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1293년 설립된 스페인 마드리드에 위치한 대학교로, 스페인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대학 중 하나이다. 15세기에 콤플루텐세 대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836년 마드리드로 이전하면서 마드리드 중앙대학교로 불리다가 1970년대에 다시 콤플루텐세 대학교로 개칭되었다. 현재 80개 이상의 전공, 230개 학위 과정, 221개의 박사 과정을 제공하며, 하버드 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해외 대학과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세계적인 학문적 평가를 받으며, 스페인 총리, 노벨상 수상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인물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드리드의 대학교 - 마드리드 공과대학교
마드리드 공과대학교는 1971년에 설립되었으며, 18~19세기에 설립된 여러 학과를 통합하여 스페인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건축, 공학 분야에서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연구 개발 및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한다. - 마드리드의 대학교 - 마드리드 건축학교
마드리드 건축학교는 스페인 마드리드에 위치한 건축 학교로, 5년의 학위 과정과 1년의 석사 과정으로 운영되며, 건축사 자격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대학원 과정을 제공한다.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대학 이름 |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 |
별칭 | 라 콤플루 (La Complu), 마드리드 대학교 |
표어 (한국어 번역) | 자유는 모든 것을 비춘다 |
설립일 | 1293년 5월 20일 (중세 대학), 1499년 (대학) |
설립자 | 추기경 프란시스코 히메네스 데 시스네로스 |
대학 종류 | 공립 연구 비영리 남녀공학 고등 교육 기관 |
학교 색상 | 빨간색 |
소속 | 콤포스텔라 그룹 대학교 유로파이움 IAU 우나 유로파 UNICA 위트레흐트 네트워크 |
캠퍼스 | 도시형, 마드리드 2개 캠퍼스 |
캠퍼스 위치 | 몬클로아 캠퍼스 소모사과스 캠퍼스 |
웹사이트 | ucm.es |
좌표 | 40°26′57″N 3°43′41″W |
대학 운영 | |
총장 | 호아킨 고야체 고니 |
행정 직원 | 11,162명 |
예산 | 6억 755만 9030 유로 |
학생 | |
학부생 | 74,771명 |
대학원생 | 11,388명 |
학생 조직 | 107개 그룹 |
역사 | |
이전 명칭 | 알칼라의 에스투디오 데 에스쿠엘라스 헤네랄레스 (1293–1499) 콤플루텐시스 대학교 (1499–1836) 문학 대학교 (1836–1851) 센트럴 대학교 (1851–1943) 마드리드 대학교 (1943–1970) |
기타 | |
첫 여성 대학생 | 마리아 고이리 |
2. 역사
1970년대, 프란시스코 프랑코 정권의 정치적 불안정 이후, 마드리드 대학교는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와 마드리드 공과대학교로 분리되었다. 알칼라 데 에나레스 시가 구 캠퍼스 건물 내에 대학교를 설립하기로 결정했을 때, 콤플루텐세 대학교와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알칼라 데 에나레스 대학교es''라는 이름이 붙었다.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설립 초기부터 현재까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스페인의 정치, 사회, 문화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 설립과 초기 발전 (1293년 ~ 1836년)
산초 4세 (카스티야) 국왕은 1293년 5월 20일, 톨레도 대주교 곤살로 페레스 구디엘에게 알칼라 데 에나레스에 ''studium generale|스투디움 게네랄레la''(중세대학) 설립을 허가했다.[5] 훗날 시스네로스 추기경은 이 중세대학을 졸업하고, 1499년 4월 13일 알렉산데르 6세 교황에게 칙서를 받아 콤플루텐세 대학교를 정식 대학교로 확장했다. 대학교 명칭은 알칼라 데 에나레스의 라틴어 이름인 ''Complutum|콤플루툼la''에서 유래했다.1509~1510학년도에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예술 및 철학, 신학, 교회법, 고전학, 의학의 5개 학부로 운영되었다.[6][7] 16세기와 17세기 동안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세계 최고의 학문 중심지 중 하나로 성장했으며, 플랑드르와 아일랜드 등 외국 학생들을 위한 특별 대학도 설립되었다.
1785년,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마리아 이시드라 데 구즈만 이 데 라 세르다에게 박사 학위를 수여하여, 여성에게 박사 학위를 수여한 세계 최초의 대학교 중 하나가 되었다.[9] 옥스퍼드 대학교는 1920년,[10] 캠브리지 대학교는 1926년에야 여성에게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11]
1824년, 프란시스코 타데오 칼로마르데는 시구엔사 대학교와 콤플루텐세를 합병하여 대학교를 확장했다.[12] 1836년 10월 29일, 섭정 여왕 마리아 크리스티나 (시칠리아)는 왕실 명령으로 대학교를 알칼라 데 에나레스에서 마드리드로 이전하고 문학 대학교로 개칭했으며, 1851년에는 중앙 대학교 (Universidad Central|우니베르시다드 센트랄es)로 이름을 변경했다.
