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호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호크어는 이로쿼이 언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과거 이로쿼이 연맹의 모호크족이 사용했으며, 현재는 캐나다와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현재 모호크어는 위협받는 언어로 분류되며, 화자 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 모호크어 부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미디어에서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음운론적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로쿼이어족 - 세네카어
세네카어는 이로쿼이어족에 속하며, 세네카족이 사용하는 언어로서, 현재 약 100명의 화자가 사용하고 있으며, 언어 부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이로쿼이어족 - 체로키어
체로키어는 이로쿼이어족에 속하는 유일하게 사용되는 남부 이로쿼이어족 언어로서, 세쿼이아가 발명한 85개의 음절 문자를 사용하며, 오클라호마주와 노스캐롤라이나주 일부에서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포합어 - 알류트어
알류트어는 알래스카와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에스키모-알류트족의 언어로, 동부, 아트카, 아투 섬, 코퍼 섬 방언으로 나뉘며, SOV 어순을 따르고 언어 활성화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포합어 - 나바호어
나바호어는 아타바스칸어족에 속하며 미국 남서부 나바호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성조와 복잡한 동사 활용, SOV 어순을 특징으로 하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암호 통신에 사용되기도 했다. - 캐나다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캐나다의 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켈트어의 일종으로 아일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스코틀랜드에 전파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만 사용하고 있고, 잉글랜드의 탄압과 영어 확산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으로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지만 소멸 가능성 우려도 제기되는 언어이다. 
| 모호크어 | |
|---|---|
| 언어 정보 | |
| 이름 | 모호크어 | 
| 고유어 이름 | 카니엔'케하 (Kanienʼkéha) | 
| 발음 | /ɡɑ.njʌ̃ʔ.ˈɡɛ.haʔ/ | 
| 사용 국가 | 미국, 캐나다 | 
| 사용 지역 | 온타리오주, 퀘벡주, 뉴욕주 북부 | 
| 사용자 | 3,875명 (2011-2016년) | 
| 민족 | 모호크족 | 
| 언어 분류 | |
| 어족 | 이로쿼이어족 | 
| 분파 | 북부 이로쿼이어족 | 
| 세부 분파 | 레이크 이로쿼이어족 | 
| 하위 | 파이브 네이션스 | 
| 더 하위 | 모호크-오네이다어족 | 
| 언어 코드 | |
| ISO 639-1 | 없음 | 
| ISO 639-2 | moh | 
| ISO 639-3 | moh | 
| Glottolog | moha1258 | 
| 기타 정보 | |
| 문자 | 라틴 문자 | 
| 언어 생존력 | 심각한 위기 | 
| 분포 | |
![]()  | |
2. 역사
모호크족은 원래 이로쿼이 연맹의 다섯 부족 중 가장 크고 강력한 부족으로, 이로쿼이 연맹의 동부 변경 지역에 광대한 영토를 통치했다. 오늘날 뉴욕주 북부와 애디론댁 산 지역은 18세기 말까지 모호크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모호크어는 현재 위협 상태로 분류되며, 모어 화자의 수는 지난 수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5] 모호크어는 북부 이로쿼이 언어군 중 가장 많은 화자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 1,000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유일한 언어이다. 2006년에는 캐나다에서 600명 이상이 이 언어를 사용한다고 보고되었으며, 그중 많은 수가 고령자였다.[9] 2011년에는 주로 퀘벡, 온타리오, 그리고 뉴욕 서부 지역에 약 3,500명의 모호크어 사용자가 있었다.[11][12] 2016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서는 875명이 모호크어를 유일한 모국어로 답했다.[2] 
여러 모호크족 공동체에서 언어는 약간 다르게 말한다. 가장 눈에 띄는 차이는 'r'인데, 아퀘사스네에서는 'L'로 발음한다. 또 다른 차이는 'ts'의 발음인데 카나와케에서는 이 소리를 'tsunami'의 'ts'와 유사하게 발음하지만 다른 보호구역에서는 다르다. 세 번째 차이는 자음 'k'와 't'를 발음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방언에서는 이 자음을 모음 앞에 있을 때 영어의 'g'와 'd'(한글의 'ㄱ'과 'ㄷ')처럼 소리난다. 그러나 티엔디나가에서는 어떤 화자가 자음이 어떤 모음 앞에 있을 때(영어의 'skate'나 'stake' 같이) 무기음의 무성음(unaspirated voiceless)으로 발음한다. 모호크 방언의 차이는 캐나다 영어와 미국식 영어의 사이와 같은 것이다. 
여러 모호크족 공동체에서 언어는 약간 다르게 말한다. 가장 눈에 띄는 차이는 'r' 발음인데, 아크웨사스네에서는 'L'로 발음한다. 또 다른 차이는 'ts'의 발음인데, 카나와키에서는 'tsunami'의 'ts'와 유사하게 발음하지만 다른 보호구역에서는 다르다. 세 번째 차이는 자음 'k'와 't'를 발음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방언에서는 이 자음을 모음 앞에 있을 때 영어의 'g'와 'd'(한글의 'ㄱ'과 'ㄷ')처럼 소리낸다. 그러나 티엔디나가에서는 어떤 화자가 자음이 어떤 모음 앞에 있을 때(영어의 'skate'나 'stake' 같이) 무기음의 무성음으로 발음한다. 모호크 방언의 차이는 캐나다 영어와 미국식 영어의 차이와 유사하다.
3. 현재 상태

