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서 인디언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서 인디언 전쟁은 1785년부터 1795년까지 미국과 북서부 지역의 인디언 부족 연합 간에 벌어진 일련의 무력 충돌을 일컫는다. 이 전쟁은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미국이 오하이오 강 북쪽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했으며, 프랑스-인디언 전쟁, 폰티악 전쟁, 던모어 전쟁 등 이전의 분쟁들과 연결되어 있다. 전쟁의 배경에는 영국과의 갈등, 토지 문제, 그리고 인디언 부족들의 자율성 유지 노력이 있었다. 주요 인물로는 조지 워싱턴, 앤서니 웨인 등 미국의 지도자들과 리틀 터틀, 블루 재킷 등 인디언 연합의 지도자들이 있다. 전쟁은 폴른 팀버스 전투에서의 미국의 승리와 그린빌 조약 체결로 종결되었으며, 그 결과 인디언 부족들은 영토를 상실하고 강제 이주를 겪게 되었다. 이 전쟁은 미국 육군 계보에 초기 캠페인으로 기록되었으며, 인디언 사회와 미국 사회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서 인디언 전쟁 - 폴른 팀버스 전투
    폴른 팀버스 전투는 1794년 미국이 오하이오 영유권을 주장하며 서부 인디언 연맹과 벌인 전투로, 앤서니 웨인 장군의 미군이 승리하여 그린빌 조약 체결로 이어졌고 현재 전투터는 국립 사적지 및 기념 공원으로 남아있다.
  • 북서 인디언 전쟁 - 그린빌 조약
    그린빌 조약은 1795년 미국이 폴른 팀버 전투 후 오하이오 지역 통제권을 확보하기 위해 북서부 인디언 연합 부족들과 체결한 조약으로, 미국에 광대한 토지를 할양하는 대신 연방 정부가 해당 부족들에게 연금과 물품을 지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불평등 조약이라는 비판과 함께 미국 서부 진출과 원주민 관계에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가진다.
  • 오하이오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비버 전쟁
    비버 전쟁은 17세기 북아메리카에서 모피 무역, 식민지 확장, 부족 간 세력 다툼으로 인해 이로쿼이 연맹과 프랑스 및 동맹 부족들 간에 벌어진 일련의 분쟁을 의미하며, 북미 원주민 사회와 프랑스-영국 식민지 경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하이오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폴른 팀버스 전투
    폴른 팀버스 전투는 1794년 미국이 오하이오 영유권을 주장하며 서부 인디언 연맹과 벌인 전투로, 앤서니 웨인 장군의 미군이 승리하여 그린빌 조약 체결로 이어졌고 현재 전투터는 국립 사적지 및 기념 공원으로 남아있다.
  • 윌리엄 헨리 해리슨 - 폴른 팀버스 전투
    폴른 팀버스 전투는 1794년 미국이 오하이오 영유권을 주장하며 서부 인디언 연맹과 벌인 전투로, 앤서니 웨인 장군의 미군이 승리하여 그린빌 조약 체결로 이어졌고 현재 전투터는 국립 사적지 및 기념 공원으로 남아있다.
  • 윌리엄 헨리 해리슨 - 티피카누 전투
    티피카누 전투는 1811년 윌리엄 헨리 해리슨의 미군과 텐스콰타와가 이끄는 아메리카 원주민 연합 간의 전투로, 미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1812년 전쟁의 배경이 되었다.
북서 인디언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그린빌 조약 협상 장면 묘사 (앤서니 웨인의 장교 중 한 명이 그린 것으로 추정)
그린빌 조약 협상 장면 묘사 (앤서니 웨인의 장교 중 한 명이 그린 것으로 추정)
명칭북서 인디언 전쟁
일부미국 인디언 전쟁
기간1785년 4월 15일 – 1795년 8월 3일
위치미국북서부 영토
결과미국 합중국의 승리
조약그린빌 조약
교전 세력
교전국 1미국
칙소 족
촉토 족
교전국 2
퀘벡 주 (1791년까지)
어퍼캐나다 (1791–1795)
지휘관 및 지도자
미국조지 워싱턴
헨리 녹스
조시아 하머
아서 세인트 클레어
앤서니 웨인
제임스 윌킨슨
인디언 연합 및 영국블루 재킷
리틀 터틀
버콩가헬라스
에구샤와
윌리엄 캠벨
윌리엄 콜드웰
병력 규모
미국약 4,000명 정규군
인디언약 2,000명
피해 규모
미국1,221명 사망, 458명 부상
인디언1,000명 이상 사망, 부상자 수 불명

2. 배경

1794년 오하이오 인디언들은 폴른 팀버스 전투에서 미합중국에 패배하였고, 1795년 그린빌 조약을 통해 오늘날 오하이오 대부분을 포함한 영토를 빼앗겼다.[3]

북서부 지역의 원주민 부족 지도


프랑스-인디언 전쟁(1754~1760)에서 프랑스와 대영제국은 오하이오 지역(Ohio Country)과 일리노이 지역(Illinois Country)으로 알려진 오대호 이남 지역의 지배권을 두고 싸웠다. 이 지역의 원주민 부족들은 경제적, 정치적 필요에 가장 적합한 제국 세력과 연합하여 전쟁 양측에서 싸웠다. 1763년 파리 조약에서 프랑스는 이 지역을 영국에 할양했다. 그 해, 원주민 연합은 영국을 몰아내기 위한 노력으로 폰티악 전쟁을 시작했다. 추가적인 적대 행위를 피하기 위해 영국은 식민지 개척민과 원주민 토지 사이의 경계선을 설정한 1763년 왕실 선포를 발표했다.

1768년, 영국 관리들은 오하이오 지역에 대한 주권을 주장한 이로쿼이 연맹과 스탠위크 요새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경계선을 더 서쪽으로 이동시켰고 오하이오 강 이남 지역을 식민지 개척에 개방했다. 조지 워싱턴과 같은 식민지 엘리트들이 토지 회사를 조직하고 토지 보조금을 확보하는 동안 이민자들이 이 지역으로 쏟아져 들어왔다. 오늘날의 켄터키주를 사냥터로 이용했던 원주민들(주로 쇼니족체로키족)은 이 조약에서 상의를 하지 못했고 이로쿼이족이 토지를 판매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부인했다. 1770년대 초, 쇼니족은 식민지 점령에 저항하기 위해 새로운 원주민 연합을 만들려고 노력했지만 영국 관리들은 이로쿼이족을 이용하여 그들을 성공적으로 고립시켰다. 그 결과, 쇼니족은 1774년 소수의 밍고족 동맹군만을 거느리고 던모어 경의 전쟁에서 싸워 패했고, 식민지와 원주민 토지 사이의 오하이오 강 경계선에 동의해야 했다.

