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리부스는 고대 로마의 시민을 구분하는 행정 구역이자 투표 단위였다. 로마 건국 초기 로물루스는 람네스, 티티에스, 루케레스 세 개의 트리부스를 만들었으며, 이후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시대에 4개의 도시 트리부스와 16개의 교외 트리부스가 추가되었다. 트리부스는 병역, 징세, 재판, 투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으며, 로마의 영토 확장과 시민권 부여에 따라 그 수가 증가하고 변화했다. 특히 트리부스 민회는 로마 공화정의 중요한 입법 기구였으며, 선거 운동의 중심지였다. 하지만 공화정 말기에는 쇠퇴하여 황제 시대에는 상징적인 기능만 남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 사람 - 세르빌리아 카이피오니스
세르빌리아 카이피오니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에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연인이자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의 어머니로, 혼란한 정치 상황 속에서 가문의 영향력을 유지하고 자녀의 미래를 위해 활동한 귀족 여성이다. - 고대 로마 사람 - 안티누스
안티누스는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총애를 받은 비티니아 출신 젊은이로, 황제와 동성애 관계였으며 의문사 후 신격화되어 로마 제국에서 숭배받고 예술적 영감을 주며 동성애 문화의 아이콘으로 남았다. - 로마법 - 십자가형
십자가형은 고대 로마에서 사용된 사형 방식으로, 십자가에 못 박아 공개 처형하는 잔혹한 형벌로, 주로 노예나 반란자에게 적용되었으며 질식이나 심부전 등으로 사망에 이르게 했다. - 로마법 - 로마 시민권
로마 시민권은 고대 로마 시민에게 부여된 법적 지위와 권리로서, 시대와 조건에 따라 다양한 권리를 포함하며 법적 보호를 받았고, 로마 제국 확장과 함께 확대되었으나 안토니누스 칙령 이후 그 가치가 희석되었다는 비판도 존재하며, 로마화 정책과 제국 통합에 기여했다.
트리부스 |
---|
2. 로물루스의 트리부스
로마 건국 신화에 따르면, 초대 왕 로물루스는 로마를 세 개의 트리부스로 나누었는데, 각각 로마의 라틴족을 대표하는 람네스(Ramnes), 사비니족을 대표하는 티티에스(Tities), 에트루리아족을 대표하는 루케레스(Luceres)였다.[39][45]
사비니 여인들의 납치 이후, 티투스 타티우스 휘하의 사비니인들이 로마를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격렬한 전투 끝에 사비니 여인들이 중재하여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 로물루스와 타티우스는 공동 통치하게 되었으며, 많은 사비니인들이 로마로 이주하였다. 초기 로마는 라틴족과 사비니족으로 균등하게 나뉘었다. 이 시기(전통적으로 기원전 750년)에 로물루스는 세 트리부스를 설립했다.[1][6]
로마는 라티움과 에트루리아의 경계인 테베레강에 위치하여, 건국 당시부터 상당한 에트루리아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6세기에는 로마 인구에 에트루리아적 요소가 많았고, 로마의 5대, 7대 왕은 에트루리아인이었으며, 많은 문화 제도가 에트루리아에서 기원했다. 루케레스 트리부스는 로물루스 시대가 아닌 이 시기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세 트리부스 명칭은 민족적 특성은 아니지만 에트루리아어인 것으로 보인다.[40][46]
로물루스 트리부스가 로마의 원래 민족 구성을 나타낸다는 이론은 현대 학계에서 계속 제시되지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고 많은 학자들이 이 견해를 거부한다.[8][9] 이는 "세 부족이 뚜렷한 민족 집단이라는 생각은 고대 자료에서 뒷받침되지 않기" 때문이다.[10]
로물루스는 각 트리부스에 트리부누스(tribunus)를 장으로 선출하고, 각 트리부스를 10개의 쿠리아로 세분화하여 쿠리아장을 두었다. 트리부스의 어원이 라틴어로 3을 나타내는 "tres"(트레스)인지도 확실하지 않다.
로마 군단 병사 모집은 집정관이 매년 민회에서 소집일을 발표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징병 연령에 도달한 사람들이 로마에 모여 각 군단의 트리부누스가 제비를 뽑아, 각 트리부스에서 비슷한 연령과 체격의 사람들을 군단의 수만큼 선택했다. 기병은 10년, 보병은 46세까지 16년의 병역이 부과되었으며, 재산이 400드라크마 이상이면 해병으로도 등록되었다.[23] 트리부스에서만 군단 병사를 모집하는 방식은 기원전 3세기 말까지로 추정된다.
2. 1. 쿠리아
세 트리부스는 30개의 쿠리아(Curia)로 나뉘었다. 이 쿠리아들의 구성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사비니 여인들의 이름이 붙여졌다고 전해진다. 이 중 9개는 현재까지 이름이 알려져 있는데, 일부는 지리적인 기원을 지녔다. 쿠리아는 co-viria|코비리아la (남성들의 모임)에서 유래했을 수 있으며, 각 그룹은 curio|쿠리오la로 알려진 지도자를 선출했다. curiones|쿠리오네스la 중 한 명이 모든 쿠리아의 수장으로 선출되어 curio maximus|쿠리오 막시무스la라는 칭호를 받았다.현재까지 이름이 알려진 쿠리아는 다음과 같다:[48][49][50][51][52]
- 아쿨레이아(Acculeia): 바로에 따르면, ‘아쿨레이아 쿠리아’는 12월 21일에 열린 앙게로날리아 축제 기간에 앙게로나에게 제물을 바쳤다. 이는 앙게로나가 로마의 수호신이었기에 이 의식은 특권이었을 것이다. 아마도 동일한 기원에서 비롯했을 아콜레이아 씨족이 있으며, 아쿨레이아 쿨리아는 아콜레이아 쿠리아에서 이름 붙여졌거나, 사비니 여성의 이름에서 이름 붙여졌다면, 아콜레이아는 아카(Acca) 따위의 고대 프라이노멘을 기반으로 한 모계명이었을 것이다. 아카 라렌티아와 관련한 다양한 전승들은 로물루스와 연관되어 있다.
