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초동맥질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초동맥질환은 동맥이 좁아져 팔다리로의 혈류가 감소하는 질환으로, 주로 죽상동맥경화증이 원인이다. 위험 요인으로는 흡연,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등이 있으며, 증상으로는 간헐적 파행, 다리 통증, 궤양, 괴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은 발목-상완 지수(ABI) 검사, 도플러 초음파, 혈관 조영술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퐁텐 분류, 러더퍼드 분류 등을 통해 중증도를 분류한다. 치료는 금연, 생활 습관 개선, 약물 치료(항혈소판제, 스타틴, 실로스타졸 등)를 포함하며, 증상이 심한 경우 혈관 재개통술(혈관 성형술, 혈관 우회술) 또는 절단술이 필요할 수 있다. 예후는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과 관련 있으며, 말초동맥질환 환자는 심장 또는 뇌혈관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말초동맥질환 | |
---|---|
일반 정보 | |
![]() | |
영어 명칭 | Peripheral artery disease |
동의어 | 말초혈관질환 (PVD) 말초 동맥 폐색 질환 말초 폐쇄성 동맥병증 |
진료 분야 | 중재적 방사선학 혈관외과 |
증상 및 합병증 | |
증상 | 간헐적 파행: 쉬면 가라앉는 다리 통증 동맥 불충분 궤양: 피부 궤양 청색증: 푸르스름한 피부 차가운 피부 털 빠짐 비정상적으로 매끄럽거나 윤기 있는 피부 |
합병증 | 감염 절단 |
원인 및 위험 요인 | |
원인 | 죽상동맥경화증 혈관 경련 |
위험 요인 | 흡연 당뇨병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
진단 | |
진단 방법 | 발목-상완 지수 < 0.90 도플러 초음파 검사 혈관조영술 |
감별 진단 | 해당 없음 |
예방 및 치료 | |
예방 | 해당 없음 |
치료 | 금연 감독 하의 운동 요법 수술 |
약물 | 스타틴 ACE 억제제 실로스타졸 |
통계 | |
발병 빈도 (2015년) | 1억 5500만 명 |
사망자 수 (2015년) | 52,500명 |
2. 원인
말초동맥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은 죽상동맥경화증이다.[11] 죽상동맥경화증은 동맥 벽에 지질이나 지방이 축적되고 칼슘이 침착되어 동맥이 좁아지는 현상이다. 죽상동맥경화증의 병태생리학은 콜레스테롤과 혈관 세포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포함한다.[51] 초기 단계에서 동맥은 혈관을 통한 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확장하여 플라크 축적에 대한 보상을 한다. 결국 동맥은 더 이상 확장할 수 없게 되고 죽상경화성 플라크는 동맥 혈류 내강을 좁히기 시작한다.[50]
말초 조직의 필요와 혈액 공급 사이의 불균형이 발생하면 허혈 상태에 직면하게 된다. 병태생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하지로의 혈액 공급 제한(허혈)은 기능적 또는 위중한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기능적 허혈은 휴식 시 혈류가 정상이나 운동 중에는 불충분하여 간헐적 파행으로 임상적으로 나타난다. 위중한 허혈은 혈류 감소로 인해 휴식 시 관류 결손이 발생할 때 발생하며, 휴식 시 통증이나 다리의 영양성 병변의 존재로 정의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적절한 혈류가 수술 또는 혈관 내 치료로 재개되지 않으면 사지 손실의 명백한 위험이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두 개념을 구별하는 것은 말초 동맥 질환 환자의 치료 적응증과 예후를 설정하는 데 중요하다.[51]
다른 원인으로는 혈관염 및 과응고 상태와 관련된 ''제자리'' 혈전증이 있다.[52] 말초 동맥 질환의 추가적인 기전으로는 동맥 연축과 섬유근 이형성증이 있다.[11] 동맥 연축의 원인과 병태생리학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외상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53] 동맥이 연축되거나 스스로를 조여 폐쇄를 생성할 때 파행 증상이 발생한다. 죽상경화증과 유사하게, 이는 폐쇄 하류 조직으로의 혈류 감소로 이어진다. 혈전증, 즉 혈전 형성은 대개 정체 또는 외상으로 인해 발생한다.[53]
2. 1. 위험 요인
말초동맥질환의 위험 요인은 죽상동맥경화증과 동일하다.[128][129]- 흡연[35]
- 당뇨병[42][43][44]
- 이상지질혈증[36]
- 고혈압[47]
- 50대 이상의 남성의 비만, 심근 경색, 뇌졸중[130][131] 또는 관다발병의 가족력.[132][133]
- C 반응성 단백질 피브리노겐[134], 과점도, 혈전성향증
말초동맥질환의 위험 증가는 동맥경화증의 요인과 동일하며,[34][35] 나이, 성별, 민족성을 포함한다.[36] 말초동맥질환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두 배 더 흔하며, 백인보다 유색 인종에게서 2:1의 비율로 더 흔하다.[37]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만성 신장 질환, 흡연은 가장 큰 위험 요인이며, 이 중 3가지 이상이 나타나면 말초동맥질환 발생 위험이 10배 증가한다.[38]
- 흡연: 모든 형태의 담배 사용은 국제적으로 말초동맥질환의 가장 큰 단일 위험 요인이다. 흡연자는 용량-반응 관계에서 위험이 최대 10배까지 증가하며,[35] 간접 흡연도 동맥경화증을 유발한다. 흡연자는 관상 동맥 질환보다 하지 말초동맥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2~3배 더 높다.[39] 하지 말초동맥질환 환자의 80%–90% 이상이 흡연자이거나 과거 흡연자이며,[40] 위험은 흡연량과 기간에 따라 증가한다.[41][81]
