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우빌 정리 (복소해석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우빌 정리는 복소해석학의 중요한 정리로, 복소 평면 전체에서 유계이고 정칙인 함수는 상수 함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정리는 테일러 급수 전개와 코시 적분 공식을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으며, 대수학의 기본 정리, 극점이 없는 타원 함수의 부재, 상수 함수가 아닌 복소 평면 위 정칙 함수의 상은 조밀하다는 사실 등을 증명하는 데 활용된다. 리우빌 정리는 피카르 소정리로 일반화되며, 콤팩트 리만 곡면 위의 모든 정칙 함수는 상수 함수라는 결과도 도출된다. 이 정리는 1844년 오귀스탱 루이 코시에 의해 처음 증명되었으며, 조제프 리우빌은 극점이 없는 타원 함수가 상수 함수임을 증명하는 데 활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소해석학 정리 - 리만 사상 정리
    리만 사상 정리는 복소해석학에서 단일 연결 열린 진부분집합 사이의 각도를 보존하는 정칙함수, 즉 등각 사상의 존재를 보장하는 중요한 정리이다.
  • 복소해석학 정리 - 리만-로흐 정리
    리만-로흐 정리는 콤팩트 리만 곡면에서 인자의 차수, 유리형 함수 공간의 차원, 곡면의 종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로서, 유리형 함수를 구성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리우빌 정리 (복소해석학)
기본 정보
복소평면에서 리우빌 정리의 기하학적 해석. 경계가 있는 전함수(전체 복소 평면에서 정의되고 해석적인 함수)는 상수 함수여야 한다.
복소평면에서 리우빌 정리의 기하학적 해석. 경계가 있는 전함수(전체 복소 평면에서 정의되고 해석적인 함수)는 상수 함수여야 한다.
정리 내용
내용유계인 전함수는 상수 함수이다.
로마자 표기Yugyein jeonhamsuneun sangsu hamsuda.
관련 인물
이름조제프 리우빌
로마자 표기Josepeu Riubil
관련 정리
관련 정리슈바르츠 보닛 정리

2. 정의

리우빌 정리에 따르면, 복소 평면 \mathbb C 위의 함수 f\colon \mathbb C \to \mathbb C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더 간결하게 말하면, 리우빌 정리는 모든 유계인 전해석 함수는 상수여야 함을 나타낸다.

3. 증명

리우빌 정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테일러 급수를 이용한 증명 외에, 조화 함수의 평균값 성질을 이용한 증명이 있다.

조화 함수를 이용한 증명에서는 두 점이 주어졌을 때, 주어진 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같은 두 개의 공을 선택한다. 반지름이 충분히 크면, 두 공은 부피의 임의로 작은 비율을 제외하고 일치한다. f가 유계이므로, 두 공에 대한 평균은 임의로 가까워지고, 따라서 f는 임의의 두 점에서 같은 값을 갖는다.[2] 이 증명은 조화 함수 f가 단지 위 또는 아래로 유계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조화 함수#리우빌 정리 문서를 참고하라.

3. 1. 테일러 급수를 이용한 증명

상수 함수가 유계 정칙 함수인 것은 자명하다. 유계 정칙 함수 f(z) = \sum_{k=0}^\infty a_k z^k에 대해, 코시 적분 공식을 이용하면 다음 부등식을 얻는다.[2]

:|a_k |=\left|\frac1{2\pi i}\int_{|\zeta|=r}\frac{f( \zeta )}{\zeta^{k+1}}\,d\zeta\right|\le \frac{1}{2 \pi} \int_

4. 따름정리

리우빌 정리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예를 들어 대수학의 기본 정리를 쉽게 증명할 수 있고,[3] 극점이 없는 타원 함수는 상수 함수임을 보일 수 있다.[4] 또한, 상수 함수가 아닌 복소 평면 위 정칙 함수의 상은 조밀 집합이 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리우빌 정리는 복소 바나흐 공간의 유계 선형 작용소의 스펙트럼 집합이 공집합이 아님을 보이는 데에도 적용된다. 이 증명은 이스라엘 겔판트가 제시하였다.[9]

4. 1. 대수학의 기본 정리

대수학의 기본 정리리우빌 정리를 사용하여 쉽게 증명할 수 있다. 상수가 아닌 다항식 p(z)가 복소수 근을 갖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p(z)는 근을 갖지 않으므로, 1/p(z)는 복소 평면 위에서 유계인 정칙 함수이다.[3] 따라서, 리우빌 정리에 의하여 1/p(z)는 상수 함수가 되는데, 이는 p(z)가 상수가 아니라는 가정에 모순된다.

