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쓰모토 다다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모토 다다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1977년부터 1987년까지 선수로 활약하며 1982년과 1983년 도루왕을 차지했고, 1981년부터 1983년까지 3년 연속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은퇴 후에는 해설가, 코치, 감독 등으로 활동했으며, 2021년부터는 다마가와 대학 경식 야구부 감독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센트럴 리그 베스트 나인 - 후지타 모토시
    후지타 모토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와 감독으로 활약하며 리그 MVP를 2연패하고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센트럴 리그 베스트 나인 - 기타벳푸 마나부
    기타벳푸 마나부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서 213승을 기록한 전설적인 투수로, 일본시리즈 우승과 MVP 수상, 명예의 전당 헌액 등 화려한 선수 경력 이후 야구 해설가, 지도자, 유튜버로 활동했다.
  • 센트럴 리그 - 후지타 모토시
    후지타 모토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와 감독으로 활약하며 리그 MVP를 2연패하고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센트럴 리그 - 후루타 아쓰야
    후루타 아쓰야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감독, 해설가 및 방송인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주전 포수로서 뛰어난 타격과 수비 능력으로 MVP를 수상하고 도루 저지율 신기록을 세웠으며, 선수회 회장으로서 파업을 주도하여 선수 권익 신장에 기여했고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역임했다.
  • 일본의 야구 감독 - 후지타 모토시
    후지타 모토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와 감독으로 활약하며 리그 MVP를 2연패하고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일본의 야구 감독 - 후루타 아쓰야
    후루타 아쓰야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감독, 해설가 및 방송인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주전 포수로서 뛰어난 타격과 수비 능력으로 MVP를 수상하고 도루 저지율 신기록을 세웠으며, 선수회 회장으로서 파업을 주도하여 선수 권익 신장에 기여했고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역임했다.
마쓰모토 다다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선수 이름마쓰모토 다다시
로마자 표기Tadashi Matsumoto
한자 표기松本 匡史
가나 표기まつもと ただし
출생지효고현 아마가사키시
생년월일1954년 8월 8일
신장180cm
체중73kg
수비 위치외야수
투구우투
타석양타
프로 입단 연도1976년
드래프트 순위5순위
첫 출장1977년 4월 3일
마지막 경기1987년 10월 25일
선수 경력
소속 구단요미우리 자이언츠 (1977 ~ 1987)
감독/코치 경력
소속 구단요미우리 자이언츠 (1989 ~ 1997, 2001)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06)
시가 유나이티드 베이스볼 클럽 (2018)
다마가와 대학

2. 선수 경력

1976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로부터 5위로 지명되어 입단했다. 계약금은 2000만, 연봉은 360만(추정)이었다.[10] 일본 생명에 진출할 예정이었으나, 요미우리에 입단하게 되었다.[9]

1977년 4월 19일 한신과의 경기에서 도이 쇼조의 대주자로 1루에 나가 첫 도루를 기록했고, 야마모토 코지의 안타로 첫 득점을 올렸다. 6월 13일 다이요전에서는 9회 초 대주자로 출전, 적시타로 홈을 밟아 팀 타자 일순의 맹공 후 돌아온 타석에서 다카하시 시게유키에게 만루 홈런을 쳤다. 같은 해 2루수, 3루수로 7경기에 선발 출장했으나, 잦은 어깨 탈구로 성장이 둔화되었다.

1979년 어깨 수술을 받고 외야수로 전향했다. 같은 해 가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시즈오카현 이토 스타디움에서 실시한 "지옥의 이토 캠프"에서 빠른 발을 살리기 위해 우타에서 스위치 히터로 전향했다. 처음에는 공이 잘 날아가지 않았지만, 연습을 거듭하여 재능을 꽃피웠다.

1980년 9월부터 중견수, 1번 타자로 발탁되어 시바타 이사오의 후계자로 주목받았다.

