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라렌 MP4/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맥라렌 MP4/8은 1993년 맥라렌 팀이 사용한 포뮬러 원 경주차로, 스티브 니콜스와 닐 오틀리가 설계했으며, 포드 V8 엔진을 탑재했다. 아일톤 세나는 이 차를 운전하며 1993년 시즌 초반 6번의 레이스 중 3번을 우승하며 챔피언십을 이끌었으며, 최종적으로 드라이버 챔피언십 2위, 맥라렌은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2위를 기록했다. MP4/8은 휠베이스가 짧고, 액티브 서스펜션 등 하이테크 시스템을 갖췄으며, 람보르기니 V12 엔진 테스트에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맥라렌의 포뮬러 원 자동차 - 맥라렌 MP4-21
맥라렌 MP4-21은 2006년 포뮬러 원 시즌에 출전한 맥라렌 레이싱 팀의 경주차이며, 메르세데스-벤츠 V8 엔진을 사용했으나 잦은 문제로 우승 없이 시즌을 마쳤고,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3위를 기록했다. - 맥라렌의 포뮬러 원 자동차 - 맥라렌 MP4/12
맥라렌 MP4/12는 1997년 포뮬러 원 시즌에 맥라렌 팀이 참가하기 위해 제작한 경주차로, 말보로 스폰서십 종료 후 웨스트를 새로운 스폰서로 맞이하여 검정/은색의 팀 컬러를 적용하고 메르세데스-벤츠 엔진을 사용했으며, 데이비드 쿨사드와 미카 하키넨이 드라이버로 활동하여 2승을 거두고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4위를 기록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맥라렌 MP4/8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카테고리 | 포뮬러 원 |
제조사 | 맥라렌 |
디자이너 | 닐 오틀리(Executive Engineer) |
이전 모델 | MP4/7A |
다음 모델 | MP4/9 |
팀 | 말보로 맥라렌 |
드라이버 | 7. 마이클 안드레티 |
차대 | 탄소 섬유 및 벌집 복합 구조 |
프론트 서스펜션 | 더블 위시본, 푸시로드, 인보드 스프링 / 댐퍼 / 액추에이터 |
리어 서스펜션 | 더블 위시본, 푸시로드, 인보드 스프링 / 댐퍼 / 액추에이터 |
휠베이스 | 2845 mm (112.0 in) |
트랙 | 전면: 1690 mm (66.5 in) |
엔진 명칭 | 포드 HBD7 |
엔진 구성 | 75° V8 |
배기량 | 3494 cc (213.2 cu in) |
터보/자연 흡기 | 자연 흡기 (최대: MP4/8B (V12)의 경우 13700 rpm 및 14300 rpm) |
엔진 위치 | 미드 엔진, 세로 장착 |
최고 출력 | 640-730 hp (477-544 kW) @ 13,200 rpm |
기어박스 명칭 | 맥라렌 횡방향 |
종류 | 세미 자동 시퀀셜 |
기어 | 6단 |
연료 | 쉘 |
타이어 | 굿이어 |
무게 | 505 kg |
데뷔전 | 1993년 남아프리카 그랑프리 |
첫 우승 | 1993년 브라질 그랑프리 |
마지막 우승 | 1993년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마지막 경기 | 1993년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출전 횟수 | 16 |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 0 |
드라이버 챔피언십 | 0 |
폴 포지션 | 1 |
패스티스트 랩 | 1 |
포디움 | 9 |
2. 엔진
1988년부터 1992년까지 맥라렌에 엔진을 공급하며 드라이버 및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을 장악했던 혼다는 1992년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해 F1에서 철수했다.[28] 맥라렌은 르노 엔진을 대체 공급받지 못하고, 고객용 포드 V8 엔진을 사용해야 했다.[7] 이 엔진은 라이벌 윌리엄스의 V10 르노 엔진과 베네통의 고사양 포드 V8 엔진에 비해 출력이 낮았다.[7]
베네통은 포드 공장 팀과의 기존 계약으로 고사양 엔진을 사용했고, 맥라렌은 초기에는 기술적 진보가 부족한 고객용 엔진을 사용해야 했다.[7] 영국 그랑프리 이후 맥라렌은 더 높은 사양의 포드 엔진 공급을 확보했다.[7]
고객 사양 포드 엔진은 약 680hp, 베네통의 공장 포드 엔진은 700hp, 윌리엄스의 르노 엔진은 760hp에서 780hp, 페라리의 V12 엔진은 745hp으로 평가되었다.[7]
맥라렌 MP4/8에 탑재된 엔진의 상세 제원은 다음과 같다.
1992년 말 혼다 엔진을 잃은 맥라렌은 1993년 포드 HB 엔진을 탑재했다. MP4/8은 하이테크와 경량화에 성공했지만, 코스에 따라 엔진 파워 부족을 드러내며 르노 V10 엔진의 윌리엄스와 베네통의 미하엘 슈마허에게 고전했다.
