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간 준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시간 준주는 1805년 미국 의회 법률에 따라 설립되어 1837년 미시간주로 승격되기 전까지 존재했던 미국의 자치령이다. 프랑스와 영국의 지배를 거쳐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미국 영토가 되었으며, 1812년 전쟁 중에는 잠시 영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1824년에는 준주 정부의 권한이 확대되었고, 1834년에는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얻은 광대한 지역이 편입되어 현재의 미시간주, 위스콘신주, 아이오와주, 미네소타주, 노스다코타주, 사우스다코타주 일부를 포함하는 큰 영토가 되었다. 1835년에는 톨레도 지구를 둘러싸고 오하이오와 분쟁(톨레도 전쟁)을 겪었으며, 1836년 위스콘신 준주가 분리된 후, 1837년 1월 26일 미시간주로 승격되었다. 미시간 준주의 행정부는 주지사, 부관, 대법원 판사로 구성되었으며, 연방 의회 대표를 선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시간주 설립 이전의 역사 - 북서부 영토
북서부 영토는 미국 독립 전쟁 후 연방 정부 관할 하에 들어와, 노예제 금지, 종교 자유 보장, 토지 구획 제도 도입 등 진보적인 법률을 시행하며 서부 개척을 촉진했으나, 북서부 인디언 전쟁과 영국의 영유권 주장 철회 후 여러 준주와 주로 분할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오하이오 강 북쪽의 역사적인 행정 구역이다. - 미시간주 설립 이전의 역사 - 일리노이 준주
일리노이 준주는 1809년에 설립되어 현재의 일리노이, 위스콘신, 미네소타 동부, 미시간 어퍼 반도의 서쪽 부분을 포함했으며, 카스카스키아를 주도로 니니안 에드워즈가 초대 주지사로 재임하다가 1818년 일리노이주가 미국에 편입되면서 해체되었다. - 위스콘신주 설립 이전의 역사 - 북서부 영토
북서부 영토는 미국 독립 전쟁 후 연방 정부 관할 하에 들어와, 노예제 금지, 종교 자유 보장, 토지 구획 제도 도입 등 진보적인 법률을 시행하며 서부 개척을 촉진했으나, 북서부 인디언 전쟁과 영국의 영유권 주장 철회 후 여러 준주와 주로 분할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오하이오 강 북쪽의 역사적인 행정 구역이다. - 위스콘신주 설립 이전의 역사 - 일리노이 준주
일리노이 준주는 1809년에 설립되어 현재의 일리노이, 위스콘신, 미네소타 동부, 미시간 어퍼 반도의 서쪽 부분을 포함했으며, 카스카스키아를 주도로 니니안 에드워즈가 초대 주지사로 재임하다가 1818년 일리노이주가 미국에 편입되면서 해체되었다. - 아이오와주 설립 이전의 역사 - 루이지애나 매입
루이지애나 매입은 1803년 미국이 프랑스로부터 루이지애나 지역을 1,500만 달러에 구매한 사건으로, 미국의 영토를 대폭 확장시켰지만 헌법적 논란, 노예 제도 문제, 원주민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 아이오와주 설립 이전의 역사 - 미주리 준주
미주리 준주는 1812년 루이지애나 준주에서 명칭이 변경되어 미시시피 강 서쪽의 세인트루이스를 수도로 하였으며, 1821년 미주리주가 연방에 가입하면서 소멸하였다.
미시간 준주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미시간 준주 |
일반 명칭 | 미시간 준주 |
국가 | 미국 |
하위 구분 | 자치령 |
수도 | 디트로이트 |
역사 | |
시작 이벤트 | 구성법 발효 |
시작일 | 1805년 6월 30일 |
종료 이벤트 | 미시간주 승격 |
종료일 | 1837년 1월 26일 |
이전 | 인디애나 준주 |
계승 | 미시간주 위스콘신 준주 |
정치 | |
정부 형태 | 자치령 |
최고 지도자 직함 | 주지사 |
지도자 1 | 윌리엄 훌 |
지도자 1 임기 | 1805–1813 |
지도자 2 | 루이스 캐스 |
지도자 2 임기 | 1813–1831 |
지도자 3 | 스티븐스 T. 메이슨(대행) |
지도자 3 임기 | 1831–1832 |
지도자 4 | 조지 B. 포터 |
지도자 4 임기 | 1832–1834 |
지도자 5 | 스티븐스 T. 메이슨(대행) |
지도자 5 임기 | 1834-1835 |
지도자 6 | 존 S. 호너 (위스콘신에서 미시간주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 통치) |
지도자 6 임기 | 1835–1837 |
입법부 | 주지사 및 판사 (1805-1824) 미시간 준주 입법 평의회(1824-1835) |
기타 | |
![]() |
2. 역사
미시간 지역은 본래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이 거주하던 땅이었으나, 17세기 이후 유럽 세력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프랑스가 모피 무역을 중심으로 탐험과 정착을 시도했으며, 소 센트 메리, 생티냐스, 디트로이트 등에 거점을 마련했다. 이후 영국과의 경쟁 끝에 영국령이 되었고, 미국 독립 전쟁 이후 파리 조약에 따라 미국 영토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영국은 디트로이트 등 주요 요새에서 즉시 철수하지 않았고, 미국 내 여러 주들도 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혼란이 있었다. 1787년 북서부 조례가 제정되어 북서부 준주가 창설되면서 법적인 기틀이 마련되었고, 1794년 제이 조약과 폴른팀버 전투 이후 1796년 영국군이 철수하면서 미국의 실질적인 통치가 시작되었다.