2. 2. 마드리드 이전과 중앙대학교 시대 (1836년 ~ 1970년)
1293년 5월 20일, 카스티야 왕국의 산초 4세는 톨레도 대주교 곤살로 가르시아 구디엘에게 알칼라 데 에나레스에 중세대학 설립 허가를 내렸다.[34] 15세기에 스페인 왕국의 섭정이자 추기경이 된 프란시스코 히메네스 데 시스네로스는 이 중세대학의 졸업생으로, 광대한 토지를 매입하여 많은 건물 건설을 명령하여 콤플루텐세 대학교의 최초 "캠퍼스"를 건설했다. 1499년 4월 13일, 시스네로스 추기경은 중세대학을 정식 "대학교"로 만들기 위해 알렉산데르 6세 교황으로부터 교황 칙서를 받아, 알칼라 데 에나레스의 라틴어 명칭인 "콤플루텐세"를 사용하여 콤플루텐세 대학교(Universitas Complutensisla)를 설립했다.1509-1510학년도에는 인문과학·철학부, 신학부, 교회법학부, 문헌학부, 의학부의 5개 학부가 설립되었다.[35][36]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세계 학문의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과학, 인문학, 정치학 등에서 세계적인 학자들이 콤플루텐세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거나 연구를 수행했다.[37] 플랑드르와 아일랜드 등에서 온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특별 칼리지도 설립되었다.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세계에서 가장 일찍 여성에게 박사 학위를 수여한 대학 중 하나이며, 1785년 마리아 이시드라 데 구스만 이 데 라 세르다에게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33] 옥스퍼드 대학교는 1920년까지 여성 학자를 받아들이지 않았고,[38] 케임브리지 대학교는 1926년까지 여성 학생에게 박사 학위를 수여하지 않았다.[39]
1824년, 프란시스코 타데오 칼로마르데는 시구엔사 대학교와의 합병을 통해 콤플루텐세 대학교의 규모를 확장했다.[40] 이사벨 2세 통치 시대인 1836년,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알칼라 데 에나레스에서 마드리드로 이전하여 마드리드 중앙대학교(Universidad Central en Madrid)로 이름을 바꾸었고, 1970년대에 "콤플루텐세"라는 이름이 부활할 때까지 마드리드 중앙대학교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알칼라 데 에나레스에 있던 교사는 폐쇄되었다. 1857년 칙령에 따라 스페인 제국 하에서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스페인 유일의 학술 기관이 되었다.
1927년에는 알폰소 13세 국왕이 마드리드 중앙대학교 부지를 확보하기 위한 칙령을 공포하여 몽클로아 궁전 근처에 콤플루텐세 대학교 캠퍼스가 조성되었다. 오늘날 이 캠퍼스는 "대학 도시"라고 불린다. 캠퍼스 건설에 있어서 마드리드 중앙대학교 이사회는 유럽과 북미의 권위 있는 대학들을 시찰하고, 양 대륙의 장점을 결합하여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북미의 19개 대학 외에도 프랑스의 파리와 리옹, 영국의 옥스퍼드, 독일의 베를린과 함부르크 등의 대학 도시를 둘러보고, 하버드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파리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 등이 강하게 반영되었다.

1923년 2월 28일,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으며,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아인슈타인에게 최초로 명예 과학 박사 학위를 수여한 유럽 대학이다. 1933년 4월, 페르난도 데 로스 리오스 교육·예술부 장관은 과학부에 부속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연구소"에서 아인슈타인이 교수가 되는 것에 동의했다고 발표했지만,[41] 유럽 전역에서 악화되는 정치 상황으로 인해 아인슈타인이 강의를 할 수 없게 되었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유사한 직책을 맡았다.
프랑코 정권 말기에 대학 개혁이 이루어졌고, 1968년에는 마드리드 제2의 공립대학으로 마드리드 오토노마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마드리드 중앙대학교는 마드리드 오토노마 대학교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로 개칭되었다. 1971년에는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의 공학 분야와 건축학 분야가 분리되어 마드리드 공과대학교가 되었다. 알칼라 데 에나레스 시에 있는 오래된 대학 건물에는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를 분리하는 형태로 알칼라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2. 3. 콤플루텐세 대학교 시대 (1970년 ~ 현재)
1970년대, 프란시스코 프랑코 정권의 정치적 불안정을 거친 후, 마드리드 대학교는 이름이 변경되었고, 기존 대학은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와 마드리드 공과대학교로 나뉘었다. 알칼라 데 에나레스 시가 구 캠퍼스 건물 내에 대학교를 설립하기로 결정했을 때, 콤플루텐세 대학교와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알칼라 데 에나레스 대학교es''라는 이름이 붙었다.마드리드 대학교는 설립 이후 스페인의 정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졸업생들은 계몽시대 이후 모든 스페인 정부에서 의회 또는 장관급으로 활동했으며, 특히 스페인 제2공화국과 프랑코 독재 이후의 민주주의 이행 과정에서 그들의 역할은 매우 두드러졌다. 전 부총리(스페인 부총리) 마리아 테레사 페르난데스 데 라 베가와 전 총리(스페인 총리)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는 모두 이 대학교 졸업생이다.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세계 지성계의 가장 중요한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저명한 객원 교수들이 많이 방문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있다). 1930년대에는 민주적인 스페인이 파시즘의 위협으로부터 피난처를 제공함에 따라 많은 유럽 지식인들이 이곳으로 몰려들었다. 현대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수년간 졸업생뿐만 아니라 교수진에도 수많은 노벨상 수상자들을 배출했다.

