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막스 폰 실링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스 폰 실링스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지휘자, 극장 감독으로, 1868년 뒤렌에서 태어나 1933년 베를린에서 사망했다. 그는 뮌헨 대학교에서 법학, 철학 등을 공부했으며, 바이로이트 축제 조수를 거쳐 뮌헨과 슈투트가르트, 베를린 등지에서 지휘자 및 극장 감독으로 활동했다. 1932년 프로이센 예술 아카데미 회장이 되었으며, 반유대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나치 정권에 협력하여 유대인 예술가들을 배척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오페라 《잉베르데》, 《모나리자》 등이 있으며, 멜로드라마, 협주곡, 실내악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뮌헨 대학교 동문 - 로베르트 미헬스
    로베르트 미헬스는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 이론을 제시했으며, 정당의 관료화와 소수 엘리트 지배의 관계를 연구했다.
  • 뮌헨 대학교 동문 - 펠릭스 호프만
    펠릭스 호프만은 바이엘사 연구원으로 아스피린과 헤로인을 합성한 독일 화학자이며, 특히 아스피린은 아르투어 아이헨그륀의 지휘 아래 합성되어 진통, 해열, 항염증제로 널리 쓰였으나, 아이헨그륀의 역할 축소 및 호프만의 공로 과장 논란이 존재한다.
  • 독일의 클래식 작곡가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클래식 작곡가 - 한스 짐머
    독일 출신의 영화 음악 작곡가 한스 짐머는 《레인맨》으로 할리우드에 데뷔하여 《라이온 킹》, 《글래디에이터》, 《다크 나이트》, 《인셉션》, 《인터스텔라》, 《듄》 등의 영화 음악을 작곡하며 아카데미상을 수상했고, 신시사이저와 오케스트라를 결합한 독창적인 스타일로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고 있다.
  • 1933년 사망 - 이와야 사자나미
    이와야 사자나미는 메이지 시대에 아동 문학을 보급하고 일본 최초의 아동 문학 총서 간행, 전승 설화 리텔링, '옛날이야기 하이쿠 그림' 창조 등을 통해 일본 근대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아동 문학가, 소설가, 시인, 수필가이자 문예 평론가이다.
  • 1933년 사망 - 미야자와 겐지
    이와테현 출신의 일본 시인이자 소설가, 동화 작가, 농업기술 지도자인 미야자와 겐지는 불교적 신앙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헌신이 담긴 작품들을 남겼으며 사후 재평가를 통해 일본 문학사의 중요한 작가로 인정받았다.
막스 폰 실링스
기본 정보
막스 폰 실링스
막스 폰 실링스 (1899년)
출생1868년 4월 19일, 뒤렌
사망1933년 7월 24일 (65세), 베를린
국적독일
직업작곡가, 지휘자, 극장 감독
음악 경력
장르오페라, 관현악, 실내악
주요 작품
오페라잉골슈타트의 잉그라 (1894)
교활한 사람 (1900)
몰로흐 (1906)
모나 리사 (1915)
조안 아크 (1935)
기타바이올린 협주곡 (1910)

2. 생애

실링스는 뒤렌에서 사진작가 카를 게오르크 실링스의 아들로 태어나, 에서 카스파 요제프 브람바흐와 오토 폰 쾨니히스로에게 피아노, 바이올린, 음악 이론을 배웠다. 뮌헨 대학교에서 법학, 철학, 미술사, 문학을 공부했다.

1892년 10월 1일 사촌 카롤리네 요제파 파일과 결혼했으나 1923년 이혼했고, 같은 해 바바라 켐프와 재혼했다.

1903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고, 뷔르템베르크 왕국 훈장을 받아 귀족이 되어 '폰 실링스'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1890년대 초 바이로이트 축제 조수를 거쳐 뮌헨에서 지휘자와 음악 교사로 활동했다. 1908년부터 슈투트가르트 왕립 궁정 극장 감독, 1918년부터 베를린 국립 오페라 감독 및 조포트 숲 오페라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이 시기 후반에는 유럽과 미국 순회 콘서트 투어도 진행했다.

1932년 프로이센 예술 아카데미 회장, 1933년 베를린 시립 오페라 예술 감독을 겸임했다. 반유대주의 성향으로 나치 정권을 환영했으며, 제국 음악원 총재 취임 직후인 1933년 7월 24일 급사했다.