국경을 더 잘 통제하기 위해 1774년 영국 의회는 전체 지역을 퀘벡 주의 관할권 아래 두고 식민지 토지 청구권을 무효화하는 퀘벡 법령을 통과시켰다. 이 토지를 소유하거나 정착하기를 바랐던 미국 식민지 개척민들은 분노했고, 1776년 영국으로부터 미국 독립 선언을 선포하기로 결정하는 데 기여했다. 많은 원주민들이 미국 정착민들을 몰아내려고 미국 독립 전쟁 서부 전선에서 영국과 동맹을 맺었다. 전쟁을 끝낸 1783년 파리 조약에서 영국은 원주민 토지 권리를 언급하지 않고 이 지역을 미국에 할양했다. 원주민 국가들은 기술적으로 미국과 여전히 전쟁 중이었고, 리처드 버틀러는 그들에게 영국이 "당신들을 버리고 우리에게 당신들의 나라를 주었다"고 주장했다.[3]

혁명에서 영국 동맹국으로 싸웠던 모호크족 지도자 조셉 브랜트는 "영국이 인디언들을 의회에 팔았다"는 것을 알고 경악했다. 1783년, 그는 "지금까지 가장 야심찬 부족 간 연합"인 북서부 연합을 결성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와이앤돗족 마을 Junquindundeh(현재 오하이오주 프리몬트)에서 브랜트는 원주민 토지는 모든 부족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연합의 동의 없이는 어떤 토지도 할양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회의 참석자들 중에는 이로쿼이족, 쇼니족, 델라웨어(레나페)족, 와이앤돗족, 세 불의 회의( 오지브웨족, 오다와족, 포타와토미족), 그리고 소수의 체로키족과 머스코지족이 있었다.

그 후 몇 년 동안 미국 주들은 이 지역에 대한 권리를 연방 정부에 양도했고, 연방 정부는 오하이오 강 북쪽의 토지를 미국 정착민들에게 판매하여 혁명으로 인한 부채를 상환하려고 했다. 미국 관리들은 원주민 연합을 인정하지 않고 대신 분할 통치 정책을 추구했다. 그들은 원주민들에게 그들의 토지가 정복의 권리에 의해 빼앗겼다고 알렸고, 미국이 조건을 결정하는 일련의 조약에서 이를 확인하려고 했다. 일부 원주민 지도자들은 압력에 굴복하여 스탠위크 요새(1784), 맥킨토시 요새(1785), 피니 요새(1786)에서 토지를 할양했다. 강경하고 호전적인 원주민들은 오하이오 강 북쪽의 땅을 방어하는 데 전념했다. 쇼니족과 레나페족은 전쟁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2. 1. 비버 전쟁 (17세기)

17세기, 북미 대륙의 모피 무역 주도권을 둘러싸고 이로쿼이 연맹과 프랑스, 그리고 그들과 동맹을 맺은 여러 인디언 부족들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다. 1608년 사무엘 드 샹플랭은 세인트 로렌스 강을 따라 살고 있는 와이앤도트 족(휴런 족) 인디언 측에 합세하여, 뉴욕 식민지 북부에 사는 이로쿼이 족과 맞섰다. 그 결과, 이로쿼이 족은 프랑스를 격렬하게 미워하게 되었고, 1626년 무렵 허드슨강을 거슬러 온 네덜란드 상인들과 교역 파트너가 되었다.[1] 네덜란드는 이로쿼이 족의 모피를 총, 도끼, 칼 등과 교환했고, 이로쿼이 족은 그 무기를 이용하여 1650년대에 시작된 비버 전쟁에서 휴런 족과 북서부 영토(오하이오) 서부의 인디언 부족을 거의 축출하는데 성공했다.[1]

이 전쟁으로 이로쿼이 연맹은 세력을 확장했지만, 동시에 많은 인디언 부족들이 서쪽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강대해진 이로쿼이 족은 미국 북동부의 판도를 바꾸었으며, 와이앤도트 족(휴런 족), 뉴트럴 족, 이리 족, 서스케하노크 족 등 여러 대부족 간의 동맹을 파괴하고, 다른 동부 부족을 미시시피강을 건너 서부로 몰아냈다.[1] 인디언 피난민은 이로쿼이 족 전사를 피해 서부로 이동하였으며, 이로쿼이 족은 북동부로 돌아갔기 때문에, 켄터키와 오하이오 영토는 사실상 공백 지대가 되었다.[1] 1655년 무렵, 이로쿼이 족은 네덜란드의 뉴네덜란드 영지를 점령한 영국과 교역을 할 수 있게 되었다.[1]

2. 2. 프랑스와 영국의 점령 (17세기-18세기)

17세기와 18세기에 걸쳐 영국프랑스는 모두 오하이오 준주의 영유권을 주장했다. 1700년대 중반, 양국은 상인과 모피 무역업자들을 이 지역에 파견하여 토착민들과 무역을 했지만, 폭력 사태도 빈번하게 발생했다.[3] 이는 프랑스-인디언 전쟁 결과, 1763년 파리 조약에서 프랑스가 이 지역을 포기함으로써 결착되었다.

영국은 오대호 지역일리노이주 동부, 오하이오 준주를 포함한 많은 인디언 부족들과 마주하게 되었다. 이 부족들은 영국의 이주민들이 자신들의 땅에 들어오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이는 폰티액 전쟁 (1763-66)으로 이어져, 여러 요새를 불태우고 이주민들을 살해하며 북서부 준주에서 몰아내려 했다. 영국은 피트 요새를 증강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고, 부시런의 소규모 전투에서 인디언들을 격파했다. 이 전쟁은 거의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은 채로 끝났다.

영국은 1763년 선언으로 북서부 준주에 대한 백인의 이주를 공식적으로 금지했다. 이로 인해 일부 영국인들은 쇼니족 및 기타 부족들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원했다. 1774년 6월 22일, 영국 의회는 퀘벡법을 통과시켜 이 지역을 퀘벡 식민지에 귀속시키는 것으로 했다. 이 법은 백인들 사이에서는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이어지는 참을 수 없는 법률 중 하나로 여겨졌다.

2. 3. 프렌치 인디언 전쟁 (1754-1763)

17세기18세기에 걸쳐 영국과 프랑스는 모두 이로쿼이 연맹과 함께 오하이오 준주의 영유권을 주장했다. 1700년대 중반, 양국은 상인과 모피 무역업자들을 이 지역에 파견하여 토착민들과 무역을 했지만, 폭력 사태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프랑스-인디언 전쟁 결과, 1763년파리 조약에서 프랑스는 이 지역을 영국에 할양했다.[3]

영국은 오대호 지역과 일리노이주 동부, 오하이오 준주를 포함한 많은 인디언 부족들과 마주하게 되었다. 이 부족들은 영국 이주민들이 자신들의 땅에 들어오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이는 폰티악 전쟁 (1763-1766)으로 이어져, 여러 요새를 불태우고 이주민들을 살해하며 북서부 준주에서 몰아내려 했다. 영국은 피트 요새를 증강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고, 부시런의 소규모 전투에서 인디언들을 격파했으나, 이 전쟁의 결과는 거의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은 채로 끝났다.