현재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스페인에서 가장 큰 대학교이다. 2004-2005 학년도에는 91,598명의 학생이 등록했고, 9,500명의 직원이 근무했으며, 그중 6,000명 이상이 직접 교육 업무에 종사했다. 이 대학교는 정부 보조금, 기부금 및 등록금으로 운영되며, 현재 연간 예산은 5억유로가 넘는다. 현재 약 80개의 전공, 230개의 학위 과정, 221개의 박사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200만 권이 넘는 도서를 소장한 30개가 넘는 도서관, 9만 권이 넘는 역사적 문서의 특히 풍부한 아카이브, 그리고 유럽에서 가장 방대한 영화 컬렉션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다.
수도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마드리드에 기반을 둔 기관으로부터 지역, 국가 및 국제적 차원에서 큰 지원을 받고 있다. 의과대학은 산 카를로스 대학병원, 그레고리오 마라뇬 대학병원, 그리고 가장 유명한 10월 12일 대학병원과 캠퍼스 내에 위치한 여러 전문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중 일부는 보건부와 공동으로 운영하거나 보건부를 위해 특정 연구를 수행한다. 의과대학이 정부와 관련된 유일한 곳은 아니다. 과거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스페인 정부와 긴밀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으며, 라 몽클로아 대통령 관저와 스페인 헌법재판소가 캠퍼스 내에 위치해 있고 (도시의 정치 중심지와 도보 거리에 있다).
한편, 커뮤니케이션 학부는 언론과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교수진의 상당수가 주요 스페인 및 국제 신문의 전직 기자, 편집자 또는 편집장임). 또한 이 학부는 스페인 최고의 사전 시사회 장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모든 주요 스페인 영화 제작은 콤플루텐세 대학생들 앞에서 먼저 시사회를 가지며, 영화의 주요 배우 또는 제작 관계자들이 시사회 후 기자 회견에 참석한다. 최근에는 블랑카 포르티요, 카르멘 마우라, 롤라 두에냐스, 요하나 코보가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볼베르를 시사회했고, 과거에는 감독 산티아고 세구라, 배우 알레호 사우라스, 작가 E. 애니 프룰 등이 시사회에 참석했다.
미술 학부는 1978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미술, 디자인, 예술 유산 보존 및 복원 분야의 학사 학위뿐만 아니라 대학원 석사 및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14]
매년 마드리드 시르쿨로 데 벨라스 아르테스는 저명한 철학자, 사회학자 및 심리학자를 초청하는 연례 회의 시리즈 기간 동안 콤플루텐세 대학생들에게 특별 초청장을 보낸다. 마찬가지로 모든 학부는 최근 역사상 가장 저명한 인물들의 강의로부터 큰 혜택을 받았는데, 그 분야는 가수이자 카탈루냐 운동가인 호안 마누엘 세라부터 역사가 어니스트 곰브리치, 작가 움베르토 에코부터 공산당 정치인 산티아고 카리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는 콤플루텐세 대학교에 재학 중에 첫 번째 영화인 테시스를 제작했다. 영화의 모든 캠퍼스 장면은 아메나바르 자신이 다녔던 커뮤니케이션 학부에서 촬영되었으며, 건물 자체가 줄거리의 중요한 요소로 사용된다.
3. 캠퍼스 구성
현재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스페인에서 가장 큰 대학교이다. 2004-2005 학년도에는 91,598명의 학생이 등록했고, 9,500명의 직원이 근무했으며, 그중 6,000명 이상이 직접 교육 업무에 종사했다. 이 대학교는 정부 보조금, 기부금 및 등록금으로 운영되며, 연간 예산은 5억유로가 넘는다. 약 80개의 전공, 230개의 학위 과정, 221개의 박사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200만 권이 넘는 도서를 소장한 30개가 넘는 도서관, 9만 권이 넘는 역사적 문서의 아카이브, 유럽에서 가장 방대한 영화 컬렉션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다.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마드리드에 기반을 둔 기관으로부터 지역, 국가 및 국제적 차원에서 큰 지원을 받고 있다. 의과대학은 산 카를로스 대학병원, 그레고리오 마라뇬 대학병원, 10월 12일 대학병원과 캠퍼스 내에 위치한 여러 전문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중 일부는 보건부와 공동으로 운영하거나 보건부를 위해 특정 연구를 수행한다.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스페인 정부와 긴밀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으며, 라 몽클로아 대통령 관저와 스페인 헌법재판소가 캠퍼스 내에 위치해 있다.
커뮤니케이션 학부는 언론과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스페인 최고의 사전 시사회 장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모든 주요 스페인 영화 제작은 콤플루텐세 대학생들 앞에서 먼저 시사회를 가지며, 영화의 주요 배우 또는 제작 관계자들이 시사회 후 기자 회견에 참석한다. 최근에는 블랑카 포르티요, 카르멘 마우라, 롤라 두에냐스, 요하나 코보가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볼베르를 시사회했고, 과거에는 감독 산티아고 세구라, 배우 알레호 사우라스, 작가 E. 애니 프룰 등이 시사회에 참석했다.