언어 부흥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아크웨서스네에서는 주민들이 ''Kanienʼkéha''로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8학년까지의 언어 몰입 학교를 설립했다. 아이들이 언어를 배우면서 부모와 다른 가족 구성원들도 언어 수업을 듣고 있다. 아크웨서스네 모호크족이 허가한 라디오 방송국 CKON-FM은 프로그램의 일부를 ''Kanienʼkéha''로 방송한다.
모호크족 학부모들은 1979년에 아크웨서스네 자유 학교를 설립하고, 6년 후 모호크어 몰입 교육 과정을 시행했다.[7] 1985년에는 성인 몰입 프로그램도 만들어졌다.[8]
'''카나치오하레케'''(Gah-nah-jo-ha-lay-gay)는 뉴욕주 폰다 서쪽에 위치한 작은 모호크 공동체로, 모호크어와 문화를 가르치는 "거꾸로 된 칼라일 인디언 기숙 학교"를 지향한다.[2] 이 공동체는 전통적인 가치, 문화, 언어 및 생활 방식을 보존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한다.
카나와키는 퀘벡주 몬트리올 중심부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최초의 몰입 프로그램인 모호크 생존 학교는 1979년에 설립되어 모호크어 부활을 목표로 했다.[10] 빌 101 통과 이후 부모들 사이에서 몰입 수업의 중요성이 커졌고, 모호크 생존 학교는 고등학교 수준의 언어 교육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3] 카나와키와 카나치오하레케는 성인을 위한 몰입 수업을 제공한다.[15][16]
4. 방언
모호크어에는 세 가지 주요 방언이 있다: 서부(Ohswé:kenmoh 및 Kenhté:kemoh), 중부(Ahkwesáhsnemoh), 동부(Kahnawà꞉kemoh 및 Kanehsatà꞉kemoh). 이들 방언의 차이는 주로 음운론적이다. 이는 18세기 이후 주요 모호크족 영토와 관련이 있다. 의 발음과 몇몇 자음군이 방언에 따라 다를 수 있다.기저 음운론 서부 중부 동부 일곱 아홉 나는 떨어진다 개 
5. 음운론
모호크어에는 세 가지 주요 방언이 있다: 서부(Ohswé:ken|오스웨켄moh 및 Kenhté:ke|켄테케moh), 중부(Ahkwesáhsne|아퀘사슨moh), 동부(Kahnawà꞉ke|카나와케moh 및 Kanehsatà꞉ke|카네사타케moh). 이들 방언의 차이는 주로 음운론적이며, 18세기 이후 주요 모호크족 영토와 관련이 있다. 의 발음과 몇몇 자음군이 방언에 따라 다를 수 있다.기저 음운론 서부 중부 동부 일곱 아홉 나는 떨어진다 개 
모호크어 음운론의 흥미로운 특징은 순음([m], [p], [b], [f], [v])이 없다는 것이다. 이는 프랑스어와 영어를 차용하면서 [m]과 [p]가 나타난 경우(예: mátsis|마찌스moh "성냥", aplám|아플람moh "아브라함")를 제외하면 그렇다. 이 소리들은 모호크어 음운론에 늦게 추가되었으며, 유럽과의 광범위한 접촉 이후에 도입되었다.
5. 1. 자음
h는 한국어의 "ㅎ"처럼 발음한다.
k는 "ㄱ"이나 "ㅋ"처럼 발음한다.
kw는 영어의 "Gwen"이나 "queen"처럼 발음한다.
r은 한국어의 "ㄹ"처럼 발음한다. 어떤 방언에서는 로마자의 "L"로 발음한다.
n은 한국어의 "ㄴ"처럼 발음한다.
s는 한국어의 "ㅅ"처럼 발음하나 로마자 'y'나 'i'앞에 있으면 영어의 'shell'의 'sh'처럼 발음한다.
t는 한국어의 "ㄷ"이나 "ㅌ"처럼 발음한다.
ts는 한국어로 "ㅊ"처럼 발음하나 로마자 'y'나 'i'앞에 있으면 'ㅈ'처럼 발음한다.
w는 영어의 'way'의 "W"처럼 발음한다.
wh는 어떤 모호크어 사용자는 많은 영국식 영어의 사용자가 발음하는 "which"처럼 무성음의 "W"(voiceless "breathy w")로 발음한다. 그러나 다른 모호크어 사용자들은 영어의 ' fair'의 "f"처럼 발음한다.
y는 영어의 "yes"의 "y"처럼 발음한다.
’는 끊어 줄때 내는소리(pause sound)이다. "uh-oh."의 가운데처럼 발음한다.
단, 'th'는 영어의 'think'처럼 발음하지 않으며 'sh'도 영어의 'mishap'처럼 발음한다.[1]
모호크어의 음소 목록은 다음과 같다(국제 음성 기호를 사용).[1]
모호크어(그리고 이로쿼이어족 언어) 음운론의 흥미로운 특징은 순음([m], [p], [b], [f], [v])이 없다는 것이다. 이는 프랑스어와 영어를 차용하면서 [m]과 [p]가 나타난 경우를 제외한다.(예: mátsis|마찌스moh "성냥" 및 aplám|아플람moh "아브라함"). 이러한 소리는 모호크어 음운론에 늦게 추가되었으며, 광범위한 유럽과의 접촉 이후에 도입되었다.[1]
중앙 방언(Ahkwesáhsne|아퀘사슨moh)은 다음과 같은 자음군을 가지고 있다.[1]
모든 자음군은 단어 중간에 올 수 있으며, 색깔이 칠해진 배경의 자음군은 단어 처음에 올 수도 있다.[1]
| 1번째↓ · 2번째→ | t | k | s | h | l | n | d͡ʒ | j | w | 
|---|---|---|---|---|---|---|---|---|---|
| t | tt | tk | ts | th | |||||
| k | kt | kk | ks | kh | kw | ||||
| ʔ | ʔt | ʔk | ʔs | ʔl | ʔn | ʔd͡ʒ | ʔj | ʔw | |
| s | st | sk | ss | sh | sl | sn | sj | sw | |
| h | ht | hk | hs | hl | hn | hd͡ʒ | hj | hw | |
| l | lh | lj | |||||||
| n | nh | nl | nj | ||||||
| d͡ʒ | d͡ʒj | ||||||||
| w | wh | 
 와 는 영어의 "thing"과 "she"와 같은 단일 소리가 아닌 자음군으로 발음된다.[1]
자음 와 자음군 는 유성음(즉, 모음 또는 ) 앞에서 유성음으로 발음된다. 단어의 끝이나 무성음 앞에서는 무성음으로 발음된다. 는 단어 처음에 오거나 모음 사이에 위치할 때 유성음으로 발음된다.[1]
:kà꞉sere|가세레moh  "차"[1]
:thí꞉ken|티건moh  "그"[1]
:shé꞉kon|세곤moh  "여전히"[1]
5. 2. 모음
A a - 한국어의 '아'로 발음한다.A: a: - '아' 발음을 좀 더 길게 끌어준다.
E e - 한국어의 '에'로 발음한다.(:가 붙어있으면 좀 더 끌어서 읽는다.)
I i - 한국어의 '이'로 발음한다.(:가 붙으면 좀 더 끌어서 읽는다.)
O o - 한국어의 '오'로 발음한다.(:가 붙으면 좀 더 끌어서 읽는다.)
- 비음 - 비음 모음은 영어에 없다. 그러나 프랑스어와 유사하거나 영어로 말하는 사람이 프랑스 억양을 쓰는 것과 유사하다. 그들은 구두 모음과 같이 발음하며, 코와 입을 이용해 발음을 한다. 영어 사용자에게는 콧소리 모음이 글자의 끝에 'n(ㄴ)'과 약간 비슷하게 발음한다. 예를 들면 프랑스어의 'bon'과 'Jean'처럼 발음한다.
 