- 고혈당: 당뇨병은 말초동맥질환 위험을 2~4배 증가시킨다.[42][43][44] 이는 내피 및 평활근 세포 기능 장애를 유발하며, 위험은 당뇨병의 심각도와 기간에 비례한다.[45]
- 고혈중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이나 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이다.[36] 저밀도 지단백 (LDL 콜레스테롤) 수치 증가, 고밀도 지단백 (HDL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총 콜레스테롤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 상승은 말초동맥질환과 관련이 있다. 식이요법, 운동, 약물을 통한 관리는 심장마비 및 뇌졸중 발생률 감소와 관련이 있다.[46]
- 고혈압: 고혈압은 말초동맥질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고혈압은 심장마비, 뇌졸중, 복부 대동맥류와 관련이 있으며, 간헐적 파행의 위험을 남성 및 여성에서 각각 2.5~4배 증가시킨다.[47]
- 기타: C-반응 단백질, 피브리노겐, 호모시스테인, 지단백 A와 같은 염증 매개체의 수치도 위험 요인으로 연구되고 있다.[48]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가 증가하면 말초동맥질환 발생 위험이 2배 증가한다.[36]
3. 증상
말초동맥질환 환자들 가운데 50%는 증상이 없다.[127] 다리와 발에 대한 말초동맥질환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다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 간헐성파행증
# 중증하지허혈
:* 휴식통
:* 조직 소실
말초동맥질환의 징후와 증상은 영향을 받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르다. 말초동맥질환(PAD) 환자의 약 66%는 증상이 없거나 비전형적인 증상을 보인다.[11] 가장 흔한 증상은 일반적으로 운동 중 발생하는 하지 골격근 통증을 의미하는 간헐적 파행 (IC)이다. 간헐적 파행은 골격근의 대사 요구량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나타난다. 이는 운동 중 근육이 더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통증은 보통 영향을 받은 다리의 종아리 근육에 위치하며 휴식을 취하면 완화된다.[30] 일반적으로 동맥은 혈류량을 증가시켜 운동하는 근육으로 가는 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말초동맥질환에서는 동맥이 근육의 증가된 산소 요구에 적절하게 반응할 수 없으며, 그 결과 근육은 산소 부족 상태가 되어 휴식을 취하면 가라앉는 근육 통증을 유발한다.[30]
다른 증상으로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31]
- 엉덩이, 둔부 또는 허벅지의 통증, 쑤심 및/또는 경련
- 영향을 받은 사지의 근육 위축(근육 손실)
- 영향을 받은 사지의 털 손실
- 영향을 받은 부위의 피부가 매끄럽고 윤기가 나거나 차가움
- 발의 맥박 감소 또는 부재
- 발가락의 냉감 및/또는 무감각
- 치료되지 않는 영향을 받은 사지의 궤양
중증 말초동맥질환 환자의 경우, 사지 위협 허혈 및 괴저를 포함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사지 위협 허혈은 동맥의 혈류가 막혀 휴식 상태에서 조직의 산소 공급을 유지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를 때 발생한다.[11] 이는 휴식 시 통증, 냉감 또는 영향을 받은 발과 발가락의 무감각을 유발할 수 있다. 중증 말초동맥질환의 다른 합병증으로는 하지 조직 손실 (절단), 동맥 부전 궤양, 발기 부전, 괴저가 있다.[32] 당뇨병 환자는 일반 인구보다 30배 더 높은 비율로 발의 괴저에 영향을 받는다. 절단을 유발하는 것과 같은 이러한 심각한 합병증 중 많은 부분은 돌이킬 수 없다.[33]
4. 진단
말초동맥질환 진단은 증상 병력, 신체 검사, 그리고 확인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16] 필요한 경우 CT 스캔, MRA 스캔,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확진할 수 있다.[31]
4. 1. 신체 검사
말초동맥질환을 진단하거나 확인하기 위해 증상 병력과 신체 검사를 먼저 실시하고, 이후 CT 스캔 (컴퓨터 단층 촬영 혈관 조영술), MRA 스캔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확진한다.[16][31] 의사는 말초동맥질환 증상과 일치하는 특정 검사 소견을 확인한다. 비정상적인 신체 검사 소견은 의료 제공자가 특정 진단을 고려하도록 할 수 있다.[11] 그러나 진단을 확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확인 검사가 필요하다.[16]말초동맥질환과 관련된 신체 검사 소견은 다음과 같다:[11]
- 맥박 감소 또는 소실
- 근육 위축 또는 소모
- 청색증
- 다른 사지에 비해 영향을 받은 사지의 온도 감소 (냉감)
- 두꺼워진 손톱
- 매끄럽거나 윤기 나는 피부 및 탈모
- 뷔르거 검사: 영향을 받은 사지를 들어 올렸을 때 창백함이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이후 사지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앉은 자세로 옮겨 붉어짐 (반응성 과혈증)을 확인한다. 뷔르거 검사는 동맥이 산소화된 혈액을 해당 조직에 공급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동맥 충분성 검사이다.