1981년에는 로이 화이트가 중견수로 들어오면서 좌익수로 이동했고, 시즌 중반부터 1번 타자로 가와노 가즈마사와 번갈아 기용되었다. 규정 타석 미달이었지만 타율 .303을 기록하며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8월 15일 진구 구장에서 열린 야쿠르트전에서는 헛스윙 삼진이 취소된 직후 홈런을 쳤다. 닛폰햄 파이터스와의 일본 시리즈 4차전까지 1번 타자로 선발 출전했으나, 14타수 2안타 2타점으로 부진했다.

1982년 개막부터 중견수, 1번 타자로 자리 잡았다. 처음으로 규정 타석(14위, 타율 .282)을 채웠고, 도루왕도 차지했다. 1983년 기록한 연간 76도루는 센트럴 리그 기록이다. 주루를 위해 특별 제작된 원피스 유니폼(헤드 슬라이딩 시 모래가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함)과 파란색 장갑을 착용하여, 당시 요미우리의 원정 유니폼 색깔(하늘색)과 함께 "푸른 번개"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는 "빨간 장갑·시바타 이사오"를 본뜬 것이다. 같은 해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7경기 모두 1번 타자로 선발 출전, 패했지만 30타수 8안타 1타점을 기록했다. 탈구가 원인이 되어 어깨는 약했지만, 넓은 수비 범위를 가진 중견수로서 수비의 핵심으로도 활약했다. 1981년부터 3년 연속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1982년 9월 히로시마전에서 머리에 사구를 맞아 퇴장, 전선에서 이탈했다. 1983년 6월 30일부터 7월 16일까지는 40타석 연속 무안타로 당시 야수로서 구단 최악의 기록이었다.

워렌 크로마티가 입단한 1985년부터 좌익수로 기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같은 해 규정 타석 이상으로 처음 3할을 넘는 타율 .302(리그 13위)를 기록했다.

1987년 개막부터 타격감이 좋아 전반기에는 한때 수위 타자를 독주했지만, 6월 하순 무렵부터 갑작스런 슬럼프에 빠졌다. 시즌 후반에는 고마다 노리히로가 우익수로 선발 출전하고, 우익수 요시무라 사다아키가 좌익수로 이동하면서 선발 출전 기회가 급감했다. 오랜만에 선발 기용된 경기에서 평범한 플라이를 놓치자, 감독 오 사다하루가 격노했다. 이 실책이 치명적이 되어 이후 벤치를 지키는 날이 계속되었다. 같은 해 일본 시리즈 1차전에 9번·지명 타자로 선발 출전, 요미우리 최초의 지명 타자가 되었다.

새 홈구장 도쿄 돔 완공에 따른 외야 수비진 강화와 미노다 고지(한큐)의 교환 요원(결과적으로 미노다는 현금 트레이드로 획득)으로 거론되면서 사실상 전력 외 선수로 분류, 33세로 은퇴했다. 마쓰모토의 회상에 따르면 팬 감사 데이 후 "구상에서 제외되었다. 임의 은퇴다"라고 구단 사무소에서 통보받았다고 한다.[12]

2. 1. 프로 입단 전

초등학교 6학년 때 야구를 시작했으며, 다카라즈카시의 소년 야구팀에서는 전 한큐 소속 히토미 다케오가 감독이었다[3]。호토쿠 가쿠엔 중학교에 진학하여 야구부에 들어갔으며[4], 주로 포수로서 3번, 4번 타자를 맡았다. 중학교 시절 한신·효고·킨키 지역 대회를 모두 제패했고, 고베 신문에 "제2의 타부치"로 게재되기도 했다[4]。호토쿠 가쿠엔 고등학교 2학년 때는 좌익수로 1971년 봄·여름 고시엔에 연속 출장했다. 봄의 선발 2회전(첫 경기)에서 도호고와 대전했는데,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 에이스 가나자와 신야가 1회말 타자 13명에게 11개의 사사구를 기록하는 난조를 보였고, 구원 투수 킨조 시게오도 3개의 사사구를 허용하며 무안타 11실점했다. 이후 회복했지만, 도호고 미즈타니 히로아키에게 막혀 4-12로 크게 패했다[5]。여름 선수권에는 4번 타자로 출장하여, 1회전에서 가나자와가 아키타 시립고를 완봉하며 2회전에 진출했지만, 오카 요시로(유격수)가 있던 오카야마 토쇼에 3-5로 패했다[6]。같은 해 가을 와카야마 구로시오 국체에도 출장하여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오카야마 토쇼에 다시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이듬해 여름에는 현 예선 준결승에서 야마카와 타케시(포수)가 있던 토요 대학 부속 히메지 고에 패했다. 고등학교 동기로는 난카이 소속 아오야마 타다시가 있다.