영국은 1763년 선언으로 북서부 준주에 대한 백인의 이주를 공식적으로 금지했다. 이로 인해 일부 영국인들은 쇼니족 및 기타 부족들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원했다. 1774년 6월 22일, 영국 의회는 퀘벡법을 통과시켜 이 지역을 퀘벡 식민지에 귀속시켰다. 이 법은 백인들 사이에서는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이어지는 참을 수 없는 법률 중 하나로 여겨졌다.

2. 4. 폰티액 전쟁 (1763-1766)

17세기18세기에 걸쳐 영국과 프랑스는 모두 이로쿼이 연맹과 함께 오하이오 준주의 영유권을 주장했다. 1700년대 중반, 양국은 상인과 모피 무역업자들을 이 지역에 파견하여 토착민들과 무역을 했지만, 폭력 사태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는 프랑스-인디안 전쟁의 결과, 1763년파리 조약에서 프랑스가 이 지역을 포기함으로써 결착되었다.

영국은 오대호 지역과 일리노이주 동부, 오하이오 준주를 포함한 많은 인디언 부족들과 마주하게 되었다. 이 부족들은 영국 이주민들이 자신들의 땅에 들어오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이것이 폰티액 전쟁 (1763-1766)으로 이어져, 여러 요새를 불태우고 이주민들을 살해하며 북서부 준주에서 몰아내려 했다. 영국은 피트 요새를 증강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고, 부시런의 소규모 전투에서 인디언들을 격파했다. 이 전쟁의 결과는 거의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은 채로 끝났다.

영국은 1763년 선언으로 북서부 준주에 대한 백인의 이주를 공식적으로 금지했다. 이로 인해 일부 영국인들은 쇼니족 및 기타 부족들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원했다. 1774년 6월 22일, 영국 의회는 퀘벡 법령을 통과시켜 이 지역을 퀘벡 식민지에 귀속시키는 것으로 했다. 이 법은 백인들 사이에서는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이어지는 참을 수 없는 법률 중 하나로 여겨졌다.

2. 5. 미국 독립 전쟁 (1775-1783)

미국 독립 전쟁은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전쟁이었다. 이 과정에서 북서부 영토의 여러 인디언 부족들은 영국 편에 서서 미국과 싸웠다.

1778년, 조지 로저스 클라크 장군이 이끄는 178명의 병사들은 오하이오 강에 있던 영국군 요새를 점령하고 오하이오 강 북쪽 땅에 대한 영유권을 선언했다. 1782년 블루릭스 전투는 켄터키에서 벌어진 미국 독립 전쟁의 마지막 전투 중 하나로, 영국군과 인디언 연합군이 켄터키 민병대를 공격했다.

1783년 파리 조약을 통해 미국은 독립과 북서부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이 영토는 여러 주가 영유권을 주장하여 복잡한 상황이었다. 대륙 회의는 전쟁 부채 상환을 위해 서부 땅을 매각하려 했고, 1785년 공유지 조례는 이러한 움직임을 가속화했다.

1787년 북서부 조례는 인디언의 영토를 보장했지만, 오하이오 강 북쪽에 정착민 유입이 계속되면서 갈등이 심화되었다. 1789년 하마 요새 조약은 실패했고, 토지 소유에 대한 문화적 차이로 인해 갈등은 더욱 악화되었다. 인디언들에게 땅은 특정인이 소유하거나 타인을 배척하는 대상이 아니었다.

2. 5. 1. 이로쿼이 연방의 참전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이로쿼이 연방의 여섯 부족 중 모호크족, 오노다가족, 카유가족, 투스카로라족은 영국 편에 서서 오리스카니 전투, 펜실베이니아 와이오밍 전투 등에서 활약했다. 그러나 조지 워싱턴은 이로쿼이 족에 대한 반격을 명령했다.[1]

존 설리번1779년 뉴타운 전투에서 이로쿼이 족을 패퇴시키고 40여 개의 마을과 저장된 곡식을 불태우는 초토화 작전을 펼쳤다. 이로 인해 많은 이로쿼이 족이 나이아가라 요새캐나다로 피난갔고, 이들의 영향력은 크게 줄었다.[1]

워싱턴의 군대는 이로쿼이 족을 철저히 학살하고, 그들의 가죽으로 부츠와 레깅스를 만들기도 했다. 세네카 족의 마을은 30개 중 28개가 파괴되었으며, 인디언들은 워싱턴을 "도시 파괴자"라고 부르며 두려워했다.[1]

3. 인디언 동맹 (북서부 인디언 연합) 결성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북서부 영토의 인디언 부족들은 미국의 팽창 정책에 맞서기 위해 연합 전선을 구축했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부터 이어져 온 부족 간 협력은 미국 독립 전쟁 동안 다시 강화되었다. 1785년 가을, 디트로이트 요새에서 새로운 동맹(인디언 합중국)이 결성되어, 부족들은 개별 부족에 관계없이 단결하여 미국에 대항할 것을 선언했다.[3] 1786년에는 와이앤도트 족 마을에서 이 결정을 재확인하고, 오하이오 강을 인디언과 미국 이주민 사이의 경계로 삼을 것을 주장했다. 와이앤도트 족은 동맹 부족의 명목상 '아버지' 역할을 했으며, 쇼니 족과 마이애미 족은 강력한 전사 집단을 이루었다.

이 연합은 모호크 족 지도자 조셉 브랜트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1783년, 와이앤돗족 마을 Junquindundeh(현재 오하이오 주 프리몬트)에서 브랜트는 원주민 토지는 모든 부족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연합의 동의 없이는 어떤 토지도 양도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3]

3. 1. 동맹의 배경과 목표

미국 독립 전쟁 동안 재결성된 서부 동맹은 프랑스 식민지 시대부터 시작된 인디언 부족 간의 협력을 촉진했다.[3] 1785년 가을, 디트로이트 요새에서 새로운 동맹(인디언 합중국)이 결성되어 부족들이 단합하여 미국에 대항할 것을 선언했다. 1786년 와이앤도트 부족은 이 결정을 구체화하여 오하이오 강을 인디언과 미국 이주민 사이의 경계로 삼자고 주장했다.[3] 와이언도트 족은 동맹 부족의 명목상 '아버지'였으며, 쇼니 족과 마이애미 족이 강력한 전사대를 구성했다.

동맹에 참여한 부족은 다음과 같다.

부족명
와이앤닷족(휴런족이라고도 함)
이로쿼이 연맹
쇼니족
세 개의 불 연맹* 오지브웨족* 오타와족* 포타와토미족
델라웨어족
마이애미족
키카푸족
카스카스키아족
와바시 연합 (위족, 피안카쇼족 등)
치카마우가-체로키족



대부분의 경우 모든 부족이나 민족이 전쟁에 참여한 것은 아니었다. 인디언 사회는 중앙 집권 시스템이 아니었고, 각 지파는 독립적인 합의제 사회를 형성하고 있었다. 전투 참여는 합의에 따라 마을 단위, 경우에 따라서는 개인 단위로 결정되었다. 백인들로부터 "치카마우가"라고 불린 체로키족 집단 두 집단 출신의 약 200명의 전사들은 독립 전쟁 시대부터 동맹 시대까지 쇼니족과 공존하며 싸웠다. 또한, 경우에 따라 체로키족 전사 치유군시니(드래깅 카누)가 그의 형제 배저와 함께 특정 공격을 향해 하나의 전사 집단을 이끌기도 했다. 북서부 인디언과 전통적으로 사이가 좋지 않았던 남부 부족인 촉토족치카소족은 미국 측 정찰병 역할을 했다.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 5명은 백인들에게는 "군사 지도자"로 보였지만, 인디언에게 그러한 직책은 없었다. 그들은 연맹 내에서 뛰어난 전사였다는 의미이다.