3. 1993 시즌
아일톤 세나는 MP4/8의 핸들링과 민첩성에 감명을 받았지만, 포드-코스워스 V8 엔진의 출력 부족을 인지하고 그랑프리당 100만달러의 레이스별 계약을 요구했다. 일각에서는 이를 세나와 론 데니스의 마케팅 전략으로 보기도 했다.[8] 르노 V10 엔진이 출력 대 중량비가 더 높았지만, 포드-코스워스 V8 엔진은 르노 V10보다 가벼웠다.[9]
MP4/8은 경쟁력이 있었고, 세나는 시즌 초반 6번의 레이스 중 3번을 우승하며 1993년 캐나다 그랑프리까지 챔피언십을 이끌었다. 브라질에서의 2번째 우승, 6번째 모나코 그랑프리 우승, 영국 도닝턴 파크에서 열린 1993년 유럽 그랑프리 우승이 이에 해당한다.[10]
시즌 후반, 알랭 프로스트가 윌리엄스의 우위를 점하며 세나는 3위로 떨어졌지만, 일본과 호주에서 마지막 두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세나는 총 5번의 우승으로 드라이버 챔피언십 2위, 맥라렌은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2위를 차지했다.
MP4/8은 시즌 동안 84점을 획득했는데, 세나가 73점을 획득했다. 마이클 안드레티는 1993년 이탈리아 그랑프리 3위를 포함하여 몇 번의 포인트를 획득했지만, F1 환경, 액티브 서스펜션, 트랙션 컨트롤 등에 적응하지 못하고 미국으로 출퇴근하며 여러 테스트를 놓쳤다. 결국 안드레티는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후 팀을 떠났고, 이는 미국인 드라이버의 마지막 F1 포디움 피니시로 남아있다.[11]
1993년 포르투갈 그랑프리부터 미카 하키넨이 세나의 팀 동료가 되었다. 하키넨은 포르투갈 그랑프리 예선에서 세나를 앞섰고, 장 알레시의 페라리 F93A와 경쟁하다가 마지막 코너에서 실수로 벽에 부딪혔다. 시즌 나머지 기간 동안 한 번의 포디움과 한 번의 리타이어를 기록했다.[12]
시즌 전, 세나와 론 데니스의 계약 협상이 난항을 겪으며 세나의 챔프카 월드 시리즈 전향설, 휴양설이 보도되었다. 그러나 세나는 브라질 GP, 유럽 GP에서 연승하고, 모나코 GP 5연패를 달성하며 포인트 랭킹 1위가 되었다. 중반 이후 고속 서킷에서 고전했지만, 독일 GP부터 베네통과 동일한 스펙의 엔진을 공급받아 시즌 후반을 연승으로 마무리했다.
전 CART 챔피언 마이클 앤드레티는 잦은 사고 등으로 F1에 적응하지 못하고, 후반 3경기는 미카 하키넨에게 시트를 양보했다. 하키넨은 제14전 포르투갈 GP에서 세나를 예선에서 앞섰고, 제15전 일본 GP에서 첫 포디움에 오르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에서 맥라렌은 84점으로 윌리엄스 르노(168점)에 이어 2위를 차지했지만, 베네통(72점)을 앞섰다.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도 세나(73점)가 윌리엄스의 데이먼 힐(69점)을 제치고 2위를 기록했다.
세나가 MP4/8로 최종전 오스트레일리아 GP에서 우승한 후, 맥라렌은 3년 반 동안 F1에서 승리하지 못했다.
시즌 중 맥라렌은 람보르기니 V12 엔진을 탑재한 테스트 머신(MP4/8B)을 제작하여 세나와 하키넨이 테스트했다. 세나는 람보르기니 엔진을 추천했지만,[24] 팀은 푸조와 계약했고, 세나는 윌리엄스 르노로 이적했다.연도 No. 드라이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포인트 순위 RSA BRA EUR SMR ESP MON CAN FRA GBR GER HUN BEL ITA POR JPN AUS 1993 7 앤드레티 Ret Ret Ret Ret 5 8 14 6 Ret Ret Ret 8 3 84 2위 하키넨 Ret 3 Ret 8 세나 2 1 1 Ret 2 1 18 4 5 4 Ret 4 Ret Ret 1 1 3. 1. 기술적 특징
MP4/8은 휠베이스가 짧고, 윌리엄스 FW15C보다 전체 길이가 눈에 띄게 작았다. 프론트 부위의 공력 디자인이 개선되어, 하이 노즈와 노즈 하부에 킬(keel)을 채용했다. 개막전부터 사이드 폰툰과 프론트 타이어 사이에 대형 정류판(디플렉터[22], 버지 보드)이 설치되었다.
