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히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위치 히터는 야구에서 투수의 팔과 반대쪽 타석에서 타격하는 타자를 의미한다. 상대 투수에 따라 타석을 바꿔 투수에게 유리한 릴리스 포인트를 보거나, 변화구를 치기 유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19세기부터 미국에서 시도되었으며, 1990년대 초 메이저 리그 선수 중 20% 가까이 스위치 히터였지만, 이후 감소 추세에 있다. 일본에서는 전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시바타 이사오가 스위치 히터의 존재를 널리 알렸다. 현재는 스위치 히터가 되기 위한 많은 연습과, 잘하는 쪽의 타격 감각이 흐트러질 수 있다는 이유 등으로 인해 그 수가 줄어들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격 (야구) - 홈런 더비
홈런 더비는 타자가 공을 쳐서 장타력을 겨루는 경기로, 다양한 규칙이 존재하며, 일본 프로 야구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에서 열리고, 야구 게임에서도 미니 게임 형태로 제공된다. - 타격 (야구) - 선구안
선구안은 야구에서 타자가 투수의 공을 구별하여 안타를 칠 공을 선택하거나 볼넷을 얻는 능력으로, 출루율 상승에 기여하며, 배트 스피드, 타격 메커니즘, 인내심 등의 요소에 영향을 받고, 볼 존 스윙률, 스트라이크 존 스윙률, 볼넷 비율 등의 지표로 측정된다. - 야구 포지션 - 우익수
우익수는 야구에서 외야수 중 한 명의 포지션으로, 넓은 수비 범위와 강한 어깨, 빠른 판단력 등을 요구받으며, 3루까지 송구해야 하므로 강한 어깨가 필요하다. - 야구 포지션 - 외야수
외야수는 야구에서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로 구분되며 넓은 수비 범위를 담당하고, 타구 판단, 민첩성, 강한 어깨, 타격 능력이 중요하며, 중견수는 넓은 수비 범위와 빠른 발, 우익수는 강한 어깨, 좌익수는 송구 능력이 요구된다. - 야구 용어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용어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스위치히터 |
---|
2. 특징
스위치 히터는 일반적으로 상대 투수의 팔 방향에 따라 타석을 선택한다. 오른손 투수를 상대할 때는 좌타석, 왼손 투수를 상대할 때는 우타석에 서는 것이 유리하다. 스위치 히터는 양쪽 타석에서 모두 훈련해야 하므로, 한쪽 타석에만 집중하는 타자보다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일본에서 스위치 히터는 시바타 이사오에 의해 널리 알려졌다. 요미우리의 가와카미 감독은 스몰볼을 지향하며, 모리 윌스와 같은 스위치 히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시바타를 전향시켰다.[13] 일본에서는 발이 빠르고 장타력이 없는 우타자가 출루를 위해 좌타를 연습하며 스위치 히터로 전향하는 경우가 많다.
규칙상 1타석 도중에 좌우 타석을 바꾸는 것은 가능하다. 일본프로야구에서는 가키모토 미노루가 1963년 8월 28일 한신전에서 1구마다 타석을 바꿔 6구째에 삼진을 당한 예가 있다.[14]
스위치 히터는 좌우 양쪽으로 타격을 하기 때문에, 배트 스윙에 의한 몸의 뒤틀림이 악화되기 어렵고 스포츠 장애를 일으키기 쉽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2020년대 일본프로야구에서 스위치 히터가 적은 이유에 대해, 이마나미 타카히로는 스위치 히터가 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연습량이 필요하며, 잘하는 쪽 타석의 타격 감각도 흐트러지기 쉽다고 지적했다.[15]
많은 스위치 히터들이 한쪽 타석에서는 타율이 높고, 다른 쪽 타석에서는 장타력이 더 좋은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미키 맨틀은 자신을 더 나은 우타자로 여겼지만, 좌타석에서 더 높은 비율로 홈런을 쳤다.[2]
2. 1. 투수와의 관계
대부분의 커브볼은 투수와 같은 쪽에서 타자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배트의 중심 (스위트 스폿)에 맞추기 더 어렵다. 투수의 릴리스 포인트는 타자의 시야 중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1] 스위치 히터는 투구하는 팔에 공이 맞을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야구에서 투수의 팔과 반대쪽 타석에 서는 것은 "투수의 릴리스 포인트를 보기 쉽다", "치기 어려운 커브나 슬라이더 등 바깥으로 크게 도망가는 변화구를 치지 않는다", "투수의 헛볼이 몸쪽으로 오지 않아 공포를 덜 느낀다" 등의 이유로 유리하다.이 때문에 스위치 히터는 일반적으로 상대가 우투수일 경우 좌타석에, 좌투수일 경우 우타석에 선다.