3. 2. 주요 참여 부족

다음은 북서 인디언 전쟁에 참여한 주요 부족들이다.

부족명설명
와이언도트 족(휴런 족)1608년 프랑스 탐험가 사무엘 드 샹플랭이 이들을 지원하여 이로쿼이 연방과 대립했다.
이로쿼이 연방네덜란드와 교역하며 무기를 확보, 비버 전쟁에서 와이언도트 족 등을 축출했다.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영국을 지원했다.
쇼니 족1763년 선언으로 백인 정착이 금지되자 영국과 우호 관계를 희망했다.
세 파이어 협의회오지브와 족, 오타와 족, 포타와토미 족으로 구성.
레나페족
마이애미 족
키카푸 족
카스카스키아족
와바슈 연방위아 족, 피안카쇼 족 등
치카모가-체로키 족드래깅 카누 등의 지도자가 쇼니 족과 함께 전투에 참여.



대부분의 경우 모든 부족이나 지파가 전쟁에 참여한 것은 아니었다. 인디언 사회는 중앙 집권 체제가 아닌 각 지파나 부족이 독립적인 합의제 사회를 형성하고 있었다. 전투 참여는 합의에 따라 마을 단위, 경우에 따라서는 개인 단위로 결정되었다.[3]

4. 전쟁의 과정

1786년 가을, 벤자민 로건 장군이 이끄는 연방군과 켄터키 기마 민병대는 매드 강 쇼니 족 마을을 습격하여 마을과 식량을 불태우고 많은 주민을 죽이거나 포로로 잡았다. 이 과정에서 인디언 추장이 병사 한 명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는 쇼니 족의 격분을 사 백인에 대한 공격을 더욱 악화시켰다. 오하이오 강 양안에서 인디언의 습격은 더욱 잔인해졌고, 1780년대 중반부터 후반까지 켄터키 오하이오 강 남안의 백인 정착민과 오하이오 강 북쪽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약 1,500명의 피해를 입었다. 그 사이 백인도 인디언에게 보복했다.

1790년, 미국 대통령 조지 워싱턴과 육군장관 헨리 녹스는 조시아 하마 준장에게 쇼니 족과 마이애미 족 거주지를 향해 서부 원정군을 진군시키라는 명령을 내렸다. 1790년 10월, 하마 준장의 지휘 아래 1,453명의 부대가 오늘날 인디애나주 포트웨인 부근에 집결했다. 하마는 존 하딘 대령에게 400명의 부대를 맡기고 인디언 부대로 출동시켰지만, 1,100명이나 되는 인디언 전사들이 모여 하딘의 부대를 격파하고 129명 이상의 병사들을 전사시켰다.

미시키나쿠와(리틀 터틀)


1791년 여름, 워싱턴은 북서부 영토 주지사였던 아서 세인트 클레어 소장에게 더욱 적극적인 전략을 주문했다. 세인트 클레어는 병력과 물자를 어렵게 마련하며 준비를 하였다. 11월 4일 새벽, 세인트 클레어의 미숙한 부대는 200명의 비전투 종군자들과 함께 오늘날 오하이오주 포트 리커버리 근처에서 숙영하고 있었지만, 숙영지의 방비가 소홀했다. 리틀 터틀, 블루 재킷 및 테쿰세 등이 참여한 약 2,000명의 인디언 전사가 급습하여 미군을 놀라게 하고, 방비가 제대로 되지 않았던 경계선 안쪽으로 순식간에 난입했다. 미숙한 신병들은 당황했고, 명령을 내리고 붕괴를 막으려 한 많은 지휘관들이 죽었다. 미군의 피해는 920명의 사병 중 632명에 달했고, 264명의 부상자도 나왔다. 비전투 종군자 거의 모두 전사했다. 이는 미합중국이 인디언 전쟁에서 당했던 가장 뼈아픈 패배였다. 1792년에는 워싱턴이 보낸 평화 사절 존 하딘 대령과 알렉산더 트루먼 소령이 살해되었다.

세인트 클레어의 대패 후, 워싱턴은 ‘미치광이 앤서니’라는 별명을 가진 앤서니 웨인 소장에게 새롭게 훈련된 부대를 만들도록 지시했다. 웨인은 1793년 말에 새로운 미합중국 군지휘관에 임명되었다. 철저한 훈련을 받은 웨인 부대는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진군하였으며, 세인트 클레어가 패한 위치에 요새를 복구해 재구축했다. 1794년 6월, 리틀 터틀이 미합중국군의 요새를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웨인 훈련시킨 부대는 더욱 깊숙이 침투하여 와바슈 연방 영토까지 들어갔다. 리틀 터틀 대신 블루 재킷 등이 공격했지만, 1794년 8월 폴른 팀버스 전투에서 패했다.

블루 재킷 등은 패주하여 영국군의 마이애미 요새로 재집결하려 했지만, 영국군은 요새에 들어가는 것을 거부했다. 당시 영국과 미국은 프랑스 혁명 후 자코뱅파가 지배하는 프랑스에 대항하기 위해 긴밀한 관계를 맺으려 하고 있었다.

1795년에 체결된 그린빌 조약제이 조약에 따라 인디언은 미합중국에서 영토를 상실했고, 영국군은 서부 요새에서 철수했다.

4. 1. 초기 충돌 (1785-1790)

1785년 공유지 조례와 매킨토시 요새 조약으로 미국의 서부 확장이 가속화되자, 인디언 부족들과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모두 공유한다"는 인디언의 문화에서 토지는 특정인의 소유가 될 수 없었다. 따라서 백인들이 들어와서 마음대로 농토를 개척해도, 인디언은 관용을 베풀었다. 그러나 그 수가 증가하면서, 백인이 토지의 소유권을 주장하게 되었고, 인디언들에게 이주를 요구하면서 인디언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인디언에게 땅은 특정인이 소유하거나, 타인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었다.[3]

1786년 가을, 벤자민 로건 장군이 연방군 병사와 켄터키 기마 민병대를 이끌고 매드 강 쇼니 족 마을을 습격했다. 그 마을은 전사들이 켄터키 요새를 습격하려고 부재중이었으며, 주로 비전투원 민간인들이 지키고 있었다. 로건은 마을과 식량을 불태우고, 많은 주민을 죽이거나 포로로 잡았다. 그중에는 인디언 추장도 있었지만, 병사 한 명에게 살해당했다. 로건의 습격과 추장 살해는 쇼니 족을 격분시켰고, 백인에 대한 공격과 보복을 더 악화시켰다.

