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듈라이 (물리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듈라이는 3차원 이상의 양자장론에서 바닥 상태가 유일하지 않을 때 가능한 바닥 상태들의 공간을 지칭하며, 그 공간의 좌표에 대응되는 스칼라장을 의미한다. 끈 이론에서는 가능한 끈 배경을 나타내는 다양한 연속 매개변수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초대칭을 가진 이론에서는 복잡한 모듈라이 공간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모듈라이 공간은 양자 보정을 포함하더라도 초대칭에 의해 기하학이 제한되어 계산이 용이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끈 이론 - 중력자
    중력자는 중력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가상의 기본 입자로 여겨지지만, 양자화된 일반 상대성 이론의 문제로 인해 완전한 이론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중력파의 존재가 간접적으로 뒷받침하지만 직접적인 검출은 현재 불가능하고 질량에 대한 상한선이 제시되고 있으며 초대칭 파트너인 그라비티노의 존재가 예측된다.
  • 끈 이론 - 잡종 끈 이론
    잡종 끈 이론은 닫힌 끈의 왼쪽 진동 모드는 보손 끈, 오른쪽 진동 모드는 초끈으로 전개하며, 10차원 시공간에서 E8×E8 또는 SO(32) 게이지 군을 갖는 끈 이론이다.
  • 양자장론 - 페르미-디랙 통계
    페르미-디랙 통계는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르는 페르미 입자의 통계적 분포를 설명하는 양자 통계로, 금속 내 전자 현상 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페르미 입자가 특정 에너지 준위를 점유할 확률을 나타낸다.
  • 양자장론 - 양자 색역학
    양자 색역학은 색 전하를 국소 대칭으로 정의한 SU(3) 게이지 군의 비아벨 게이지 이론으로, 쿼크와 글루온을 기본 입자로 하여 쿼크 사이의 강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며, 점근적 자유성과 색 가둠의 특징을 가지는 이론이다.
모듈라이 (물리학)
모듈라이 (물리학)
유형
관련 항목끈 이론, 초대칭, 진공 에너지, 모듈러스 안정화

2. 정의

3차원 이상의 양자장론에서, 바닥 상태가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현상은 (푸앵카레 대칭을 가정한다면) 어떤 스칼라장진공 기댓값을 가지게 되어 발생한다. (푸앵카레 대칭이 자발 대칭 깨짐을 겪지 않으려면, 스칼라장이 아닌 다른 스핀을 갖는 장들은 진공 기댓값을 가질 수 없다.) 이 경우, 가능한 바닥 상태들의 공간을 '''모듈라이 공간'''이라고 하며, 그 좌표에 대응되는 스칼라장을 '''모듈라이'''라고 한다.

기하학적으로, 스칼라장은 (시그마 모형으로 생각하여) 어떤 매끄러운 다양체 또는 오비폴드 위의 값을 가지며, 그 위에 퍼텐셜이 존재한다. 이 경우, 모듈라이 공간은 퍼텐셜이 최솟값을 가지게 되는 점들로 구성되는 부분 공간이다.

양자장론에서, 가능한 진공은 보통 스칼라장의 진공 기댓값으로 표시되며, 로렌츠 불변성은 임의의 고차 스핀장의 진공 기댓값이 0이 되도록 강제한다.[2] 이러한 진공 기댓값은 포텐셜 함수가 최소가 되는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다.[2] 결과적으로, 포텐셜 함수가 연속적인 전역 최소 집합을 가질 때, 양자장론의 진공 공간은 일반적으로 '''진공 다양체'''라고 불리는 다양체(또는 오비폴드)이다.[2]

'''모듈리'''라는 용어는 또한 끈 이론에서 가능한 끈 배경을 표시하는 다양한 연속 매개변수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2] 예를 들어 딜라톤 장의 기댓값, 콤팩트화 다양체의 형태를 제어하는 매개변수(예: 반지름 및 복소 구조) 등이 있다. 이러한 매개변수는 저에너지에서 끈 이론을 근사하는 양자장론에서 질량이 없는 스칼라장의 진공 기댓값으로 표현되어 위에 설명된 사용법과 연결된다.[2]