졸업 후 와세다 대학에 진학하여 내야수로 전향했다. 도쿄 육대학 야구 리그에서는 에이스 야노 노부오 등을 중심으로 1973년 춘계, 1974년 춘계 리그에서 2번 우승했다. 1974년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 고마자와 대학교를 꺾고 우승했으며, 리그 도루 기록을 경신하며 리드오프맨으로 활약했다[7]。1975년에는 제11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일본 대표로 선출되었으나, 1976년 어깨 탈골로 장기간 결장해야 했다. 이 부상은 프로 입단 후에도 영향을 미쳤고, 스위치히터 전향의 한 요인이 되었다[8]。리그 통산 67경기 출장, 260타수 61안타, 3홈런, 35타점, 57도루, 타율.235를 기록했다. 대학 동기로는 야기 시게루, 요시자와 토시유키가 있었고, 한 학년 아래에는 에이스 난바 히데야와 야마쿠라 카즈히로 배터리가 있었다.

대학 시절에 이름을 '테츠'에서 '마사후미'로 개명했다. (#에피소드 절에서 상세히 설명) [1]

2. 2.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

1976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이하 요미우리)로부터 5위로 지명되어 입단했다. 계약금은 2000만, 연봉은 360만(추정)이었다.[10] 당초 사회인 야구 팀인 일본 생명에 진출할 예정이었다.[9]

1977년 4월 19일, 한신과의 경기에서 도이 쇼조의 대주자로 1루에 나가 첫 도루를 기록했고, 야마모토 코지의 안타로 첫 득점을 올렸다. 6월 13일 다이요전에서는 9회 초 대주자로 출전, 적시타로 홈을 밟아 팀 타자 일순의 맹공 후 돌아온 타석에서 다카하시 시게유키에게 만루 홈런을 쳤다. 같은 해 2루수, 3루수로 7경기에 선발 출장했다. 그러나 이후 잦은 어깨 탈구로 성장이 둔화되었다.

1979년 어깨 수술을 받고 외야수로 전향했다. 같은 해 가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시즈오카현 이토 스타디움에서 실시한 "지옥의 이토 캠프"에서 빠른 발을 살리기 위해 우타에서 스위치 히터로 전향했다. 처음에는 공이 잘 날아가지 않았지만, 연습을 거듭하여 재능을 꽃피웠다.

1980년에는 9월부터 중견수, 1번 타자로 발탁되어 시바타 이사오의 후계자로 주목받았다.

1981년에는 로이 화이트가 중견수로 들어오면서 좌익수로 이동했고, 시즌 중반부터 1번 타자로 가와노 가즈마사와 번갈아 기용되었다. 같은 해 규정 타석 미달이었지만 타율 .303을 기록하며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8월 15일 진구 구장에서 열린 야쿠르트전에서는 헛스윙 삼진이 취소된 직후 홈런을 쳤다. 닛폰햄 파이터스와의 일본 시리즈 4차전까지 1번 타자로 선발 출전했으나, 14타수 2안타 2타점으로 부진했다.