- 치유되지 않는 하지 궤양[38]
말초동맥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초기 검사는 발목-상완 지수(ABI) 검사이다.[16] ABI는 상완의 수축기 혈압에 대한 발목의 수축기 혈압 비율을 측정하는 비침습적 검사이다. 발목 혈압이 팔 혈압보다 낮으면 심장에서 발목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에 막힘이 있다고 의심할 수 있다.[54]
ABI 수치가 0.90~1.40이면 정상으로 간주한다. 0.90 이하는 말초동맥질환으로 진단하며, 0.41~0.90은 경증~중등도, 0.40 미만은 중증으로 분류한다.[81] ABI 수치가 0.91~0.99는 경계선으로 간주하며, 1.40을 초과하는 값은 비압박 동맥을 나타낸다. ABI > 1.40은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석회화로 인한 혈관벽 강성을 의미할 수 있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ABI (> 1.40)는 일반적으로 위음성으로 간주되어 추가적인 조사와 더 높은 수준의 연구가 필요하다.[55] 비압박 동맥을 가진 사람들은 2년 이내에 심혈관 사망 위험이 증가한다.[56]
정상 ABI를 가진 말초동맥질환 의심 환자는 운동 부하 ABI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운동 전 기준 ABI를 측정한 후, 환자에게 파행 통증이 발생할 때까지 (최대 5분) 운동을 시킨다 (보통 러닝머신에서 걷게 한다). 그 후 발목 압력을 다시 측정하여 ABI가 15%~20% 감소하면 말초동맥질환으로 진단한다.[81][49]
ABI가 비정상적인 경우, 다음 단계는 일반적으로 하지 도플러 초음파 검사로 막힘 부위와 죽상 동맥 경화증의 범위를 확인한다. 다른 영상 검사로는 혈관 조영술이 있다.[34] 혈관 조영술은 카테터를 대퇴 동맥에 삽입하여 문제 동맥으로 유도하고, 방사선 불투과성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X-선을 촬영하는 방식이다. X-선에서 발견된 혈류 제한 차단은 죽상동맥 절제술, 혈관 성형술 또는 스텐트 삽입술로 치료할 수 있다. 조영 혈관 조영술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영상 기법이다. 최신 컴퓨터 단층 촬영(CT) 스캐너는 동맥 시스템의 직접 영상을 제공하며, 연구에 따르면 50% 이상 협착된 병변을 식별하는 CT의 민감도와 특이성은 각각 95%와 96%이다.[57] 따라서 CT는 침습적 혈관 조영술의 대안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CT를 이용한 동맥 시스템 평가는 혈관 중재술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58]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MRA)은 대형 자석, 무선 주파수 및 컴퓨터를 조합하여 신체 내부 혈관의 상세 영상을 생성하는 비침습적 진단 절차이다. MRA는 한 번의 촬영으로 복부, 골반 및 하지 전체의 고해상도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59][60]
4. 2. 확인 검사
말초동맥질환을 분류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방법에는 퐁텐(Fontaine) 분류와 러더퍼드(Rutherford) 분류 체계가 있다.[61]퐁텐 단계는 1954년 르네 퐁텐이 만성 하지 허혈의 심각성을 정의하기 위해 도입하였다.[49][61][62]
단계 | 상태 |
---|---|
1단계 | 무증상 |
2a단계 | 200미터 이상 걷고 난 후 간헐적 파행 |
2b단계 | 200미터 미만 걷고 난 후 간헐적 파행 |
3단계 | 휴식 시 통증 |
4단계 | 사지의 궤양 또는 괴사 |
러더퍼드 분류는 혈관외과 학회와 국제 심혈관 외과 학회에서 만들었으며, 1986년에 도입되어 1997년에 개정되었다. 이 분류 체계는 주 저자인 로버트 B. 러더퍼드의 이름을 따 러더퍼드 분류로 알려져 있으며, 4개의 등급과 7개의 범주(범주 0–6)로 구성된다.[49][63]
등급 | 범주 | 상태 |
---|---|---|
0등급 | 0범주 | 무증상 |
I등급 | 1범주 | 경미한 파행 |
I등급 | 2범주 | 중간 정도의 파행 |
I등급 | 3범주 | 심한 파행 |
II등급 | 4범주 | 휴식 시 통증 |
III등급 | 5범주 | 경미한 조직 손실; 발가락 궤양을 초과하지 않는 허혈성 궤양 |
IV등급 | 6범주 | 주요 조직 손실; 심각한 허혈성 궤양 또는 명백한 괴사 |
퐁텐 3~4단계 또는 러더퍼드 범주 4~5로 분류되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PAD는 사지 위협 허혈 형태로 사지 위협(사지 손실 위험)을 나타낸다.[64]
최근 혈관외과 학회는 "상처, 허혈, 발 감염"(WIfI)을 기반으로 한 분류 체계를 발표했다.[65] 2013년에 발표된 이 분류 체계는 고혈당 발생 증가 및 재관류술의 기술 및 능력 발전 등 지난 40년 동안 발생한 인구 통계학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시스템은 허혈 및 혈관 조영 질환 패턴이 절단 위험의 유일한 결정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74] WIfI 분류 체계는 상처와 허혈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상처는 궤양, 괴사 및 허혈의 존재 여부에 따라 0~3등급으로 분류된다.[65]
등급 | 상태 |
---|---|
0등급 | 궤양 없음, 괴사 없음 |
1등급 | 작고 얕은 궤양; 괴사 없음 |
2등급 | 힘줄 또는 뼈가 노출된 깊은 궤양, 발가락에 국한된 괴사 |
3등급 | 광범위하고 전체 두께의 궤양; 앞발 또는 중간발까지 확장되는 괴사 |
허혈은 ABI, 발목 수축기 혈압 및 발가락 압력에 따라 0~3등급으로 분류된다.[65]
등급 | ABI | 발목 수축기 혈압 | 발가락 압력 |
---|---|---|---|
0등급 | 0.80 이상 | 100mm Hg 이상 | 60mm Hg 이상 |
1등급 | 0.6~0.79 | 70mm Hg~100mm Hg | 40mm Hg~59mm Hg |
2등급 | 0.4–0.59 | 50mm Hg~70mm Hg | 30mm Hg~39mm Hg |
3등급 | 0.39 이하 | 50mm Hg 미만 | 30mm Hg 미만 |
TASC(및 TASC II) 분류는 혈관 조영술에서 나타나는 질병의 심각성을 기준으로 PAD 치료를 제안한다.[49]