1800년 인디애나 준주가 분리되고, 1803년 오하이오가 주로 승격하면서 미시간 지역의 행정적 귀속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지역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1805년 1월 11일 미국 의회는 미시간 준주 설립 법안을 통과시켰고, 같은 해 6월 30일 공식적으로 미시간 준주가 출범했다.[7] 초대 주지사는 윌리엄 헐이었다.
미시간 준주는 설립 이후 영역에 많은 변화를 겪었다. 1812년 전쟁 중 잠시 영국의 점령 하에 있기도 했으나, 전쟁 후 미국의 통치가 회복되었다. 인디애나(1816)와 일리노이(1818)가 주로 승격하면서 남은 북서부 준주 지역이 미시간 준주에 편입되어 영역이 크게 확장되었다. 1825년 이리 운하 개통은 동부로부터의 이주를 촉진하여 인구 증가와 발전에 기여했다. 1834년에는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획득한 미편성 지역까지 관할하게 되어 준주 역사상 가장 넓은 영역을 포괄했다.
주 승격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남쪽 경계를 둘러싸고 오하이오와 "톨레도 지구"를 놓고 톨레도 전쟁이라 불리는 분쟁이 발생했다. 이 분쟁은 미시간이 톨레도 지구를 포기하는 대신 상부 반도 서부 지역을 얻는 조건으로 해결되었다.[11] 1836년에는 서부 지역이 위스콘신 준주로 분리되었고, 마침내 1837년 1월 26일 미시간은 미국의 26번째 주로 연방에 가입했다.[14] 이 과정에서 오타와, 포타와토미, 오지브웨, 와이앤닷 등 원주민 부족들은 그린빌 조약, 디트로이트 조약, 사기노 조약, 시카고 조약 등 여러 조약을 통해 점진적으로 토지를 미국 정부에 할양해야 했다.[15]
2. 1. 유럽인의 도래와 초기 역사 (17세기~18세기 초)
유럽인들이 도착하면서, 현재의 미시간 지역은 먼저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가 이후 영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 이후에는 새로 탄생한 미국의 여러 주들이 이 지역의 영유권을 주장하며 경쟁했다. 미시간 지역을 처음 탐험한 유럽인들은 주로 모피 무역의 거점을 확보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따라서 초기 비원주민 거주민들은 소규모 군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을 대상으로 한 예수회 선교단, 그리고 덫 사냥꾼이나 무역상들이 대부분이었다.1668년, 소 센트 메리에 최초의 예수회 선교부가 세워졌고, 이후 생티냐스(1671년)와 디트로이트(1701년)에도 거점이 마련되었다. 디트로이트는 1701년 앙투안 드 라 모트 카딜락이 이끄는 구 포르 드 부아드 수비대에 의해 처음 점령되었으며, 이들은 도착 직후 포르 퐁샤르트랭 뒤 디트로이트 요새와 성녀 안에게 봉헌된 교회를 건설했다. 뉴 프랑스의 일부로서, 그레이트 레이크스 상류 지역은 처음에는 미시간마키낙에서, 이후에는 디트로이트에서 관리되었으며, 이는 퀘벡의 총독에게 보고하는 군사 정권 형태였다. 이들의 주된 역할은 모피 상인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고, 모피 무역과 직접 관련 없는 정착 활동은 억제하는 것이었다.
1760년 몬트리올이 항복하면서, 로버트 로저스가 이끄는 영국군이 디트로이트와 그 주변 지역을 점령했다. 1763년에는 폰티악의 반란이 일어나 북부 부족들이 미시간마키낙 요새를 함락시키고 디트로이트 요새 포위전을 벌이는 등 혼란이 있었다. 이 포위 공격은 1764년에 해제되었고, 이후 디트로이트에는 영국 부총독에 의한 통치가 시작되었다.