en (en, ę, enh): 이때는 '언'과 유사하게 발음한다.
en: (en, ę:)
on (ų, onh, ũ)
on: (on, ų:, ũ)
모호크어는 구강 모음과 비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4개의 모음 음질은 구강 음소 /i e a o/에서 나타나고, 2개는 비모음(/ʌ̃ ũ/)으로만 나타난다. 모음은 장모음 또는 단모음이 될 수 있다.
5. 3. 강세, 장단, 성조
모호크어 단어는 강세와 성조를 모두 가지며, 제한된 성조 체계 (일명 고저 악센트 체계)로 분류될 수 있다. 강세를 받는 모음은 고조, 저조, 상승조, 하강조의 네 가지 성조 구성 중 하나를 가지며, 이 중 상승조와 하강조는 윤곽 성조이다. 윤곽 성조는 장모음이 있는 음절에서만 나타난다.모호크어 음운론에서 강세, 모음 길이 및 성조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 고조: 일반적으로 단모음을 포함하는 폐쇄 음절 또는 /h/|/h/영어 앞에서 나타난다. 예각 악센트 기호로 표기한다. (예: káhi|/ˈkáhi/moh '과일', oháha|oˈháha/moh '길').
 - 상승조: 일반적으로 개방 음절에서 나타난다. 예각 악센트와 콜론의 조합으로 표기한다. (예: kaná꞉ta|moh '마을', rón꞉kwe|moh '남자'). 장모음 중 하나가 비음 모음일 경우 콜론은 n|n영어 다음에 나타난다.
 - 장하강조: 단어 강세가 /ʔ/|/ʔ/영어 또는 /h/|/h/영어 + 자음 앞의 모음에 오는 결과이다 (물론 이 규칙 및 다른 규칙에도 예외가 있을 수 있다). 기본 /ʔ/|/ʔ/영어 또는 /h/|/h/영어는 강세가 다른 곳에 놓이면 다시 나타난다. 둔각 악센트와 콜론으로 표기한다. (예: onekwèn꞉ta|/oneˈkwʌ̃̂ːta/moh '위').
 