3. 예

3. 1. 끈 이론의 모듈라이

끈 이론은 다양한 고전해(배경, background영어)에 대하여 축소화할 수 있다. 이 때, 배경은 끈의 결합 상수, 축소화 차원들의 크기와 모양 등 여러 매개변수를 가지는데, 축소화한 유효 이론에서 이 매개변수들은 스칼라장의 진공 기댓값들로 나타내어진다. 따라서 끈 이론의 배경의 매개변수들은 그 유효 양자장론의 모듈라이들과 대응하게 된다. 이 때문에 끈 이론에서는 가능한 배경들의 집합을 "모듈라이 공간"이라고 일컫는다.

3. 2.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모듈라이

대부분의 양자장론들은 자명한 모듈라이 공간을 가지지만, 초대칭을 가지는 이론들 (초중력, 초대칭 게이지 이론 등)은 매우 복잡한 모듈라이 공간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6][7]

예를 들어, 4차원 \mathcal N=1 초대칭을 가지는 이론의 모듈라이 공간은 켈러 다양체이어야 한다. 만약 이 이론이 중력을 포함한다면 (즉, 초중력이라면) 그 모듈라이 공간은 켈러 다양체일 뿐만 아니라 호지 다양체(Hodge manifold, 그 켈러 형식 \omega코호몰로지 모임이 정수 계수의 코호몰로지의 원소인 켈러 다양체)이어야 한다.[8]

일반적인 양자장론에서는 고전적인 포텐셜 에너지가 가능한 여러 기댓값에서 최소화되더라도 양자 보정을 포함하면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의 거의 모든 것이 에너지를 최소화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양자역학의 진공 집합은 일반적으로 고전역학의 진공 집합보다 훨씬 작아진다. 주목할 만한 예외는 문제의 다양한 진공이 에너지 준위가 정확히 축퇴되도록 보장하는 대칭성과 관련될 때 발생한다.

초대칭 양자장론에서는 상황이 매우 다르다.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모듈라이 공간은 양자 보정을 포함하더라도 초대칭이 모듈라이 공간의 허용된 기하학을 제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초대칭 이론의 모듈라이 공간보다 계산하기가 더 쉽다.

3. 3. \mathcal N>1 초대칭 이론

4차원 \mathcal N=2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모듈라이 공간은 다음과 같은 가지(branch영어)들로 이루어진다.[7] 이 가지의 모듈라이 공간은 중력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강성 특수 켈러 다양체 구조를 가지며,[7][9] 중력을 포함하는 경우, 사영 특수 켈러 다양체이다.[7] 사영 특수 켈러 다양체는 국소 특수 켈러 다양체 또는 단순히 특수 켈러 다양체로 불리기도 한다. 하이퍼 초다중항의 스칼라가 진공 기댓값을 가지는 힉스 가지의 모듈라이 공간은 (초중력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초켈러 다양체를 이룬다.[7][10] 만약 이 이론이 초중력을 포함하면, 모듈라이 공간은 보다 더 일반적인 사원수 켈러 다양체를 이룬다.[7] 벡터 초다중항과 하이퍼 초다중항 둘 다 진공 기댓값을 가지는 경우는 혼합 가지이다.[11]

\mathcal N=4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모듈라이 공간은 아예 리만 곡률을 가지지 않는다.[7] 일반적으로 최대 초중력(maximal supergravity영어, 주어진 차원에서 최다의 초대칭을 가지는 중력 이론)들의 모듈라이 공간은 동차공간 G/H (G, H리 군)의 꼴이다.[7] 11차원 초중력은 아예 스칼라장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모듈라이 공간이 없다. 최대 초중력에서는 낮은 차원일수록 더 모듈라이 공간이 커지는데, 이는 높은 차원의 이론을 축소화하여 낮은 차원의 이론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N>2인 확장된 초대중력 이론에서, 모듈 공간은 항상 대칭 공간이어야 한다.