1774년 퀘벡 법령이 제정되면서 미시간 지역은 미국 독립 전쟁 기간 동안 퀘벡 주의 일부로 관리되었다. 1783년 파리 조약으로 미국이 현재의 미시간 지역에 대한 권리를 얻었지만, 영국은 디트로이트와 그 주변 지역을 계속 유지하려는 정책을 고수했다. 1784년, 연합 의회는 폰 슈테우벤 남작을 캐나다에 파견하여 디트로이트 및 그레이트 레이크스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퀘벡 주지사 프레드릭 할디만드가 여권 발급을 거부하여 협상은 시작조차 하지 못했다. 1784년부터 영국은 미시간 영토를 현재의 온타리오주 서부와 함께 헤세 지구로 관리했고, 1791년 퀘벡 주가 하부 캐나다(현재의 퀘벡 주)와 상부 캐나다(온타리오)로 분할되면서 헤세 지구는 서부 지구로 이름이 바뀌었다.
영국이 이 지역에 계속 주둔하는 동안, 미국의 여러 주들도 미시간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1779년 버지니아는 미시시피 강 동쪽, 오하이오 강 북쪽,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의 모든 땅을 일리노이 카운티로 선포하고 자신들의 영토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실제 행정력은 강변의 오래된 프랑스 정착촌에 국한되었고, 북서부 지역 대부분은 여전히 원주민 부족들이 통제하고 있었다. 뉴욕, 코네티컷, 매사추세츠 역시 미시간 지역 일부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지만, 그레이트 레이크스에 대한 영국의 통제와 원주민 부족들의 저항으로 인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는 어려웠다.
결국 버지니아는 1784년 3월 1일 오하이오 강 북쪽과 서쪽 영토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고, 다른 주들도 이를 따랐다. 이러한 움직임은 토머스 제퍼슨이 주도한 서부 영토 관련 위원회의 보고서 제출과 같은 날 이루어졌는데, 이는 우연의 일치일 수도 있다. 제퍼슨의 권고는 1784년 토지 조례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 조례는 새로운 주들이 기존 13개 주와 동등한 지위로 연방에 가입하고 공화국 형태의 정부를 가질 것을 규정했다. 1785년 토지 조례는 새로운 영토에서의 토지 판매 절차를 마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하이오 강은 한동안 미국과 북서부 원주민 부족 사이의 실질적인 경계선으로 남았다.
1787년, 연합 의회는 북서부 조례를 제정하여 북서부 준주를 창설했다.[2] 하지만 미시간이 될 지역은 여전히 미조직 상태였고 실질적으로는 영국의 통제 하에 있었다. 북서부 준주의 초대 주지사 아서 생클레어는 명목상으로나마 이 지역에 대한 행정 구조를 설정하려 했다. 1790년 6월 20일, 녹스 카운티가 설립되어 하부 반도 서쪽 절반과 상부 반도 중앙부를 포함하게 되었다. 1792년에는 해밀턴 카운티의 경계가 확장되어 녹스 카운티에 속하지 않은 미시간 동부 지역을 포함하게 되었다.
미국의 미시간 영유권 주장은 영국이 디트로이트, 매키낙 등지의 요새에서 철수하기를 거부하면서 난관에 부딪혔다. 영국은 북서 인디언 전쟁 동안 북서부 원주민 부족들을 암묵적으로 지원하며 디트로이트를 미국의 영향력 밖에 두려 했다. 그러나 1794년 제이 조약 체결과 폴른팀버 전투에서의 미국 승리로 영국의 입지는 약화되었고, 협상 끝에 영국은 1796년 7월 11일 디트로이트에서 철수했다. 이로써 미국은 마침내 미시간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력을 확보하게 되었다. 포트 매키낙도 곧 미국에 넘어갔지만, 드럼몬드 섬은 1828년까지 캐나다 영토로 남았다.
