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러의 곱셈 공식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1. 개요
오일러의 곱셈 공식은 곱셈 함수에 대한 디리클레 급수를 소수 p에 대한 곱으로 나타내는 공식이다. 이 공식은 곱셈 함수 a(n)이 주어졌을 때, 디리클레 급수 Σ a(n)/n^s를 곱셈의 형태로 표현하며, 특히 완전 곱셈 함수인 경우 기하 급수로 표현된다. 오일러는 리만 제타 함수에 대한 오일러 곱 공식을 증명했으며, 이는 소수의 무한성을 증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공식은 리우빌 함수, 뫼비우스 함수 등 다양한 함수와 관련되어 있으며, 란다우-라마누잔 상수, 쌍둥이 소수 상수 등 다양한 수학 상수와도 연결된다. 오일러 곱의 수렴성은 복소수의 특정 반평면에서 절대 수렴하며, 모듈러 형식 이론과도 관련이 있다.
2. 정의
오일러의 곱셈 공식은 수론 적 함수의 디리클레 급수 를 소수 에 대한 무한 곱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말한다. [2] 이 공식은 레온하르트 오일러 가 173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학술원에서 발표한 논문 〈무한 급수의 다양한 관찰〉(''Variae observationes circa series infinitas''la )에 처음 등장했다. [2] 오일러는 바젤 문제 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리만 제타 함수 가 특정 형태의 무한 곱(오일러 곱)과 같다는 것을 증명했다. [2] 이 리만 제타 함수에 대한 오일러 곱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종종 '오일러 곱'이라고 하면 리만 제타 함수의 무한 곱 표현을 가리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곱셈 함수)의 디리클레 급수는 소수들에 대한 무한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함수가 완전 곱셈 함수일 경우 더 간단한 형태로 표현된다.
2. 1. 일반적인 정의
일반적으로, 만약 ''a''가 유계인 곱셈 함수라면, 디리클레 급수 :\sum_{n} \frac{a(n)}{n^s}\, 는 다음과 같이 오일러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prod_{p} P(p, s) \quad \text{for } \operatorname{Re}(s) >1 . 여기서 곱은 소수 ''p''에 대해 취해지며, ''P''(''p'', ''s'')는 합이다. :\sum_{k=0}^\infty \frac{a(p^k)}{p^{ks}} = 1 + \frac{a(p)}{p^s} + \frac{a(p^2)}{p^{2s}} + \frac{a(p^3)}{p^{3s}} + \cdots 사실, 이것들을 형식적인 생성 함수로 간주하면, 이러한 ''형식적인'' 오일러 곱 전개의 존재는 ''a''(''n'')이 곱셈적이라는 필요 충분 조건이다. 이는 ''n''이 서로 다른 소수 ''p''의 거듭제곱 ''pk ''의 곱으로 인수분해될 때, ''a''(''n'')이 ''a''(''pk '')의 곱이라는 것을 정확히 의미한다. 중요한 특별한 경우 중 하나는 ''a''(''n'')이 완전 곱셈 함수인 경우로, 이 경우 ''P''(''p'', ''s'')는 기하 급수이다. 그러면 :P(p, s)=\frac{1}{1-\frac{a(p)}{p^s}}, 리만 제타 함수 의 경우와 같이 ''a''(''n'') = 1이며, 더 일반적으로는 디리클레 지표 의 경우이다.