3. 역사
야구 역사상 최초의 스위치 히터는 밥 퍼거슨이었다. 퍼거슨은 특정 순간의 느낌이나 특별한 상황에 따라 타석 방향을 바꿨다. 1870년에는 평소 오른손 타자였지만 좌타석에서 타격을 하여 경기를 끝내기도 했다.[4]
데드볼 시대에는 스위치 히터가 많지 않았지만, 라이브볼 시대가 시작되면서 높은 출루율을 기록하는 데 기여하며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5] 1950~60년대 미키 맨틀의 활약으로 스위치 히터가 늘어났으며, 1990년대 초반에는 메이저리그 전체 선수의 20% 가까이 스위치 히터였지만 이후 감소 추세에 있다.
3. 1. 일본 프로 야구 (NPB)
일본에서는 시바타 이사오가 스위치 히터의 존재를 널리 알렸다.[1] 가와카미 데쓰하루 감독은 시바타가 스몰볼 야구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스위치 히터 전향을 지시했다.[1] 일본에서는 발이 빠른 우타자가 출루율을 높이기 위해 스위치 히터로 전향하는 경우가 많다.[1] 1980~90년대에 늘어난 일본의 스위치 히터는 감소 추세에 있으며, 2018년에는 육성 선수를 포함하여 현역 선수 중 2%만이 스위치 히터였다.[1] 가키모토 미노루처럼 한 타석 도중에 좌우 타석을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1] 이마나미 타카히로는 2020년대 NPB에서 스위치히터가 적은 이유에 대해 유용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일본 프로 야구(NPB)의 스위치 히터 시즌 기록은 다음과 같다.
기록 종류 | 기록 | 선수(소속팀) | 연도 |
---|---|---|---|
시즌 최고 타율 | .346 | 긴조 타츠히코(요코하마) | 2000년 |
시즌 최다 홈런 | 44홈런 | 페르난도 세기놀(니혼햄) | 2004년 |
시즌 최다 타점 | 108타점 | 페르난도 세기놀(니혼햄) | 2004년 |
시즌 최다 안타 | 206안타 | 니시오카 츠요시(롯데) | 2010년 |
3. 2. 한국 프로 야구 (KBO)
KBO 리그에서도 스위치 히터는 꾸준히 존재해왔다. 멜 로하스 주니어는 2020년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하며 스위치 히터의 위력을 보여주었다.
4. 스위치 히팅 투수
1973년 아메리칸 리그에서 지명 타자 제도가 도입되고, 2022년 내셔널 리그에서도 도입되면서 투수가 타석에 들어서는 일이 드물어졌다. 메이저 리그에는 양쪽 타석 모두에서 타격이 가능한 투수들이 있었다. 여기에는 모데카이 브라운, 놈 찰턴,[6] 마빈 로트블랫, 시드 몽지, 조니 반더 미어, J.C. 로메로, 카일 스나이더, 완디 로드리게스, 트로이 패튼, 팀 딜라드, 타일러 존슨, 카를로스 잠브라노, 독 엘리스, 비다 블루, 앤서니 클라겟, 크리스 메들렌, 저스틴 드 프라투스, 드류 스토렌, 켄리 잰슨, 데릭 홀랜드, 터크 웬델, 팻 네섹, 애덤 오타비노, 켄 월디척, 딜런 번디가 포함된다.