한편, 이 지역에 거주하던 오타와, 포타와토미, 오지브웨, 와이앤닷 등 원주민 부족들은 1783년 파리 조약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영토 대부분에 대한 지배권을 영국이나 미국에 넘겨주지 않은 상태였다. 미국은 이후 강압적인 방법을 포함한 여러 조약을 통해 이들의 토지를 획득해 나갔다. 이 시기 체결된 주요 조약으로는 1795년의 그린빌 조약이 있다.[15]
2. 2. 미국의 통치 시작과 북서부 준주 (18세기 말)
미국 독립 전쟁 이후, 새롭게 탄생한 미국의 여러 주들은 현재의 미시간 지역을 포함한 북서부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경쟁했다. 1779년, 버지니아 연방은 미시시피강 동쪽, 오하이오 강 북쪽, 애팔래치아산맥 서쪽의 광대한 영토를 일리노이 카운티로 선포하고 자신들의 영토로 편입하려 했으나, 실질적인 통치력은 기존 프랑스 개척지에 한정되었다. 뉴욕, 코네티컷, 매사추세츠 역시 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지만, 영국의 영향력과 원주민 부족들의 존재로 인해 실효적인 지배는 어려웠다.파리 조약을 통해 이 지역에 대한 권리가 미국에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디트로이트를 비롯한 주요 거점들을 포기하지 않고 통치를 이어가려는 정책을 고수했다. 영국은 1774년 퀘벡 법령에 따라 이 지역을 퀘벡 주의 일부로 간주하고 통치했으며, 파리 조약 이후에도 철수를 거부했다. 1784년, 연합 의회는 폰 슈테우벤 남작을 파견하여 영국과의 협상을 시도했으나, 퀘벡 주지사 프레드릭 할디만드의 비협조로 무산되었다. 영국은 같은 해부터 미시간 지역을 헤세 지구로 명명하고 온타리오주 서부와 함께 관리했으며, 1791년 퀘벡 주가 하부 캐나다와 상부 캐나다로 분리되자 헤세 지구는 서부 지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upright=1.35의 영역. 현재의 미시간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미국 내부적으로는 영토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었다. 1784년 3월 1일, 버지니아는 오하이오 강 북서부 영토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으며, 이는 토마스 제퍼슨이 주도한 위원회의 권고안이 보고된 날과 일치했다. 제퍼슨의 구상은 새로 편입될 영토에 기존 13개 주와 동등한 지위의 주를 설립하고, 공화국 형태의 정부를 수립하며 영구히 미국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는 1784년 토지 조례의 기초가 되었다. 이듬해 1785년 토지 조례는 새로운 영토에서의 토지 판매 절차를 규정했다. 다른 주들도 버지니아의 선례를 따라 영유권 주장을 철회하면서 연방 정부 차원의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해졌다.
마침내 1787년, 연합 의회는 북서부 조례를 제정하여 오대호 남쪽, 오하이오 강 북서쪽의 광대한 지역을 북서부 준주로 공식 선포했다.[2] 이는 미국이 해당 지역에 대한 통치권을 확립하는 중요한 법적 기반이 되었다. 북서부 준주의 초대 주지사 아서 생클레어는 비록 영국의 실질적인 점거로 인해 행정력이 미치기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 법적인 정부 구조를 수립하기 시작했다. 1790년 6월 20일에는 로어 반도 서부와 어퍼 반도 중부를 포함하는 녹스 카운티가 설정되었고, 1792년에는 해밀턴 카운티의 경계가 확장되어 녹스 카운티에 속하지 않은 미시간 동부 지역을 포함하게 되었다.
그러나 영국의 비협조적인 태도는 계속되었다. 영국은 디트로이트, 매키낙 등 주요 요새의 반환을 거부하며 북서 인디언 전쟁에서 원주민 부족들을 암묵적으로 지원했고, 이는 미국의 영토 확장에 큰 장애물이었다. 상황은 1794년 제이 조약 체결과 폴른팀버 전투에서의 미국 측 승리로 전환점을 맞이했다. 결국 영국은 압박에 굴복하여 1796년 7월 11일 디트로이트에서 철수했으며, 포트 매키낙도 곧이어 미국에 이양되었다. (다만 드럼몬드 섬은 1828년까지 영국령 캐나다의 일부로 남았다.)
영국의 철수로 미국은 마침내 미시간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통치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임시 주지사 윈스롭 사전트는 1796년 8월 15일, 기존의 녹스 카운티와 해밀턴 카운티 영역을 바탕으로 '최초의' 웨인 군을 설립했다. 이 새로운 행정 구역은 훗날 미시간 준주가 될 지역 대부분과 현재 오하이오주 및 인디애나주의 일부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영역이었다. 이 시기 미국은 1795년 그린빌 조약 등을 통해 원주민 부족들로부터 토지를 할양받기 시작했으며, 이는 이후 미시간 지역 개발의 발판이 되었다.
2. 3. 미시간 준주의 성립과 발전 (19세기 초~중반)
1787년 북서부 조례에 따라 북서부 준주가 창설되었으나, 당시 미시간 지역은 공식적인 행정 조직 없이 영국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 1794년 제이 조약과 폴른팀버 전투 이후 영국군이 철수하면서 미국이 실질적인 통제권을 확보했고, 1796년 8월 15일 '최초의' 웨인 군이 설립되어 현재 미시간주 대부분과 주변 지역 일부를 관할했다.1800년 인디애나 준주가 설립되면서 미시간 서부 지역이 편입되었고, 웨인 군은 동부 지역으로 축소되어 북서부 준주 소속으로 남았다. 1803년 오하이오가 주로 승격하자 미시간 동부 지역마저 인디애나 준주에 편입되었고, 윌리엄 헨리 해리슨 주지사는 인디애나 준주 법에 따라 웨인 군을 재편성하여 관할 구역을 크게 넓혔다. 그러나 준주 수도 빈센스와의 거리 문제로 행정적 어려움이 커지자, 1804년 12월 미시간 정착민들은 의회에 독립된 준주 설립을 청원했다.[6]

1805년 1월 11일, 미국 의회는 미시간 준주 설립 법안을 통과시켜 같은 해 6월 30일부터 효력을 발생시켰다.[7] 이 법은 준주의 경계를 미시간 호 남쪽 끝에서 동쪽으로 그은 선의 북쪽, 그리고 미시간 호 중앙을 따라 북쪽으로 그은 선의 동쪽 지역으로 정의했다. 초대 준주 주지사 윌리엄 헐은 기존 웨인 군을 폐지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미시간 준주는 1807년 디트로이트 조약 등을 통해 미국 원주민 부족들로부터 토지를 획득하며 영역을 넓혀갔다.[19]
1812년 전쟁 중 1812년 8월 16일, 영국군 아이작 브록 장군이 디트로이트를 점령하면서 미시간 준주는 명목상 상부 캐나다의 일부가 되었다. 영국군 헨리 프로크터 대령이 행정을 담당하다 1813년 2월 4일 계엄령을 선포했다. 1813년 루이스 캐스가 새로운 주지사로 임명되어 헐의 행정 구역을 폐지하고, 1807년 디트로이트 조약으로 할양받은 모든 영토를 포함하는 세 번째 웨인 군을 재설립했다.