5. 분류
말초동맥질환(PAD)은 퐁텐(Fontaine) 분류, 러더포드(Rutherford) 분류, "상처, 허혈, 발 감염"(WIfI) 분류, TASC 분류 등 다양한 체계를 사용하여 중증도를 평가한다.[61]
5. 1. 퐁텐 분류
말초동맥질환은 1954년 르네 퐁텐이 만성 팔다리 허혈을 위해 도입한 퐁텐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135][136]단계 | 설명 |
---|---|
I | 무증상, 불완전한 혈관 방해 |
II | 팔다리에 낮은 절뚝거림 통증 |
IIA | 200미터 이상의 거리를 걸을 때 절뚝거림 |
IIB | 200미터 미만의 거리를 걸을 때 절뚝거림 |
III | 휴식통, 주로 발에 통증 발생 |
IV | 팔다리의 괴사 및 괴저 |
퐁텐 단계는 1954년 르네 퐁텐이 만성 하지 허혈의 심각성을 정의하기 위해 도입한 분류 체계이다.[49][61][62]
5. 2. 러더포드 분류
혈관외과 학회와 국제 심혈관 외과 학회에서 만든 러더포드 분류는 1986년에 도입되었고 1997년에 개정되었다(주 저자인 로버트 B. 러더포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49][63] 이 분류 체계는 4개의 등급과 7개의 범주(범주 0–6)로 구성된다:[49][63]등급 | 범주 | 설명 |
---|---|---|
0 | 0 | 무증상 |
I | 1 | 경미한 파행 |
I | 2 | 중간 정도의 파행 |
I | 3 | 심한 파행 |
II | 4 | 휴식 시 통증 |
III | 5 | 경미한 조직 손실; 발가락 궤양을 초과하지 않는 허혈성 궤양 |
IV | 6 | 주요 조직 손실; 심각한 허혈성 궤양 또는 명백한 괴사 |
Fontaine 3~4단계 또는 Rutherford 범주 4~5로 분류되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말초동맥질환(PAD)은 사지 위협 허혈 형태로 사지 위협(사지 손실 위험)을 나타낸다.[64]
5. 3. WIfI 분류
말초동맥질환을 분류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방법은 Fontaine과 Rutherford 분류 체계이다.[61]1954년 르네 퐁텐은 만성 하지 허혈의 심각성을 정의하기 위해 Fontaine 단계를 도입했다.[49][61][62]
단계 | 상태 |
---|---|
1단계 | 무증상 |
2a단계 | 200m 이상 걷고 난 후 간헐적 파행 |
2b단계 | 200m 미만 걷고 난 후 간헐적 파행 |
3단계 | 휴식 시 통증 |
4단계 | 사지의 궤양 또는 괴사 |
혈관외과 학회와 국제 심혈관 외과 학회에서 만든 Rutherford 분류는 1986년에 도입되어 1997년에 개정되었다(주 저자인 로버트 B. 러더포드의 이름을 따 Rutherford 분류로 알려짐).[49][63] 이 분류 체계는 4개의 등급과 7개의 범주(범주 0–6)로 구성된다.
등급 | 범주 | 상태 |
---|---|---|
0등급 | 0범주 | 무증상 |
I등급 | 1범주 | 경미한 파행 |
I등급 | 2범주 | 중간 정도의 파행 |
I등급 | 3범주 | 심한 파행 |
II등급 | 4범주 | 휴식 시 통증 |
III등급 | 5범주 | 경미한 조직 손실; 발가락 궤양을 초과하지 않는 허혈성 궤양 |
IV등급 | 6범주 | 주요 조직 손실; 심각한 허혈성 궤양 또는 명백한 괴사 |
Fontaine 3~4단계 또는 Rutherford 범주 4~5로 분류되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PAD는 사지 위협 허혈 형태로 사지 위협(사지 손실 위험)을 나타낸다.[64]
최근 혈관외과 학회는 "상처, 허혈, 발 감염"(WIfI)을 기반으로 한 분류 체계를 발표했다.[65] 2013년에 발표된 이 분류 체계는 고혈당 발생 증가 및 재관류술의 기술 및 능력 발전 등 지난 40년 동안 발생한 인구 통계학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시스템은 허혈 및 혈관 조영 질환 패턴이 절단 위험의 유일한 결정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74] WIfI 분류 체계는 상처와 허혈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상처는 궤양, 괴사 및 허혈의 존재 여부에 따라 0~3등급으로 분류된다.[65]
등급 | 상태 |
---|---|
0등급 | 궤양 없음, 괴사 없음 |
1등급 | 작고 얕은 궤양; 괴사 없음 |
2등급 | 힘줄 또는 뼈가 노출된 깊은 궤양, 발가락에 국한된 괴사 |
3등급 | 광범위하고 전체 두께의 궤양; 앞발 또는 중간발까지 확장되는 괴사 |
허혈은 ABI, 발목 수축기 혈압 및 발가락 압력에 따라 0~3등급으로 분류된다.[65]
등급 | 상태 |
---|---|
0등급 | ABI ≥0.80, 발목 수축기 혈압 ≥100mm Hg, 발가락 압력 ≥60mm Hg |
1등급 | 동맥 상완 지수 0.6~0.79, 발목 수축기 혈압 70mm Hg~100mm Hg, 발가락 압력 40mm Hg~59mm Hg |
2등급 | ABI 0.4–0.59, 발목 수축기 혈압 50mm Hg~70mm Hg, 발가락 압력 30mm Hg~39mm Hg |
3등급 | ABI ≤0.39, 발목 수축기 혈압 <50mm Hg, 발가락 압력 <30mm Hg |
TASC(및 TASC II) 분류는 혈관 조영술에서 나타나는 질병의 심각성을 기준으로 PAD 치료를 제안한다.[49]
6. 치료
말초동맥질환 치료는 질병의 심각성에 따라 단계적으로 접근한다.[137][84]
- '''약물 치료'''
실로스타졸은 일부 환자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펜톡시필린의 효과는 불분명하다.[138][139][73] 항혈소판제(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등)는 고혈압 및 고콜레스테롤혈증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스타틴은 혈전 형성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질병 진행을 늦추고, 환자가 겪을 수 있는 다른 심혈관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증상이 있는 말초동맥질환 환자는 급성 심근 경색(심장 마비), 뇌졸중 및 기타 혈관성 사망 원인을 줄이기 위해 아스피린 또는 클로피도그렐 복용이 권장된다.[16] 아스피린과 클로피도그렐은 함께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복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PAD 치료를 위한 아스피린의 권장 일일 복용량은 75~325mg이며, 클로피도그렐의 권장 일일 복용량은 75mg이다.[38] 리바록사반과 아스피린의 병용 투여가 PAD에 대한 새로운 항혈전 요법으로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72]