나치 협력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작품 연주가 금기시되었으나, 최근 재조명되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막스 폰 실링스는 1868년 4월 19일 뒤렌에서 사진작가 카를 게오르크 실링스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에서 일반적인 교육을 받으면서 카스파 요제프 브람바흐와 오토 폰 쾨니히스로에게 피아노, 바이올린, 음악 이론을 배웠다. 이후 뮌헨 대학교에서 법학, 철학, 문학, 미술사를 공부했다.

1892년 10월 1일, 실링스는 사촌 카롤리네 요제파 파일과 쾨니히스빈터에서 결혼했으나, 1923년 이혼했다. 같은 해 6월 11일 샬로텐부르크에서 오페라 가수 바르바라 켐프와 재혼했다.

1903년 2월 16일 바이에른 왕립 내무부로부터 교수 직함을 받았으며, 1911년 10월에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철학 학부에서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뷔르템베르크 왕관 훈장 중 5등급인 명예 십자 훈장(Ehrenkreuz)을 받아 귀족 반열에 올라 '폰' 칭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2. 2. 결혼

1892년 10월 1일, 실링스는 쾨니히스빈터에서 사촌 카롤리네 요제파 파일과 결혼했다. 1923년에 이혼했고, 같은 해 6월 11일 샬로텐부르크에서 오페라 가수 바바라 켐프와 재혼했다.

2. 3. 명예 박사 학위 및 귀족 작위

1903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훈장을 받고 귀족 반열에 올라 '폰 실링스'를 자칭하였다. 뷔르템베르크 왕관 훈장의 5등급 ''Ehrenkreuz''(명예 십자 훈장)를 수여받았다.

2. 4. 지휘자 및 극장 감독 경력

막스 폰 실링스는 1890년대 초 바이로이트 축제에서 조수직을 맡았고, 이후 뮌헨에서 지휘자이자 음악 교사로 활동했다. 1908년부터 1918년까지 슈투트가르트의 왕립 궁정 극장(Königlichen Hoftheater) 감독을 역임했다. 1918년부터 1925년까지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뒤를 이어 베를린 국립 오페라 감독을 맡았고, 동시에 여름철 조포트 숲 오페라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이 시기(1918년~1925년) 후반부에는 유럽과 미국을 순회하는 콘서트 투어를 진행했다.

1932년 독일로 돌아온 그는 막스 리버만의 뒤를 이어 프로이센 예술 아카데미 회장직을 맡았다. 1933년 3월부터 사망할 때까지 베를린 시립 오페라 예술 감독을 겸임했다.

2. 5. 프로이센 예술 아카데미 회장 및 베를린 시립 오페라 감독

막스 폰 실링스는 1932년 막스 리버만의 뒤를 이어 프로이센 예술 아카데미의 회장이 되었다. 1933년 3월부터 사망할 때까지 베를린 시립 오페라의 예술 감독을 겸임하였으며, 1933년 베를린에서 폐색전증으로 사망했다.

그는 바이마르 공화국에 반대하였고, 공공연한 반유대주의자였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케테 콜비츠, 하인리히 만, 리카르다 후흐, 알프레트 되블린, 토마스 만, 막스 리버만, 알폰스 파케, 프란츠 베르펠, 야코프 바세르만 등 주요 유대인과 자유 사상가 예술가들이 프로이센 예술 아카데미에서 추방되거나 배제되었다. 또한 아르놀트 쇤베르크와 계약을 위반하고 그를 아카데미 교직에서 해고했으며, 1933년에는 아카데미에서 작곡 석사 과정을 이끌던 프란츠 슈레커에게 조기 은퇴를 명령했다.

2. 6. 반유대주의와 나치 협력

막스 폰 실링스는 반유대주의자로 알려져 있으며, 1933년 나치 정권의 등장을 환영했다. 그는 제국 음악원 총재로 재직하던 중 1933년 7월 24일 급사했다.

그는 바이마르 공화국에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며, 공공연하게 반유대주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프로이센 예술 아카데미에서는 케테 콜비츠, 하인리히 만, 리카르다 후흐, 알프레트 되블린, 토마스 만, 막스 리버만, 알폰스 파케, 프란츠 베르펠, 야코프 바세르만 등 주요 유대인 및 자유 사상가 예술가들이 추방되거나 배제되었다.

또한, 아르놀트 쇤베르크와의 계약을 위반하고 그를 아카데미 교직에서 해고했으며, 1933년에는 아카데미에서 작곡 석사 과정을 이끌던 프란츠 슈레커에게 조기 은퇴를 강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나치와의 관계로 인해 그의 작품 연주는 금기시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그의 오페라나 관현악곡들이 다시 연주되고 녹음되기 시작했다.