인디애나(1816년)와 일리노이(1818년)가 연방에 가입하면서 이들 준주에 속했던 미편입 지역들이 미시간 준주로 편입되어 영역이 확장되었다. 다만, 인디애나주가 미시간 호에 접할 수 있도록 남부 일부 지역이 인디애나주에 할양되었다. 이 시기 연방 정부는 원주민 부족들과의 조약을 통해 토지 확보에 더욱 속도를 냈는데, 이 과정에는 강압적인 방법도 동원되었다.
1818년에는 준주 정부 형태를 입법부 중심으로 변경할지 묻는 주민투표가 있었으나 현행 유지가 결정되었다.[10] 그러나 1824년, 미시간 준주는 준주 지위의 두 번째 단계로 격상되어 행정권이 주민들에게 이양되었고, 입법 의회가 구성되었다. 의회는 1824년 6월 7일 첫 회의를 열었으며, 1825년 정원이 13명으로 확대되었다.
1825년 이리 운하 개통은 뉴잉글랜드와 뉴욕 등 동부 정착민들의 미시간 이주를 촉진하여 인구 증가와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34년,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획득한 광대한 미편성 지역(미주리 강 동쪽)이 미시간 준주에 편입되면서, 준주의 영역은 현재의 미시간, 위스콘신, 아이오와, 미네소타, 다코타 일부를 아우르는 최대 규모에 이르렀다.[14]

1835년, 남쪽 경계의 "톨레도 지구" 영유권을 둘러싸고 오하이오와 톨레도 전쟁이라 불리는 분쟁이 발생했다. 이 분쟁은 미시간의 주 승격을 지연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으나, 결국 톨레도 지구를 오하이오에 양보하는 대신 상부 반도 서쪽 지역을 확보하는 것으로 해결되었다.[11]
북서부 조례에 따라 준주 내 노예 제도는 원칙적으로 금지되었지만, 영국과 프랑스계 주민들이 준주 설립 이전에 소유하고 있던 노예는 예외적으로 인정되었다. 1810년[12]과 1830년[13] 인구 조사 기록에 따르면 소수의 노예가 존재했으며, 이들 중 다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보다는 미국 원주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836년 7월 3일, 미시간의 주 승격 준비 과정에서 현재의 위스콘신, 미네소타, 아이오와, 다코타 동부 지역이 위스콘신 준주로 분리되었다. 미시간은 1837년 1월 26일 주로 승격했으며, 톨레도 지구 분쟁 해결의 대가로 획득한 상부 반도 서부 지역을 포함하게 되었다. 당시 주도는 디트로이트였으나, 1847년 3월 17일 랜싱으로 이전되었다. 주 승격 당시 미시간의 인구는 약 20만 명으로 추산되어, 북서부 조례의 최소 요구 조건인 6만 명을 훨씬 웃돌았다.
2. 4. 주 승격과 그 이후 (19세기 중반)
1834년, 아직 할당되지 않고 미주리 강 동쪽에 있는 루이지애나 매입에서 획득한 모든 토지(다코타주, 아이오와주, 미네소타주 서부 절반 등)가 미시간 준주에 편입되었다. 이 지역은 공식적으로 "미주리주 북쪽, 미주리 강과 화이트 어스 강 동쪽"으로 묘사되었다. 이 시점에서 미시간 준주에는 현재 미시간주, 위스콘신주, 아이오와주, 미네소타주와 다코타주의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었다.