호아킨 안두하르는 좌투수를 상대로는 오른손 타석에, 때로는 왼손 타석에 들어섰다. 오카 토모는 2006년 세 경기에서 우투수를 상대로 왼손 타석에 들어섰지만, 그 외에는 오른손 타석만 사용했다. 좌완 구원 투수 스티브 클라인은 주로 스위치 히터였지만, 선수 경력 동안 여러 차례 우투수를 상대로 오른손 타석에 들어섰다.[7] 밥 깁슨과 드와이트 구든의 스위치 히터 경력에도 구단 측의 입김이 작용했다. 깁슨과 구든 모두 오른손 투수였고 타격 능력도 있었지만, 소속팀은 이들이 투구하는 팔에 공이 맞을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오른손 타석만 사용하도록 했다.
스위치 히터 투수는 양손으로 모두 투구할 수 있는 선수, 즉 매우 드문 경우인 "스위치 투수"라는 용어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5. 주요 스위치 히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일본 프로 야구(NPB), 한국 프로 야구(KBO)에서 활동했거나 활동 중인 주요 스위치 히터는 다음과 같다.
메이저 리그 (MLB)
- 로저 코너
- 미키 맨틀
- 치퍼 존스
- 에디 머레이
- 프랭키 프리쉬
- 피트 로즈
- 빌 뮬러
- 지미 롤린스
- 오지 스미스
- 제이슨 바텍
- 에릭 아이버
- 에두아르도 에스코바르
- 오지 알비스
- 딜런 칼슨 ※좌투
- 제이머 캔델라리오
- 아스드루발 카브레라
- 오스왈도 카브레라
- 요한 카마르고
- 빅터 카라티니
- 야스마니 그랜달
- 로비 그로스먼 ※좌투
- 카를로스 산타나
- 앤서니 산탄데르
- 파블로 산도발
- 켄리 잰슨 ※투수
- 엘리 데 라 크루즈
- 마이클 토글리아 ※좌투
- 제이슨 도밍게스
- 조나 하임
- 샘 해거티
- 이안 헌트
- 원더 프랑코
- 주릭슨 프로파
- 패트릭 베일리
- 조시 벨
- 헤랄도 페르도모
- 호르헤 폴랑코
- 케텔 마르테
- 요안 몬카다
- 애들리 러치맨
- 호세 라미레스
- 프란시스코 린도어
- 브라이언 레이놀즈
- 칼 롤리
- 로베르토 알로마
- 샌디 알로마 시니어
- 존 앤더슨
- 세자르 이스트리스
- 버니 윌리엄스
- 모리 윌스
- 윌리 윌슨
- 무키 윌슨
- 랜디 윈
- 칼 에바렛
- 루이스 카스티요
- 멜키 카브레라 ※좌투
- 켄 카미니티
- 카를로스 기옌
- 맥스 캐리
- 토니 클라크
- 코코 크리스프
- 알프레도 그리핀
- 호세 크루즈 주니어
- 빈스 콜먼
- 그레그 제프리스
- 루벤 시에라
- 테드 시몬스
- 레드 쇼엔디엔스트
- 하워드 존슨
- 켄 싱글턴
- 닉 스위셔※좌투
- J.T. 스노우※좌투(1998년까지 스위치)
- 저스틴 스모크※좌투
- 벤 조브리스트
- 레지 스미스
- 그레그 존
- 레이 더럼
- 턱 터너- 스위치 히터 사상 최초의 4할 타자※좌투
- 조지 데이비스
- 칠리 데이비스
- 마크 테셰이라
- 미키 테틀턴
- 웨스 파커
- 랜스 버크먼※좌투
- 카를로스 바이에가
- 안헬 파간
- 토니 바나자드
- 호세 발렌틴
- 데이브 뱅크로프트
- 셰인 빅토리노
- 오마르 비스켈
- 호세 비드로
- 돈 뷰퍼드
- 밥 퍼거슨 - 사상 최초의 스위치 히터
- 덱스터 파울러
- 숀 피긴스
- 토니 페르난데스
- 도니 부시
- 체이스 헤들리
- 클리프 페닝턴
- 카를로스 벨트란
- 네이피 페레즈
- 테리 펜들턴
- 래리 보와
- 호르헤 포사다
- 바비 보니야
- 데본 화이트
- 로이 화이트
- 윌리 맥기
- 마크 맥클모어
- 게리 매튜스 주니어
- 빅터 마르티네스
- 빌 밀러
- 켄드리스 모랄레스
- 드미트리 영
- 제드 라우리
- 짐 라피버
- 자니 레이
- 호세 레예스
- 해럴드 레이놀즈
- 팀 레인스
- 브라이언 로버츠
일본 프로 야구 (NPB)
- 아베 카즈히로
- 아리스멘디 알칸타라
- 소이로 알몬테
- 우에다 카이
- 카토 쇼헤이
- 카네코 유지
- 앤서니 가르시아
- 프레디 갈비스
- 마윈 곤잘레스
