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티너 로베이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티너 로베이츠는 네덜란드 출신의 언어학자이다. 레이던 대학교에서 비교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막스 플랑크 인류역사과학 연구소의 고고언어학 연구 그룹장으로 재직하며, 마인츠 대학교 명예교수를 겸하고 있다. 로베이츠는 농경/언어 확산 가설에 기반하여 트란스유라시아어족(구 알타이어족) 가설을 주장하며, 기장 농경과 언어 확산의 연관성을 연구했다. 튀르키예어, 몽골어, 퉁구스어, 한국어, 일본어가 트란스유라시아어족에 속하며, 이 언어들의 공통 조상 언어 사용자들이 만주 북서부 지역에 거주하다가 랴오닝성 지역으로 이주하여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계통 언어를 사용하던 농경 집단과 융합하면서 원시 한국어와 원시 일본어가 파생되었다고 주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언어학자 - 클로드 피롱
클로드 피롱은 벨기에 출신의 에스페란토 작가이자 심리 치료사, 교수였으며, 국제 연합과 세계 보건 기구에서 근무하며 제네바 대학교 심리학부 교수를 역임했고, 에스페란토를 활용하여 다양한 작품을 저술했다. - 벨기에의 언어학자 - 뤼스 이리가레
뤼스 이리가레는 벨기에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 정신분석학자, 페미니스트 이론가로서, 남성 중심적인 서구 철학과 정신분석학을 비판하며 여성의 경험과 언어, 성차에 대한 독자적인 이론을 발전시키고 여성적 언어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기여했다. - 알타이어학자 -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러시아의 언어학자로, 노스트라틱 대어족과 일본어를 연구하고, 코카서스, 사할린 등지에서 현지 조사를 진행했으며, 케트어 연구, 후르-우라르트어족과 북동캅카스어족의 연관성 주장, 알타이어족 가설 발전, STARLING 개발 등 다양한 언어학적 업적을 남겼다. - 알타이어학자 - 구스타브 욘 람스테트
구스타브 욘 람스테트는 핀란드의 언어학자이자 외교관으로, 알타이어족 연구와 아시아 탐험, 주일 핀란드 공사 역임, 일본어의 알타이어족 기원설 주장, 한국어 연구 기여, 그리고 핀란드 내 에스페란토 운동 주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역사언어학자 - 헤르만 파울
헤르만 파울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활동한 독일의 언어학자로, 청년 문법 학파와 교류하며 독일어 연구에 기여했고, 《언어사 원리》 등의 저서를 통해 비교언어학과 독일어 연구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지만 유럽 중심적 관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역사언어학자 - 유시 할라아호
유시 할라아호는 핀란드의 정치인이자 언어학자로, 핀란드인당 대표, 헬싱키 시의회 의원, 국회의원, 유럽 의회 의원을 역임했으며, 핀란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이민 정책 비판과 정치적 견해 피력으로 인종차별 혐의를 받기도 했다.
마르티너 로베이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마르티너 이르마 로베이츠 |
출생일 | 1972년 10월 24일 |
출생지 | 브뤼헤, 벨기에 |
국적 | 벨기에 |
직업 | 언어학자 |
배우자 | 해당 없음 |
학력 | |
모교 | 레이던 대학교 |
학위 논문 제목 | 해당 없음 |
학위 논문 URL | 해당 없음 |
학위 논문 발표 연도 | 해당 없음 |
경력 | |
직장 | 막스 플랑크 인류사 과학 연구소 및 마인츠 대학교 |
주요 관심사 | 역사언어학 |
주목할 만한 저서 | 해당 없음 |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 트랜스유라시아어족 가설 |
영향을 준 인물 | 해당 없음 |
영향을 받은 인물 | 해당 없음 |
서명 | 해당 없음 |
서명 크기 | 해당 없음 |
각주 | 해당 없음 |
2. 학력 및 경력
로베이츠는 레이던 대학교에서 비교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대학교에서 한국학 석사 학위를, 뢰번 가톨릭 대학교에서 일본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1] 현재 독일 예나에 위치한 막스 플랑크 인류역사과학 연구소에서 고고언어학 연구 그룹장으로 재직 중이며,[1] 독일 마인츠 대학교의 명예교수직을 겸하고 있다.[1]
학력은 다음과 같다.
로베이츠는 트란스유라시아어족 가설을 지지하며, 이 언어들이 중국 랴오닝성 일대에서 기원하여 농경과 함께 확산되었다는 '농경/언어 확산 가설'을 제시하였다.