한편 1835년에는 미시간 준주가 분쟁 지역인 "톨레도 지구(Toledo Strip)"를 유지하려고 하면서 오하이오와 톨레도 전쟁이 벌어졌다. 이 분쟁은 미시간의 주 승격에 걸림돌이 되었지만, 결국 오하이오의 톨레도 지역을 양도하는 대신 상부 반도의 서쪽 지역을 받는 조건으로 해결되었다.[11]
북서부 조례에 따라 준주에서는 노예 제도가 금지되었지만, 미시간의 영국과 프랑스 거주자들은 준주가 조직된 시점에 이미 소유하고 있던 노예를 계속 소유할 수 있었다. 인구 조사 기록에 따르면 준주 내 노예 인구는 1810년에 24명[12], 1830년에 32명이었다.[13] 노예로 기록된 사람들 중 다수는 흑인이 아니라 미국 원주민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미시간의 주 승격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1836년 7월 3일 현재의 위스콘신주, 미네소타주, 아이오와주, 다코타주 동부 지역으로 구성된 위스콘신 준주가 미시간 준주에서 분리되어 조직되었다. 미시간은 1837년 1월 26일, 톨레도 지구 분쟁 해결의 일환으로 상부 반도를 포함하여 정식으로 미국의 주로 승격되었다. 상부 반도의 서쪽 경계는 슈피리어 호 해안의 몬트리얼 강과 미시간 호 해안의 메노미니 강으로 정해졌다.[14]
주 승격 당시 미시간의 인구는 약 20만 명으로 추산되었는데, 이는 북서부 조례에서 요구하는 최소 인구 6만 명을 훨씬 넘어서는 수치였다. 디트로이트는 주 승격 이후에도 한동안 수도의 지위를 유지했으나, 1847년 3월 17일 랜싱이 새로운 수도로 선정되었다.
3. 영토 분할
원래 광대한 북서부 준주의 일부였던 웨인군은 여러 지역이 분리되면서 현재의 크기로 줄어들었다. 1802년 웨인군의 디트로이트에 최초의 타운십이 조직되었다. 이후 웨인군에서는 다음과 같은 군들이 분리되어 나갔다.
- 1817년: 먼로군
- 1818년: 미실리매키낵군(Michilimackinac County, 후에 매키낵군으로 개칭), 매콤군
- 1820년: 세인트클레어군, 세인트조지프군
- 1822년: 워시트노군
1818년에는 현재 위스콘신주에 해당하는 지역에도 두 개의 군이 조직되었다. 크로퍼드군은 프레리두신을 중심지로 하여 상류 미시시피강 유역 정착촌을 관할했고, 브라운군은 그린베이 주변 정착촌을 관할했다. 이 두 군은 1836년 위스콘신 준주가 설립되면서 그 일부가 되었다.
오클랜드군은 1819년에 설립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제네시군, 라피어군, 새닐락군, 시아와시군, 새기노군의 전부 또는 일부로 나뉘었다. 새기노군은 다시 8개의 군으로 세분화되었는데, 이 중 이사벨라군, 아레낙군, 미들랜드군은 준주 시대에 설립되었다.
1822년에는 원주민 거주 지역에 레너위군이 설립되었고, 1829년에는 이 군에서 힐스데일군이 분리되었다. 레너위군의 다른 일부는 캐스군과 베리언군이 되었다. 브랜치군 역시 1829년 미시간 준주 내에 새로 설립되었다.
칩피와군은 1826년 매키낵군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1829년 세인트조지프군에서 분리된 캘러머주군은 당시 미시간 서부에서 가장 넓은 지역을 차지했으며, 이후 여러 군으로 나뉘었다. 앨러건군, 배리군, 캘훈군, 이턴군, 아이오니아군, 몽칼름군, 켄트군, 오타와군, 클린턴군 등이 캘러머주군에서 파생되었는데, 일부는 준주 시대에, 나머지는 주 승격 이후에 분리되었다.
잭슨군과 잉햄군은 1829년 워시트노군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이사벨라군은 1831년 새기노군과 미들랜드군의 일부 지역을 합쳐 만들어졌고, 그래티엇군 역시 1831년 새기노군과 클린턴군의 토지를 기반으로 설립되었다.
1829년에 새로 설립된 12개 군 중 7개는 당시 앤드루 잭슨 대통령 내각 구성원들의 이름을 땄으며, 잭슨군 하나는 잭슨 대통령 자신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아이오와군은 1829년 미네랄포인트를 중심지로 설립되었으며, 1836년 위스콘신 준주로 이관되었다.
미주리주가 주로 승격된 후 미주리 북쪽의 미조직 준주가 남게 되자, 미시간 준주는 잠시 미시시피강 서쪽의 토지, 즉 현재의 아이오와주와 미시시피강 서쪽 미네소타주 일부를 관할하게 되었다. 이 지역은 1834년까지 미시간 준주 정부의 통치하에 있었다. 더뷰크군과 디모인군은 1834년에 설립되었고, 1836년 위스콘신 준주가 조직되면서 이관되었다.
밀워키군은 1834년에 설립되었고, 2년 뒤인 1836년 위스콘신 준주로 이관되었다.