1787년에 연방 의회에서 채택된 북서부 조례에 의해, 미국의 법률에 인디언 영토가 보장되었지만, 오하이오 강 북쪽으로의 이주민 유입은 계속되었다. 이러한 이주민과 인디언과의 갈등은 일촉즉발의 상황까지 이르렀다. 양측의 불만을 억누르려고 한 1789년의 하마 요새 조약은 실패로 돌아가고, 상황은 악화되었다.

4. 2. 하마 원정 (1790)

1790년, 미국 대통령 조지 워싱턴과 육군장관 헨리 녹스는 조시아 하마 준장에게 쇼니 족과 마이애미 족의 거주지를 향해 서부 원정군을 진군시키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는 미군의 첫 번째 대규모 공격 작전이었다.[16] 1790년 10월, 하마 준장의 지휘 아래 1,453명의 부대가 오늘날 인디애나주 포트웨인 부근에 집결했다. 하마는 존 하딘 대령에게 400명의 부대를 맡기고 인디언 부대로 출동시켰지만, 인디언 전사는 1,100명이나 모여 있어 하딘의 부대를 호되게 강습하여 129명 이상의 병사들을 전사시켰다. 이 전투는 인디언 연합군의 강력한 저항으로 인해 미군의 실패로 끝났다.

4. 3. 세인트 클레어의 패배 (1791)

세인트 클레어의 패배 (루퍼스 페어차일드 조그바움, 1896)


1791년 11월 4일 새벽, 아서 세인트 클레어 소장이 이끄는 미군은 200여 명의 비전투 종군자들과 함께 오늘날 오하이오주 포트 리커버리 근처에서 숙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숙영지의 방비는 허술했다. 리틀 터틀, 블루 재킷, 테쿰세 등이 참여한 약 2,000명의 인디언 전사들이 기습하여 미군을 놀라게 하고, 방비가 제대로 되지 않았던 경계선 안쪽으로 순식간에 난입했다. 미숙한 신병들은 당황했고, 명령을 내리고 붕괴를 막으려 한 많은 지휘관들이 죽었다.[4] 920명의 사병 중 632명이 사망하고, 264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200명의 비전투 종군자 거의 모두가 전사했다. 이 전투는 미합중국이 인디언 전쟁에서 당했던 가장 뼈아픈 패배였다.[4] 1792년에는 워싱턴이 보낸 평화 사절 존 하딘 대령과 알렉산더 트루먼 소령이 살해되었다.

4. 4. 웨인의 군사 작전 (1792-1794)

1792년 아서 세인트클레어의 대패 후, 조지 워싱턴은 '미치광이 앤서니'라는 별명을 가진 앤서니 웨인 소장에게 새롭게 훈련된 부대를 편성하도록 명령했다. 웨인은 1793년 말에 새로운 미합중국 군지휘관에 임명되었다. 철저한 훈련을 받은 웨인 부대는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진군하였으며, 세인트클레어가 패한 위치에 요새를 복구해 재구축했다. 1794년 6월, 리틀 터틀이 미합중국군의 요새를 공격했지만 실패했다.[5] 웨인의 부대는 더욱 깊숙이 침투하여 와바슈 연방 영토까지 들어갔다. 리틀 터틀 대신 블루 재킷 등이 공격했지만, 1794년 8월 폴른 팀버스 전투에서 패배했다.[6]

블루 재킷 등은 패주하여 영국군의 마이애미 요새로 재집결하려 했지만, 영국군은 요새 문을 닫고 입성을 거부했다. 당시 영국과 미국은 프랑스 혁명 이후 자코뱅파가 지배하는 프랑스에 대항하기 위해 긴밀한 관계를 맺으려 하고 있었다.

4. 5. 폴른 팀버스 전투 (1794)

1794년 폴른 팀버스 전투에서의 미국 레기온


1794년 8월 20일 아침, 웨인이 이끄는 미군은 진영을 풀고 오늘날의 오하이오주 톨리도 근처 모미 강으로 진군했다. 이곳에서 연합군은 매복을 준비하고 있었다. 미군은 보급 열차와 요새 방어를 위해 많은 병력을 남겨두었기 때문에 약 3,000명의 병력과 민병대로 줄어든 상태였다. 블루 재킷은 토네이도가 수백 그루의 나무를 쓰러뜨려 자연적인 방어벽을 만든 전장을 선택했다.[5] 그는 그곳에 약 1,500명의 전사들로 구성된 연합군을 배치했다. 이들은 블루 재킷의 쇼니족, 버컨가헬라스가 이끄는 델라웨어족, 리틀 터틀이 이끄는 마이애미족, 타르헤와 라운드헤드가 이끄는 와이앤닷족, 민고족, 소규모 모호크족 분견대, 그리고 윌리엄 캘드웰이 지휘하는 아메리카 원주민으로 변장한 캐나다 민병대 영국군 소대로 구성되었다.

리틀 오터와 에구샤와 지휘하의 오다와족과 포타와토미족은 중앙에 위치하여 미군 정찰병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다. 미군 선봉대는 추격하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처음에는 무너졌다. 웨인은 즉시 예비대를 중앙에 투입하여 그들의 진격을 저지하고 보병을 두 개의 부대로 나누었다. 하나는 윌킨슨이, 다른 하나는 햄트램크가 지휘했다. 미군 기병대는 모미 강을 따라 우익을 확보했다. 스콧 장군은 개방된 좌익을 보호하기 위해 기마 민병대 여단을 제공했고, 나머지 켄터키 민병대는 예비대로 편성되었다.[5] 접촉이 이루어지자 미군 정찰병들은 연합군 전사들의 위치를 파악했고, 웨인은 즉각적인 총검 돌격을 명령했다. 미군 용기병들 또한 돌격하여 사벨로 공격했다. 블루 재킷의 전사들은 근처 포트 마이애미에서 재집결하기 위해 전장에서 도망쳤지만, 영국 수비대가 요새 문을 잠근 것을 발견했다. 당시 영국과 미국은 자코뱅 프랑스프랑스 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전투는 1시간이 채 걸리지 않았다. 미군은 33명이 사망하고 100명이 부상당하는 상당한 사상자를 냈다. 연합군은 19명에서 40명 사이의 전사가 사망하고 부상자 수는 알 수 없었다. 이 전투는 원주민 국가들 사이, 그리고 연합군과 영국 사이에 불신을 조장했으며, 북서 연합군이 미국에 대항하여 대규모 군대를 모은 마지막 전투였다.

웨인의 군대는 영국군 윌리엄 캠벨 소령이 지휘하는 포트 마이애미가 보이는 곳에 3일 동안 진을 쳤다. 캠벨이 진영의 의미를 묻자, 웨인은 그 답은 이미 그들의 머스킷 소리와 인디언들의 후퇴로 주어졌다고 대답했다. 다음 날, 웨인은 혼자 포트 마이애미로 가서 요새 외벽을 천천히 검사했다. 영국 수비대는 웨인과 교전할지 여부를 논의했지만, 명령이 없고 이미 프랑스와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캠벨은 미국에 첫 번째 총을 쏘는 것을 거부했다. 한편 미군은 포트 디포짓 지역에서 인디언 마을과 농작물을 파괴하고 포트 마이애미가 보이는 곳에 있는 알렉산더 맥키의 무역소를 불태운 후 철수했다.