- 칼라브라(Calabra)
- 파우키아(Faucia): 리비우스는 ‘쿠리아 파우키아’가 특히나 불운이 따랐다고 언급했는데, 이들은 기원전 390년에 첫 번째 투표를 했는데, 그 해에 로마가 갈리아인들에게 약탈을 당했고, 다시 한번 기원전 321년에 투표를 했을 때는 그 해에 카우디네 산길의 재앙을 맛보았기 때문이었다. 이들은 기원전 310년에 다시 한번 처음으로 투표를 했지만, 로마가 에트루리아인들에게 중요한 승리를 거두며 불길한 징조는 끝이 났다. 리키니우스 마케르에 따르면, ‘쿠리아 파우키아’는 크레메라에서 파비우스 씨족들의 전멸이 일어난 기원전 477년에도 첫 번째 투표를 했다.
- 포리엔시스(Foriensis): 로마 포룸 주변 지역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 랍타(Rapta): 랍투스(Raptus)는 ‘납치된’ 또는 ‘포획된’을 의미하는 형용사이다. 랍투스의 여성형은 사비니 여성들 중 한 명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 티파타(Tifata): 페스투스는 ‘티파타’가 ‘월계수로 가득한’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티파타는 로마에 있는 쿠리아 티파타를 포함한 다양한 지역들을 가리키기도 하며, 또다른 인용 부분에서 페스투스는 쿠리아 티파타 지역에 살았던 쿠리우스라는 인물의 이름에서 붙여졌다고 설명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페스투스는 어떤 인용 부분에선 티파타가 쿠리아 30개 중 하나를 말한 거처럼 보이기도 하면서, 티파타가 대신에 지명이었는지 아니면 지명이자 월계수 두 뜻을 모두 의미하는지에 대해선 약간의 논쟁이 존재한다.
- 티티아(Titia): 페스투스는 ‘쿠리아 티티아’가 티티에스족처럼 티투스 타티우스에서 이름 붙여졌다고 전했지만, 푸케는 이것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다. 티티아는 사비니인 여성의 프라이노멘이기도 하였다.
- 벨리엔시스(Veliensis): 팔라티노 언덕과 오피아 언덕으로 들어가는 로마 중심부의 능선인 벨리아 언덕을 가리킨다. 이름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벨리아(Velia)는 에트루리아의 여성 프라이노멘이었고, 벨리아 씨족이 존재하였다.
- 벨리티아(Velitia)
쿠리아의 구성원들은 쿠리알레스(curiales)라 알려져 있다. 각 쿠리아는 쿠리오(curio)라고 하는 사제들이 참석했으며, 이들은 플라멘 쿠리알리스(flamen curialis)라고 하는 다른 사제의 도움을 받아, 각 쿠리아의 종교적 의무 사항들을 맡아 처리했다. 쿠리아들 마다 쿠리아라고 알려진, 자기네들만의 회담 장소가 있었다.[51]
과거에는 쿠리아의 입회가 파트리키들에게 한정되었다는 것 및 이와 대조적으로 클리엔테스들은 단지 입회만이 허용되었고 투표권이 없는 수동적인 이들이라는 설들이 널리 믿어졌다. 그러나 테오도르 몸젠은 플레브스들은 투표에 포함되었다고 설득력 있게 주장하였고, 이 견해가 현재 우세한 것으로 보인다. 플레브스들은 쿠리아가 시작된 시점 혹은 최소한 이른 시기부터 포함되었으며, 공화정이 시작된 이른 어느 시기부터이다.[40][51][53]
2. 2. 쿠리아 민회
쿠리아 민회는 로마의 가장 오래된 입법 의회였다. 왕정 시대에는 왕을 선출하고, 법률을 통과시키며, 전쟁 선포 여부를 결정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다.[51][54] 왕이나 인터렉스가 소집하였으며, 새로운 왕 선출, 왕에게 임페리움을 수여하는 법률 통과, 선전포고 여부, 항소에 대한 결정, 입양(arrogatio) 관련 문제, 외부인의 파트리키 수용 여부 등을 다루었다.[44]세르비우스 툴리우스 시기에는 선전포고 및 항소 결정 권한이 코미티아 켄투리아타로 넘어갔다.[44]
로마 왕정이 무너진 후에는 로마 원로원이 쿠리아 민회에 질의를 제시했다. 그러나 기원전 494년과 449년 사이에는 대부분의 기능이 트리부스 민회와 켄투리아 민회로 이양되었다. 고위 행정관 선출, 사형 집행, 선전포고, 법률 통과는 켄투리아 민회가 담당했고, 하위 행정관 선출, 종교 관리자 선출, 평민 관련 재판, 법률안 통과는 트리부스 민회가 담당했다. 쿠리아 민회는 켄투리아 민회가 선출한 행정관에게 임페리움을 수여하고, 헌법 개정을 승인하는 권한을 유지했지만, 이 역시 원로원의 사전 제시가 필요했다. 또한 비파트리키 인원 수용, 입양 과정 감독 권한도 유지했다.[44] 공화정 말에는 각 쿠리아가 단 한 명의 릭토르로 대표되었다.