매년 마드리드 시르쿨로 데 벨라스 아르테스는 저명한 철학자, 사회학자 및 심리학자를 초청하는 연례 회의 시리즈 기간 동안 콤플루텐세 대학생들에게 특별 초청장을 보낸다.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는 콤플루텐세 대학교에 재학 중에 첫 번째 영화인 테시스를 제작했다. 영화의 모든 캠퍼스 장면은 아메나바르 자신이 다녔던 커뮤니케이션 학부에서 촬영되었으며, 건물 자체가 줄거리의 중요한 요소로 사용된다.
3. 1. 학부
학부 |
---|
예술학부 |
생물학부 |
문헌학부 |
정보학부 |
경제경영학부 |
물리학부 |
지질학부 |
수학학부 |
정치사회학부 |
화학학부 |
무역관광학부 |
법학학부 |
교육학부 - 교직양성부 |
약학학부 |
언어학부 |
철학학부 |
지리역사학부 |
정보처리학부 |
의학학부 |
치과학부 |
심리학부 |
수의학부 |
16세기 초(1509-1510년도)에는 인문과학·철학부, 신학부, 교회법학부, 문헌학부, 의학부의 5개 학부가 설립되었다.[35][36]
3. 2. 단과대학
3. 3. 지정기관
펠리페 2세 고등기관4. 국제 협력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세계 여러 명문 대학과 교환 프로그램 및 해외 유학 기회를 제공하는 광범위한 협정을 맺고 있으며, 스페인 이외 지역에 4개의 정규 운영 기관을 두고 있다.[19][20]
- '''하버드 대학교 레알 콜레히오 콤플루텐세(Real Colegio Complutense at Harvard University)'''(캠브리지, 매사추세츠주):[21] RCC는 하버드 대학교와 콤플루텐세 대학교 간의 지적, 과학적 교류를 촉진하기 위한 공동 협력 기관이다.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소피아 왕비 및 매사추세츠 연방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다. 이는 1364년에 설립되어 볼로냐 대학교에서 스페인 방문 학자들을 수용했던 스페인 왕립 대학의 전통을 따른다. RCC 협정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승인된 유일한 협정이다. 이 기관은 하버드 대학교 총장과 콤플루텐세 대학교 총장이 공동 운영하며, 하버드 교수 5명과 콤플루텐세 교수 5명으로 구성된 학술 위원회가 있다. 이를 통해 선발된 콤플루텐세 대학교 교수들이 방문 학자로서 하버드 대학교에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RCC 펠로우(RCC Fellows)'는 하버드 대학교의 비정년트랙 교수와 동일한 권한을 누린다. 매년 이 기관에서는 RCC 펠로우 강연회를 개최하는데, 이는 방문 학자들이 연구 결과를 하버드 대학교 교수와 학생들에게 발표하는 강연 시리즈이다. 또한, 소수의 학생들이 스페인 왕실의 장학금을 받고 '연구원(research associates)'으로서 하버드 대학교 박사 과정에 진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미구엘 세르베트 유럽 고등 연구 콜레주(Collège des Hautes Études Européennes Miguel Servet)'''(파리, 프랑스):[22] 유럽 총장 클럽의 주도로 설립된 미구엘 세르베트 유럽 고등 연구 콜레주는 소르본 대학교에 위치한 프랑스-이베리아 학문 및 연구 센터이다. 전문 학위 외에도, 유럽 연합 내 법률 및 경제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 프랑스-이베리아 법 이중 전공 프로그램 및 유럽 연합과 유네스코의 후원 하에 운영되는 유럽 교육 졸업장을 제공한다. '우수 센터'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1995년 이탈리아, 포르투갈 및 남미에 지부를 설립했다.
- '''카를 대학교 콤플루텐세 석좌교수(Cátedra Complutense en la Universidad de Karlova)'''(프라하, 체코):[23] 프라하의 카를 대학교(Univerzita Karlova v Praze)와의 파트너십으로 학사 및 박사 학위를 제공하는 정규 캠퍼스가 운영되고 있다.
- '''두브체크 석좌교수(Cátedra Dubcek)'''(브라티슬라바, 슬로바키아):[24] 코메니우스 대학교와의 파트너십으로 학사 및 박사 학위를 제공하는 정규 캠퍼스가 운영되고 있다.
5. 학문적 평가
상하이 순위에서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UCM)는 세계 300위권 이내, 스페인 내에서는 상위 3위에 랭크되었다.[29]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세계 164위, 유럽 58위, 스페인 1위를 차지했다. SCImago 기관 순위에서는 세계 175위, 연구 분야 79위, 스페인 3위이다. 또한, 국제적으로는 종합 순위 상위 3%, 연구 분야 상위 2%, 사회적 영향력 상위 3%에 속한다.
엘 문도지는 콤플루텐세 대학교에 대해 "스페인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 기관으로 널리 여겨진다"고 보도했다.[46] 스페인 최고의 대학으로 꾸준히 평가받고 있으며,[47][48] 학계, 문화계, 경제계, 정계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20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세계 212위, 2019년 세계 대학 학술 순위에서 세계 201~300위, 2019년 CWTS Leiden Ranking에서 세계 206위를 기록했다.