고호모시스테인혈증에 대한 엽산 및 비타민 B12의 효과를 평가하는 임상 시험이 거의 완료되었지만, 다른 약물이나 비타민 치료는 임상적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는다.[84]
- '''혈관 재개통술'''
최선의 내과적 치료를 시도한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면 환자는 혈관외과 또는 혈관내과 의사에게 의뢰될 수 있다. 재관류술의 이점은 허혈의 심각성과 상실 위험이 있는 상처 및 감염의 심각성과 같은 다른 위험 요소의 존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74]

- 혈관 성형술
- 죽상 동맥 경화반 절제술
- 혈관 우회술
- 절단
- 혈전 용해술 및 혈전 제거술
- 충격파 혈관 내 쇄석술
6. 1. 생활 습관 개선
- 금연: 담배는 말초동맥질환을 악화시키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인이다.[34]
- 당뇨병 관리
- 고혈압 관리
- 고칼레스테롤 관리 및 항혈소판제 복용
- 정기적인 운동: 파행증 환자를 위한 규칙적인 운동은 대안적인 작은 혈관을 열어주는 데 도움을 주며(측부 혈류), 종종 보행 제한이 개선된다.[34] 트레드밀 운동(주 3~4회, 35~50분)[34]은 심혈관 질환 발생 감소 및 삶의 질 개선을 포함한 여러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는 또 다른 치료법으로 검토되어 왔다. 감독 하에 진행되는 운동 프로그램은 말초동맥질환 환자의 통증 없는 보행 시간과 최대 보행 거리를 증가시킨다.[34]
6. 2. 약물 치료
실로스타졸이나 펜톡시필린은 일부 환자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138][139]항혈소판제 (예: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는 고혈압 및 고콜레스테롤혈증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스타틴은 혈전 형성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질병 진행을 늦추고, 환자가 겪을 수 있는 다른 심혈관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지침에 따르면, 증상이 있는 말초동맥질환 환자는 급성 심근 경색(심장 마비), 뇌졸중 및 기타 혈관성 사망 원인을 줄이기 위해 아스피린 또는 클로피도그렐 복용이 권장된다.[16] 아스피린과 클로피도그렐은 함께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복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PAD 치료를 위한 아스피린의 권장 일일 복용량은 75~325mg이며, 클로피도그렐의 권장 일일 복용량은 75mg이다.[38] 증상이 있는 PAD 환자에서 심혈관 허혈성 사건의 위험을 줄이는 아스피린과 클로피도그렐의 효과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에 따르면 저용량 리바록사반과 아스피린의 병용 투여가 PAD에 대한 새로운 항혈전 요법으로 효과적이다.[72]
실로스타졸은 일부 환자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19] 펜톡시필린의 효과는 불분명하다.[73] 실로스타졸은 말초동맥질환으로 인해 파행을 겪는 환자의 보행 거리를 개선할 수 있지만, 삶의 질을 개선하거나 사망률, 심혈관 사건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19]
다른 약물이나 비타민 치료는 임상적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지만, 고호모시스테인혈증에 대한 엽산 및 비타민 B12의 효과를 평가하는 임상 시험이 거의 완료되었다.[84]
6. 3. 혈관 재개통술
최선의 내과적 치료를 시도한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면 환자는 혈관외과 또는 혈관내과 의사에게 의뢰될 수 있다. 재관류술의 이점은 허혈의 심각성과 상실 위험이 있는 상처 및 감염의 심각성과 같은 다른 위험 요소의 존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74]- 혈관 성형술 (또는 경피적 경관 혈관 성형술)은 대퇴 동맥과 같은 큰 동맥의 단독 병변에 대해 수행할 수 있지만 지속적인 이점은 없을 수 있다.[75] 혈관 성형술 후 개통률은 장골 동맥에서 가장 높으며 발가락 쪽의 동맥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재관류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기준은 병변의 길이와 병변의 수이다.[76][77] 봉공근 동맥의 협착을 유지하기 위해 혈관 성형술 후 스텐트를 삽입하는 데 장기적인 이점이나 지속적인 이점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78]
- 죽상 동맥 경화반 절제술은 혈관벽 내부의 플라크를 긁어내는 시술이지만, 혈관 성형술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이지는 않는다.[79]
- 혈관 우회술 이식은 동맥 혈관의 질병 부위를 우회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다. 큰 복재 정맥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도관으로 사용하지만, 적절한 정맥 도관을 사용할 수 없을 때는 인공 (고어텍스 또는 PTFE) 재료를 사용하여 긴 이식을 하기도 한다.
- 괴저가 시작되면 감염된 조직이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인 패혈증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단이 필요할 수 있다.
- 혈전 용해술 및 혈전 제거술은 동맥 혈전증 또는 색전증의 경우에 사용된다.