3. 세르비우스의 트리부스
로마 왕정의 제6대 왕 세르비우스 툴리우스는 로마를 새로운 트리부스로 재편했다. 이는 로마 사회의 변화와 인구 증가를 반영한 조치였다.[55] 세르비우스는 로마 시를 4개의 도심 트리부스로, 로마 주변 지역을 26개의 교외 트리부스로 나누어, 로마시의 인구를 지리적 위치를 근거로 30개의 부족들로 나누었다.[39][40][46] 도심 네 부족의 명칭은 각 부족들이 대표하는 도시의 네 지역들을 근거로 했으며, 교외 지역의 부족들의 명칭은 교외 지역들에 상당한 토지를 보유하고 있던 가문의 이름에서 기원했을 것이다.
역사에서 이름이 상실된 본래의 교외 부족 10개는 공화정의 시작 무렵에 라르스 포르세나와의 전쟁 중에 멸족했다.[39] 그 이후로 남아있던 부족들은 도심의 네 개 부족 콜리나(Collina), 에스퀼리나(Esquilina), 팔라티나(Palatina), 수부라나(Suburana) 혹은 수쿠사나(Succusana)와 함께 교외 부족 16개 아이밀리아(Aemilia), 카밀리아(Camilia), 코르넬리아(Cornelia), 파비아(Fabia), 갈레리아(Galeria), 호라티아(Horatia), 레모니아(Lemonia), 메네니아(Menenia), 파피리아(Papiria), 폴리아(Pollia), 포필리아(Popillia), 푸피니아(Pupinia), 로밀리아(Romilia), 세르기아(Sergia), 베투리아(Veturia), 볼티니아(Voltinia)였다.
각 부족은 영토적, 행정적 단위였으며, 부족 구성원의 투표를 집계하고 촉진하는 트리불레스(tribules)라는 관리가 있었다. 또 다른 관리 그룹인 디비소레스(divisores)는 부족 구성원 간의 선물을 조정했으며, 공화국 말기에는 선거 매수에 자주 연루되었다.
부족의 수장 역할을 하는 쿠라토르 트리붐(curator tribuum)과 부족의 재정적 의무를 담당하는 트리부니 아이라리(tribuni aerarii) 또는 재무관이 있었는데, 그들은 전쟁세를 징수하고 부족의 병사들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책임을 맡았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에 따르면, 툴리우스 왕은 로마의 일곱 언덕을 세르비우스 성벽으로 둘러싼 뒤, 로마 시를 4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주민을 등록했다. 언덕을 따라 각각 팔라티나(Palatina) 구역, 수부라나(Suburana) 구역, 콜리나(Collina) 구역, 에스퀼리나(Esquilina) 구역으로 명명되었으며, 주민이 다른 구역으로 이주하는 것도, 다시 등록하는 것도 금지하였다.
3. 1. 후대의 트리부스
로마의 영토가 확장됨에 따라 새로운 트리부스들이 추가되었다. 이 트리부스들은 정복된 지역의 주민이나 새로운 시민들을 포함했다. 기원전 241년까지 트리부스의 수는 총 35개로 늘어났으며, 이 숫자는 더 이상 변하지 않았다.[39]기원전 358년에 볼스키족의 영토가 추가되면서 폼프티나(Pomptina)와 푸블리아(Publilia, 혹은 포블리아) 등 두 개 부족이 더 형성되었다. 기원전 332년에는 마이키아(Maecia, 본래 철자는 Maicia)와 스캅티아(Scaptia) 등 두 부족이 추가되었다. 기원전 318년에는 우펜티나(Ufentina, 혹은 오우펜티나)와 팔레리나(Falerina) 부족이 들어갔고, 기원전 299년에는 아니엔시스(Aniensis)와 테렌티나(Terentina) 등이 추가되었다. 마지막 두 부족인 퀴리나(Quirina)와 벨리나(Velina)는 기원전 241년에 설립되어 부족의 수를 35개로 늘렸다.[39]
35개의 부족들은 다음과 같다.
도심 부족 (4개) | 교외 부족 (31개) |
---|---|
동맹시 전쟁 이후 로마 시민권이 이탈리아 동맹시로 확장되면서 8개 부족이 더해졌으나, 이들은 이후에 나머지 35개 부족들에 흡수되었다.[39]
로마의 부족들은 인구조사, 과세, 병역 등과 관련된 민중들의 법적 기관 역할을 하였다. 각 부족은 부족의 대표인 쿠라토르 트리붐(curator tribuum)과 부족의 재정 부채를 책임지는 트리부니 아이라리(tribuni aerarii) 등의 관리들을 두었으며, 트리부니 아이라리는 전쟁 목적의 세금 징수와 부족 병사들의 급료 분배를 책임졌다.[40][57]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에서 발견된 비문(''CIL'' 13.1029)에는 가이우스 오타킬리우스가 갈리아 시민들이 자주 배치되었던 ''트리부스 볼티니아''(VOL로 약칭)에 등록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케스티우스의 피라미드의 비문에는 가이우스 케스티우스가 포블릴리아 부족(POB)의 일원임을 언급하고 있다.