2. 2. 완전 곱셈 함수의 경우
오일러 곱셈 공식에서 중요한 특별한 경우는 함수 a(n) 이 완전 곱셈 함수인 경우이다. 완전 곱셈 함수는 모든 자연수 m, n 에 대해 a(mn) = a(m)a(n) 을 만족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일반적인 곱셈 함수의 오일러 곱에서 각 소수 p 에 대한 인수 P(p, s) 는 다음과 같은 합으로 주어진다.\sum_{k=0}^\infty \frac{a(p^k)}{p^{ks}} = 1 + \frac{a(p)}{p^s} + \frac{a(p^2)}{p^{2s}} + \frac{a(p^3)}{p^{3s}} + \cdots 만약 a(n) 이 완전 곱셈 함수라면, a(p^k) = (a(p))^k 가 성립한다. 따라서 위의 합은 다음과 같은 기하 급수가 된다.P(p, s) = \sum_{k=0}^\infty \frac{(a(p))^k}{(p^s)^k} = \sum_{k=0}^\infty \left(\frac{a(p)}{p^s}\right)^k 이 기하 급수는 공비가 \left|\frac{a(p)}{p^s}\right| < 1 일 때 수렴하며, 그 합은 다음과 같다.P(p, s)=\frac{1}{1-\frac{a(p)}{p^s}} 그러므로 a(n) 이 완전 곱셈 함수인 경우, 오일러 곱은 다음과 같이 더 간단한 형태로 표현된다.\sum_{n=1}^\infty \frac{a(n)}{n^s} = \prod_{p} \frac{1}{1-\frac{a(p)}{p^s}} 이러한 경우의 대표적인 예시는 모든 n 에 대해 a(n) = 1 인 경우로, 이때의 디리클레 급수 는 리만 제타 함수 \zeta(s) 가 된다. 또한 디리클레 지표 \chi(n) 도 완전 곱셈 함수이므로, 디리클레 L-함수 역시 이러한 형태의 오일러 곱을 갖는다.
3. 오일러의 증명 (리만 제타 함수)
레온하르트 오일러 는 바젤 문제 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리만 제타 함수 가 오일러 곱과 동치임을 증명하였다. 이 증명은 173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학술원에서 출판된 그의 논문 〈무한 급수의 다양한 관찰〉(''Variae observationes circa series infinitas''lat )에 수록되었다. [2] 리만 제타 함수에 대한 오일러의 무한곱 표현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어, 종종 이를 간단히 오일러 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오일러의 증명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와 유사한 아이디어를 사용한다. [3] [4] 먼저 1보다 큰 임의의 복소수 s 에 대해 정의된 리만 제타 함수 \zeta(s) = \sum_{n=1}^\infty \frac{1}{n^s} = {1 \over 1^s} + \frac{1}{2^s} + \frac{1}{3^s} + \cdots 에서 시작한다. 양변에 \left(1-\frac{1}{2^{s}}\right) 를 곱하면 우변에서 분모가 2의 배수인 항들이 사라진다. 이어서 \left(1-\frac{1}{3^{s}}\right) 를 곱하면 분모가 3의 배수인 항들이 사라진다. 이 과정을 모든 소수 p 에 대해 반복하면, 마치 체로 걸러내듯이 우변의 항에서 모든 소수의 배수들이 제거되어 결국 1만 남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left( \prod_{p \text{ prime}} (1-p^{-s}) \right) \zeta(s)=1 여기서 \zeta(s) 에 대해 식을 정리하면 최종적으로 리만 제타 함수에 대한 오일러 곱셈 공식을 유도할 수 있다. :\zeta(s)=\prod_{p \text{ prime}} \frac{1}{1-p^{-s}}
3. 1. 증명 과정
오일러의 곱셈 공식에 대한 증명은 리만 제타 함수 의 정의에서 시작한다. [3] [4] 1보다 큰 임의의 복소수 s 에서, 리만 제타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zeta(s) = \sum_{n=1}^\infty \frac{1}{n^s} = {1 \over 1^s} + \frac{1}{2^s} + \frac{1}{3^s} + \frac{1}{4^s} + \frac{1}{5^s} + \cdots 이 식의 양변에 \frac{1}{2^{s}} 를 곱하면 지수법칙에 의해 다음 식이 성립한다. :\frac{1}{2^{s}}\zeta(s) = \frac{1}{2^{s}} + \frac{1}{4^s} + \frac{1}{6^s} + \frac{1}{8^s} + \cdots 원래의 제타 함수 식에서 위 식을 빼면, 좌변은 \zeta(s)-\frac{1}{2^{s}} \zeta(s) = \left(1-\frac{1}{2^{s}}\right) \zeta(s) 로 정리되고, 우변에서는 분모가 짝수인 항들이 모두 사라져 홀수인 항들만 남게 된다. :\left(1-\frac{1}{2^{s}}\right) \zeta(s) = 1 + \frac{1}{3^{s}} + \frac{1}{5^s} + \frac{1}{7^s} + \frac{1}{9^s} + \cdots 이제 이 식의 양변에 다음 소수인 3에 대해 \frac{1}{3^{s}} 를 곱한다. :\frac{1}{3^{s}}\left(1-\frac{1}{2^{s}}\right) \zeta(s) = \frac{1}{3^{s}} + \frac{1}{9^s} + \frac{1}{15^s} + \frac{1}{21^s} + \cdots 다시 위 두 식을 서로 빼면, 우변에서 분모가 3의 배수인 항들이 사라진다. :\left(1-\frac{1}{3^{s}}\right)\left(1-\frac{1}{2^{s}}\right) \zeta(s) = 1 + \frac{1}{5^{s}} + \frac{1}{7^s} + \frac{1}{11^s} + \frac{1}{13^s} + \cdots 이 과정을 모든 소수 p 에 대해 반복한다. 즉, 각 소수 p 에 대해 양변에 \left(1-\frac{1}{p^{s}}\right) 를 곱해 나가는 것이다. 소인수분해의 유일성에 따라, 이 과정을 무한히 반복하면 우변의 1 을 제외한 모든 항이 사라지게 된다. :\cdots \left(1-\frac{1}{11^{s}}\right)\left(1-\frac{1}{7^{s}}\right)\left(1-\frac{1}{5^{s}}\right) \left(1-\frac{1}{3^{s}}\right)\left(1-\frac{1}{2^{s}}\right)\zeta(s) = 1 이 식은 모든 소수 p 에 대한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지수법칙에 의해 \frac{1}{p^{s}}=p^{-s} 이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left( \prod_{p \text{ prime}} (1-p^{-s}) \right) \zeta(s)=1 마지막으로, \zeta(s) 에 대해 정리하면 오일러의 곱셈 공식을 얻는다. :\zeta(s)=\prod_{p \text{ prime}} \frac{1}{1-p^{-s}} 이 증명 방법은 마치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를 이용하여 소수를 걸러내는 과정과 유사하다.
3. 2. 소수의 무한성 증명
오일러 는 1737년 오일러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소수 가 무한히 많다는 사실, 즉 소수의 무한성을 증명했다. 리만 제타 함수 ζ(''s'')는 ''s''의 실수부가 1보다 클 때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zeta (s) = \sum_{n=1}^\infty \frac{1}{n^s} = \frac {1}{1^s} + \frac{1}{2^s} + \frac{1}{3^s} + \cdots 양변에 \frac{1}{2^s} 를 곱하면 :\frac {1}{2^s} \zeta (s) = \frac {1}{2^s} + \frac{1}{4^s} + \frac{1}{6^s} + \cdots 이고, 위 식에서 아래 식을 빼면 우변에서 2의 배수인 항들이 소거된다. : \left(1- \frac {1}{2^s}\right) \zeta (s) = \frac {1}{1^s} + \frac{1}{3^s} + \frac{1}{5^s} + \cdots 같은 방식으로 양변에 \frac{1}{3^s} 를 곱하고 빼면, 3의 배수인 항들이 소거된다. : \left(1- \frac {1}{3^s}\right) \left(1- \frac {1}{2^s}\right) \zeta (s) = \frac {1}{1^s} + \frac{1}{5^s} + \frac{1}{7^s} + \cdots 이 과정을 모든 소수 ''p''에 대해 반복하면, 소인수분해의 유일성 에 의해 우변의 \frac{1}{1^s} 을 제외한 모든 항이 사라진다. : \cdots \left(1- \frac {1}{p_k^s}\right) \cdots \left(1- \frac {1}{5^s}\right) \left(1- \frac {1}{3^s}\right) \left(1- \frac {1}{2^s}\right) \zeta (s) = \frac {1}{1^s} = 1 따라서 제타 함수는 모든 소수 ''p''에 대한 곱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것이 오일러 곱셈 공식이다. :\zeta (s) = \prod_{p \text{ prime}} \frac{1}{1-p^{-s}} = \frac{1} \frac{1}{1-p^{-1}} 이 된다. :\sum_{n=1}^\infty \frac{1}{n} = \frac{1} {{(1- \frac{1}{2})} {(1- \frac{1}{3})} {(1- \frac{1}{5})} {(1- \frac{1}{7})} \cdots } 좌변의 조화 급수는 무한대로 발산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우변의 무한 곱 또한 발산해야 한다. 만약 소수 의 개수가 유한하다면, 우변은 유한 개의 항의 곱이므로 어떤 유한한 값으로 수렴해야 한다. 그러나 좌변이 무한대로 발산하므로 이는 모순이다. 따라서 소수 는 무한히 많아야 한다.