4. 영토 내 인구
미시간 준주의 인구는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다.
주석: 1810년~1830년 인구는 현재의 미시간주와 위스콘신주 지역만 포함한다.[16]
이 인구 조사 수치에는 미국 원주민 대부분이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미국 헌법 제1조 2항에서 "세금을 내지 않는 인디언"으로 규정하여 인구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기 때문이다. 북서부 조례에 따르면, 준주 내 인구가 6만 명을 넘으면 주(State)로 승격될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1830년 미국 인구 조사 당시 미시간 준주 내 각 군의 인구는 다음과 같다. 당시 군의 경계는 현재와 상당히 달랐다.[17][18]
1830년 순위 | 군 | 1810년 인구 | 1830년 인구 |
---|---|---|---|
1 | 웨인 | 2,227 | 6,781 |
2 | 오클랜드 | – | 4,911 |
3 | 워시테노 | – | 4,042 |
4 | 몬로 | 1,340 | 3,187 |
5 | 매컴 | 580 | 2,413 |
6 | 아이오와 | – | 1,587 |
7 | 레나위 | – | 1,491 |
8 | 브라운 | – | 1,356 |
9 | 세인트 조셉 | – | 1,313 |
10 | 세인트 클레어 | – | 1,114 |
11 | 캐스 | – | 919 |
12 | 매키낙 | 615 | 877 |
13 | 크로포드 | – | 692 |
14 | 칩피와 | – | 626 |
15 | 베리언 | – | 325 |
16 | 반뷰런 | – | 5 |
미시간 준주 총계 | 4,762 | 31,639 |
주석: 1810년 미국 인구 조사는 단일 웨인 군 내 4개의 시민구(Michilimackinac, Detroit, Erie, Huron)를 기준으로 보고되었다. 위 표의 1810년 인구 중 매키낙 군은 미칠리마키낙 시민구, 매컴 군은 휴런 시민구, 몬로 군은 이리 시민구, 웨인 군은 디트로이트 시민구의 인구를 나타낸다.[17][18]
5. 영토 정부
주지사 | 재임 기간 | 비고 |
---|---|---|
윌리엄 헐 | 1805년 3월 1일 ~ 1812년 8월 16일 | 1812년 8월 16일 디트로이트를 영국군에 항복함. |
헨리 프로크터 | 1812년 8월 24일 ~ 1813년 9월 28일 | 2월 4일까지 영국 통치하의 민정 장관이었으며, 이후 9월 디트로이트 철수까지 계엄령을 시행함. |
루이스 캐스 | 1813년 10월 13일 ~ 1831년 8월 6일 | 윌리엄 헨리 해리슨 장군에 의해 군정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10월 29일부터 민정 장관을 맡음. |
조지 브라이언 포터 | 1831년 8월 6일 ~ 1834년 7월 6일 | 재직 중 사망. |
스티븐스 T. 메이슨 | 1834년 7월 6일 ~ 1835년 9월 15일 | 장관(서기관)직으로 인한 직권상의 권한대행 주지사. |
존 S. 호너 | 1835년 9월 15일 ~ 1836년 7월 3일 | 장관(서기관)직으로 인한 직권상의 권한대행 주지사. |
미시간 준주 부관 (서기관) | 재임 기간 |
---|---|
스탠리 그리스월드 (Stanley Griswold) | 1805년 3월 1일 ~ 1808년 3월 18일 |
류벤 아터워터 (Reuben Atwater) | 1808년 3월 18일 ~ 1814년 10월 15일 |
윌리엄 우드브리지 | 1814년 10월 15일 ~ 1828년 1월 15일 |
제임스 위더럴 | 1828년 1월 15일 ~ 1830년 5월 20일 |
존 T. 메이슨 (John T. Mason) | 1830년 5월 20일 ~ 1831년 7월 12일 |
스티븐스 T. 메이슨 | 1831년 7월 12일 ~ 1835년 9월 15일 |
존 S. 호너 | 1835년 9월 15일 ~ 1836년 7월 3일 |
1805년부터 1823년까지 미시간 준주의 대법원 판사는 미국 대통령이 미국 상원의 동의를 얻어 임명했으며, 임기에는 제한이 없었다. 1823년 미국 의회는 준주 정부를 재편하고 판사의 임기를 4년으로 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대법원 판사 | 재직 기간 | 비고 |
---|---|---|
어거스터스 B. 우드워드 | 1805년 3월 2일 ~ 1824년 2월 1일 | 토머스 제퍼슨에 의해 임명됨; 법원 재편 후 사임. |
프레더릭 베이츠 | 1805년 3월 3일 ~ 1808년 11월 | 토머스 제퍼슨에 의해 임명됨; 루이지애나 준주 장관으로 임명된 후 사임. |
존 그리핀 | 1805년 12월 23일 ~ 1824년 2월 1일 | 토머스 제퍼슨에 의해 임명됨; 법원 재편 후 사임. |
제임스 위더럴 | 1808년 4월 23일 ~ 1828년 1월 15일 | 토머스 제퍼슨에 의해 처음 임명됨; 제임스 먼로에 의해 재임명됨; 미시간 준주 장관(서기관)으로 임명된 후 사임. |
솔로몬 시블리 | 1824년 2월 2일 ~ 1836년 7월 17일 | 제임스 먼로에 의해 처음 임명됨, 존 퀸시 애덤스와 앤드루 잭슨에 의해 재임명됨; 미시간주 승격 후 재임명되지 않음. |
존 헌트 (John Hunt) | 1824년 2월 20일 ~ 1827년 6월 15일 | 제임스 먼로에 의해 두 번 임명됨; 재직 중 사망. |
헨리 C. 칩먼 (Henry C. Chipman) | 1817년 7월 18일 ~ 1832년 4월 25일 | 존 퀸시 애덤스에 의해 두 번 임명됨; 앤드루 잭슨에 의해 재임명되지 않음. |