3. 2. 트리부스 민회
세르비우스 툴리우스가 세르비우스 부족들을 설립하면서, 이 부족들은 플레브스 민회(concilium plebis)를 구성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플레브스 민회의 법률 제정 권한이 발전했고, 점차 트리부스 민회(comitia plebis tributa)로 알려지게 되었다.[58] 기원전 449년에 통과된 법은 트리부스 민회의 결의를 플레비사이트(plebi scita)로 만들어, 로마 인민 전체에게 구속력을 갖게 했다. 이 법은 기원전 286년까지 원로원의 인가를 받지 못했지만, 그 이전에도 결의 자체는 평민들에게 구속력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파트리키(귀족)와 플레브스(평민) 모두 트리부스 민회에서 동등한 투표권을 가졌고, 켄투리아 민회보다 소집이 훨씬 간단했기 때문에, 로마에서 가장 민주적인 민회였다. 공화정 말기에는 플레브스가 파트리키보다 수적으로 훨씬 많았고, 부나 지위에 상관없이 시민들의 집단적 의지가 이 민회를 통해 행사될 수 있었다.[44]트리부스 민회는 호민관, 트리부누스 밀리툼, 조영관 등 하급 행정관들을 선출하고, 폰티펙스 막시무스를 임명하고, 폰티펙스, 아우구르 등 사제단 및 종교 10인단 구성원을 선출했다.[44] 또한, 강화 조약 체결 등 국내외 문제에 대한 결의안을 통과시키거나, 플레브스 또는 행정관들이 대리하는 자들에 대한 침해 행위에 대해 호민관과 조영관들이 제기한 소송을 판결하기도 했다. 공화정 후기에는 공무 집행 실정에 대한 소송이 일반적이었으며, 호민관과 조영관은 상당한 벌금을 부과할 권한이 있었다.[44]
기원전 494년 호민관 설치 이후, 트리부스 민회는 보통 호민관이 소집했고, 행정관도 호민관의 동의를 얻어 소집할 수 있었다. 민회는 회의 시작 최소 17일 전에 전령(Praeco)의 공포로 소집되었고, 조점술이 길조일 때만 진행되었다. 부족들은 동틀 녘에 모여 해질녘에 회의를 연기해야 했다. 호민관이 소집하면 부족들은 도시 안이나 도시 1마일 반경 안에서 모여야 했는데, 이는 호민관의 권한 범위였다. 공화정 초기에는 포룸 로마눔의 카피톨리노 언덕이나 코미티움에서 모였고, 행정관이 소집할 경우에는 캄푸스 마르티우스에서 모였다.[44]
회의는 희생 없는 기도로 시작하여 제의안이 낭독되고, 시민들은 부족별로 정렬되었다. 투표할 첫 번째 부족인 프린키피움(Principium)은 추첨으로 선정되었고, 그 결과가 공개되었다. 다른 부족들도 동시에 투표했고, 최종 결과 발표 전 추첨으로 결정된 순서에 따라 각 부족의 투표 결과가 공개되었다. 민회를 통과한 법안은 결과 발표와 동시에 효력이 발생했다.[44] 투표 순서는 추첨으로 결정되었지만, 오르도 트리붐(ordo tribuum)이라 하는 부족들의 공식적인 순서도 있었다. 처음 네 부족은 수부라나(Suburana), 팔라티나(Palatina), 에스퀼리나(Esquilina), 콜리나(Collina) 등 도심 부족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교외 부족들이 뒤따랐으며, 아니엔시스(Aniensis) 부족으로 끝났다.[44]
3. 2. 1. 권한
트리부스 민회는 호민관, 평민 조영관 등 하급 행정관을 선출하고, 법률을 제정하며, 재판을 담당하는 등 다양한 권한을 행사했다. 특히 평민들의 권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했다.[44]- 행정관 선출: 트리부스 민회는 호민관, 트리부누스 밀리툼, 평민 조영관, 귀족 조영관 등 모든 하급 행정관들을 선출했다.[44] 폰티펙스 막시무스를 임명하고, 폰티펙스, 아우구르 등의 사제단 및 종교 10인단의 구성원을 선출하는 위원회도 트리부스 민회에서 추첨으로 선정된 17개 부족으로 구성되었다.[44]
- 법률 제정: 트리부스 민회는 호민관이나 고위 행정관들이 제시한 국내 및 외국 문제에 대한 결의안을 통과시킬 수 있었다. 예를 들어 강화 조약 체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제의들은 투표에 부쳐지기 전에 공포되어야 했으며, 수정 없이 안 전체가 통과되거나 거부되는 방식이었다. 원로원이 이 결의안을 재검토할 수도 있었지만, 정식 절차 없이 통과되어야만 결의안들이 거부될 수 있었다.[44] 기원전 449년에 통과된 법은 트리부스 민회의 결의를 플레비사이트(plebi scita)로 만들어, 로마 인민 전체를 구속하는 힘을 부여했다. 이 법은 기원전 286년까지 원로원이 인가하지 않았지만, 법률 통과 이전에도 이 결의 자체는 플레브스들에게 대한 구속력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44]
- 재판: 트리부스 민회는 플레브스 또는 행정관들이 대리하는 자들에 대한 침해 행위에 대하여, 호민관과 조영관들이 제기한 소송들을 판결하기도 했다. 공화정 후기에는 공무 집행 실정에 대한 소송이 일반적이었으며, 호민관들과 조영관들은 상당한 벌금을 물릴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44]
트리부스 민회는 모든 시민(파트리키와 플레브스 모두)이 동등한 투표권을 가졌고, 켄투리아 민회보다 소집이 훨씬 간단했기 때문에, 로마에서 가장 민주적인 민회였다. 공화정 말기에는 플레브스들이 파트리키들보다 수적으로 훨씬 많았기 때문에, 시민들의 집단적 의지가 부나 지위에 상관없이 트리부스 민회를 통해 행사될 수 있었다.[44]