5. 조약 체결과 전쟁의 종결

1794년 폴른 팀버스 전투 이후, 미국과 인디언 부족들은 그린빌 조약을 체결하여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결했다. 이 조약으로 인디언 부족들은 오하이오 영토 대부분과 인디애나 일부를 미국에 넘겨주어야 했으며, 미국은 북서부 영토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게 되었다. 한편, 미국과 영국은 제이 조약을 체결하여 영국군이 서부 요새에서 철수하도록 했다.

5. 1. 그린빌 조약 (1795)

1794년 폴른 팀버스 전투에서 오하이오 인디언들이 미합중국에 패배한 후, 1795년 그린빌 조약을 통해 오늘날 오하이오 대부분을 포함하는 영토를 미국에 할양해야 했다.[9] 이 조약으로 미국은 북서부 영토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했다.

오하이오와 인디애나 준주 사이의 경계는 그린빌 조약선을 거의 따라 형성되었다.


몇 달 후 미국과 영국은 제이 조약[7]을 체결하여 영국이 그레이트 레이크스 요새에서 철수하고 카리브해 일부 영국 영토를 미국 무역에 개방하도록 했다. 이 조약은 미국 또는 영국 영토에 거주하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자유 무역과 이동의 자유도 명시했다.[8] 미국 상원에서 비준된[7] 제이 조약은 영국이 더 이상 연합군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증거로 사용되었다.

그린빌 조약은 세인트 클레어의 패배와 포트 리커버리를 기준점으로 삼아,[9] 북서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에게 오하이오 남부와 동부, 그리고 일리노이 지역의 요새와 정착지 주변의 여러 토지를 할양하도록 강요했다. 또한 영국이 아닌 미국을 올드 노스웨스트의 지배 세력으로 인정하고, 모든 미국 포로가 돌아올 때까지 10명의 추장을 인질로 넘겨주도록 했다. 마이애미족은 북서 조례에 따라 케키옹가 포티지에 대한 사유 통제권도 상실했다.

5. 2. 제이 조약 (1795)

1794년 미국과 영국은 제이 조약[7]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 따라 영국은 그레이트 레이크 요새에서 철수하고, 카리브 해의 일부 영국 영토를 미국 무역에 개방하기로 했다. 또한 미국 또는 영국이 통제하는 영토에 거주하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자유 무역과 이동의 자유를 보장했다.[8] 1795년 미국 상원은 제이 조약을 비준했으며,[7] 앤서니 웨인 장군은 이를 영국이 더 이상 북서 인디언 연합군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증거로 활용했다. 제이 조약과 미국-영국 관계는 179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중요한 쟁점이 되었고, 이 선거에서는 제이 조약에 반대한 토머스 제퍼슨을 꺾고 존 애덤스가 승리했다.

6. 핵심 인물



북서 인디언 전쟁에는 양측에 다양한 주요 인물들이 참여했다.

미합중국 측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직책 및 역할
조지 워싱턴미합중국 대통령
헨리 녹스육군 장관
죠시아 하마육군 장군, 하마 원정 지휘
아서 세인트 클레어북서부 영토 주지사, 소장, 세인트 클레어의 패배 당시 지휘관
앤서니 웨인육군 소장, 폴른 팀버스 전투 승리
티머시 피커링외교관, 육군 장관, 국무 장관
존 하딘대령, 휴전 특사로 파견되었으나 살해됨
알렉산더 트루먼소령, 휴전 특사로 파견되었으나 살해됨



인디언 동맹(북서부 인디언 연합) 측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리틀 터틀 (마이애미 족)
  • 블루 재킷 (쇼니 족)
  • 밧콘가헬라스 (델라웨어 족)
  • 라운드 헤드 (와이언도트 족)
  • 에구샤와 (오타와 족)


백인들은 이들을 '군 지도자'로 여겼지만, 인디언 사회에는 그런 직책이 없었다. 이들은 단지 동맹에서 뛰어난 전사였을 뿐이다.

6. 1. 미합중국

조지 워싱턴 대통령과 헨리 녹스 육군 장관은 1790년 죠시아 하마 준장에게 쇼니 족과 마이애미 족 거주지를 향해 진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20] 1790년 10월, 하마 준장의 지휘 아래 1,453명의 부대가 오늘날 인디애나 포트 웨인 부근에 집결했다. 하마는 존 하딘 대령에게 400명의 부대를 맡겨 인디언 부대로 출동시켰지만, 인디언 전사들은 1,100명이나 모여 하딘 부대를 공격하여 129명 이상의 병사들을 전사시켰다.[20]

1791년 여름, 워싱턴은 북서부 영토 주지사였던 아서 세인트 클레어 소장에게 더욱 적극적인 전략을 주문했다. 세인트 클레어는 병력과 물자를 어렵게 마련하며 준비했다.[20] 1791년 11월 4일 새벽, 세인트 클레어의 미숙한 부대는 200명의 비전투 종군자들과 함께 오늘날 오하이오 주 포트 복구 근처에서 숙영하고 있었지만, 숙영지의 방비가 허술했다. 리틀 터틀, 블루 재킷 및 테쿰세 등이 참여한 약 2,000명의 인디언 전사가 급습하여 미군을 놀라게 하고, 방비가 제대로 되지 않았던 경계선 안쪽으로 순식간에 난입했다. 미숙한 신병들은 당황했고, 많은 지휘관들이 붕괴를 막으려 했지만 전사했다. 미군의 피해는 920명의 사병 중 632명이 사망하고, 264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비전투 종군인 200명 거의 모두 전사했다. 이는 미합중국이 인디언 전쟁에서 당했던 가장 뼈아픈 패배였다.[20] 1792년에는 워싱턴이 보낸 평화 사절 존 하딘 대령과 알렉산더 트루먼 소령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20]

세인트 클레어의 대패 후, 워싱턴은 ‘미치광이 앤서니’라는 별명이 붙은 앤서니 웨인 소장에게 새롭게 훈련된 부대를 만들도록 지시했다. 웨인은 1793년 늦게 새로운 미합중국 군지휘관에 임명되었다.[20] 철저한 훈련을 받은 웨인 부대는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진군하였으며, 세인트 클레어가 패한 위치에 요새를 복구해 재구축했다. 1794년 6월, 리틀 터틀이 미합중국군의 요새를 공격했지만, 이번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웨인이 훈련시킨 부대는 더욱 깊숙이 침투하여 와바슈 연방 영토까지 들어갔다. 리틀 터틀 대신 블루 재킷 등이 공격했지만, 1794년 8월 ‘폴른 팀버스 전투’에서 패하고 말았다.[20]

1793년 대 인디언 회의(Lewis Foy). 암허스트버그 근처 회의를 묘사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의자에 앉은 사람들은 미국 위원인 티머시 피커링, 벤자민 린컨, 베벌리 랜돌프이다. 붉은색 옷을 입은 영국 장교는 알렉산더 맥키 또는 매슈 엘리엇일 수 있으며, 원주민 연설자는 캐리-원-어바웃일 수 있다.