- 조셉
- 타나카 카즈키
- 나카타 케이스케
- 니시오카 츠요시
- 알렌 핸슨
- 후지와라 다이치
- 후나코시 히데토라
- 미시마 카즈키 ※투수
- 와카바야시 아키히로
전 스위치히터 현역 선수 (NPB)
한국 프로 야구 (KBO)
- 김주원
- 김태호
- 윌리엄 쿠에바스(William Cuevas) ※투수
- 국해성
- 서예일
- 송영진 ※투수
- 조민석 ※투수
- 정정우 ※투수
- 박정현
- 박동수 ※투수
- 요나탄 페르라사(Yonathan Perlaza)
- 홍성민
- 유승철 ※투수
- 헨리 라모스(Henry Ramos)
- 빅터 레이예스(Victor Reyes)
- 멜 로하스 주니어(Mel Rojas Jr.)
- 김지찬(이전)
- 최형우(이전)
- 서동욱
- 고장혁
- 황진수
- 윤희영
- 강명준
- 문찬종
- 서균
- 조쉬 벨
- 펠릭스 호세
- 이성열(이전)
- 김원섭(이전)
- 김재현(이전)
- 박준서(이전)
5. 1. 메이저 리그 (MLB)
로저 코너는 베이브 루스 이전의 역대 홈런 챔피언이었다.[1] 미키 맨틀은 스위치 히터 중 역대 홈런 1위(536개)이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에디 머레이는 통산 500홈런과 3,000안타를 기록하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선수이다.[1] 치퍼 존스는 양쪽 타석에서 모두 통산 타율 .300 이상을 기록하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프랭키 프리쉬는 양쪽 타석에서 모두 타율 .300을 기록한 또 다른 명예의 전당 헌액자이다.[1] 피트 로즈는 MLB 역대 통산 최다 안타(4256개) 기록 보유자이나, 야구 베팅으로 인해 명예의 전당 헌액 대상에서 제외되었다.[1] 빌 뮬러는 한 경기에서 양쪽 타석에서 만루 홈런을 기록한 MLB 역사상 유일한 선수이다.[1] 지미 롤린스는 필리스 통산 안타 및 2루타 1위, 2007년 내셔널 리그 MVP 및 실버 슬러거 수상, 3회 올스타 및 4회 골드 글러버 수상자이다.[1]
오지 스미스는 1985년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5차전에서 결승 홈런을 터뜨리기 전까지 좌타석에서 홈런을 기록하지 못했던 명예의 전당 유격수 (파드리스, 카디널스)이다. 당시 홈런은 그의 통산 3,009번째 타수(포스트시즌 포함)였다.[1] 제이슨 바텍은 MLB 역사상 처음으로 4번의 노히터를 잡은 선수이다 (나중에 카를로스 루이스가 2015년에 기록을 깸).[1]
5. 1. 1. 기록
미키 맨틀은 1961년에 스위치 히터로서 시즌 최다 홈런(54개)을 기록했다.5. 2. 일본 프로 야구 (NPB)
시바타 이사오는 스위치 히터로는 처음으로 NPB 통산 2000안타를 기록했다. 마쓰이 가즈오는 스위치 히터로서는 유일하게 트리플 쓰리를 달성했고, 일본인 스위치 히터로서는 유일하게 시즌 30홈런을 기록했다. 니시오카 쓰요시는 2010년 롯데 소속으로 206개의 안타를 기록하여 일본인 스위치 히터 및 내야수 최초로 시즌 200안타를 달성했다.5. 2. 1. 기록
스위치 히터로서 주요 타이틀을 획득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타이틀 | 선수 | 소속팀 | 연도 |
---|---|---|---|
수위 타자 | 쇼다 코조 | 히로시마 | 1987년, 1988년 |
수위 타자 | 니시무라 노리후미 | 롯데 | 1990년 |
수위 타자 | 카네시로 타츠히코 | 요코하마 | 2000년 |
수위 타자 | 니시오카 츠요시 | 롯데 | 2010년 |
홈런왕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 세이부 | 1990년, 1991년, 1992년 |
홈런왕 | 드웨인 호지 | 야쿠르트 | 1997년 |