4. 다양한 함수에 대한 오일러 곱
아래 예시들에서는 모든 소수 의 집합을 \mathbb{P} 로 표기한다. 즉, \mathbb{P}=\{p \in \mathbb{N}\,|\,p\text{ 는 소수}\} 이다.리만 제타 함수 \zeta(s) 에 대한 오일러 곱은 등비 급수의 합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prod_{p \in \mathbb{P}} \left(\frac{1}{1-\frac{1}{p^s}}\right) = \prod_{p \in \mathbb{P}} \left(\sum_{k=0}^{\infty}\frac{1}{p^{ks}}\right) = \sum_{n=1}^{\infty} \frac{1}{n^s} = \zeta(s) 리만 제타 함수 외에도 리우빌 함수 \lambda(n) 나 뫼비우스 함수 \mu(n) 와 같은 다양한 수론적 함수에 대해서도 오일러 곱 표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뫼비우스 함수와 관련된 오일러 곱은 \frac{1}{\zeta(s)} 또는 \frac{\zeta(s)}{\zeta(2s)} 와 같이 제타 함수와 연관된다. 또한, n 의 서로 다른 소인수의 개수를 \omega(n) 이라 할 때,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Square-free integer) 약수의 개수인 2^{\omega(n)} 에 대한 디리클레 급수는 다음과 같은 오일러 곱으로 표현된다.\sum_{n=1}^\infty \frac{2^{\omega(n)}}{n^s} = \prod_{p \in \mathbb{P}} \left(\frac{1+\frac{1}{p^s}}{1-\frac{1}{p^s}}\right) = \frac{\zeta(s)^2}{\zeta(2s)} s 가 짝수일 때, 리만 제타 함수 \zeta(s) 는 \pi^s 의 유리수 배수로 표현되므로, 위와 같은 특정 오일러 곱들은 유리수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이 성립한다.\prod_{p \in \mathbb{P}} \left(\frac{p^2+1}{p^2-1}\right) = \frac{5}{3} \cdot \frac{10}{8} \cdot \frac{26}{24} \cdot \frac{50}{48} \cdot \frac{122}{120} \cdots = \frac{\zeta(2)^2}{\zeta(4)} = \frac{5}{2} \prod_{p \in \mathbb{P}} \left(\frac{p^4+1}{p^4-1}\right) = \frac{17}{15} \cdot \frac{82}{80} \cdot \frac{626}{624} \cdot \frac{2402}{2400} \cdots = \frac{\zeta(4)^2}{\zeta(8)} = \frac{7}{6} 첫 번째 결과는 라마누잔에 의해 알려졌다. 만약 \chi(n) 이 주기 N 을 갖는 디리클레 지표 라면, 즉 \chi 가 완전 곱셈적 함수이고 \chi(n) 이 n \pmod N 에만 의존하며, n 과 N 이 서로소 가 아닐 때 \chi(n)=0 이라면, 다음과 같은 오일러 곱이 성립한다.\prod_{p \in \mathbb{P}, p \nmid N} \frac{1}{1- \frac{\chi(p)}{p^s}} = \sum_{n=1}^\infty \frac{\chi(n)}{n^s} 여기서 곱은 주기 N 을 나누는 소수 p 를 제외하고 계산한다. 라마누잔은 제타 함수에 대한 오일러 곱을 다음과 같이 일반화했다. s > 1 에 대해,\prod_{p \in \mathbb{P}} \left(x-\frac{1}{p^s}\right)\approx \frac{1}{\operatorname{Li}_s (x)} 여기서 \operatorname{Li}_s(x) 는 폴리로그 함수이다. x=1 일 때 이 곱은 \frac{1}{\zeta(s)} 가 된다.