3. 2. 2. 과정
트리부스 민회는 호민관이 소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행정관들도 호민관의 동의를 얻어 소집할 수 있었다.[44] 민회는 회의 시작 최소 17일 전에 전령(Praeco)의 공포로 소집되었고, 조점술이 길조일 때만 회의가 진행되었다.[44] 부족들은 동틀 녘에 모여 해질녘에 회의를 연기해야 했다.[44]호민관이 민회를 소집하면, 부족들은 도시 안이나 도시 1마일 반경 안에서 모여야 했는데, 이는 호민관의 권한이 미치는 경계였다.[44] 공화정 초기에는 주로 포룸 로마눔의 카피톨리노 언덕이나 코미티움에서 모였고, 행정관이 소집할 경우에는 캄푸스 마르티우스에서 모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44]
회의는 희생 없는 기도로 시작하여 제의안이 낭독되고, 시민들은 부족별로 정렬되었다. 프린키피움(Principium)이라 불리는, 투표할 첫 번째 부족은 추첨으로 선정되었고, 그 투표 결과가 공개되었다.[44] 이후 다른 부족들도 동시에 투표했으며, 최종 결과 발표 전 추첨으로 결정된 순서에 따라 각 부족의 투표 결과가 공개되었다.[44] 민회를 통과한 법안은 결과 발표와 동시에 효력이 발생했다.[44]
투표 순서는 추첨으로 결정되었지만, 오르도 트리붐(ordo tribuum)이라 하는 부족들의 공식적인 순서도 있었다.[44] 처음 네 부족은 수부라나(Suburana), 팔라티나(Palatina), 에스퀼리나(Esquilina), 콜리나(Collina) 등의 도심 부족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교외 부족들이 뒤따랐으며, 아니엔시스(Aniensis) 부족으로 끝났다.[44]
3. 2. 3. 쇠퇴
공화정 말기에 이르러 트리부스 민회는 참여율이 매우 저조해졌고, 그 활동은 점차 부패의 산물이 되었다.[44] 카이사르는 트리부스 민회가 전쟁을 선포하거나 평화를 맺는 권한을 박탈했다. 초기 황제들은 민회의 권한을 더욱 축소시켰다. 아우구스투스는 민회의 사법 기능을 없애고, 형식적으로 법률을 통과시키는 권한만 남겨두었다. 그는 행정관 자리의 절반을 자신의 후보자로 채웠으며, 티베리우스는 남아있던 행정관 선출 권한마저 원로원으로 넘겨버렸다. 황제들이 트리부스 민회로부터 많은 권한을 받았지만, 이는 형식적인 것에 불과했다.[44]트리부스 민회는 서기 3세기까지 존속했지만, 그 기능은 상징적인 것에 그쳤다. 점을 치고 기도를 드리며, 황제의 법적 권한 및 기타 권한을 부여하고, 제출된 법률의 승인을 선포하는 등의 역할만 수행했다. 이 시기에는 투표가 투표용지가 아닌 환호로 이루어졌다.[44]
4. 트리부스의 기능
트리부스는 로마 시민의 기본적인 소속 단위였으며, 병역, 투표, 징세 등의 기능을 수행했다.
- 병역: 로마 군단 병사 모집은 트리부스를 단위로 이루어졌다. 각 트리부스에서 일정 수의 병사를 선발했으며, 이는 로마 시민의 의무였다. 이러한 방식은 기원전 3세기 말까지 이어졌다.
- 투표: 트리부스 민회와 플레브스 민회에서 투표 단위로 기능했다. 각 트리부스는 한 표를 행사했으며, 트리부스 민회는 로마의 중요한 입법 기관이었다. 기원전 3세기 중반 켄투리아 민회 개혁 이후 트리부스는 고위 정무관 선출에도 영향을 미쳤다.
- 징세: 전시 특별세(트리부투스)를 징수하는 단위였다. 각 트리부스는 일정 금액의 세금을 납부해야 했으며, 트리부니 아에라리(tribuni aerarii)가 세금 징수와 병사 급여 지급을 담당했다. 기원전 70년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의 법(Lex Aurelia iudiciaria)에 따라 트리부니 아에라리는 심판인으로 선출되기도 했으나, 카이사르에 의해 심판인에서 제외되었다.[4][5]
4. 1. 병역
로마 군단 병사 모집은 집정관이 매년 민회에서 소집일을 발표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징병 연령에 도달한 사람들은 로마에 모여 각 군단의 트리부누스가 제비를 뽑아, 각 트리부스에서 비슷한 연령과 체격의 사람들을 군단의 수만큼 선택하고, 제비뽑기 순서에 따라 그들 중에서 선택했다. 이 순서를 하나씩 바꿔가며 여러 번 반복하여 각 군단의 정원(통상 4200명, 긴급 시에는 5000명)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했다고 한다. 기병은 10년, 보병은 46세까지 16년의 병역이 부과되었으며, 재산이 400드라크마 이상이면 해병으로도 등록되었다[23]. 트리부스에서만 군단 병사를 모집하는 방식은 기원전 3세기 말까지로 추정된다. 이러한 병역은 로마 시민의 의무였다.4. 2. 투표 단위
트리부스는 트리부스 민회와 플레브스 민회에서 투표 단위로 기능했으며, 각 트리부스는 한 표를 행사했다.[3] 트리부스 민회는 로마의 중요한 입법 기관이었고, 시민들의 정치적 의사를 표현하는 통로였다. 기원전 449년의 법률로 트리부스 민회의 결의는 모든 로마인에게 구속력을 갖게 되었으며, 모든 시민은 동등한 투표권을 가졌다. 이는 로마에서 가장 민주적인 회의였다.기원전 3세기 중반 켄투리아 민회 개혁으로 트리부스와 켄투리아가 결합되면서, 트리부스는 고위 정무관 선출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투표 단위가 되었다.[3] 이 무렵 트리부스 표의 향방은 유력 씨족에 의해 좌우되었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3]