3. 주요 연구
로베이츠는 일본어가 한국어, 튀르키예어, 몽골어, 만주어 등과 같은 어족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기존의 광의의 알타이어족(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일본어족, 한국어족)을 "트란스유라시아어족" (Transeurasian)이라고 칭하고 있다.[6][7]
3. 1. 트란스유라시아어족 가설
로베이츠는 2017년에 튀르키예어, 몽골어, 퉁구스어, 한국어, 일본어가 트란스유라시아어족(구 알타이어족)이라는 하나의 어족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10][11] 그녀는 이 언어들의 공통 조상 언어 사용자들이 만주 북서부 지역에 살았으며, 이들 중 일부가 현재 중국 랴오닝성으로 이주하여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계통 언어를 사용하던 농경 집단과 융합하면서 원시 한국어와 원시 일본어가 파생되었다고 본다.[3][4]
2018년에는 베이즈 계통발생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트란스유라시아어족 가설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5] 2021년에는 네이처(Nature)지에 언어 및 유전자 연구를 통해 트란스유라시아어족의 발생과 분화에 대한 더욱 진전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12]
3. 2. 농경/언어 확산 가설
로베이츠는 농경/언어 확산 가설에 기반하여, 중국 랴오닝성의 시랴오허 유역에서 기원전 9천 년경 기장 밭농사를 짓던 싱룽와 문화가 트란스유라시아어족(알타이어족)의 원향이라고 주장했다.[8][9] 기장 농경이 동쪽으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기원전 9천 년에서 7천 년 사이 랴오시 지역에서 일류조어와 조선조어의 공통 조어가 분기되었고, 기원전 6천 년 중반 빗살무늬 토기 시대 중기에 한반도로 남하하여 조선조어가 분기되었다고 주장한다.[8]
기원전 6~5천 년 이후 랴오둥반도의 허우와 유적 문화가 일류조어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시기 산둥반도의 다원커우 문화와의 교류를 통해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추정한다.[9]
기원전 3300년경 산둥반도나 랴오둥반도에서 벼 농사, 밀, 보리 농경이 한반도에 전파되어 무문토기 문화가 성립되었고,[8][9] 기원전 3천 년경 이 문화가 규슈에 전해져 야요이 문화가 성립되고 일본 열도에 일류어족이 퍼져나갔다고 본다.[8][9]
로베이츠는 밭농사가 중요했던 한반도 동남부에서 신라가 성립하면서 한국어의 기초가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9]
4. 저서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
2020 | The Oxford Guide to the Transeurasian Languages|옥스퍼드 범유라시아어 가이드영어 |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2017 | Language dispersal beyond farming|농업을 넘어선 언어 확산영어 | 존 벤자민스 출판 |
2015 | Diachrony of verb morphology: Japanese and the Transeurasian languages|동사의 형태론의 통시적 연구: 일본어와 트란스유라시아어영어 | 드 그루이터 무톤 |
2014 | Paradigm change: in the Transeurasian languages and beyond|패러다임의 변화: 트란스유라시아어와 그 너머영어 | 벤자민스 |
2005 | Is Japanese related to Korean, Tungusic, Mongolic and Turkic?|일본어는 한국어, 퉁구스어, 몽골어, 튀르크어와 친족 관계인가?영어 | 하라소비츠 |
참조
[1]
웹사이트
CV Martine Robbeets 2021
https://www.linguist[...]
[2]
웹사이트
Language in the anthropocene
https://www.shh.mpg.[...]
2024-02-26
[3]
논문
Austronesian influence and Transeurasian ancestry in Japanese: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https://www.research[...]
2017
[4]
서적
Diachrony of verb morphology – Japanese and the Transeurasian languages
Mouton de Gruyter
2015
[5]
논문
Bayesian phylolinguistics reveal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ranseurasian family
https://pure.mpg.de/[...]
2018
[6]
간행물
The language of the Transeurasian farmers
https://library.oape[...]
Benjamins
2017
[7]
간행물
The Transeurasian homeland: where, what and when?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8]
논문
Triangulation supports agricultural spread of the Transeurasian languages
https://www.nature.c[...]
2021-11-10
[9]
논문
Austronesian influence and Transeurasian ancestry in Japanese: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https://www.research[...]
2017
[10]
논문
Austronesian influence and Transeurasian ancestry in Japanese: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2017
[11]
서적
Diachrony of verb morphology – Japanese and the Transeurasian languages
Mouton de Gruyter
2015
[12]
뉴스
https://www.natur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