4. 1. 리우빌 함수
리우빌 함수 \lambda(n) = (-1)^{\Omega(n)} (여기서 \Omega(n) 은 n 의 소인수 분해에서 소인수의 총 개수)에 대한 오일러 곱은 다음과 같다. [1] [2] \prod_{p \in \mathbb{P}} \left(\frac{1}{1+\frac{1}{p^s}}\right) = \sum_{n=1}^{\infty} \frac{\lambda(n)}{n^{s}} = \frac{\zeta(2s)}{\zeta(s)} 여기서 \mathbb{P} 는 모든 소수 의 집합을 나타내고, \zeta(s) 는 리만 제타 함수 이다. 이 곱셈은 구체적인 소수들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3] \sum_{n=1}^\infty \frac {\lambda (n)}{n^s} = \frac{1} {{(1+ \frac{1}{2^s})} {(1+ \frac{1}{3^s})} {(1+ \frac{1}{5^s})} {(1+ \frac{1}{7^s})} \cdots } = \frac {\zeta (2s)} {\zeta (s)}
4. 2. 뫼비우스 함수
뫼비우스 함수 \mu(n) 에 대한 오일러 곱셈 공식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첫 번째는 리만 제타 함수 \zeta(s) 의 역수와 관련된 공식이다. \prod_{p \in \mathbb{P}} \left(1-\frac{1}{p^s}\right) = \sum_{n=1}^{\infty} \frac{\mu (n)}{n^{s}} = \frac{1}{\zeta(s)} 여기서 \mathbb{P} 는 모든 소수 의 집합을 나타낸다. 두 번째는 뫼비우스 함수의 절댓값 |\mu(n)| 과 관련된 공식이다. \prod_{p \in \mathbb{P}} \left(1+\frac{1}{p^s}\right) = \sum_{n=1}^{\infty} \frac{n^{s}} = \frac{\zeta(s)}{\zeta(2s)} 이 두 공식의 비율을 구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prod_{p \in \mathbb{P}} \left(\frac{1+\frac{1}{p^s}}{1-\frac{1}{p^s}}\right) = \prod_{p \in \mathbb{P}} \left(\frac{p^s+1}{p^s-1}\right) = \frac{\zeta(s)^2}{\zeta(2s)}
5. 오일러 곱과 관련된 상수들
오일러 곱셈 공식은 리만 제타 함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수 들을 소수 들의 곱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잘 알려진 많은 상수가 오일러 곱 형태의 표현을 가지며, 이는 정수론 연구에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된다. 구체적인 상수 목록과 그 표현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5. 1. 주요 상수 목록
아래는 오일러의 곱셈 공식과 관련된 주요 상수 목록이다. : K = \frac{\pi}{4} \prod_{p \equiv 1 \pmod 4} \left(1 - \frac{1}{p^2}\right)^{1/2} = \frac{1}{\sqrt{2}} \prod_{p \equiv 3 \pmod 4} \left(1 - \frac{1}{p^2}\right)^{-1/2} = 0.764223... : C_2 = \prod_{\textstyle{p\;{\rm prime}\atop p \ge 3}} \left(1 - \frac{1}{(p-1)^2}\right) = 0.660161... : C_{FT} = \frac{1}{2} + \left( \frac{1}{2} \prod_{p} \left(1 - \frac{2}{p^2}\right) \right) = 0.661317... : B_2 = \left( \sum_{n=1}^{\infty} \left( \ln \left( 1 - \frac{1}{p_n} \right) + \frac{1}{p_n - 1} \right) \right) + \gamma :(γ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 : C_A = \prod_{p} \left( 1 - \frac{1}{p(p-1)} \right) = 0.373955... :(원시 근에 대한 아르틴 추측과 관련) : K_1 = \prod_p \left( 1 - \frac{2p-1}{p^3} \right) = 0.428249... : C_B = \prod_{p} \left( 1 + \frac{3p^2-1}{p(p+1)(p^2-1)} \right) = 2.596536... : \prod_{p} \left( 1 - \frac{1}{p^2(p+1)} \right) = 0.881513... : \prod_{p} \left( 1 - \frac{p}{p^3-1} \right) = 