- 충격파 혈관 내 쇄석술은 초음파를 사용하여 동맥 내의 플라크를 침투 없이 분해하는 최소 침습적 방법이다. 이 방법은 2021년 2월 미국 식품의약국에 의해 처음 승인되었으며,[80] 보다 널리 사용되는 죽상 동맥 경화반 절제술의 보완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7. 예후
말초동맥질환 환자는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매우 높으며, 대다수는 결국 심장 또는 뇌혈관 질환으로 사망한다.[83] 예후는 발목-상완 지수(ABI)로 측정한 말초동맥질환의 중증도와 관련이 있다.[83] 대혈관 말초동맥질환은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유의하게 증가시킨다. 말초동맥질환은 10년 내 관상동맥 질환 발생 위험이 20% 이상이다.[83]
파행증 환자가 심각한 허혈로 진행되어 절단술이 필요할 위험은 낮지만,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파행증이 없는 대조군보다 3~4배 높다.[84] 간헐적 파행증 환자의 경우, 단지 7%만이 하지 우회술을 받고, 4%는 주요 절단술을 받으며, 16%는 파행증이 악화되지만, 뇌졸중 및 심장마비 발생률이 증가하며 5년 사망률은 30%로 추정된다(대조군은 10%).[83]
8. 역학
일반 인구에서 말초동맥질환(PAD)의 유병률은 3~7%이며, 70세 이상 인구에서는 최대 20%까지 영향을 미친다.[85]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70~80%는 증상이 없으며, 재혈관화 또는 절단이 필요한 경우는 적다. 말초동맥질환은 50세 이상 당뇨병 환자 3명 중 1명에게 나타난다. 미국에서는 65세 이상 인구의 12~20%가 앓고 있으며, 약 1,000만 명의 미국인이 PAD를 앓고 있다. 유병률과 심혈관 위험에 대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위험 요인과 증상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낮으며, 미국 인구의 26%만이 PAD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86]
2000년, 미국에서 40세 이상 인구의 PAD 발생률은 4.3%였다.[87] 70세 이상 인구의 발생률은 14.5%였다. 연령대별 발생률은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았다. 비히스패닉계 흑인의 발생률은 7.9%였고, 비히스패닉계 백인은 4.4%, 멕시코계 미국인은 3.0%였다.[87]
증상이 있는 PAD의 발생률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며, 40~55세 남성의 경우 연간 약 0.3%에서 75세 이상 남성의 경우 연간 약 1%로 증가한다. PAD의 유병률은 PAD를 어떻게 정의하는지와 연구 대상 인구의 연령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PAD로 진단받은 사람은 주요 심혈관 사건(MACE) 및 뇌졸중 위험이 더 높다. 심장마비 후 1년 이내에 재경색, 뇌졸중 또는 일과성 허혈 발작이 발생할 위험은 PAD가 없는 사람의 11.4%에 비해 22.9%로 증가한다.[88]
1형 당뇨병 및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당뇨병 관리 및 합병증 시험과 영국 전향적 당뇨병 연구에서는 혈당 조절이 대혈관 질환보다 미세 혈관 질환과 더 강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작은 혈관에서 발생하는 병리학적 변화는 큰 동맥에서 발생하는 동맥 경화증보다 만성적으로 상승된 포도당 수치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89]
9. 연구 동향
말초동맥질환의 진행을 막는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90] 다리의 혈류 공급이 심각하게 저하된 환자에게 자가이식을 통한 자가 단핵 세포 이식의 효과는 불분명하다.[91]
무작위 대조 시험은 심각한 중증 말초동맥질환 치료를 위해 혈관 우회술과 혈관 성형술을 비교하는 단 한 건만 진행되었다.[92] 이 시험은 계획된 임상 종료점에서 혈관 우회술과 혈관 성형술 간에 절단 없는 생존율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지만, 이 시험은 힘이 부족하고, 혈관 내 시술 옵션을 제한하며, 부적절한 종료점을 비교했다는 비판을 받았다.[93] 2017년 현재, 중증 말초동맥질환과 심각한 사지 허혈(CLI)에 대한 최적의 재혈관화 기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두 건의 무작위 임상 시험, BEST-CLI(중증 사지 허혈 환자를 위한 최선의 혈관 내 치료 대 최선의 외과적 치료) 시험과 BASIL-2(다리 중증 허혈에서의 우회술 대 혈관 성형술 - 2) 시험이 진행 중이다.[94][95]
2011년, pCMV-vegf165가 중증 사지 허혈의 진행 단계를 포함한 말초동맥질환 치료를 위한 최초의 유전자 치료 약물로 러시아에 등록되었다.[96][97]
참조
[1]
논문
Creating the Ideal Microcosm for Rapid Incorporation of Bioengineered Alternative Tissues Using An Advanced Hydrogel Impregnated Gauze Dressing: A Case Series
2008-09-01
[2]
웹사이트
What Is Peripheral Vascular Disease?
https://www.heart.or[...]
2015-02-26
[3]
웹사이트
Overview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 Heart and Blood Vessel Disorders
https://www.merckman[...]
2019-04-30
[4]
논문
Arterial Diseases of the Extremities Chapter 275
https://accessmedici[...]
McGraw Hill
2018
[5]
논문
Update on peripheral arterial disease: Epidemiology and evidence-based facts
2018
[6]
간행물
Peripheral Vascular Disease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3
[7]
웹사이트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http://www.nhlbi.nih[...]
2011-08-02
[8]
웹사이트
What Is Peripheral Arterial Disease?
http://www.nhlbi.nih[...]
2011-08-02
[9]
서적
Antiplatelet Agents
2012
[10]
웹사이트
What Causes Peripheral Arterial Disease?
http://www.nhlbi.nih[...]
2011-08-02
[11]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Education / Medical
2018
[12]
논문
Lifestyle and dietary risk factors for peripheral artery disease
2014
[13]
웹사이트
How Is Peripheral Arterial Disease Diagnosed?
http://www.nhlbi.nih[...]
2011-08-02
[14]
논문
Screening for peripheral arterial disease
2014-04
[15]
논문
Peripheral artery disease screen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ssessment with the ankle-brachial index in adults: recommendation statement.
http://www.aafp.org/[...]
2014-12-15
[16]
논문
2016 AHA/ACC Guideline o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Lower Extremity Peripheral Artery Disease: Executive Summary: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7-03
[17]
논문
Supervised exercise therapy versus home-based exercise therapy versus walking advice for intermittent claudication
2018-04
[18]
논문
Medical treatment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2006-02
[19]
논문
Cilostazol for intermittent claudication
2021-06
[20]
논문
The ankle-brachial index for peripheral artery disease screen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 prediction among asymptomatic adults: a systematic evidence review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3-09
[21]
논문
Is aspirin still the drug of choice for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ial disease?
