아냈다.[11][12][13] 콜로폰에서 온 식민주의자들이 건설한 스미르나를 점령하고, 클라조메나에와 밀레투스를 침공하였다.4. 4. 알리아테스 2세
알리아테스 2세(609 또는 619-560BC)는 리디아를 최전성기로 이끈 왕이었다.[20] 키악사레스가 리디아를 공격했을 때 킬리키아와 바빌론의 왕이 기원전 585년 평화 조약을 협상하였다.[11][12][13]4. 5. 크로이소스
알리아테스 2세의 아들로, 리디아의 마지막 왕이었다.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대왕에게 패배하여 리디아는 멸망했다.[18][19][21]키루스 2세에게 프테리아와 팀브라에서 패배했다. 키루스는 기원전 546년 초에 끝난 사르디스 포위전 이후 리디아를 병합했지만, 크로이소스 자신의 운명은 불확실하다.[21]
5. 페르시아 제국의 지배
기원전 546년, 크로이소스는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대왕에게 프테리아와 팀브라에서 패배하였다.[21] 키루스는 사르디스 포위전 이후 리디아를 병합했지만, 크로이소스 자신의 운명은 불확실하다.[21]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Greek Mythology Link: Tantalus
http://homepage.mac.[...]
[3]
웹사이트
Theoi Project Guide to Greek Mythology: Plouto
http://www.theoi.com[...]
2018-06-30
[4]
문서
Roman Antiquities
https://topostext.or[...]
[5]
서적
The History of Herodotus: A New English Version, Ed. with Copious Notes and Appendices, Illustrating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Herodotus, from the Most Recent Sources of Information; and Embodying the Chief Results, Historical and Ethnographical, which Have Been Obtained in the Progress of Cuneiform and Hieroglyphical Discovery. Volume 1: On the Life and History of Herodotus.
https://books.google[...]
D. Appleton and Company
2020-04-20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웹사이트
Compendium of World History: Homer and the Lydian Kings
http://cgca.net/cogl[...]
[12]
웹사이트
Encyclopaedia of the Orient: Lydia
http://lexicorient.c[...]
[13]
웹사이트
Livius Articles on Ancient History: Mermnad dynasty
https://www.livius.o[...]
[14]
간행물
An Agreement between the Sardians and the Mermnads in the Lydian Language?
https://www.academia[...]
2021-11-13
[15]
서적
[16]
웹사이트
Gyges of Lydia
https://www.livius.o[...]
2021-10-26
[17]
간행물
The Date of the Death of Gyges and Its Historical Implications
https://www.jstor.or[...]
2021-10-25
[18]
간행물
WALWET and KUKALIM: Lydian coin legends, dynastic succession, and the chronology of Mermnad kings
https://www.academia[...]
2021-11-10
[19]
간행물
Redating Croesus: Herodotean Chronologies, and the Dates of the Earliest Coinages
https://www.jstor.or[...]
2021-11-14
[20]
서적
[2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