표준 철자법에서 모음을 길게 표시하기 위해 콜론을 모음 뒤에 사용한다. 성조는 중간, 고조, 중간-저조 하강 및 중간-고조 상승의 4가지가 있으며, 후자 두 개(중간-저조 하강, 중간-고조 상승)는 장모음(V:)에서 나타난다.
6. 문자
모호크어 정자법은 '''a''', '''e''', '''h''', '''i''', '''k''', '''n''', '''o''', '''r''', '''s''', '''t''', '''w''', '''y''', '''’''', '''꞉''' 문자를 사용한다. 1993년에 표준화된 정자법은 언어 표현 방식에 약간의 변동을 허용한다.[19] 각 음소 조합은 각 공동체에서 발음되는 대로 표기된다.
- 성문 파열음는 아포스트로피('''ʼ''')로 표기하지만, 단어 끝에서는 종종 생략된다. 특히 동부 방언에서는 일반적으로 발음되지 않기 때문에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 동부 방언: '''ts'''로 표기 (발음 반영). 예: tsá꞉tamoh () "일곱"
 - 중부 방언: '''tsi'''로 표기. 예: tsiá꞉tamoh () "일곱"
 - 서부 방언: '''tsy'''로 표기. 예: tsyá꞉tamoh () "일곱"
 - 중부 및 동부 방언: 일반적으로 '''i'''로 표기. 예: ià꞉iaʼkmoh () "여섯"
 - 서부 방언: 일반적으로 '''y'''로 표기. 예: yà꞉yaʼkmoh () "여섯"
 - 비음화 모음:
 - 는 '''en'''으로 표기. 예: énskamoh () "하나"
 - 는 '''on'''으로 표기. 예: shaʼté꞉konmoh () "여덟"
 - 모음 또는 다음에 같은 음절에 이 오는 경우, 은 하부 매크론 부호()로 표기한다. 예: keṉhó꞉tonsmoh "나는 문을 닫고 있다".[20] 만약 에 부호가 없다면, '''en'''은 로 발음된다.
 