6. 학생 생활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격월로 발행되는 신문인 ''Gaceta Complutense''[15]를 발행하고 있으며, 하루 12시간 방송하는 라디오 방송국인 Radio Complutense (107.5 FM)[16][17]도 운영하고 있다. 두 매체 모두 커뮤니케이션스쿨에서 운영하고 있다.[18]
대학교에는 등록된 기숙사가 몇 곳 있지만, 이 기숙사들은 캠퍼스 외곽의 인접 지역에 위치해 있어 실제로 캠퍼스 내에 거주하는 학생은 없다. 비용 문제와 대학과 관련된 숙소가 필수가 아니라는 사실 때문에 콤플루텐세 대학교 학생 대부분은 대학과 관련 없는 기숙사나 아파트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한다.
마드리드 대학교에는 100개가 넘는 학생 정치, 사회 및 스포츠 관련 단체가 있다. 에어로빅, 체육관, 요가, 수영, 테니스, 다이빙, 태극권 등 다양한 강좌가 제공된다. 단체 스포츠로는 남녀 농구, 축구, 배구, 럭비팀이 있다. 체스, 배드민턴, 골프, 유도, 가라테, 탁구, 양궁팀도 있다. 각 학과가 경쟁하는 대학 내부 경기가 1년에 여러 차례 열리며,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매년 3월 마드리드 푸에르타 델 이에로 경기장에서 열리는 지역 대학 경기와 일부 전국 대회에도 참가한다. 모든 학생, 교수, 직원 및 직원 가족은 콤플루텐세 대학교 스포츠 및 피트니스 의학 센터에서 평가와 치료를 받을 권리가 있다.
7. 저명한 동문 및 교수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는 오랜 역사 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저명 인사를 배출했다.
- 왕족 및 귀족
이름 | 설명 |
---|---|
후안 카를로스 1세 | 스페인 국왕 |
크리스티나 데 보르본 | 유네스코 스페인 위원회 명예총재, 후안 카를로스 1세의 차녀, 펠리페 6세의 이복 누나 |
레티시아 오르티스 | 언론인, 스페인 국왕 펠리페 6세의 왕비 |
- 정치 및 행정
이름 | 설명 |
---|---|
돈 후안 데 아우스트리아 | 군인, 네덜란드 통치자, 레판토 해전 승리, "유럽 마지막 기사" |
알레산드로 파르네세(팔마 공작) | 피아첸차 공작 |
Cardenal Mazarino프랑스어 | 정치가, 제2대 프랑스 총리(1642–1661), 리슐리외 추기경의 후임 |
Gaspar de Borja y Velascoes | 성직자, 스페인 대주교, 세비야 대주교, 톨레도 대주교, 나폴리 총독 |
Gaspar Melchor de Jovellanoses | 스페인 총리, 1812년 헌법 이론가 |
Nicolás Salmerón y Alonsoes | 스페인 제1공화국 대통령 |
Emilio Castelar y Ripolles | 스페인 제1공화국 시대의 언론인, 수필가, 장관 |
마누엘 아사냐 | 법조인, 정치가, 스페인 제2공화국 총리(1931-1933, 1936), 대통령(1936-1939) |
Juan Negrín Lópezes | 정치가, 스페인 제2공화국 마지막 대통령 |
Julián Besteiro Fernándezes | 스페인 제2공화국 시대의 정치가, 사회당(PSOE) 소속 |
Clara Campoamores | 스페인 제2공화국 시대의 정치가, 페미니스트 |
Victoria Kentes | 스페인 제2공화국 시대의 수필가, 페미니스트 |
Claudio Sánchez-Albornoz y Menduiñaes | 스페인 제2공화국 시대의 역사가, 정치가 |
Fernando de los Ríos Urruties | 스페인 제2공화국 시대의 무정부주의자, 정치가 |
아돌포 수아레스 | 정치가, 민주중도연합(UCD)(UCD) 소속, 스페인 총리(1976-1981) |
알란 가르시아 | 페루의 정치가, 제90대 및 제93대 페루 대통령(1985-1990, 2006-2011) |
Américo Castroes | 정치가, 문화역사학자, 언어학자, 문학평론가 |
마누엘 프라가 이리바르네 | 정치가, 인민당(PP) 창설자, 내무장관, 갈리시아 자치주 주지사, "스페인 1978년 헌법의 아버지" |
María Teresa Fernández de la Vegaes | 정치가, 부총리(2004—) |
Marcelino Oreja Aguirrees |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사무총장, 유럽 의회 의원, 유럽 교통 집행위원 |
Manuel Prado y Colón de Carvajales | 외교관, 정치가, 상원의원 |
José Bono영어 | 카스티야-라 만차 주 주지사, 국방장관 |
Ana Palacio영어 | 외무·국제협력부 장관 |
Elena Salgadoes | 정치가, 경제·재정부 장관 |
German Vargas Llerases | 콜롬비아의 정치가, 내무·법무부 장관 |
José María Barredaes | 정치가, 카스티야-라 만차 주 주지사 |
카를로스 아리아스 나바로 | 정치가, 마드리드 시장(1965-1973), 스페인 총리(1973-1976), 법학 전공 |
미겔 보예르 | 경제학자, 정치가, 사회당(PSOE) 소속, 펠리페 곤살레스 정권에서 경제·재정·공업장관(1982-1985) |
엔리케 바론 크레스포 | 정치가, 사회당(PSOE) 소속, 펠리페 곤살레스 정권에서 교통·관광·통신장관(1982-1985), 유럽 공동체 유럽 의회 의장(1989-1992), 법학 전공 |