3. 4. 특수기하학

'''특수기하학'''(special geometry영어)은 \mathcal N=2 초대칭 이론의 쿨롱 가지 모듈라이 공간을 나타내는 기하학이다.[12][13][14] 또한, 복소3차원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복소 구조 모듈라이의 모듈라이 공간도 사영특수기하학으로 나타내어진다.

'''강성 특수 켈러 다양체'''(rigid special Kähler manifold영어) (M,E,\Omega)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이루어진다.[12][13][14]

  • 복소 ''g''차원 켈러 다양체 ''M''
  • 군 표현 \phi\colon\pi_1(M)\to\operatorname{Sp}(2g,\mathbb Z). 이를 사용하여, 올이 격자 (\mathbb Z^{2g},\eta)인 올다발 \Gamma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eta는 격자 위에 정의된 심플렉틱 형식이다.
  • ''L''이 M 위에 정의된 평탄한 복소 선다발이라고 하면, 복소2''g''차원 해석적 벡터다발 E=\Gamma\otimes L. 이에 따라 E의 올은 \eta에 따라 심플렉틱 벡터 공간을 이룬다.
  • ''E''에 주어진 평탄한(곡률이 0인) 코쥘 접속 (\nabla,\bar\nabla). 여기서 vE의 해석적 단면이라면 \bar\nabla v=0이고, \bar v가 반해석적 단면이라면 \nabla \bar v=0이다.
  • E의 해석적 단면 \Omega\subset\Gamma(E)


이들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 (접속의 평탄성) \nabla^2=\bar\nabla^2=[\nabla,\bar\nabla]=0
  • (심플렉틱 구조의 공변상수성) E의 해석적 단면 u,v에 대하여, d\eta(u,v)=\eta(\nabla u,v)+\eta(u,\nabla v)
  • (라그랑주 조건) 0=\eta(\nabla\Omega,\nabla\Omega)\in\Omega^{(2,0)}M\otimes L
  • (양부호성) 0<-i\eta(\nabla\Omega,\bar\nabla\bar\Omega)\in\Omega^{(1,1)}M\otimes L
  • (켈러 구조와의 호환성) ''M''의 켈러 형식 K는 다음과 같다.

::K=-(i/2)\partial\bar\partial\eta(\Omega,\bar\Omega)\in\Omega^{(1,1)}M

:\eta(\Omega,\bar\Omega)\in L이므로, 일반적으로 켈러 형식의 코호몰로지는 자명하지 않다.

'''사영 특수 켈러 다양체'''(projective Kähler manifold영어)의 정의는 강성 특수 켈러 다양체의 정의와 거의 같으나, 조건 가운데 두 개를 다음과 같이 바꾸고, 조건 하나를 추가한다.

  • (라그랑주 조건) 0=\eta(\Omega,\nabla\Omega)
  • (켈러 구조와의 호환성) ''M''의 켈러 형식 K는 다음과 같다.

::K=-(i/2)\partial\bar\partial\ln\eta(\Omega,\bar\Omega)\in\Omega^{(1,1)}M

  • (호지 조건) M은 '''호지 다양체'''(Hodge manifold영어)여야 한다. 즉, 켈러 형식 K의 돌보 코호몰로지 동치류 [K]\in H^{1,1}(M;\mathbb C)는 정수 계수 코호몰로지 원소이어야 한다: K\in H^{(1,1)}(M;\mathbb Z).

3. 5. 2차원 계

2차원 양자장론에서는 일반적으로 머민-바그너 정리에 의하여 모듈라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고전적으로 모듈라이가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면, 양자역학적으로 실제 바닥 상태는 이 ‘모듈라이 공간’ 위의 어떤 파동 함수로 구성된다.