2013-03
[22]
논문
ACCF/AHA update peripheral artery disease management guideline
2012-05
[23]
웹사이트
How Is Peripheral Arterial Disease Treated?
http://www.nhlbi.nih[...]
2011-08-02
[24]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
[25]
서적
Vascular medicine : a companion to Braunwald's heart disease
Elsevier/Saunders
2013
[26]
논문
Comparison of global estimates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peripheral artery disease in 2000 and 2010: a systematic review and analysis
2013-10
[27]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
[28]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2015-01
[29]
논문
Education in wound care: Curricula for doctors and nurses, and experiences from the German wound healing society ICW
2016
[30]
간행물
Intermittent Claudication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3
[31]
웹사이트
Peripheral Arterial Disease (PAD) {{!}} cdc.gov
https://www.cdc.gov/[...]
2021-11-10
[32]
서적
Current medical diagnosis & treatment 2019
McGraw Hill Medical
2018-09-07
[33]
논문
Psychological effects of amputation: A review of studies from India
2016
[34]
문서
Peripheral Arterial Disease
[35]
논문
Associations between conventiona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risk of peripheral artery disease in men
2012-10
[36]
웹사이트
Atherosclerotic peripheral artery disease
https://www.clinical[...]
Elsevier Point of Care
2018-12-11
[37]
웹사이트
Peripheral Artery Disease
https://www.lecturio[...]
2021-10-04
[38]
논문
Supporting Family Physician Maternity Care Providers
2019-04
[39]
논문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and coronary artery disease: Edinburgh Artery Study
1999-03
[40]
논문
Intermittent claudication, heart disease risk factors, and mortality. The Whitehall Study
1990-12
[41]
논문
Cigarette smoking and peripheral arterial occlusive disease
1993-10
[42]
논문
Diabetes and glucose tolerance as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e Framingham study
[43]
논문
Diabetes and vascular disease: pathophysiology, clinical consequences, and medical therapy: Part I
2003-09
[44]
논문
Diabetes and vascular disease: pathophysiology, clinical consequences, and medical therapy: Part II
2003-09
[45]
논문
Peripheral arterial disease in relation to glycaemic level in an elderly Caucasian population: the Hoorn study
1995-01
[46]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cholesterol-lowering treatment: prospective meta-analysis of data from 90,056 participants in 14 randomised trials of statins
2005-10
[47]
논문
Update on some epidemiologic features of intermittent claudication: the Framingham Study
1985-01
[48]
논문
Novel risk factors for systemic atherosclerosis: a comparison of C-reactive protein, fibrinogen, homocysteine, lipoprotein(a), and standard cholesterol screening as predictors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2001-05
[49]
논문
Inter-Society Consensus for the Management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TASC II)
[50]
논문
"[Peripheral artery disease: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2007-09
[51]
논문
Peripheral Arterial Disease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3-04-10
[52]
논문
A review of the pathophysiology and potential biomarkers for peripheral artery disease
2015-05
[53]
서적
Rosen's Emergency Medicine: Concepts and Clinical Practice
Elsevier, Inc.
2017-05-18
[54]
논문
Measurement and interpretation of the ankle-brachial index: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2-12
[55]
논문
Doppler assessment and ABPI: Interpretation in the management of leg ulceration
http://www.worldwide[...]
2001-03
[56]
논문
Noncompressible arteries correlate with increased cardiovascular mortality at 2 years
2013-10
[57]
논문
Diagnostic performance of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in peripheral arterial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9-01
[58]
논문
Lower extremity CT angiography in peripheral arterial disease: from the established approach to evolving technical developments
2021-10
[59]
논문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mparison of color duplex US and contrast-enhanced MR angiography for diagnosis
2005-05
[60]
논문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of abdominal and lower extremity vasculature
2005-02
[61]
논문
Inter-Society Consensus for the Management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TASC II)
2007
[62]
논문
"[Surgical treatment of peripheral circulation disorders]"
1954-12
[63]
논문
Recommended standards for reports dealing with lower extremity ischemia: revised version
1997-09
[64]
논문
Critical Limb Ischemia: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2016-02
[65]
논문
The Society for Vascular Surgery Lower Extremity Threatened Limb Classification System: risk stratification based on wound, ischemia, and foot infection (WIfI)
2014-01
[66]
논문
Screening for Peripheral Artery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ssessment With the Ankle-Brachial Index: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8-07
[67]
논문
A systematic review for the screening for peripheral arterial disease in asymptomatic patients
2015-03
[68]
논문
Smart Wearable Systems for the Remote Monitoring of Selected Vascular Disorders of the Lower Extremity: A Systematic Review
2022-01
[69]
논문
Oxygenation and flow in the limbs: Novel methods to characterize peripheral artery disease
2013
[70]
서적
Long-Term in Vivo Oxygen Sensors for Peripheral Artery Disease Monitoring
2019
[71]
간행물
Profusa Receives CE Mark Approval to Market the Wireless Lumee® Oxygen Platform for Continuous, Real-Time Monitoring of Tissue Oxygen
https://www.prnewswi[...]
2023-09-02
[72]
논문
COMPASS for Vascular Surgeons
[73]
논문
Pentoxifylline for intermittent claudication
2020-10
[74]
논문
The Society for Vascular Surgery Lower Extremity Threatened Limb Classification System: risk stratification based on wound, ischemia, and foot infection (WIfI)
2014-01
[75]
논문
Endovascular revascularisation versus conservative management for intermittent claudication.
[76]
논문
5-year results of a prospective study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1987-10
[77]
논문
Current state and perspective on medical treatment of critical leg ischemia: gene and cell therapy
2005-12
[78]
논문
Angioplasty versus bare metal stenting for superficial femoral artery lesions
2014-06
[79]
논문
Atherectomy for peripheral arterial disease
2020-09
[80]
논문
Shockwave Intravascular Lithotripsy (IVL) System with the Shockwave C2 Coronary Intravascular Lithotripsy (IVL) Catheter – P200039
https://www.fda.gov/[...]