4. 2. 1. 선거 운동
공화정 후기에는 매년 7월에 집정관과 프라에토르 선거가 치러졌는데, 전국 농촌 트리부스의 자산가들이 로마로 와서 도시 트리부스의 평민보다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25] 투표 순서는 정해져 있었고, 파필리아 구가 처음으로 투표했다.[25]선거 후보자와 지지자들은 각 트리부스를 돌며 지원을 호소했다. 각 트리부스의 대표단은 선거 때마다 로마로 가야 했고, 로마 중심지에 각 트리부스의 본부가 설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본부는 마르스 광장에 있었으며, 표와 교환하는 증명서를 발행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트리부스 표를 정리하는 담당자들은 디비소레스(divisores, 나누는 자들)라고 불렸는데, 후보자로부터 뇌물을 받아 트리부스에 전달하는 역할도 했다.[25] 아우구스투스의 아버지 가이우스는 부유했지만 디비소레스였다. 이들은 원래 소속 트리부스의 유력자에게서 돈을 받아 나눠주었지만, 점차 다른 트리부스 유력자를 위해 표를 정리하기도 했다. 심지어 대립 후보를 낙선시키려고 모든 트리부스의 디비소레스를 집에 모아 돈을 주는 사람도 있었다.[24] 공화정 말기에 이러한 부정 선거 운동(Ambitus)을 규제하는 법이 여러 번 제정되었지만, 효과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투표 시 후보자가 이름을 기억하는 척하며 말을 걸 수 있도록, 누가 투표하는지 알려주는 노예(nomenclator)도 있었는데, 나중에는 불법으로 간주되었지만 필요악으로 인식되었다.
트리부스가 같은 사람들을 돕거나, 친구 후보자를 위해 자신의 트리부스 표를 모으는 것은 예의에 맞는 오랜 관행이었다.[25] 같은 트리부스 소속 유력자가 주최하는 경기나 만찬에 초대되는 관습도 있었다.[26] 보수를 받고 후보자를 따라다니며 훌륭한 사람이라고 홍보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은혜를 입고도 가난 때문에 갚지 못해 선거 운동에 따라다니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한다.[27]
4. 3. 징세
트리부스는 전시 특별세(트리부투스)를 징수하는 단위였다. 각 트리부스는 일정 금액의 세금을 납부해야 했다. 트리부니 아에라리(tribuni aerarii)는 트리부스의 재정 담당관으로서, 세금 징수와 병사 급여 지급을 담당했다.기원전 70년 프라에토르였던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가 제정한 법(Lex Aurelia iudiciaria)에 의해 원로원 의원, 에퀴테스와 이전 징세관과 같은 명칭의 트리부니 아에라리가 심판인으로 동일하게 선출되게 되었다.[4] 나중에 카이사르에 의해 트리부니 아에라리는 심판인에서 제외되었다.[5]
5. 트리부스의 확장
로마의 영토 확장에 따라 트리부스 제도도 변화했다. 기원전 504년, 사비니족 출신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가 로마로 이주하면서 ''트리부스 클라우디아''(이후 ''트리부스 크루스티미나'' 또는 ''클루스티미나'')가 만들어졌다.[1][20] 이후 트리부스는 지속적으로 추가되어 기원전 241년에는 35개까지 늘어났다.[1]
새로운 트리부스 추가와 영역 조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 기원전 387년: 아르니엔시스, 사바티나, 스텔라티나, 트로멘티나 부족 추가.[1]
- 기원전 358년: 볼스키족 영토 추가로 폼프티나와 푸블릴리아(포블릴리아) 부족 추가.
- 기원전 332년: 마에키아(원래 마이키아)와 스켑티아 부족 추가.
- 기원전 318년: 우펜티나(또는 오우펜티나)와 팔레리나 추가.
- 기원전 299년: 아니엔시스와 테렌티나 추가.
- 기원전 241년: 퀴리나와 벨리나 설립.[1]
다양한 부족의 이름은 필사 오류와 라틴어 철자법 변화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Maeciala 부족은 로 약칭되므로 원래 Maiciala였을 것이다. Crustuminala와 Clustuminala는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35개의 트리부스는 다음과 같다.
도시 부족 (4개) | 농촌 부족 (31개) |
---|---|
기원전 241년 이후에는 부족이 더 이상 창설되지 않았다. 원로원과 인민의 법안에 따라, 추가 병합된 영토의 시민들은 기존 농촌 부족에 등록되었다. 이 개혁 이전에는 부족들이 비교적 인접했지만, 이후 로마 영토 전체에 걸쳐 지리적으로 분산되었다. 사회 전쟁 이후, 로마의 이탈리아 동맹국에게 참정권이 부여되면서 시민 인구가 크게 증가했고, 더 많은 부족 창설에 대한 논쟁이 있었지만, 결국 새로운 시민들을 기존 35개 부족에 등록하기로 결정했다.[1]
제정 시대에는 지리적 기반에 따른 시민의 부족 등록이 재개되었다. 예를 들어, 동부인들은 주로 콜리나와 퀴리나 부족에,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에서는 ''tribus Voltinia''에 등록하는 것을 선호했다.