0.575959... : \prod_{p} \left( 1 - \frac{3}{p^3} + \frac{2}{p^4} + \frac{1}{p^5} - \frac{1}{p^6} \right) = 0.678234... : \prod_{p} \left( 1 + \frac{1}{(p-1)^2} \right) = 2.826419... : C_{\text{Niven}} = 1 + \sum_{s=2}^\infty \left( 1 - \frac{1}{\zeta(s)} \right) :(\zeta(s) 는 리만 제타 함수 ) : D(n) = \prod_{k=1}^{\infty} \left\{ 1 - \left[ 1 - \prod_{j=1}^n \left( 1 - \frac{1}{p_k^j} \right) \right]^2 \right\} : \prod_{p} \left( 1 + \frac{1}{p(p-1)} \right) = \frac{\zeta(2) \zeta(3)}{\zeta(6)} = \frac{315 \zeta(3)}{2\pi^4} = 1.943596... :(\zeta(3) 은 아페리 상수 ) : \prod_{p>2} \left( 1 - \frac{p+2}{p^3} \right) = 0.723648... 강력한 무심 상수 × ζ(2)² (Strongly careless constant × ζ(2)²) (OEIS A065472 ) : \prod_{p} \left( 1 - \frac{1}{(p+1)^2} \right) = 0.775883... : \prod_{p} \left( 1 - \frac{1}{p(p+1)} \right) = 0.704442... : 및 그 역수 (OEIS A065489 ): : \prod_{p} \left( 1 + \frac{1}{p^2+p-1} \right) = 1.419562... : \prod_{p} \left( 1 + \frac{1}{p^2(p-1)} \right) = 1.339784... : \prod_{p} \left( 1 - \frac{3p-2}{p^3} \right) = 0.286747... : \prod_{p} \left( 1 - \frac{1}{p} \right)^7 \left( 1 + \frac{7p+1}{p^2} \right) = 0.0013176... π에 대한 라이프니츠 공식 :\frac{\pi}{4} = \sum_{n=0}^\infty \frac{(-1)^n}{2n+1} = 1 - \frac13 + \frac15 - \frac17 + \cdots 은 디리클레 지표 를 사용하여 디리클레 급수 로 해석될 수 있으며, 오일러 곱으로 변환된다. :\frac{\pi}{4} = \left(\prod_{p\equiv 1\pmod 4}\frac{p}{p-1}\right)\left( \prod_{p\equiv 3\pmod 4}\frac{p}{p+1}\right)=\frac34 \cdot \frac54 \cdot \frac78 \cdot \frac{11}{12} \cdot \frac{13}{12} \cdots, 여기서 각 분자는 소수 이고 각 분모는 4의 가장 가까운 배수이다. [1]
5. 2. 각 상수의 정의 및 오일러 곱 표현
아래는 오일러의 곱셈 공식과 관련된 여러 상수 들과 그 오일러 곱 표현이다. : K = \frac{\pi}{4} \prod_{p \equiv 1 \pmod 4} \left(1 - \frac{1}{p^2}\right)^{1/2} = \frac{1}{\sqrt{2}} \prod_{p \equiv 3 \pmod 4} \left(1 - \frac{1}{p^2}\right)^{-1/2} \approx 0.764223... : C_2 = \prod_{p \ge 3} \left(1 - \frac{1}{(p-1)^2}\right) \approx 0.660161... 여기서 p는 3 이상의 소수 이다. : C_{FT} = \frac{1}{2} + \left(\frac{1}{2} \prod_{p} \left(1 - \frac{2}{p^2}\right)\right) \approx 0.661317... : B_2 = \left(\sum_{n=1}^{\infty} \left(\ln \left( 1 - \frac{1}{p_n} \right) + \frac{1}{p_n - 1} \right) \right) + \gamma 여기서 p_n 은 n번째 소수이고, \gamma 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이다. : C_A = \prod_{p} \left(1 - \frac{1}{p(p-1)}\right) \approx 0.373955... : K_1 = \prod_p \left(1 - \frac{2p-1}{p^3}\right) \approx 0.428249... : C_B = \prod_{p} \left(1 + \frac{3p^2-1}{p(p+1)(p^2-1)}\right) \approx 2.596536... : \prod_{p} \left(1 - \frac{1}{p^2(p+1)}\right) \approx 0.881513... : \prod_{p} \left(1 - \frac{p}{p^3-1}\right) \approx 