2021-02-26
[81]
논문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y disease (compilation of 2005 and 2011 ACCF/AHA Guideline Recommendation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2013-04
[82]
논문
2011 ACCF/AHA Focused Update of the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y Disease (updating the 2005 guideline):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2011-11
[83]
논문
Epidemiology, classification, and modifiable risk factors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84]
논문
Management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in primary care
2003-03
[85]
논문
Lower extremity peripheral artery disease: a basic approach
Mark Allen Group
2020-03
[86]
논문
Epidemiology of Peripheral Artery Disease: Narrative Review
2022-07
[87]
논문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peripheral arterial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0
2004-08
[88]
논문
Burden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Peripheral Artery Disease: A Literature Review
2019-11-26
[89]
논문
HbA1c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in diabetes: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http://care.diabetes[...]
2006-04
[90]
논문
Current therapies and investigational drugs for peripheral arterial disease
2016-04
[91]
논문
Local intramuscular transplantation of autologous bone marrow mononuclear cells for critical lower limb ischaemia
2022-07
[92]
논문
Bypass versus angioplasty in severe ischaemia of the leg (BASIL):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2005-12
[93]
논문
Bypass versus Angioplasty in Severe Ischaemia of the Leg (BASIL) and the (hoped for) dawn of evidence-based treatment for advanced limb ischemia
2010-05
[94]
논문
Design and Rationale of the Best Endovascular Versus Best Surgical Therapy for Patients With Critical Limb Ischemia (BEST-CLI) Trial
2016-07
[95]
논문
Bypass versus angio plasty in severe ischaemia of the leg - 2 (BASIL-2) trial: study protocol fo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2016-01
[96]
뉴스
Gene Therapy for PAD Approved
http://www.dddmag.co[...]
2015-08-05
[97]
논문
pCMV-vegf165 Intramuscular Gene Transfer is an Effective Method of Treatment for Patients With Chronic Lower Limb Ischemia
2015-09
[98]
논문
Creating the Ideal Microcosm for Rapid Incorporation of Bioengineered Alternative Tissues Using An Advanced Hydrogel Impregnated Gauze Dressing: A Case Series
2008-09-01
[99]
웹사이트
What Is Peripheral Vascular Disease?
https://www.heart.or[...]
2015-02-26
[100]
웹사이트
Overview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 Heart and Blood Vessel Disorders
https://www.merckman[...]
2019-04-30
[101]
웹사이트
What Is Peripheral Arterial Disease?
http://www.nhlbi.nih[...]
2015-02-25
[102]
논문
Update on peripheral arterial disease: Epidemiology and evidence-based facts
2018
[103]
서적
Antiplatelet therapy in peripheral artery disease.
2012
[104]
웹사이트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http://www.nhlbi.nih[...]
2015-02-26
[105]
논문
Comparison of global estimates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peripheral artery disease in 2000 and 2010: a systematic review and analysis.
2013-10-19
[106]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Education / Medical
2018
[107]
웹사이트
What Causes Peripheral Arterial Disease?
http://www.nhlbi.nih[...]
2011-08-02
[108]
논문
2016 AHA/ACC Guideline o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Lower Extremity Peripheral Artery Disease: Executive Summary: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7-03-21
[109]
논문
Lifestyle and dietary risk factors for peripheral artery disease.
2014
[110]
웹사이트
How Is Peripheral Arterial Disease Diagnosed?
http://www.nhlbi.nih[...]
2011-08-02
[111]
논문
Screening for peripheral arterial disease
2014-04-07
[112]
논문
Peripheral artery disease screen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ssessment with the ankle-brachial index in adults: recommendation statement.
http://www.aafp.org/[...]
2014-12-15
[113]
논문
Supervised exercise therapy versus home-based exercise therapy versus walking advice for intermittent claudication.
2018-04-06
[114]
논문
Medical treatment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2006-02-01
[115]
웹사이트
"#307 Walking it off: How effective is exercise for management of peripheral artery disease?"
https://cfpclearn.ca[...]
2022-01-24
[116]
논문
Cilostazol for intermittent claudication.
2014-10-31
[117]
논문
The ankle-brachial index for peripheral artery disease screen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 prediction among asymptomatic adults: a systematic evidence review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3-09-03
[118]
논문
Is aspirin still the drug of choice for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ial disease?
2013-03
[119]
논문
ACCF/AHA update peripheral artery disease management guideline.
2012-05-15
[120]
웹사이트
How Is Peripheral Arterial Disease Treated?
http://www.nhlbi.nih[...]
2011-08-02
[121]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122]
서적
Vascular medicine : a companion to Braunwald's heart disease
Elsevier/Saunders
2013
[123]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124]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2014-12-17
[125]
웹인용
What Is Peripheral Vascular Disease?
https://www.heart.or[...]
2012
[126]
웹인용
What Is Peripheral Arterial Disease?
http://www.nhlbi.nih[...]
2011-08-02
[127]
간행물
Antiplatelet therapy in peripheral artery disease.
2012
[128]
문서
Peripheral Arterial Disease
[129]
논문
Associations between conventiona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risk of peripheral artery disease in men
2012-10
[130]
문서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peripheral arterial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0.
Circulation
2004
[131]
논문
Incidence of and risk factors for asymptomatic peripheral arterial occlusive disease: a longitudinal study
[132]
논문
Family History of Peripheral Artery Disease Is Associated With Prevalence and Severity of Peripheral Artery Disease
[133]
논문
Family history is a major determinant of subclinical peripheral arterial disease in young adults
[134]
논문
Novel risk factors for systemic atherosclerosis
[135]
논문
Inter-Society Consensus for the Management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TASC II)
[136]
논문
Die chirugische Behandlung der peripheren Durchblutungsstörungen. (Surgical treatment of peripheral circulation disorders)
[137]
논문
Management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in primary care
2003-03
[138]
논문
Cilostazol for peripheral arterial disease
[139]
논문
Pentoxifylline for intermittent claudic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