5. 1. 개인적 토지 분배
로마는 정복한 지역의 토지를 공유지(ager publicus)와 그 외(ager Romanus)로 구분하였으며, 트리부스로 등록된 것은 공유지 이외였다. 로마 영토가 확대되면서 식민시를 건설하거나(deductio coloniae), 식민자에게 공유지의 일부를 개별적으로 부여하는 "개인적 토지 분배(adsignatio viritim)"가 이루어졌다. 이 경우, 기존의 농촌 트리부스에 추가 등록하거나 필요에 따라 새로운 트리부스를 설립했다.로마는 정복지를 병합하여 공유지로 만들고, 교두보로 라틴 식민지를 건설했으며, 남은 토지에는 시민들이 개인적 토지 분배를 받아 정착했을 것으로 보인다. 트리부스 설립에는 노빌레스도 참여했다. 기원전 200년에는 대 스키피오 휘하의 퇴역병들에게도 개인적인 토지 분배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적 토지 분배는 트리부스 간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웠기 때문에, 트리부스 신설이 없어짐과 함께 감소했다.
5. 2. 페레그리니
로마는 정복한 지역의 주민(페레그리니)에게 제한된 시민권을 부여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기원전 353년 카에레인(현 체르베테리)에게는 로마가 갈리아인에게 점령되었을 때 베스타의 처녀와 함께 신기를 보관해 준 것에 대한 보답으로 "투표권 없는 시민권"이 주어졌다.[32] 이러한 제한된 시민권을 가진 페레그리니들은 트리부스에 등록되었지만, 투표권은 없었다.기원전 2세기경부터는 새롭게 식민 도시를 건설할 때 일정 수의 외국인(페레그리니)을 받아들여 트리부스에 등록하게 되었다. 투표권 없는 시민권을 가진 사람들도 병역 의무는 다했을 것으로 생각되며, 군단에 편입되었는지, 아니면 언어 차이 등으로 별도의 부대로 편성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5. 3. 분단
로마의 영토가 확장되면서 하나의 트리부스가 여러 지역에 걸쳐 분산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는 트리부스의 지리적 연속성을 약화시켰다.[1] 초기에는 부족들이 비교적 인접한 단위였지만, 이후에는 로마 영토 전체에 걸쳐 지리적으로 분산되었다.[1] 이러한 분산은 식민시 건설이나 개인적인 토지 분배를 통해 이동하거나 늘어난 시민을 각 트리부스에 등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략적인 방어상의 필요성 때문에, 라틴 식민시나 타 민족의 유력 도시 영역 사이에 배치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후 이러한 도시들이 완전한 시민권을 얻으면서 트리부스의 분단이 해소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키케로 시대에는 이탈리아 반도 전체의 모든 자유민에게 시민권이 부여되면서, 이탈리아 전역에 흩어진 트리부스를 기억하는 것은 선거 후보자에게 큰 어려움이었다.
5. 4. 켄소르
켄소르(감찰관)는 로마 시민을 조사하고, 트리부스와 켄투리아 민회에 등록하는 역할을 담당했다.[33] 켄소르는 품행이 불량한 시민을 트리부스에서 추방하는 권한도 가지고 있었다.[34]켄소스(국세조사)는 원래 왕이나 집정관이 실시했으나, 기원전 5세기 중반에 이를 위한 정무관 켄소르가 설치되었다. 켄소스는 트리부스 단위로 실시되었으며, 각 시민은 개인명, 씨족명, 아버지 또는 보호자명, 소속 트리부스, 가족명, 나이, 소유 재산을 등록했다. 3문자로 생략된 트리부스명은 시민의 정식 명칭의 일부였다. 예를 들어, 변호사이자 문필가로도 유명한 키케로의 공문서 표기는 'M. Tullius M. f. Cor. Cicero'(마르쿠스 툴리우스, 마르쿠스의 아들, 코르넬리아 구 소속, 키케로)였다.
기원전 4세기 중반부터 켄소스 때(아마 관련 법안에 따라) 트리부스의 재편, 추가가 이루어졌다. 또한, 품행이 불량한 자에게 벌을 주는 켄소르의 견책(censoria nota) 중 하나로, "트리부스에서 옮기는(tribu movere)" 것이 행해졌다. 예를 들어 고대 로마에서는 연극은 천한 것으로 여겨져, 배우가 이 견책을 받았다. 이전에는 이것이 문자 그대로 트리부스에서 배제되거나, 혹은 도시 트리부스로 옮겨지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토지를 가진 사람들이 등록된 농촌 트리부스에서, 해방 노예나 사생아가 많이 등록되어 있던 도시 트리부스로의 일종의 격하로 여겨졌다.
기원전 204년 켄소르의 견책에서는,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와 마르쿠스 리비우스 살리나토르가 서로 공유마를 몰수하고, 한 명이 다른 한 명을 아에라리이로 떨어뜨리자, 보복으로 다른 한 명이 전체 35 트리부스 중 34 트리부스까지 통째로 아에라리이로 떨어뜨리는 처분을 내린 에피소드가 있다. 이는 이전에 받은 개인적인 원한을 풀고, 무죄임에도 민회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것에 대한 보복이었다.