7. 문법
모호크어는 영어보다 단어의 평균 길이가 긴 경향이 있는데, 이는 모호크어 단어가 많은 수의 형태소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모호크어는 대명사 요소에서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수(단수, 쌍수, 복수), 성(남성, 여성/불특정, 여성/중성), 1인칭 쌍수와 복수에서의 포괄성/배타성 등 여러 구분을 나타낸다. 대명사 정보는 동사 접두사에 포함되며, 강조를 위해 별도의 대명사 단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주관적(동적인 동사), 객관적(상태 동사), 타동사의 세 가지 주요 대명사 접두사 패러다임이 존재한다.
모호크어 명제는 명사, 술어, 입자의 세 가지 핵심 구성 요소를 가진다.[21] 모호크어는 다합성 현상을 보여, 영어에서 여러 단어로 표현되는 개념이 하나의 모호크어 단어로 표현되기도 한다.
7. 1. 명사
모호크어에서 명사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명사 접두사 | 명사 어근 | 명사 접미사 | 
|---|
명사 접두사는 성, 생물 여부, 수, 인칭 정보를 나타내며, 단어를 명사로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
1) '''oʼ'''nenste "옥수수"
2) '''o'''ienʼkwa "담배"
여기서 접두사 ''o-''는 주로 자연 환경에서 발견되는 명사에 사용된다. 사람이 만든 물체를 나타내는 다른 접두사도 있다.
3) '''ka'''nhoha "문"
4) '''kaʼ'''khare "미끄러짐, 치마"
여기서 접두사 ''ka-''는 주로 사람이 만든 물건에 사용된다. 모호크어 방언에 따라 ''ga-''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명사 어근은 영어의 명사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다.
(코너와가)
5) –eri- "심장"
6) –hi- "강"
7) –itshat- "구름"
이러한 명사 어근은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명사 어근 자체 외에는 다른 정보가 없다. 즉,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이 되려면 ''-eri-''에 대명사 접두사가 붙거나, 어근이 술어 구에 포함되어야 한다.
명사 접미사는 필수 요소는 아니지만, 위치나 속성 정보를 제공한다.
장소 접미사:
8) i. onuʼtaʼ "언덕"
 ii. onutaʼ'''ke''' "언덕 '''위에'''"
9) i. onekwvhsaʼ "피"
 ii. onekwvhsaʼ'''ke''' "피 '''안에'''"
여기서 접미사 ''-ke''는 위치를 나타낸다.
속성 접미사:
10) kvjyʼ "물고기"
11) kvjaʼ'''koʼwa''' "철갑상어" 또는 "큰 물고기"
여기서 접미사 ''-koʼwa''는 해당 명사의 크기를 나타내는 확대 접미사이다.
7. 2. 동사
모호크어 동사는 언어의 복잡한 부분 중 하나로, 문법 관계를 설명하는 많은 형태소로 구성된다. 동사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21][22]| 전치 대명사 접두사 | 대명사 접두사 | 재귀 및 상호 입자 | 내장 명사 어근 | 동사 어근 | 접미사 | 
|---|
모호크어 문법은 전체 전치사를 하나의 단어로 표현할 수 있게 해주며, 이를 동사로 분류한다. 다른 핵심 요소(주어, 목적어 등)는 동사에 내장될 수 있다. 잘 구성된 동사구는 최소한 동사 어근과 대명사 접두사를 포함한다. 나머지 요소는 필수가 아니다. 시제, 상 및 양상도 동사구의 접미사를 통해 표현된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katorats'''
 - k- atorat- s
 - 1인칭단수- 사냥 HAB
 - "나는 사냥한다"
 
이것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대명사 접두사, 동사 어근, 그리고 상을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모호크어는 시제를 사용하여 시간의 문법화를 표현하기보다는 상 표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 '''nyaʼtsvshayayaʼkeʼ'''
 - n- yaʼ- t- v- s- ha- yahyaʼk- eʼ
 - PTV 장소이동 DU- FUT- ITER- 명사- 동사- {어근 접미사}
 - "…여기에서 저기로 다시 건너갈 것이다…"
 
이 예는 동사 어근에 부착될 수 있는 여러 접두사를 보여주지만, 특정 접사는 함께 공존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부정 과거와 미래 시제 접사는 동일한 잘 구성된 문장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 '''vsenataraʼ'''
 - v- se- natahr- aʼ
 - FUT NOM-PRO VB-ROOT {순간적 ASP 접미사}
 - "당신은 방문할 것이다"
 
- '''asenataraʼ'''
 - a- se- natahr- aʼ
 - COND NOM-PRO VB-ROOT {순간적 접미사}
 - "당신은 방문해야 한다"
 
- '''sanatahruneʼ'''
 - sa- natahr- u- hneʼ
 - ACC-PRO VB-ROOT STAT {순간적 접미사}
 - "당신은 방문하고 있었다"
 
여기서는 시제, 상 및 양상을 표시하는 다른 접두사와 접미사가 사용된다.
모호크어의 대부분의 문법 관계는 동사에 대한 다양한 접사를 통해 표현된다. 주어, 목적어 및 주어와 목적어 간의 관계는 자체 접사가 부여된다. 모호크어에서 주어와 목적어 간의 각 타동 관계는 자체 접두사가 부여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ku- noruhkwa'''
 - 나-너 사랑한다
 - "나는 너를 사랑한다"
 
- '''ri- noruhkwa'''
 - 나-그 사랑한다
 - "나는 그를 사랑한다"
 
- '''ke- noruhkwa'''
 - 나-그것/그녀 사랑한다
 - "나는 그것/그녀를 사랑한다"
 