4. 초대칭 양자장론에서의 모듈라이 공간

일반적인 양자장론에서는 고전적인 포텐셜 에너지가 가능한 여러 기댓값에서 최소화되더라도 양자 보정을 포함하면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의 거의 모든 것이 에너지를 최소화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양자역학의 진공 집합은 일반적으로 고전역학의 진공 집합보다 훨씬 작아진다. 주목할 만한 예외는 문제의 다양한 진공이 에너지 준위가 정확히 축퇴되도록 보장하는 대칭성과 관련될 때 발생한다.

초대칭 양자장론에서는 상황이 매우 다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이론은 임의의 대칭성과 관련되지 않은 넓은 진공 모듈라이 공간을 가지며, 예를 들어 다양한 여기의 질량은 모듈라이 공간의 다양한 지점에서 다를 수 있다.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모듈라이 공간은 양자 보정을 포함하더라도 초대칭이 모듈라이 공간의 허용된 기하학을 제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초대칭 이론의 모듈라이 공간보다 계산하기가 더 쉽다.

4. 1. 4차원 이론의 허용된 모듈라이 공간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서 초대칭성이 강할수록 진공 다양체에 대한 제약이 더 강해진다.[7] 주어진 초전하 스피너 수 N에 대해 아래에 나타나는 제약이 있다면, N의 모든 더 큰 값에 대해서도 유효하다.[7] N>2인 확장된 초중력 이론에서, 모듈 공간은 항상 대칭 공간이어야 한다.[7]

4차원 \mathcal N=2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모듈라이 공간은 다음과 같은 가지(branch영어)들로 이루어진다.[7]

  • 쿨롱 가지는 벡터 초다중항의 스칼라가 진공 기댓값을 가지는 경우다.
  • 힉스 가지는 하이퍼 초다중항의 스칼라가 진공 기댓값을 가지는 경우다.
  • 혼합 가지는 벡터 초다중항과 하이퍼 초다중항 둘 다 진공 기댓값을 가지는 경우다.


\mathcal N=4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모듈라이 공간은 리만 곡률을 가지지 않는다.[7] 일반적으로 최대 초중력(maximal supergravity영어, 주어진 차원에서 최다의 초대칭을 가지는 중력 이론)들의 모듈라이 공간은 동차공간 G/H (G, H리 군)의 꼴이다.[7] 11차원 초중력은 아예 스칼라장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모듈라이 공간이 없다. 최대 초중력에서는 낮은 차원일수록 더 모듈라이 공간이 커지는데, 이는 높은 차원의 이론을 축소화하여 낮은 차원의 이론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7]

참조

[1] 논문 Theorie der Abel'schen Functionen http://www.maths.tcd[...] 1857
[2] 논문 Kibble mechanism for electroweak magnetic monopoles and magnetic fields Arizona State University 2022-01-16
[3] 논문 Supersymmetry and Kähler manifolds https://inspirehep.n[...] 1979-11
[4] 논문 Spontaneous symmetry breaking and Higgs effect in supergravity without cosmological constant http://www.slac.stan[...] 1979-01
[5] 논문 Quantization of Newton's constant in certain supergravity theories https://inspirehep.n[...] 1982-09
[6] 저널 Supersymmetry and Kähler manifolds 1976-11-05
[7] 문서 Polchinski vol. 2
[8] 저널 Quantization of Newton's constant in certain supergravity theories 1982-09-02
[9] 저널 Special Geometry https://archive.org/[...] 1990-09
[10] 저널 Geometrical structure and ultraviolet finiteness in the supersymmetric σ-model https://archive.org/[...] 1981
[11] 저널 Non-perturbative dynamics of four-dimensional supersymmetric field theories http://www.physics.u[...] 2013-02-15
[12] 저널 Special Kähler manifolds https://archive.org/[...] 1999-05
[13] 저널 What is special Kähler geometry? 1997-10-20
[14] 저널 Les Houches lectures on fields, strings and duality 199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