웨인 장군은 평화 협상의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오하이오 강 부근 피츠버그 인근 캠프인 레기온빌에서 미국 레기온으로 알려진 그의 군대를 준비했다. 1793년 5월 5일까지 레기온은 포트 워싱턴 근처 캠프로 이동했고, 웨인은 침공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기다렸다.

1793년 5월 중순, 원주민 연합과 만나기 위해 임명된 미국 위원인 벤자민 린컨, 베벌리 랜돌프, 티머시 피커링은 온타리오 호 서쪽 끝에 있는 나이아가라 요새에 도착했는데, 전년도 존 하딘과 알렉산더 트루먼의 운명을 피하기 위해 5대호를 통해 여행했다.

1794년 암허스트버그 근처 매슈 엘리엇의 재산에서 두 번째 회의가 열렸다.

협상이 결렬되자 웨인은 진격하여 10월 13일 2,600명의 병력과 함께 제퍼슨 요새에 도착했다. 레기온은 그린빌 요새에서 겨울을 보냈지만, 12월 23일 웨인은 약 3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세인트 클레어의 패배 현장으로 향했다. 거기서 그의 부대는 리커버리 요새를 건설하고, 전장에 남아 있던 미군 사망자들을 매장하고, 1791년에 잃어버린 대포 세 문을 회수했다.

아브라함 브래들리 주니어의 1796년 미국 지도에는 1794년 레기온이 건설한 많은 요새와 폴른 팀버 전투가 표시되어 있다.


1794년 1월, 연합군은 미국인들에게 억류된 두 명의 레나페 여성의 석방을 조율하기 위해 그린빌 요새로 사절단을 파견했다. 한 레나페 추장이 웨인 장군이 평화 회담을 할 의향이 있는지 물었다. 웨인 장군은 원주민들이 전쟁 부대를 소환하고 앞으로 30일 이내에 모든 미국 포로를 석방하는 경우에만 협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북서 인디언 전쟁에 참전한 주요 미합중국 측 인물들이다.

인물직책 및 역할
조지 워싱턴미합중국 대통령
헨리 녹스육군 장관
죠시아 하마육군 장군, 하마 원정 지휘
아서 세인트 클레어북서부 영토 주지사, 소장, 세인트 클레어의 패배 당시 지휘관
앤서니 웨인육군 소장, 폴른 팀버스 전투 승리
티머시 피커링외교관, 육군 장관, 국무 장관
존 하딘대령, 휴전 특사로 파견되었으나 살해됨
알렉산더 트루먼소령, 휴전 특사로 파견되었으나 살해됨
찰스 스콧웨인 원정 당시 켄터키 민병대를 지휘한 준장
제임스 윌킨슨포트 워싱턴 사령관이자 웨인의 2인자였던 중령, 스페인 스파이


6. 2. 인디언 동맹 (북서부 인디언 연합)



1790년 조지 워싱턴 대통령과 헨리 녹스 육군 장관은 죠시아 하마 준장에게 쇼니 족과 마이애미 족을 응징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같은 해 10월, 하마 준장의 부대는 인디언 전사들에게 기습당해 129명 이상이 전사했다.[4]

1791년 여름, 워싱턴은 북서부 영토 주지사였던 아서 세인트 클레어 소장에게 다시 한번 공격을 시도하도록 지시했다. 그러나 세인트 클레어의 부대는 훈련 부족과 보급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1791년 11월 4일 새벽, 세인트 클레어의 부대는 오늘날 오하이오 주 포트 복구 근처에서 숙영하던 중, 리틀 터틀, 블루 재킷 등이 이끄는 약 2,000명의 인디언 전사들에게 기습당했다. 이 전투에서 미군은 632명이 사망하고 264명이 부상당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4] 이는 미합중국이 인디언 전쟁에서 당했던 가장 뼈아픈 패배였다.

이후 워싱턴은 앤서니 웨인 소장에게 새롭게 훈련된 부대를 만들도록 지시했다. 웨인은 1793년 늦게 새로운 미합중국 군지휘관에 임명되어 철저한 훈련을 통해 부대를 강화했다. 1794년 6월, 리틀 터틀이 미합중국군의 요새를 공격했지만 실패했고, 웨인의 부대는 더욱 깊숙이 진격했다. 결국 1794년 8월 폴른 팀버스 전투에서 블루 재킷 등이 패배하면서 인디언 동맹은 큰 타격을 입었다.[4]

주요 인디언 지도자들은 다음과 같다.

  • 리틀 터틀 (마이애미 족)[4]
  • 블루 재킷 (쇼니 족)[4]
  • 밧콘가헬라스 (델라웨어 족)[4]
  • 라운드 헤드 (와이언도트 족)[4]
  • 에구샤와 (오타와 족)[4]


백인들은 이들을 '군 지도자'로 여겼지만, 인디언 사회에는 그런 직책이 없었다. 이들은 단지 동맹에서 뛰어난 전사였을 뿐이다.[4]

7. 유산

북서 인디언 전쟁은 델라웨어족에게는 1755년 브래독 원정대 직후 시작된 '40년 전쟁'의 끝이었고,[14][15][16] 오하이오의 미국 인디언 부족에게는 테쿰세 전쟁(1811)과 미영 전쟁(1812)까지 '60년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의 결과는 '인디언 부족의 강제 이주'와 '미국의 영토 강탈'이라는 인종 청소였으며, '인디언 전쟁'은 21세기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7. 1. 인디언 사회에 미친 영향

북서부 인디언 연합이 붕괴되면서 많은 인디언 부족들은 강제로 이주당해야 했고, 그들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은 파괴되었다.[14][15][16]

리틀 터틀은 죽기 전에 "그린빌 조약 이후 우리 중 더 많은 사람들이 죽었는데, 그 수는 전쟁 전 수년간 우리가 잃은 것보다 많다"고 한탄했다.[15]

인디언들은 협의제민주주의 사회였으며, 모든 결정은 협의를 통해 이루어졌다. 인디언 전사들은 개인의 자유 의지로 싸웠으며, '군사 지도자'와 같은 인물은 인디언 사회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족장(Chief)은 '중재자', '평화 조정자'였으며, '수장'이나 '부족장', '군사 지도자'가 아니었다. 백인들은 이러한 인디언 사회의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하고, 유력한 전사나 족장을 '전쟁 사령관'으로 오해하였다.

미래의 아메리카 원주민 저항 운동은 북서부 연합이 보여준 규모나 능력에 맞먹는 연합을 형성할 수 없었다. 작가 윌리 스워드는 19세기 미국 인디언 전쟁이 더 많은 주목을 받았지만, 그들의 운명은 1790년대 전쟁에서 결정되었다고 썼다.[15]

7. 2. 미국 사회에 미친 영향

1794년 폴른 팀버스 전투에서 오하이오 인디언들이 미합중국에 패배하고, 1795년 그린빌 조약을 통해 그들의 영토가 미합중국에 넘어감으로써, 오늘날 오하이오 대부분을 포함한 지역이 미국의 주권 하에 놓이게 되었다.[18][19] 이로 인해 미국의 서부 팽창이 가속화되었다.