하비에르 소라나 | 정치가, 물리학자, 사회당(PSOE) 소속, 펠리페 곤살레스 정권에서 외무·국제협력장관(1992-1995), 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1992-1995), 유럽 연합 공동 외교·안보 정책 고위 대표(1999-2009) |
주세프 보렐 | 정치가, 유럽 의회 의장(2004-2007), 유럽 대학원 총장 |
마누엘 마린 | 정치가,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 마린 임시 위원회 위원장 대행, 스페인 하원 의장, 법학 전공 |
알프레도 페레스 루발카바 | 화학자, 정치가, 사회당(PSOE) 서기장(2012-2014) |
에스페란사 아기레 | 정치가, 인민당(PP) 소속,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 정권에서 교육·문화·스포츠 장관(1996-1999), 최초의 여성 스페인 상원 의장(1999-2002), 마드리드 주 주지사(2003-2012) |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 | 정치가, 인민당(PP) 소속, 스페인 총리(1996-2004) |
파블로 이글레시아스 투리온 | 정치학자, 정치가, 포데모스 당수(2014-), 법학 전공 |
Rodrigo Ratoes | 정치가, 경제·재무장관, 제9대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
José Manuel González-Páramoes | 유럽중앙은행 이사 |
Fernando Cordero Cuevaes | 에콰도르의 정치인이자 건축가 |
José Antonio Llorentees | 요렌테&쿠엔카 설립자 |
- 언론 및 문학
이름 | 설명 |
---|---|
로페 데 베가 | 극작가·시인 |
틸소 데 몰리나 | 극작가 |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 | 작가·시인 |
안토니오 마차도 | 시인, 98세대 |
다마소 알론소 | 작가·시인·언어학자, 27세대, 세르반테스상 수상 |
Enrique Tierno Galvánes | 작가·정치가 |
Francisco Ayala (novelist)영어 | 작가, 아스투리아스 공주상 문학 부문 수상, 세르반테스상 수상 |
Gerardo Diegoes | 작가·시인, 에스파냐 왕립 아카데미 회원, 27세대, 세르반테스상 수상 |
Giannina Braschies | 작가 |
하신토 베나벤테 | 극작가, 노벨 문학상 수상(1922) |
호세 에체가라이 이 에이사기레 | 작가, 노벨 문학상 수상(1904) |
José Rodríguez Carracidoes | 작가·약학자·화학자 |
Ramiro Ledesma Ramoses | 작가·정치가 |
비센테 알렉산드레 | 작가·시인, 노벨 문학상 수상(1970) |
Xosé Luís Méndez Ferrínes | 작가 |
피오 바로하 | 소설가·의사, 98세대, 의학 전공 |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 시인·극작가 |
카밀로 호세 셀라 | 소설가, 노벨 문학상 수상(1989) |
라파엘 산체스 페를로시오 | 소설가·수필가, 세르반테스상 수상, 철학·문학 전공 |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페루의 소설가, 국제 펜클럽 회장, 노벨 문학상 수상(2010) |
후안 호세 미야스 | 소설가, 저널리스트 |
하비에르 마리아스 | 작가·번역가, 에스파냐 왕립 아카데미 회원 |
훌리오 랴마사레스 | 소설가·시인, 법학 전공 |
엘레나 가예고 | 문학가·번역가 |
안드레스 바르바 | 작가 |
콘셉시온 아레날 | 언론인, 수필가, 정치 활동가 |
페르민 카바예로 | 언론인, 출판인, 정치인 |
후안 이그나시오 루카 데 테나 | 언론인, 극작가, 외교관 |
토르쿠아토 루카 데 테나 이 알바레스-오소리오 | 언론인, ABC 신문 창립자 |
호세 오르테가 스포토르노 | 언론인, 아리안사 에디토리알 창립자, 엘 파이스 신문 공동 창립자 |
헤수스 데 폴란코 | 언론인, 엘 파이스 신문 공동 창립자, 에디토리알 산틸리아나, 그루포 PRISA, 카데나 세르 창립자 |
후안 루이스 세브리안 | 언론인, 엘 파이스 신문 공동 창립자, 편집장, 에스파냐 왕립 아카데미 회원 |
엘비라 린드 | 언론인, 소설가, 극작가, 저널리즘 전공 |
Valentín García Yebraes | 언어학자이자 번역가 |
- 철학 및 인문학
이름 | 설명 |
---|---|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 인문학자 |
도밍고 데 소토 | 철학자·신학자·트렌토 공의회 이론가 |
호세 가오스 | 신휴머니즘 철학자 |
호세 루이스 로페스 아랑구렌 | 철학자 |
훌리안 마리아스 | 철학자 |
프란시스코 엘리아스 데 테하다 이 스피놀라 | 철학자·법학 이론가·정치 이론가 |
마리아 이시드라 데 구스만 이 데 라 세르다 | 철학자, 스페인 여성 최초의 박사 학위 취득자 |
라이몬 파니카르 | 철학자·신학자, 종교 비교 철학자 |
토마스 데 비야누에바 | 성직자, 발렌시아 대주교, 신학자 |
사비에르 수비리 | 철학자·언어학자 |
마리아 삼브라노 | 철학자 |
호세 오르테가 이 가셋 | 신휴머니즘 철학자, Ratio-Vitalism 창시자, 저술가·언론인 |