1982년 개막부터 중견수, 1번 타자로 자리 잡았다. 같은 해 처음으로 규정 타석(14위, 타율 .282)을 채웠고, 도루왕도 차지했다. 이듬해인 1983년 기록한 연간 76도루는 센트럴 리그 기록이다. 주루를 위해 특별 제작된 원피스 유니폼(헤드 슬라이딩 시 모래가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함)과 파란색 장갑을 착용하여, 당시 요미우리의 원정 유니폼 색깔(하늘색)과 함께 "푸른 번개"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는 빨간 장갑을 착용한 "빨간 장갑·시바타 이사오"를 본뜬 것이다. 같은 해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7경기 모두 1번 타자로 선발 출전, 패했지만 30타수 8안타 1타점을 기록했다. 탈구가 원인으로 어깨는 약했지만, 넓은 수비 범위를 가진 중견수로서 수비의 핵심으로도 활약했다. 1981년부터 3년 연속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1982년 9월 히로시마전에서 머리에 사구를 맞아 퇴장, 전선에서 이탈했다. 1983년 6월 30일부터 7월 16일까지는 40타석 연속 무안타로 당시 야수로서 구단 최악의 기록이었다.

워렌 크로마티가 입단한 1985년부터 좌익수로 기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같은 해 규정 타석 이상으로 처음 3할을 넘는 자기 최고 타율 .302(리그 13위)를 기록했다.

1987년 개막부터 타격감이 좋아 전반기에는 한때 수위 타자를 독주했지만, 6월 하순 무렵부터 갑작스런 슬럼프에 빠졌다. 시즌 후반에는 고마다 노리히로가 우익수로 선발 출전하고, 우익수 요시무라 사다아키가 좌익수로 이동하면서 선발 출전 기회가 급감했다. 오랜만에 선발 기용된 경기에서 평범한 플라이를 놓치자, 감독 오 사다하루가 격노했다. 이 실책이 치명적이 되어 이후 벤치를 지키는 날이 계속되었다. 같은 해 일본 시리즈 1차전에 9번·지명 타자로 선발 출전, 요미우리 최초의 지명 타자가 되었다.

새 홈구장 도쿄 돔 완공에 따른 외야 수비진 강화와 미노다 고지(한큐)의 교환 요원(결과적으로 미노다는 현금 트레이드로 획득)으로 거론되면서 사실상 전력 외 선수로 분류, 33세로 은퇴했다. 마쓰모토의 회상에 따르면 팬 감사 데이 후 "구상에서 제외되었다. 임의 은퇴다"라고 구단 사무소에서 통보받았다고 한다.[12]

3. 지도자 경력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에서 코치 및 감독 경력을 쌓았다.



은퇴 후 니혼TV 해설자(1988년)를 거쳐, 요미우리 자이언츠(1989년 1군 수비·주루 코치, 1990년 - 1991년·2001년 1군 외야 수비·주루 코치, 1992년 2군 주루 코치, 1993년 - 1994년 2군 수비·주루 코치, 1995년 - 1997년 2군 감독, 2002년 - 2005년 스카우트)와 라쿠텐(2006년 헤드 코치)에서 감독, 코치, 프런트를 역임했다. 노무라 가쓰야 감독은 마쓰모토를 채용한 이유에 대해 "밤늦도록 야구 이야기를 해도 시계도 전혀 보지 않고, 싫은 기색 하나 없이 이야기를 들어주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라고 이시바시 타카아키에게 말했다. 하지만 헤드 코치 직은 1년 만에 사임했고[13], 자신의 저서에서 밝혔다. 마쓰모토는 라쿠텐으로부터 처음 제안받은 것은 2군 감독이었고 수락했지만, 1군 감독 타오 야스시의 해임과 노무라 감독 초빙 과정에서 헤드 코치가 되었으며, 당시를 "실패"라고 회고했다[12]

이후 후지TV ONE 『프로야구 뉴스』, 도호쿠 방송(2008년 부터), 스카이・Asports+(2011년까지), J SPORTS(2012년), 닛테레 플러스(2013년 부터)에서 해설을 하고 있다.