0.575959... : \prod_{p} \left(1 - \frac{3}{p^3} + \frac{2}{p^4} + \frac{1}{p^5} - \frac{1}{p^6}\right) \approx 0.678234... : \prod_{p} \left(1 + \frac{1}{(p-1)^2}\right) \approx 2.826419... : C_{\text{Niven}} = 1 + \sum_{s=2}^\infty \left(1 - \frac{1}{\zeta(s)}\right) 여기서 \zeta(s) 는 리만 제타 함수 이다. : D(n) = \prod_{k=1}^{\infty} \left\{1 - \left[1 - \prod_{j=1}^n \left( 1 - \frac{1}{p_k^j} \right) \right]^2 \right\} 란다우 토션트 상수 (OEIS A082695 , 란다우의 오일러 피 함수 상수라고도 함) : \prod_{p} \left(1 + \frac{1}{p(p-1)}\right) = \frac{\zeta(2) \zeta(3)}{\zeta(6)} = \frac{315 \zeta(3)}{2\pi^4} \approx 1.943596... 여기서 \zeta(3) 은 아페리 상수 이다. : \prod_{p>2} \left(1 - \frac{p+2}{p^3}\right) \approx 0.723648... : \prod_{p} \left(1 - \frac{1}{(p+1)^2}\right) \approx 0.775883... : \prod_{p} \left(1 - \frac{1}{p(p+1)}\right) \approx 0.704442... : \prod_{p} \left(1 + \frac{1}{p^2+p-1}\right) \approx 1.419562... : \prod_{p} \left(1 + \frac{1}{p^2(p-1)}\right) \approx 1.339784... : \prod_{p} \left(1 - \frac{3p-2}{p^3}\right) \approx 0.286747... : \prod_{p} \left(1 - \frac{1}{p}\right)^7 \left(1 + \frac{7p+1}{p^2}\right) \approx 0.0013176... 또한, π 에 대한 라이프니츠 급수 는 다음과 같다. : \frac{\pi}{4} = \sum_{n=0}^\infty \frac{(-1)^n}{2n+1} = 1 - \frac{1}{3} + \frac{1}{5} - \frac{1}{7} + \cdots 이 급수는 디리클레 지표 \chi(n) (n을 4로 나눈 나머지가 1이면 1, 3이면 -1, 짝수이면 0)를 이용한 디리클레 급수 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오일러 곱으로 변환된다. : \frac{\pi}{4} = \left(\prod_{p \equiv 1 \pmod 4} \frac{p}{p-1}\right) \left(\prod_{p \equiv 3 \pmod 4} \frac{p}{p+1}\right) = \frac{3}{4} \cdot \frac{5}{4} \cdot \frac{7}{8} \cdot \frac{11}{12} \cdot \frac{13}{12} \cdots 여기서 각 분자는 소수 이고, 각 분모는 해당 소수에서 가장 가까운 4의 배수이다. [1]
6. 수렴성
실제로 중요한 대부분의 경우는 무한 급수와 무한 곱의 전개가 어떤 영역에서 절대 수렴 하는 경우이다. 이 영역은 복소수 ''s''의 실수부(Re(''s''))가 어떤 상수 ''C''보다 큰, 즉 복소 평면의 오른쪽 반평면으로 주어진다. :\operatorname{Re}(s) > C 무한 곱이 수렴하려면 0이 아닌 값을 가져야 하므로, 이는 이미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무한 급수로 주어진 함수는 그러한 반평면에서 0이 아니다.모듈러 형식 이론에서는 분모에 2차 다항식이 있는 오일러 곱이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인 랭글랜즈 프로그램 은 차수 ''m''의 다항식과 GL''m'' 에 대한 표현론 의 연결에 대한 유사한 설명을 포함한다.
7. 모듈러 형식과의 관계
실제로 모든 중요한 경우는 무한 급수와 무한 곱의 전개가 어떤 영역에서 절대 수렴 하는 경우이다. :\operatorname{Re}(s) > C, 즉, 복소수 의 어떤 오른쪽 반평면에서 수렴하는 경우를 말한다. 무한 곱이 수렴한다는 것은 그 값이 0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무한 급수로 주어진 함수는 해당 반평면에서 0이 되지 않는다.모듈러 형식 이론에서는 분모에 2차 다항식이 있는 오일러 곱이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더 나아가 일반적인 랭글랜즈 프로그램 은 차수 ''m''의 다항식과 GL''m'' 에 대한 표현론 사이의 유사한 연관성을 다룬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