액티브 서스펜션, 파워 어시스트 브레이크, 시프트 업이 풀 오토화된 세미 오토매틱 트랜스미션 등 하이테크 시스템이 탑재되었다. 액티브 서스펜션은 맥라렌과 빌슈타인이 공동 개발했으며, 시즌 도중부터 풋워크 FA14에도 공급되었다.[23]
1992년 말 혼다 엔진을 잃은 맥라렌은 1993년에 포드 HB 엔진을 탑재했다. 그러나 코스에 따라 머신이 적합하지 않거나 엔진 파워가 부족한 경향을 보여, 르노 V10 엔진을 얹은 윌리엄스와 베네통의 미하엘 슈마허에게 고전했다.[23]
MP4/8을 테스트하고 실전에서 운전한 미카 하키넨은 섀시 밸런스 문제와 포드 HB 엔진의 파워 부족을 지적했다. 그는 연료 탱크 구조 변경, 밸러스트 위치 변경 등 세밀한 무게 배분 조정을 시도했지만, 공력 문제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했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23]
같은 포드 V8 엔진을 탑재한 베네통과의 경쟁에서, 포드 HB 엔진 공급 스펙을 둘러싼 갈등도 있었다. 원래 베네통이 포드와 워크스 계약을 맺고 최신 스펙(시리즈 VI, VII, VIII)을 사용할 권한을 가졌지만, 맥라렌이 시리즈 V 엔진으로 먼저 승리하자 론 데니스가 포드에 동등한 스펙을 요구했다. 결국 베네통의 플라비오 브리아토레, 포드, 론 데니스 3자의 합의로 제9전 영국 GP부터 MP4/8에도 최신 스펙 엔진(시리즈 VII, VIII)이 탑재되었다.
MP4/8의 기술 사양은 다음과 같다.
항목 | 사양 |
---|---|
섀시명 | MP4/8 |
휠베이스 | 2,902mm |
전륜 트레드 | 1,692mm |
후륜 트레드 | 1,607mm |
클러치 | AP |
브레이크 캘리퍼 | 브렘보 |
댐퍼 | 빌슈타인 & TAG 일렉트로닉스제 액티브 서스펜션 |
휠 | 스피드라인 |
타이어 | 굿이어 |
기어 박스 | 6단 종치 세미 오토매틱 |
3. 2. 베네통과의 경쟁
맥라렌은 같은 포드 V8 엔진을 사용하는 베네통과 시즌 내내 경쟁했다. 베네통은 포드와의 워크스 계약으로 최신 스펙 엔진(시리즈 VI, VII, VIII)을 사용할 권한을 가지고 있었지만, 맥라렌은 고객용 엔진(시리즈 V)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일톤 세나의 활약으로 베네통보다 먼저 승리했다.[28] 이에 론 데니스는 포드에 베네통과 같은 최신 스펙 엔진을 요구했고, 영국 그랑프리부터 MP4/8에도 최신 스펙 엔진(시리즈 VII, VIII)이 탑재되었다.[21]4. MP4/8B
1993년, 맥라렌은 MP4/8의 개량형인 MP4/8B를 제작하여 람보르기니 V12 엔진 (람보르기니 LE3512) 테스트 차량으로 활용했다. 이 엔진은 710hp를 냈으며, 당시 라루스 팀에도 공급되었고, 이전에는 로터스와 리지에 팀에서도 사용되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3]
아일톤 세나와 미카 하키넨은 실버스톤 서킷과 에스토릴 서킷에서 MP4/8B를 테스트했다. 세나는 엔진 설계자인 마우로 포르기에리에게 중저속 토크를 개선해달라고 요청했고, 포르기에리는 이를 반영하여 엔진을 개량했다. 그 결과 최고 속도에서 25hp를 잃었지만, 1993년 람보르기니 레이스 엔진보다 40hp를 더 얻어 약 750hp를 낼 수 있었다. 이는 고객용 포드 V8 엔진보다 약 70hp 더 많고, 르노 V10 엔진과 거의 동등한 수준이었다.[15]
MP4/8B와 람보르기니 V12 엔진의 조합은 포드 엔진을 장착한 MP4/8 레이스카보다 안정적이고 타이어에 부담을 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나와 하키넨은 엔진의 낮은 신뢰성에도 불구하고 차량과 엔진 조합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16] 하키넨은 실버스톤 테스트 중 엔진 폭발을 경험했는데, 폭발 직전까지 엔진 출력이 계속 증가하여 포드 엔진보다 훨씬 빠르다고 느꼈다고 한다.[16]
세나는 1993년 일본 그랑프리에서 람보르기니 엔진으로 레이싱하는 것에 관심을 보였지만,[15] 맥라렌은 1994년에 푸조 A6 V10 엔진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5. 비디오 게임에서의 등장
맥라렌 MP4/8은 아스팔트 8: 에어본에서 플레이 가능한 차량으로 등장했으며, 2017년 1월 "2017 설 업데이트"에 추가되었다.
6. 기타
4회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 출신인 세바스티안 페텔은 나이젤 만셀이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윌리엄스 FW14B와 함께 2023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에서 아일톤 세나의 맥라렌 MP4/8을 운전했다.[19]
페텔은 1994년 산마리노 그랑프리에서 30년 전에 사고로 사망한 아일톤 세나와 롤랜드 라젠버거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2024년 에밀리아 로마냐 그랑프리에서 세나의 차를 데모 주행했다.[20]
7. 1993년 포뮬러 원 성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