미겔 데 우나무노 | 사상가·철학자·저술가, 98세대, 신휴머니즘 철학자 |
디에스 델 코랄 | 철학자·역사학자, 아스투리아스 왕세자상 수상 |
페르난도 사바테르 | 철학자 |
- 역사학
이름 | 설명 |
---|---|
암브로시오 데 모랄레스 | 역사학자 |
프란시스코 히네르 데 로스 리오스 | 역사학자 |
후안 데 마리아나 | 역사학자, 정치이론가 |
호세 아마도르 데 로스 리오스 | 역사학자 |
마누엘 콜메이로 페니도 | 경제학자, 역사학자, 법학자 |
마르셀리노 메넨데스 이 펠라요 | 역사학자 |
라몬 메넨데스 피달 | 역사학자 |
라파엘 알타미라 이 크레베아 | 역사학자, 법학자, 국제사법재판소 판사 |
마쓰다 켄지 | 미술사학자 |
후리오 카로 바로하 | 인류학자, 역사학자, 언어학자, 피오 바로하의 조카 |
- 과학 및 의학
이름 | 설명 |
---|---|
Carlos Jiménez Díazes | 현대 의학의 선구자 |
Florestán Aguilares | 현대 의학의 선구자 |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 | 신경해부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1906) |
세베로 오초아 | 스페인 출신, 미국 국적의 생화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1959) |
호세 델가르도 | 뇌과학자·의학자, 뇌 이식 칩 개발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명예 과학 박사 |
안헬 마르틴 무니시오 | 화학자·약학자, 스페인 왕립과학아카데미 회장 |
블라스 카브레라 펠리페 | 물리학자, 스페인 왕립과학아카데미 회장 |
카를로스 산체스 델 리오 | 물리학자, 스페인 왕립과학아카데미 회장 |
에두아르도 토로하 이 카바예 | 수학자, 스페인 왕립 아카데미 회원 |
엔리케 몰레스 오르메야 | 물리학자 |
페데리코 마요르 사라고사 | 약학자, 유네스코 사무총장(1987-1999) |
후안 마누엘 로드리게스 파론도 | 물리학자 |
호세 쿠아트레카사스 | 식물학자 |
호세 로드리게스 카라시도 | 화학자·약학자, 콤플루텐세 대학교 약학부 학장/총장, 스페인 왕립과학아카데미 회장 |
후안 루이스 아르수아가 | 생물학자·고생물학자 |
훌리오 레이 파스토르 | 수학자 |
마르가리타 살라스 | 과학자, 에스파냐 연구소 소장 |
미겔 카탈란 사뉴도 | 과학자 |
식스토 리오스 | 수학자·통계학자 |
헤수스 우에르타 데 소토 | 경제학자·법학자 |
후안 이그나시오 시락 사스투라인 | 양자물리학자, 울프상 물리학 부문 수상(2013) |
마리아노 라가스카 이 세구라 | 식물학자, 마드리드 왕립식물원 원장, 의학 전공 |
후안 파론도 | 물리학자,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 교수 |
- 예술 및 기타
이름 | 설명 |
---|---|
루이스 부뉴엘 | 영화 감독 |
엔리케 홀다 | 지휘자 |
헤수스 로페스 코보스 | 지휘자, 철학 전공 |
빅토르 에리세 | 영화 감독·각본가, 정치학·법학 전공 |
아르투로 타마요 | 지휘자, 법학 전공 |
Chema Madozes | 사진작가 |
산티아고 세구라 | 배우·영화 감독 |
Rosana Castrillo Diazes | 예술가 |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 영화 감독·각본가 |
Ángel Sanz Brizes | 외교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헝가리에 거주하는 수천 명의 유대인을 구출 |
엑토르 파울리노 도밍게스 로드리게스 |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 |
Emilio García Gómezes | 아랍 문화에 관한 국제적 권위자 |
Hildegart Rodríguez Carballeiraes | 페미니스트 운동가 |
J. B. L. Reyes영어 | 필리핀의 법학자 |
호세 리살 | 필리핀의 작가이자 독립운동가 |
페드로 알페 | 가톨릭 사제, 예수회 제28대 총장(1965-1983), 상지대학교 교수, 의학 전공 |
Miguel Álvarez-Fernándezes | 사운드 아티스트이자 음향 이론가 |
분류: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
분류: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 동문
분류: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 교수
참조
[1]
웹사이트
Manual de uso de la Marca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Colores corporativos
https://www.ucm.es/d[...]
Complutense University of Madrid
2020-02-01
[2]
웹사이트
Estudiantes 2011–2013
http://pendientedemi[...]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2013-12-03
[3]
웹사이트
La primera mujer universitaria Española: María Goyri
http://www.mujerycie[...]