민회에서의 입법으로 도시나 민족에게 시민권 부여가 결정되었더라도, 이후 켄소스에서 개별적으로 조사 후 트리부스에 등록해야 했다. 또한 켄소르는 자산에 따라 켄투리아 민회에서의 등록 클라시스도 결정했기 때문에,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5. 5. 무산 시민
공화정 후기에는 토지를 소유하지 않은 무산 시민들도 트리부스에 등록되었다. 이들은 주로 도시 트리부스에 등록되었다.[35] 이는 도시 트리부스와 농촌 트리부스 간의 차별을 야기하기도 했다.[35]기원전 312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는 토지를 소유하지 않은 해방 노예 등의 무산 시민도 트리부스에 등록하도록 결정했다. 그러나 기원전 304년에는 무산 시민은 4개의 도시 트리부스에만 등록하도록 변경되었다. 이 방침은 기원전 220년에 재확인되었지만, 기원전 2세기에는 켄투리아의 제1·제2 클라시스에 상당하는 자산을 가진 해방 노예는 농촌 트리부스에 등록이 허용되었다.
기원전 168년, 대 그라쿠스가 해방 노예·무산 시민의 트리부스에서의 추방을 주장했고, 그 결과 해방 노예나 무산 시민은 추첨으로 결정된 도시 트리부스 중 하나에 등록되게 되었다.[35] 이러한 이유로 농촌 트리부스에 비해 도시 트리부스는 열등하다는 인식이 생겨났다.[35]
내란의 1세기에 들어서면서, 기원전 130년경에는 무기명 투표가 도입되면서 해방 노예의 표를 통제하기가 어려워졌다. 기원전 58년에는 밀의 지급이 무상화되면서, 노예를 해방시켜 그들에게 지급되는 밀을 내놓게 하는 주인이 속출했다.[36] 곡물 공급 담당관이었던 폼페이우스는, 격증한 해방 노예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를 할 필요가 있을 정도였다.[37]
스에토니우스에 따르면, 카이사르는 곡물 무상 수급자를 32만 명에서 15만 명까지 줄이고, 길드를 해산하여 8만 명의 해방 노예를 해외 식민지로 보냈다고 한다.
5. 6. 동맹시 전쟁
기원전 1세기 초 동맹시 전쟁으로 인해 원칙적으로 포강 이남의 모든 자유인에게 로마 시민권이 부여되었다. 공유지 외의 토지는 시민권을 얻은 자치시에 할당되었고, "개인적 토지 분배"도 흡수되었지만, 신 시민을 어느 트리부스에 등록할 것인가는 큰 문제였다. 그들을 위해 기존의 35개 트리부스 다음에 투표하는 10개의 트리부스를 신설하는 것이 결정되었지만[38], 킨나의 영향으로 기원전 86년부터의 인구 조사에서 신 시민은 기존의 31개 농촌 트리부스에 등록된 것으로 보인다.동맹시 전쟁 이후, 로마의 이탈리아 동맹국에게 참정권이 부여되고 시민 인구가 대폭 증가하면서, 로마에서는 더 많은 부족을 창설해야 하는지에 대한 격렬한 논쟁이 있었지만, 결국 새로운 시민들을 기존의 35개 부족에 등록하기로 결정했다.

5. 7. 퇴역 군인
가이우스 마리우스의 군제 개혁으로 로마군의 주력에 무산 시민이 증가하고, 퇴역 후 토지를 받아 시민권을 취득하게 되면서, 이들을 어느 트리부스에 등록할지 결정하는 권한은 유력한 장군에게 논공행상으로 주어졌다. 예를 들어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스트라보는 히스파니아 기병 중대에 시민권을 부여할 권한을 받았으며, 제2차 삼두 정치 시대의 옥타비아누스는 퇴역병과 그 가족에게 원하는 트리부스에 등록할 권한을 부여했다.[1]참조
[1]
서적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Antiquities
https://archive.org/[...]
[2]
서적
Livy, x. 6.
[3]
서적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Antiquities
1897
[4]
서적
The Bantam New College Latin & English Dictionary
[5]
서적
Cassell's Latin & English Dictionary
[6]
서적
Livy, i. 9–13.
[7]
서적
A Commentary on Livy, Books I–V
1965
[8]
서적
Cornell
[9]
서적
2012c
[10]
서적
2018
[11]
서적
De Lingua Latina
[12]
서적
Livy, ix. 38.
[13]
서적
Festus
[14]
서적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Antiquities
[15]
서적
The Roman Clan
[16]
서적
Römische Forschungen
[17]
서적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Antiquities
[18]
서적
2012a
[19]
서적
The voting districts of the Roman Republic: the thirty-five urban and rural trib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3
[20]
서적
Livy, ii. 21.
[21]
서적
Crawford
2023-06
[22]
서적
法律について
[23]
서적
歴史 (ポリュビオス)
[24]
서적
ウェッレース弾劾
[25]
서적
プランキウス弁護
[26]
서적
ムレナ弁護演説
[27]
서적
ムレナ弁護演説
[28]
서적
国家論
[29]
서적
対比列伝
[30]
서적
有名言行録
[31]
서적
対比列伝
[32]
서적
アッティカの夜
[33]
서적
国家論
[34]
서적
博物誌
[35]
서적
博物誌
[36]
서적
ローマ古代誌
[37]
서적
ローマ史
[38]
서적
内乱記
[39]
사전
Tribus
[40]
사전
Tribus
[41]
사전
tribus
[42]
사전
tribus
[43]
서적
Livy
[44]
사전
Comitia
1897
[45]
서적
Livy
[46]
서적
A Commentary on Livy, Books I–V
1965
[47]
서적
[48]
서적
De Lingua Latina
[49]
서적
Livy
[50]
기타
Festus
[51]
사전
Curia
[52]
서적
The Roman Clan
[53]
서적
Römische Forschungen
[54]
사전
Curio
[55]
서적
Livy
[56]
서적
Livy
[57]
사전
Tribuni Aerarii
[58]
사전
Comitia
[59]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