이 전쟁은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미국이 치른 첫 번째 큰 군사 행동이었고, 조지 워싱턴 대통령 재임 시기에도 큰 위기였지만,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미국의 역사 관련 서적에서도 간과되고 있다. 이후 서부 개척 시대의 인디언 전쟁은 미국 대중 문화에서 유명해졌지만, 북서 인디언 전쟁에서 미군이 입은 손실은 19세기에 세미놀족이나 수족, 아파치족에 대한 민족말살 전쟁에서 입은 피해를 모두 합친 것보다 많았다. 와바시 전투에서 세인트 클레어 군이 입은 손실은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미국군에게 입힌 최대의 손실이었다.

7. 3. 현대적 의의

오늘날 이 전쟁을 부르는 일반적인 명칭은 존재하지 않는다. '올드 북서부 인디언 전쟁', '오하이오 전쟁', '오하이오 인디언 전쟁', '오하이오 강 경계의 전쟁' 등으로 불린다. 미국 육군 기록에는 '마이애미 방면 작전'으로 언급된다. 한 사학자는 최근 '마이애미 연방 전쟁'을 제안했지만, 다른 학자는 이 명칭이 전쟁에서 블루 재킷과 오하이오 영토 인디언의 중심성이 결여되기 때문에 '마이애미' 다음에 전쟁이라고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많은 책에서 이름을 굳이 붙이지 않거나 무시함으로써 호칭 문제에 대한 논란을 회피하였다. 마찬가지로 전투와 원정에도 표준 명칭이 없으며, 유일한 예외가 '폴른 팀버스 전투'이다.[17]

비록 이 전쟁이 미국 독립 전쟁 후 그리고 조지 워싱턴 대통령이 이끄는 행정부의 주요 위기로 발발한 중요한 군사분쟁이기는 하지만, 역사학자들은 종종 그것을 간과해왔다. 일반 대중 문화에서는 (더 최근에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19세기 미국 인디언 전쟁이 훨씬 더 인기있는 소재기는 하지만, 이 북서 인디언 전쟁은 이어진 제로니모, 크레이지 호스, 시팅불, 코치스와 레드 클라우드가 관련된 전투보다 훨씬 많은 미합중국 군대와 민간인 사상자를 기록했다. 와바시 전투에서는 미합중국에 대항한 미국 인디언들의 사상자수가 최고를 기록했다.[18][19]

북서 인디언 전쟁은 오랫동안 이어진 오하이오 영토의 변방 분쟁 중의 하나일 뿐이며, 그런 분쟁으로는 프렌치 인디언 전쟁 (1754-1763), 폰티액 전쟁(1763-1764), 던모어 전쟁(1774) 및 미국 독립 전쟁(1775-1783) 등이 있다. 많은 인디언 사회들이 그 전쟁들을 유럽인과 미국인 개척민들과의 단순한 전쟁이 아니라 여러 세대를 걸친 분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학자 프란시스 제닝스는 '북서 인디언 전쟁'이 델라웨어족에게 1755년 브래독 원정대 직후에 시작된 '40년 전쟁'의 결말이었다고 시사했다. 오하이오의 미국 인디언 부족에게 분쟁은 1세대 후 테쿰세 전쟁(1811)과 미영 전쟁(1812)까지 '60년 전쟁'으로 생각했다. 어쨌든 그 결과는 '인디언 부족의 강제 이주'와 '미국의 영토 강탈'이라는 인종 청소였다. '인디언 전쟁' 자체는 모양을 바꾸어 21세기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14][15][16]

미래의 아메리카 원주민 저항 운동은 북서부 연합이 보여준 규모나 능력에 맞먹는 연합을 형성할 수 없었다. 작가 윌리 스워드는 19세기 미국 인디언 전쟁이 더 많은 주목을 받았지만, 그들의 운명은 1790년대 전쟁에서 결정되었다고 썼다. 19세기 미국 역사가들은 애국적인 서사에 맞지 않는 이 전쟁을 대체로 무시했다. 따라서 이 전쟁에는 표준적인 이름이나 시작 날짜가 없다. 호겔랜드에 따르면, "미국이 처음으로 싸운 전쟁이자 미국 육군 자체가 탄생한 전쟁은 결코 이름조차 얻지 못했다."

참조

[1] 웹사이트 Indian Wars Campaigns https://history.army[...] 2019-11-27
[2] 서적 President Washington's Indian War: The Struggle for the Old Northwest, 1790–179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3
[3] 학술지 The "Western Forts" of the 1783 Treaty of Paris https://allthingslib[...] 2023-01-05
[4] 웹사이트 Little Turtle (1752 – July 1812) http://www.supremeco[...] The Supreme Court of Ohio & The Ohio Judicial System 2015-11-09
[5] 웹사이트 The Battle of Fallen Timbers, 20 August 1794 https://armyhistory.[...] National Museum of the United States Army 2019-07-29
[6] 웹사이트 Fort Wayne: History https://www.fwhistor[...] Allen County History Center 2019-07-29
[7] 웹사이트 John Jay's Treaty, 1794–95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9-10-10
[8] 웹사이트 First Nations and Native Americans https://ca.usembass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9-10-10
[9] 웹사이트 Treaty of Greene Ville http://touringohio.c[...] Touring Ohio 2019-08-15
[10] 뉴스 Cincinnati's beginning: The origin of the settlement that became this city https://www.cincinna[...] 2019-08-14
[11] 웹사이트 This Day in History: The Secret Plot Against General Mad Anthony Wayne https://www.taraross[...] 2019-01-25
[12] 웹사이트 Was General Anthony Wayne Murdered? https://allthingslib[...] 2013-08-20
[13] 웹사이트 Why I Believe Meriwether Lewis Was Assassinated | History News Network https://historynewsn[...] 2015-06-28
[14] 학술지 'Just and lawful war' as genocidal war in the (United States) Northwest Ordinance and Northwest Territory, 1787–1832 https://www.tandfonl[...] 2022-04-02
[15] 학술지 "To Extirpate the Indians": An Indigenous Consciousness of Genocide in the Ohio Valley and Lower Great Lakes, 1750s–1810 https://www.jstor.or[...] 2022-04-02
[16] 학술지 Fractal massacres in the Old Northwest: the example of the Miamis https://www.tandfonl[...] 2022-04-10
[17] 서적 Alphabetical List of Battles 1754–1900 https://books.google[...] 2022-05-02
[18] 웹사이트 Indian Wars Campaigns https://history.army[...] 2022-05-02
[19] 문서 Many National Guard units can trace their lineage through militia formations in the American Revolution or earlier.
[20] 웹사이트 Meriwether Lewis http://www2.vcdh.vir[...] Virginia Center for Digital History 2015-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