2021-04-30
[4]
논문
Nota sobre la documentación relacionada con la neurología en el Archivo General de la Universidad Complutense
https://nah.sen.es/v[...]
[5]
웹사이트
La herencia de la universidad medieval
http://www.ucm.es/BU[...]
UCM
2015-07-21
[6]
웹사이트
Reseña histórica
http://www.ucm.es/in[...]
2019-10-05
[7]
웹사이트
La fundación cisneriana: el Colegio Mayor de San Ildefonso
http://www.ucm.es/BU[...]
UCM
2015-07-21
[8]
서적
La Universidad de Barcelona en el siglo XVI
https://books.google[...]
Universitat de Barcelona
2020-09-13
[9]
웹사이트
Universidad de Alcalá
http://www.uah.es/un[...]
2015-07-21
[10]
웹사이트
Women at Oxford
http://www.ox.ac.uk/[...]
2010-06-07
[11]
웹사이트
YEGS Hall of Fame :: Young Exceptionally Gifted Students
http://yegs.org/yegs[...]
ZCI, Inc.
2015-07-21
[12]
논문
El venerable Palafox y Mendoza, doctor en cánones por Sigüenza
http://biblioteca2.u[...]
[13]
서적
La España posible de la Segunda República: la oferta a Einstein de una Cátedra extraordinaria en la Universidad Central (Madrid, 1933)
https://books.google[...]
Editorial de la Universidad Complutense
[14]
웹사이트
Faculty of Fine Arts
https://www.ucm.es/f[...]
2019-01-09
[15]
웹사이트
Gaceta
http://icytnet.cindo[...]
2006-05-30
[16]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07-02-10
[17]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07-02-12
[18]
웹사이트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 Página principal
http://www.ucm.es/ce[...]
Ucm.es
1999-06-01
[19]
웹사이트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 UCM
http://www.ucm.es/in[...]
Ucm.es
1999-06-01
[20]
웹사이트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 UCM
http://www.ucm.es/in[...]
Ucm.es
1999-06-01
[21]
웹사이트
Real Colegio Complutense at Harvard
http://www.realcoleg[...]
Realcolegiocomplutense.harvard.edu
[22]
웹사이트
Collège des Hautes Études Européennes – Miguel Servet
http://www.chee-mser[...]
Chee-mservet.fr
[23]
웹사이트
Univerzita Karlova – UK
http://www.cuni.cz/
Cuni.cz
[24]
웹사이트
Univerzita Komenského
http://www.uniba.sk/
Uniba.sk
2007-04-10
[25]
웹사이트
ARWU World University Rankings 2034
http://www.shanghair[...]
2022-08-26
[26]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
https://www.topunive[...]
2024-06-27
[27]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s://www.timeshig[...]
2023-08-06
[28]
웹사이트
U.S. News Education: Best Global Universities 2022-23
https://www.usnews.c[...]
[29]
웹사이트
La UCM en los rankings {{!}} Portal de Transparencia
https://www.ucm.es/p[...]
2023-03-22
[30]
뉴스
José María de Azcárate, historiador del Arte
https://elpais.com/d[...]
2001-07-19
[31]
웹사이트
Grantees del ERC en la UCM
https://oficinaeurop[...]
[32]
웹사이트
Estudiantes 2011-2013
http://pendientedemi[...]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33]
웹사이트
Historia de la Universidad. Universidad de Alcalá.
http://www.uah.es/un[...]
2011-00-00
[34]
웹사이트
La herencia de la universidad medieval. Biblioteca Histórica Marqués de Valdecilla. Exposiciones. 500 años de la Bula Cisneriana.
http://www.ucm.es/BU[...]
1999-06-13
[35]
웹사이트
Reseña histórica
http://www.ucm.es/in[...]
[36]
웹사이트
La fundación cisneriana: el Colegio Mayor de San Ildefonso. Biblioteca Histórica Marqués de Valdecilla. Exposiciones. 500 años de la Bula Cisneriana. 13 de junio de 1999.
http://www.ucm.es/BU[...]
[37]
서적
La Universidad de Barcelona en el siglo XVI
https://books.google[...]
Universitat de Barcelona
2005
[38]
웹사이트
YEGS Hall of Fame
http://www.ox.ac.uk/[...]
[39]
웹사이트
YEGS Hall of Fame
http://yegs.org/yegs[...]
[40]
간행물
El venerable Palafox y Mendoza, doctor en cánones por Sigüenza
http://biblioteca2.u[...]
1977
[41]
서적
La España posible de la Segunda República
Universidad Complutense
1983
[42]
웹사이트
http://icytnet.cindo[...]
[43]
웹사이트
http://www.ucm.es/in[...]
2011-11-00
[44]
웹사이트
http://www.ucm.es/in[...]
2011-11-00
[45]
웹사이트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 Página principal
http://www.ucm.es/ce[...]
Ucm.es
2011-11-13
[46]
웹사이트
Universidades Tradicionales
http://www.elmundo.e[...]
에르 문도
2013-12-03
[47]
웹사이트
Ranking Web of Universities- Spain
http://www.webometri[...]
Webometrics
2013-12-03
[48]
웹사이트
Universities in Spain
http://www.4icu.org/[...]
4ICU.org
2013-12-03
[4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ula.elmundo.[...]
2010-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