2. 7. 사망

실링스는 반유대주의자로 알려져 있으며, 1933년 나치 정권 탄생을 환영했다. 그는 제3제국의 제국 음악원 총재로 취임한 직후인 7월 24일 급사했다.

나치와의 관계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의 작품 연주는 금기시됐다. 최근 들어 오페라나 관현악곡의 연주, 녹음이 행해지기 시작했다.

3. 작품

막스 폰 실링스는 오페라, 멜로드라마, 협주곡, 실내악, 가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3. 1. 주요 작품

종류작품명비고
오페라잉베르데 (Ingwelde)
오페라피리 부는 날 (Der Pfeifertag)
오페라모로크 (Moloch) Op. 20
오페라모나리자 (Mona Lisa) Op. 31슈투트가르트 궁정 가극장에서 실링스 자신의 지휘로 초연
교향적 환상곡바다의 인사와 아침바다 Op. 62개 악장으로 이루어짐
바이올린과 첼로, 소관현악을 위한 대화 Op. 8
교향적 서곡소포클레스의 비극 오이디푸스 왕을 위한 교향적 서곡 Op. 11
꽃의 춤 (화무(花舞))작품번호 없음
바이올린 협주곡바이올린 협주곡 가단조 Op. 25
피아노 협주곡피아노 협주곡 『죽음의 무도』 Op. 37
멜로드라마카산드라 Op. 9-1실러의 시에 의함
멜로드라마엘리시온의 축제 Op. 9-2실러의 시에 의함
멜로드라마마녀의 노래 Op. 15
현악 사중주현악 사중주 마단조
현악 오중주현악 오중주 Op. 32
연가곡종의 노래 Op. 22
기타가곡 등


3. 2. 작품 목록 (상세)

막스 폰 실링스는 오페라, 멜로드라마, 협주곡, 실내악, 가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교향적 환상곡 Op. 6 (《바다의 인사》와 《아침의 바다》 2개 악장으로 구성)
  • 바이올린과 첼로, 소관현악을 위한 《대화》 Op. 8
  • 소포클레스의 비극 《오이디푸스 왕》을 위한 교향적 서곡 Op. 11
  • 꽃의 춤 (작품 번호 없음)
  • 가곡집 《종의 노래》 Op. 22
  • 기타 가곡

3. 2. 1. 오페라


  • 잉베르데 (Ingwelde)
  • 피리 부는 날(Der Pfeifertag)
  • 모로크 Op. 20 (Moloch)
  • 모나리자 Op. 31 (Mona Lisa) <슈투트가르트 궁정 가극장에서 실링스 자신의 지휘로 초연>

3. 2. 2. 멜로드라마


  • 실러의 시에 의한 멜로드라마 《카산드라》Op. 9-1
  • 실러의 시에 의한 멜로드라마 《엘리시온의 축제》Op. 9-2
  • 멜로드라마 《마녀의 노래》Op. 15

3. 2. 3. 협주곡

바이올린 협주곡 가단조 Op. 25

피아노 협주곡 『죽음의 무도』 Op. 37

3. 2. 4. 실내악

3. 2. 5. 기타

분야작품명비고
오페라<잉베르데> (Ingwelde)
오페라<피리 부는 날>(Der Pfeifertag)
오페라<모로크> Op. 20 (Moloch)
오페라<모나리자> Op. 31 (Mona Lisa)슈투트가르트 궁정 가극장에서 실링스 자신의 지휘로 초연
교향곡교향적 환상곡 Op. 6"바다의 인사"와 "아침바다" 2개 악장으로 구성
실내악바이올린과 첼로, 소관현악을 위한 대화 Op. 8
교향곡소포클레스의 비극 오이디푸스 왕을 위한 교향적 서곡 Op. 11
기타꽃의 춤 (화무(花舞))작품번호 없음
협주곡바이올린 협주곡 가단조 Op. 25
협주곡피아노 협주곡 『죽음의 무도』 Op. 37
멜로드라마캇산드라 Op. 9-1실러의 시에 의함
멜로드라마<엘리시온의 축제> Op. 9-2실러의 시에 의함
멜로드라마<마녀의 노래> Op. 15
실내악현악 사중주 마단조
실내악현악 오중주 Op. 32
가곡연가곡 <종의 노래> Op. 22
가곡글로켄리더 ("종 노래")작품 22
가곡메어그루스 운트 제모르겐 (바다 인사와 호수 아침)작품 6
가곡피어 리더른 아우스 데어 반데르차이트 ("방랑 시대의 네 곡의 노래")작품 2
가곡기타 가곡


4. 유산 및 평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섹션 제목, 요약 등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