이러한 각 접사는 두 사물 간의 타동 관계를 나타낸다. "우리-그들", 그들-우리(포괄/배타) 등과 같은 타동 관계를 나타내는 더 많은 접사가 있다.
7. 3. 명사 통합
모호크어의 특징 중 하나인 '''명사 포함'''은 동사가 명사를 흡수하는 것을 허용한다. 명사 포함이 일어날 때, 명사 어근과 동사 어근 사이에 삽입 모음 'a'가 나타날 수 있다.[21][22]예시는 다음과 같다.
:Owiraʼa wahrakeʼ ne oʼwahru
:(해석) 아기 먹었다 그 고기
명사 포함의 경우:
:Owiraʼa wah'''a'''ʼwahrakeʼ
:(해석) 아기 고기-먹었다
:Waʼeksohareʼ
:waʼe -ks -ohareʼ
:(해석) 그녀는 접시를 씻었다
:Waʼkenakt'''a'''hninuʼ
:waʼke -nakt -a -hninuʼ
:(해석) 나는 침대를 샀다
:Wahanaʼtar'''a'''kwetareʼ
:waha -naʼtar -a -kwetareʼ
:(해석) 그는 빵을 잘랐다
이러한 예시의 대부분은 삽입 모음 'a'를 사용한다. 단어 중간에 명사 포함으로 복잡한 자음군이 생기지 않는다면 생략될 수 있다.
8. 현대 미디어 및 문화에서의 사용
어쌔신 크리드 III 게임에는 주인공인 라둔하게둔과 모호크족 사람들이 이 언어를 사용하는 장면이 나온다. 라둔하게둔(Ratonhnhaké:ton)은 '상처받은 삶'이라는 뜻이다.[5] 유비소프트 몬트리올의 2012년 액션 어드벤처 게임 오픈 월드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3''에서는 미국 독립 전쟁 시기를 다루며, 주인공이자 모호크족과 웨일스족 혼혈인 라톤하케톤(코너라고도 불림)과 카니엔케 마을 구성원들이 등장하는데, 이때 모호크어 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라톤하케톤의 목소리와 모델은 크로우족 배우 노아 불라가위시 와츠가 맡았다.[10] 시드 마이어의 문명 V에 등장하는 이로쿼이족 문명의 지도자인 하이아와타는 카넨토콘 헴록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으며, 현대 모호크어를 사용한다.
모호크어는 현재 위협 상태로 분류되며, 모어 화자의 수는 지난 수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9] 그러나 모호크어는 북부 이로쿼이 언어군 중 가장 많은 화자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1,000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유일한 언어이다.
아크웨서스네에서는 주민들이 언어 부흥을 위해 ''Kanienʼkéha''로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8학년까지의 언어 몰입 학교를 설립했다. 아이들이 언어를 배우면서 부모와 다른 가족 구성원들도 언어 수업을 듣고 있다. 아크웨서스네 모호크족이 허가한 라디오 방송국 CKON-FM (뉴욕주 호건스버그와 퀘벡주 세인트 레지스에서 주파수 97.3MHz로 방송되며, 스트리밍을 통해 온라인에서도 널리 이용 가능)은 프로그램의 일부를 ''Kanienʼkéha''로 방송한다. 콜사인은 "안녕"을 의미하는 모호크어 단어 "sekon" (또는 "she:kon")을 참조한다.
1979년에는 모호크어 몰입 학교가 설립되었다.[6] 공립 및 교구 학교에서 문화 기반 교육이 부족함을 우려한 모호크족 학부모들은 아크웨서스네 자유 학교를 설립했다. 6년 후, 이 학교는 전통적인 15개의 계절 의식 주기와 모호크족 감사 기도문(Ohén꞉ton Karihwatékwen, "무엇보다 먼저 드리는 말씀")을 기반으로 한 모호크어 몰입 교육 과정을 시행했다. 매일 아침 교사와 학생들은 복도에 모여 모호크어로 감사 기도문을 낭송한다.[7] 1985년에는 모호크어의 세대 간 유창성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인 몰입 프로그램도 만들어졌다.[8]
'''카나치오하레케'''(Gah-nah-jo-ha-lay-gay)는 "깨끗한 냄비의 장소"를 의미하며, 모호크강 북쪽 강둑, 뉴욕주 폰다 서쪽에 위치한 작은 모호크 공동체이다.[1] 카나치오하레케는 모호크어와 문화를 가르치는 "거꾸로 된 칼라일 인디언 기숙 학교"가 되도록 만들어졌다.[2] 카니에케하카(모호크족)의 고대 고향에 위치한 이곳은 1993년 9월 토마스 R. 포터(Sakokwenionkwas-"승리하는 자")의 지도하에 재건되었다.[3] 이 공동체는 자체 수입을 창출해야 하며, 매년 딸기 축제를 포함하여 문화 발표회, 워크숍 및 학술 행사를 자주 개최한다.[4] 현장의 공예품점에서는 북미 전역의 정품 수제 원주민 공예품을 전시한다. 이 공동체의 주요 임무는 ''Kaienerekowa''(평화의 대법)의 지도 아래 전통적인 가치, 문화, 언어 및 생활 방식을 보존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5] Kanatsiohareke, Inc.는 IRS 코드 501c3에 따른 비영리 단체이다.
카나와키는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 중심부 근처의 대도시 지역에 위치해 있다. 카나와키는 몬트리올 근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영어와 프랑스어를 모두 사용하며, 이는 지난 세기 동안 모호크어 사용 감소에 기여했다. 최초의 몰입 프로그램인 모호크 생존 학교는 1979년에 설립되었다. 이 학교의 임무는 모호크어의 부활이었다. 이 프로그램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첫 해에 카나와키 주민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했다. 그 결과,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성공적이었으며, 개인적인 환경에서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이 향상되었고, 영어 대화에서 모호크어 혼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0]