윌리엄 우드브리지 | 1828년 1월 15일 ~ 1832년 4월 25일 | 존 퀸시 애덤스에 의해 임명됨; 앤드루 잭슨에 의해 재임명되지 않음. |
로스 윌킨스 (Ross Wilkins) | 1832년 4월 26일 ~ 1836년 7월 17일 | 앤드루 잭슨에 의해 임명됨; 주 승격 후 미시간 연방 지방 법원 판사로 임명됨. |
조지 모렐 (George Morell) | 1832년 4월 26일 ~ 1843년 7월 17일 | 앤드루 잭슨에 의해 처음 임명됨; 메이슨 주지사에 의해 미시간 대법원에 임명됨. |
6. 미국 연방 의회 대표
1819년, 미시간 준주는 연방 의원을 선출할 권한을 부여받았다.
의원 | 재임 기간 | 정당 |
---|---|---|
윌리엄 우드브리지 (William Woodbridge) | 1819–1820 (제16회 의회) | 민주공화당 |
솔로몬 시블리 (Solomon Sibley) | 1820–1823 (제16회 및 제17회 의회) | 연방당 |
가브리엘 리처드 (Gabriel Richard) | 1823–1825 (제18회 의회) | 무소속 |
오스틴 엘리 윙 (Austin Eli Wing) | 1825–1829 (제19회 및 제20회 의회) | 반잭슨파 |
존 비들 (John Biddle) | 1829–1831 (제21회 의회) | 잭슨파 |
오스틴 엘리 윙 (Austin Eli Wing) | 1831–1833 (제22회 의회) | 반잭슨파 |
루시우스 라이언 (Lucius Lyon) | 1833–1835 (제23회 의회) | 잭슨파 |
조지 월리스 존스 (George Wallace Jones) | 1835–1837 (제24회 의회) | 잭슨파 |
참조
[1]
법규
USStat 2-309
[2]
서적
The History of Michigan Law
Ohio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Petition to Congress by Democratic Republicans of Wayne County
http://www.in.gov/hi[...]
2018-01-28
[4]
웹사이트
Proclamation: For an election on entering second territorial stage
http://www.in.gov/hi[...]
2018-01-28
[5]
웹사이트
Proclamation: Announcing that Indiana Territory had passed to the second grade
http://www.in.gov/hi[...]
2018-01-28
[6]
웹사이트
Petition to Congress by Democratic Republicans of Wayne County
http://www.in.gov/hi[...]
2018-01-28
[7]
웹사이트
Act Dividing Indiana Territory, 1805
http://www.in.gov/hi[...]
2018-01-28
[8]
GNIS
Naubinway Rest Area
[9]
웹사이트
Northernmost Point of Lake Michigan
https://web.archive.[...]
[10]
간행물
The Territorial Papers of the United States
https://babel.hathit[...]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9-10-17
[11]
서적
The Toledo War: The First Michigan-Ohio Rivalr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2]
서적
History of the Negro Race in America from 1619 to 1880
G. P. Putnam's Sons
[13]
서적
The History of Political Theory and Party Organization in the United States
Ginn and Company
[14]
웹사이트
How Wisconsin got its borders
http://www.wisconsin[...]
[15]
웹사이트
Treaty with the Chippewa, 1837 - Tribal Treaties Database
https://treaties.oks[...]
2022-07-07
[16]
보고서
Population of the States and Counties of the United States: 1790–1990
https://www2.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0-05-18
[17]
보고서
Population of the States and Counties of the United States: 1790–1990
https://www2.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0-05-18
[18]
보고서
Population of the States and Counties of the United States: 1790–1990
https://www2.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0-05-18
[19]
웹사이트
Treaty Between the Ottawa, Chippewa, Wyandot, and Potawatomi Indians
http://www.wdl.org/e[...]
2013-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