2013년 일본 여자 프로 야구 기구 리그 어드바이저, 2017년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시가 유나이티드 베이스볼 클럽 감독을 역임했다[14]. 시가 유나이티드 베이스볼 클럽 감독 첫 시즌인 2018년 전기에는 5승 28패 1무(승률 .152)로 서부 지구 최하위를 기록, 리그 반기 최저 승률을 갱신했다. 후기 도중인 8월 24일 컨디션 불량으로 휴양(복귀 시기 미정)했다가[15] 9월 8일 감독에 복귀했지만[16], 시즌 종료 후인 11월 12일 퇴임했다[17].

2020년 4월 1일부터 다마가와 대학 경식 야구부 특별 코치를 맡았고, 2021년부터 감독으로 취임했다[18].

4. 해설가 및 기타 경력

은퇴 후에는 니혼TV 해설자를 거쳐,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코치와 프런트, 라쿠텐에서 헤드 코치를 역임했다. 노무라 가쓰야 감독은 마쓰모토를 채용한 이유에 대해 "밤늦도록 야구 이야기를 해도 시계도 전혀 보지 않고, 싫은 기색 하나 없이 이야기를 들어주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라고 이시바시 타카아키에게 말했다[13]. 하지만, 헤드 코치 직은 1년 만에 사임했다[13]고 자신의 저서에서 밝혔다. 마쓰모토는 라쿠텐으로부터 처음에 2군 감독 제의를 받았고 수락했지만, 1군 감독이었던 타오 야스시의 해임과 노무라 감독 초빙 과정에서 헤드 코치가 되었으며, 당시를 "실패"라고 회고했다[12].

사임 후 다시 해설자가 되어, 후지TV ONE 『프로야구 뉴스』, 도호쿠 방송 , 스카이・Asports+, J SPORTS, 닛테레 플러스에서 해설을 맡고 있다.

2013년에는 일본 여자 프로 야구 기구의 리그 어드바이저에 취임했다.

2017년 11월 27일,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시가 유나이티드 베이스볼 클럽 감독으로 취임했다[14]. 취임 후 첫 시즌인 2018년 전기에는 5승 28패 1무, 승률 .152로 서부 지구 최하위를 기록했고, 승률은 리그 반기 최저 기록을 경신했다. 후기 도중인 8월 24일, 컨디션 불량으로 휴양에 들어갔으며(복귀 시기 미정)[15], 9월 8일에 감독으로 복귀했지만[16], 시즌 종료 후인 11월 12일에 퇴임이 발표되었다[17].

2020년 4월 1일부터 다마가와 대학 경식 야구부의 특별 코치를 맡았고, 2021년부터는 감독으로 취임했다[18].

5. 상세 정보

사회인 야구의 일본 생명에 진출할 예정이었지만,[9] 1976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이하, 요미우리)로부터 5위로 지명되어 입단한다. 계약금 2000만, 연봉 360만(추정)[10]

1977년 4월 19일, 한신과의 경기에서 도이 쇼조의 대주자로 1루에 진루하여 첫 도루를 기록, 야마모토 코지의 안타로 첫 득점을 기록했다. 6월 13일에는 다이요전 9회 초에 대주자로 출전, 적시타로 홈으로 돌아와, 팀 타자 일순의 맹공 후 돌아온 타석에서 다카하시 시게유키를 상대로 만루 홈런을 날렸다. 같은 해에는 2루수, 3루수로 7경기에 선발 출전했다. 그러나 그 후에는 어깨 탈구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성장이 둔화되었다.

1979년에 어깨 수술을 받는 동시에, 외야수로 전향했다. 같은 해 가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시즈오카현의 이토 스타디움에서 실시한 "지옥의 이토 캠프"에서, 빠른 발을 살리기 위해 우타에서 스위치 히터로 전향했다. 처음에는 공이 전혀 날아가지 않았지만, 연습을 거듭한 결과, 재능이 꽃을 피웠다.

1980년에는 9월부터 중견수, 1번 타자로 발탁되어, 시바타 이사오의 후계자로 주목받았다.