모호크어 학습자들의 이야기는 2016년에 공개된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 '말을 기르다(Raising The Words)'에서도 다뤄지는데, 이 영화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서 동쪽으로 약 200km 떨어진 모호크 공동체인 타이엔디나가에서 모호크어 부활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을 탐구한다.[17] 이 영화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회 에스노그라필름 영화제에서 상영될 예정이었다.
모호크어는 2017년 영화 ''모호크'', 1991년 영화 ''블랙 로브'', 2020년 텔레비전 드라마 ''바크스킨스''에서 사용되었다.
이 언어는 마블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시리즈 ''왓 이프...?''의 시즌 2 에피소드 "만약... 카호리가 세상을 바꿨다면?"에서 사용되었으며, 여기서 카호리라는 오리지널 모호크족 슈퍼히어로를 소개한다.[18]
9. 교육
모호크어는 현재 위협 상태로 분류되며, 모어 화자의 수는 지난 수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5] 북부 이로쿼이 언어군 중 가장 많은 화자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 1,000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유일한 언어이다.
아크웨서스네에서는 주민들이 언어 부흥을 위해 ''Kanienʼkéha''로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8학년까지의 언어 몰입 학교를 설립했다. 아이들이 언어를 배우면서 부모와 다른 가족 구성원들도 언어 수업을 듣고 있다. 아크웨서스네 모호크족이 허가한 라디오 방송국 CKON-FM은 프로그램의 일부를 ''Kanienʼkéha''로 방송한다.
1979년에는 모호크족 학부모들이 아크웨서스네 자유 학교를 설립하고, 6년 후에는 모호크어 몰입 교육 과정을 시행했다. 매일 아침 교사와 학생들은 모호크어로 감사 기도문을 낭송한다.[7] 1985년에는 성인 몰입 프로그램도 만들어졌다.[8]
'''카나치오하레케'''(Gah-nah-jo-ha-lay-gay)는 뉴욕주 폰다 서쪽에 위치한 작은 모호크 공동체로, 모호크어와 문화를 가르치는 "거꾸로 된 칼라일 인디언 기숙 학교"를 지향한다.[16] 1993년 9월 토마스 R. 포터(Sakokwenionkwas-"승리하는 자")의 지도하에 재건되었으며, 전통적인 가치, 문화, 언어 및 생활 방식을 보존하려고 노력한다.
2006년에는 600명 이상이 캐나다에서 이 언어를 사용한다고 보고되었으며, 그중 많은 수가 고령자였다.[9] 카나와키는 퀘벡주 몬트리올 중심부 근처에 위치하며, 최초의 몰입 프로그램인 모호크 생존 학교는 1979년에 설립되어 모호크어 부활을 목표로 했다. 설문 조사 결과,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성공적이었으며, 개인적인 환경에서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이 향상되었고, 영어 대화에서 모호크어 혼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0]
2011년에는 약 3,500명의 모호크어 사용자가 있었으며,[11][12] 아크웨서스네 및 기타 보호 구역에서 어린이를 위한 몰입 수업이 새로운 모국어 사용자를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빌 101 통과 이후 부모들 사이에서 몰입 수업의 중요성이 커졌고, 1979년에는 고등학교 수준의 언어 교육을 촉진하기 위해 모호크 생존 학교가 설립되었다.[13] 카나와키와 카나치오하레케는 성인을 위한 몰입 수업을 제공한다.[15] 2016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서 875명이 모호크어를 유일한 모국어로 답했다.[2]
온타리오주 오슈웨켄에 위치한 식스 네이션스 폴리테크닉은 모호크어 또는 카유가어로 이로쿼이어족 언어인 오그웨호웨어 학위 및 디플로마 프로그램을 제공한다.[24] 2017년 9월부터 온타리오주 워털루 대학교는 모호크어 학점 과정을 제공한다.[25]
모호크어를 독학할 수 있는 자료는 다음과 같다.
- ''Talk Mohawk'' 아이폰 앱 및 안드로이드 앱
 - ''Rosetta Stone 레벨 1 및 2'' (CD-ROM)
 - KanehsatakeVoices.com의 수업 모음
 - ''Kanyenʼkeha Tewatati (모호크어를 배우자)''
 - ''Akwesasne Mohawk 문법''
 - ''모호크어-영어, 영어-모호크어 사전''
 - ''Sathahitáhkhe' Kanienʼkéha (모호크어 입문 수준 교과서, 동부 방언)''
 - ''Kanienʼkéha Iakorihonnién꞉nis''
 - ''모호크어: 교수 문법''
 - ''Nobody Can Do It Better Than Wariso꞉se: 언어 안내 및 사전''
 - 퍼스트보이스(FirstVoices)
 