4. 2. 극점이 없는 타원 함수의 부재

리우빌 정리에 따라서, 극점이 없는 타원 함수는 상수 함수이다. 극점이 없고 주기가 \omega_1,\omega_2\in\mathbb C인 타원 함수는 콤팩트 집합 \{s_1\omega_1+s_2\omega_2|s_1,s_2\in[0,1]\} 위에서 최댓값을 가져 유계 함수이므로, 리우빌 정리가 적용된다.[4]

4. 3. 상수 함수가 아닌 복소 평면 위 정칙 함수의 상은 조밀

정칙 함수 f\colon\mathbb C\to\mathbb C f(\mathbb C)\subset\mathbb C은 하나의 점만을 포함하거나, 아니면 \mathbb C조밀 집합이다. 만약 정칙 함수 f에 대하여, 모든 z\in\mathbb C에 대하여 항상 |f(z)-w_0|>r라고 가정하면,

:z\mapsto\frac1{f(z)-w_0}

는 복소 평면 위의 유계 정칙 함수이므로, f는 상수 함수이다.

만약 f가 비상수 전체 함수라면, 그 치역\Complex에서 조밀 집합이다. f의 치역이 조밀하지 않다면, 복소수 w와 실수 r > 0 이 존재하여, w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r인 열린 원반에는 f의 치역에 속하는 원소가 없다. 이때 다음을 정의한다.

:g(z) = \frac{1}{f(z) - w}.

그러면 g는 유계 전체 함수이다. 왜냐하면 모든 z에 대해,

:|g(z)|=\frac{1}

< \frac{1}{r}.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g는 상수이고, 결과적으로 f는 상수이다.

4. 4. 기타 응용 (일본어 문서)



리우빌 정리는 복소 바나흐 공간의 유계 선형 작용소의 스펙트럼 집합이 공집합이 아님을 보이는 데 적용된다.

를 }이 아닌 복소 바나흐 공간이라 하고, 를 위의 유계 선형 작용소라 하면, 그 스펙트럼 집합 는 공집합이 아니다. 실제로, 라고 하면, 여집합인 레졸벤트 집합 는 전체가 된다. 이 때, 모든 에 대해, 레졸벤트 작용소 는, 에 대해 작용소 노름의 의미로 정칙이 된다. 따라서, 임의의 와 에 대해, 는 위의 유계인 정함수가 된다. 리우빌 정리에 의해, 이는 상수 함수이며, 더욱이 제로가 된다. 따라서, }가 되어, 모순된다.

이 리우빌 정리를 사용한 증명은 이스라엘 겔판트에 의해 주어졌다.[9]

5. 일반화

피카르의 소정리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복소수를 함숫값으로 갖지 않는 모든 전해석 함수는 상수라는 내용이다. 즉 모든 복소수 z에 대해 f(z) \ne a, f(z) \ne b인 서로 다른 두 복소수 a, b가 존재하면 f는 반드시 상수이어야 한다. 이 정리는 리우빌 정리를 함의한다.

6. 역사

오귀스탱 루이 코시가 1844년에 리우빌 정리를 최초로 증명하였다.[10][11] 1847년에 조제프 리우빌이 극점이 없는 타원 함수가 상수 함수임을 증명하였는데,[12] 이는 오늘날 "리우빌 정리"라고 불리는 결과의 따름정리이다.

7. 콤팩트 리만 곡면

콤팩트 리만 곡면 위의 모든 정칙함수는 반드시 상수 함수이다.[7]

f(z)가 콤팩트 리만 곡면 M에서 정칙 함수라고 하자. 콤팩트성에 의해 |f(p)|가 최댓값을 갖는 점 p_0 \in M이 존재한다. 그러면 f(\varphi^{-1}(z))단위 원판에서 정칙 함수이고 \varphi(p_0) \in \mathbb{D}에서 최댓값을 갖도록 p_0의 근방에서 단위 원판 \mathbb{D}으로 가는 차트를 찾을 수 있으므로, 최대 절댓값 원리에 의해 상수 함수이다.

참조

[1] 문서 Liouville theorems
[2] 논문 A proof of Liouville's theorem
[3] 서적 The 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 간행물 Leçons sur les fonctions doublement périodiques http://gdz.sub.uni-g[...] 1879
[5] 간행물 Œuvres complètes d'Augustin Cauchy Gauthiers-Villars 1882
[6] 간행물 Joseph Liouville 1809–1882: Master of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Springer-Verlag
[7] 웹사이트 a concise course in complex analysis and Riemann surfaces, Wilhelm Schlag, corollary 4.8, p.77 http://www.math.uchi[...] 2017-08-30
[8] 논문 Liouville theorems in the Dual and Double Planes https://scholar.rose[...] 2017-01-15
[9] 간행물 Normierte Ringe http://www.mathnet.r[...]
[10] 서적 Œuvres complètes d’Augustin Cauchy, sér. 1, vol. 8 Gauthiers-Villars 1844
[11] 서적 Joseph Liouville 1809–1882: master of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Springer 1990
[12] 저널 Leçons sur les fonctions doublement périodiques faites en 1847 par M. J. Liouville http://gdz.sub.uni-g[...] 18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