1981년에는 로이 화이트가 중견수로 들어오면서 좌익수로 이동했고, 시즌 중반부터 1번 타자로 가와노 가즈마사와 번갈아 기용되었다. 같은 해에는 규정 타석 미달이었지만 타율 .303을 기록하며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8월 15일진구 구장에서 열린 야쿠르트전에서는, 헛스윙 삼진이 취소된 직후에 홈런을 쳤다. 닛폰햄 파이터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4차전까지 1번 타자로 선발 출전했지만, 14타수 2안타 2타점으로 부진했다.

1982년에는 개막부터 중견수, 1번 타자로 자리 잡았다. 이듬해 1983년에 기록한 연간 76도루는 센트럴 리그 기록이다. 주루를 위해 특주로 제작된 원피스 유니폼 (헤드 슬라이딩 시 모래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을 착용했으며, 파란색 장갑을 착용하여 당시 요미우리의 원정 유니폼이 하늘색이었던 것과 함께 "푸른 번개"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는 빨간 장갑을 착용한 "빨간 장갑·시바타 이사오"를 본뜬 것이다. 탈구가 원인이 되어 어깨가 약했지만, 수비 범위가 넓은 중견수로서 수비의 핵심으로도 활약했다. 1982년 9월, 히로시마와의 경기에서 머리에 사구를 맞아 퇴장, 전선을 이탈했다. 1983년 6월 30일부터 7월 16일에 걸쳐 40타석 연속 무안타에 빠졌는데, 이는 당시 야수로는 구단 최악의 기록이었다.

워렌 크로마티가 입단한 1985년부터 좌익수로 기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같은 해에는 규정 타석 이상으로 처음 3할을 넘는, 자기 최고 타율 .302(리그 13위)를 기록했다.

1987년, 개막부터 타격이 좋아서 전반기에는 한때 수위 타자를 독주했지만, 6월 하순 무렵부터 갑자기 슬럼프에 빠졌다. 시즌 후반에는, 두각을 나타낸 고마다 노리히로가 우익수로 선발 출전하고, 우익수 요시무라 사다아키가 좌익수로 이동하면서, 선발 출전 기회가 급감했다. 오랜만에 선발 기용된 경기에서 평범한 플라이를 놓치자, 감독 오 사다하루가 이에 격노했다. 이 실책이 치명적이 되어, 이후로는 벤치를 더 데우는 날이 계속되었다. 같은 해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1차전에 9번·지명 타자로 선발 출전, 요미우리에서는 최초의 지명 타자가 되었다.

새로운 홈구장 도쿄 돔 완공에 따른 외야 수비진 강화와, 미노다 고지 (한큐)의 교환 요원 (결과적으로 미노다는 현금 트레이드로 획득)으로 이름이 거론된 것으로, 사실상의 전력 외 선수로 분류되어 33세로 은퇴했다. 마쓰모토의 회상에 따르면 팬 감사 데이 후에 "구상에서 제외되었다. 임의 은퇴다"라고 구단 사무소에서 통보받았다고 한다[12]。 은퇴 후, 고향의 한신 타이거스로부터 오퍼가 있었지만, 임의 은퇴였기 때문에, 구 소속인 요미우리의 동의가 필요했고, 확인 과정에서 행선지를 (구단명을 밝히지 않고) "센트럴 리그 구단"이라고 답하자 불가라는 반응이었다고 밝혔다[12]

5. 1. 수상 및 타이틀 경력

수상 및 타이틀 경력


5. 2. 개인 기록

; 첫 기록

; 주요 기록

; 기타 기록

5. 3.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소속경기타석타수득점안타2루타3루타홈런루타타점도루도루자희생번트희생플라이볼넷고의4구사구삼진병살타타율출루율장타율OPS
1977년요미우리4961571120304351110300400100.351.393.6141.007
1978년677066131410015512112100181.212.224.227.451
1980년7122519828555016315219302004503.278.356.318.674
1981년115284261337991399213313711401441.303.341.379.720
1982년113465415621171351143126113903704650.282.346.345.691
1983년125568510751501546191247616414914801.294.361.375.735
1984년121452394611021073135244517434803582.259.344.343.686
1985년130588523971582615201373212915401833.302.368.384.752
1986년11951646166118148315726399804304673.256.325.341.665
1987년10639236550891413114201310122400742.244.289.312.601
통산: 10년10163621325049690211027291153195342103461029412154916.278.340.355.695