참조
[1] 
뉴스
 
Mohawk
 
https://www.ethnolog[...] 
2018-06-09
 
[2] 
웹사이트
 
Aboriginal Mother Tongue (90), Single and Multiple Mother Tongue Responses (3), Aboriginal Identity (9), Registered or Treaty Indian Status (3) and Age (12) for the Population in Private Household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2016 Census - 25% Sample Data
 
http://www12.statcan[...] 
2018-06-09
 
[3]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4] 
웹사이트
 
FirstVoices
 
https://www.firstvoi[...] 
2020-09-03
 
[5] 
웹사이트
 
Redirected
 
http://www.ethnologu[...] 
2019-11-19
 
[6] 
웹사이트
 
Kanatsiohareke Mohawk Community
 
http://www.mohawkcom[...] 
2020-09-03
 
[7] 
웹사이트
 
Our Mother Tongues | Mohawk
 
http://ourmothertong[...] 
2020-09-03
 
[8] 
웹사이트
 
http://mje.mcgill.ca[...] 
[9] 
간행물
 
Statistics Canada, 2006 Census of Population, Statistics Canada catalogue no. 97-558-XCB2006015
 
Statistics Canada
 
2006
 
[10] 
웹사이트
 
http://www3.brandonu[...] 
[11] 
서적
 
Atlas of World Languages
 
Routelege
 
1994
 
[12] 
웹사이트
 
Mohawk
 
http://www.ethnologu[...] 
2016-01-26
 
[13] 
보고서
 
The Revival of the Mohawk Language in Kahnawake
 
http://www3.brandonu[...] 
[14] 
뉴스
 
Ambitious and Controversial School Attempts to Save the Mohawk Language and Culture
 
http://indiancountry[...] 
2013-02-08
 
[15] 
뉴스
 
Learning More Than a Language : Intensive Kanienʼkéha Course a Powerful Link for Mohawk Community
 
http://thelinknewspa[...] 
2013-02-08
 
[16] 
뉴스
 
Kanatsiohareke, Language and Survival
 
http://indiancountry[...] 
2013-02-08
 
[17] 
웹사이트
 
About — Raising the Words
 
http://www.raisingth[...] 
2017-01-07
 
[18] 
웹사이트
 
Marvel's ''What If?'' Season 2 Will Introduce a Brand New Mohawk Hero
 
https://gizmodo.com/[...] 
2023-12-27
 
[19] 
웹사이트
 
"Mohawk Language Standardization Project", Kanienkehaka
 
http://www.kanienkeh[...] 
2006-11-05
 
[20] 
웹사이트
 
Mohawk Language - Ohwejagehka Hadegaenage
 
http://www.ohwejageh[...] 
2020-09-03
 
[21] 
서적
 
A Grammar Of Awkwesasne Mohawk
 
National Museum of Man, National Museums of Canada
 
1973
 
[22] 
서적
 
A Thousand Words Of Mohawk
 
National Museum of Man, National Museums Of Canada
 
1973
 
[23] 
서적
 
One thousand useful Mohawk words
 
Audio-Forum
 
[24] 
웹사이트
 
University Program
 
https://www.snpolyte[...] 
2021-12-03
 
[25] 
뉴스
 
Mohawk language course to be offered for 1st time at UW
 
http://www.cbc.ca/ne[...] 
2017-08-17
 
[26] 
웹사이트
 
FirstVoices
 
https://www.firstvoi[...] 
2020-09-03
 
[27] 
웹인용
 
Statistics Canada: 2006 Census
 
http://www12.statcan[...] 
2013-10-16
 
[28]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