홈런왕 | 페르난도 세기놀 | 니혼햄 | 2004년 |
타점왕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 세이부 | 1990년, 1991년 |
최다 안타 | 스티브 온티베로스 | 세이부 | 1983년 |
최다 안타 | 마츠이 카즈오 | 세이부 | 1999년, 2002년 |
최다 안타 | 니시오카 츠요시 | 롯데 | 2010년 |
최고 출루율 | 스티브 온티베로스 | 세이부 | 1983년, 1984년 |
최고 출루율 | 마츠나가 히로미 | 오릭스 | 1989년 |
최고 출루율 | 시라이 카즈유키 | 니혼햄 | 1991년 |
페르난도 세기놀은 2004년 니혼햄 소속으로 44개의 홈런을 기록하여 스위치 히터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세웠다.
5. 3. 한국 프로 야구 (KBO)
KBO에서 박종호는 2000년에 수위 타자를 기록했고, 멜 로하스 주니어는 2020년에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했다.참조
[1]
Youtube
ESPN E:60 Pat Venditte segment, 2009
https://www.youtube.[...]
[2]
웹사이트
Mickey Mantle Obituary
http://www.baseball-[...]
2008-07-14
[3]
웹사이트
Switch hitters not anymore frequent even in age of analytics
https://www.usatoday[...]
2020-03-29
[4]
웹사이트
Bob Ferguson –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https://sabr.org/bio[...]
2023-06-05
[5]
웹사이트
Mantle is Baseball's Top Switch Hitter –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https://sabr.org/jou[...]
2023-06-05
[6]
뉴스
10 great moments in switch-hitting history
http://seattletimes.[...]
2006-07-16
[7]
웹사이트
Tomo Ohka Career Batting Splits
https://www.baseball[...]
2014-11-15
[8]
웹사이트
米国と比べて日本でスイッチヒッターが少ない理由は? 目から鱗の両打ちの歴史
https://full-count.j[...]
Full-Count
2020-07-22
[9]
웹사이트
ミドル級の帝王 ハグラー死す 80年代に黄金の中量級
https://boxingnews.j[...]
2021-03-14
[10]
웹사이트
On This Day: Naseem Hamed suffered his first career knockdown against Daniel Alicea
https://www.boxingne[...]
2016-06-08
[11]
웹사이트
クロフォードがアバネシアンを6回KO 10連続ストップ勝ちでWBOウェルター級V6
https://boxingnews.j[...]
2022-12-11
[12]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the Switch Hitter
http://twinsdaily.co[...]
[13]
웹사이트
柴田勲: 巨人軍選手名鑑
http://giantsplayer.[...]
[14]
웹사이트
MLBとNPBを大きく分けるスイッチヒッターの存在NPBではわずか2%…
http://blog.livedoor[...]
[15]
Youtube
プロ野球にスイッチヒッターが少ない意外な理由
https://www.youtube.[...]
2024-02-1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