  •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5. 4. 등번호


  • 1977년 - 1979년: '''23'''[9]
  • 1980년 - 1987년: '''2'''[9]
  • 1989년 - 1997년: '''88'''[9]
  • 2001년: '''83'''[9]
  • 2006년: '''82'''[9]

6. 에피소드


  • 와세다 대학 2학년 가을, 야구 선수 생활에 치명적인 왼쪽 어깨 부상을 입었고, 잦은 탈구 등 부상으로 인해 운을 바꾸기 위해 부모님이 성명학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본명을 '테츠'에서 '타다시'로 개명했다.[1] 아버지가 '타다시'라는 이름을 제안했고, 읽는 방식이 본명인 '사토시'와 비슷하여 '타다시'를 선택했다. 동시에 여동생을 제외한 가족 전원(아버지, 어머니, 누나)도 개명했다.[1]
  • 콘택트렌즈가 눈에 맞지 않아 현역 말년에는 안경을 쓰고 경기를 해야 했다. 도루나 다이빙 캐치로 인해 안경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일이 잦아 항상 여러 개의 여분을 준비했다.[20]
  • 카레라이스를 매우 싫어하지만, 부인과 교제 중 처음으로 직접 요리하여 대접했을 때는 완식했다고 한다.[20]

참조

[1] 뉴스 我が道 松本匡史 スポーツニッポン 2017-11-14
[2] 뉴스 我が道 松本匡史 スポーツニッポン 2017-11-02
[3] 간행물 神宮球場から翔び立ったプロ野球のスターたち 神宮球場ガイドブック2005年秋号
[4] 뉴스 我が道 松本匡史 スポーツニッポン 2017-11-03
[5] 서적 選抜高等学校野球大会60年史 毎日新聞社
[6] 서적 全国高等学校野球選手権大会70年史 朝日新聞社
[7] 뉴스 我が道 松本匡史 スポーツニッポン 2017-11-13
[8] 서적 プロが教える 野球入門 株式会社大泉書店
[9] 뉴스 我が道 松本匡史 スポーツニッポン 2017-11-14
[10] 뉴스 【小林繁伝】ミスター直接出馬で断れず…松本獲得の裏事情 虎番疾風録其の四(146)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3-01-19
[11] 뉴스 巨人・小林誠司が3カ月ぶり安打! 球団ワースト2位の40打席ノーヒットからついに快音! https://www.sponichi[...] 2022-09-27
[12] 뉴스 “青い稲妻”元巨人・松本匡史さん、12年ぶりユニホームで描く夢 BC滋賀監督就任 http://www.hochi.co.[...] 2018-01-09
[13] 서적 野村克也に挑んだ13人のサムライたち 双葉社
[14] 뉴스 元巨人「青い稲妻」松本匡史氏がBC滋賀監督に就任 https://www.nikkansp[...] 2017-11-27
[15] 웹사이트 松本匡史監督 休養のお知らせ http://www.bc-l.jp/t[...] ベースボール・チャレンジ・リーグ 2018-08-24
[16] 웹사이트 松本監督復帰のお知らせ http://www.shiga-uni[...] 滋賀ユナイテッドベースボールクラブ 2018-09-07
[17] 웹사이트 松本匡史監督退任ならびに成本年秀監督就任のお知らせ http://archive.bc-l.[...] ベースボール・チャレンジ・リーグ 2018-11-12
[18] 뉴스 松本匡史氏、首都大学2部の玉川大監督に就任 https://www.nikkansp[...] 2021-05-21
[19] 뉴스 我が道 松本匡史 スポーツニッポン 2017-11-15
[20] 간행물 報知新聞社
[21] 방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