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란 코마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란 코마르는 베네치아줄리아 출신의 슬로베니아인으로, 류블랴나 대학교에서 법학을, 토리노 대학교에서 교회법을 전공했다. 2차 세계 대전 중 슬로베니아 민병대에 가담했다가 이탈리아, 아르헨티나로 이주하여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서 철학, 교육학을 전공했다. 아르헨티나 교황청 가톨릭 대학교에서 현대 철학 교수로 활동하며 슬로베니아어와 스페인어로 글을 썼고, 1992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부터 성 그레고리오 대훈장을 받았다. 그는 철학, 교육학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반공주의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베니아의 철학자 - 슬라보예 지젝
슬라보예 지젝은 슬로베니아 출신의 철학자이자 문화 비평가로, 라캉 정신분석학, 헤겔 철학, 마르크스주의를 결합하여 현대 사회와 문화를 분석하며, 다양한 주제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공산주의와 정치의 정치화를 옹호한다. - 슬로베니아의 로마 가톨릭교도 - 멜라니아 트럼프
멜라니아 트럼프는 슬로베니아 출신의 전직 모델이자 도널드 트럼프의 부인으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미국의 영부인을 역임하며 'Be Best' 캠페인을 통해 아동 복지 증진 등에 힘썼고, 도널드 트럼프의 재선으로 프랜시스 클리블랜드 이후 두 번째로 비연속적으로 영부인직을 두 번 역임하게 되었다.
| 밀란 코마르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일 | 1921년 6월 4일 |
| 출생지 | 류블랴나, 슬로베니아 |
| 사망일 | 2006년 1월 20일 |
| 국적 | 슬로베니아 |
| 철학적 배경 | |
| 시대 | 20세기 철학 |
| 학파/전통 | 신 스콜라주의 인격주의 기독교 현실주의 |
| 영향 | 토마스 아퀴나스 에릭 에릭슨 요제프 피퍼 자크 마리탱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 로마노 과르디니 가브리엘 마르셀 |
| 영향을 준 인물 | 아우구스토 델 노체 알로이즈 레불라 조르코 시므치치 |
2. 생애
슬로베니아 류블랴나에서 태어난 코마르는 류블랴나 대학교와 토리노 대학교에서 법학과 교회법을 공부했다. 대학 시절 로마 가톨릭교회 청소년 단체에서 활동하며 반공주의 사상을 갖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에 협력하는 슬로베니아 민병대에 가담하기도 했다. 전후 이탈리아를 거쳐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후,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서 철학과 교육학을 전공하고, 아르헨티나 교황청 가톨릭 대학교에서 철학 교수로 재직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부터 성 그레고리오 대훈장을 받았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베네치아줄리아 출신의 슬로베니아인 가정에서 태어나, 슬로베니아 류블랴나에서 성장했다. 아버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의 퇴역 장교였다. 어린 시절은 류블랴나와 슈코피아 로카에서 보냈다. 1939년 류블랴나 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했으며, 1942년에는 이탈리아 토리노 대학교 교회법학과를 졸업했다.류블랴나 대학교 재학 시절, 로마 가톨릭교회 청소년 단체에서 활동하며 반공주의 사상에 심취하게 된다. 그는 슬로베니아 신토마스주의 사상가 알레시 우셰니치크와 러시아 망명자 예브게니 바실리예비치 스펙토르스키의 지도를 받았다. 토리노에서는 주세페 제멜라로와 카를로 마잔티니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자크 마리탱, 에마뉘엘 문이에와 같은 프랑스 인격주의 사상가들과 루이지 스투르초의 저술에 영향을 받았다.
가톨릭 행동 내 전체주의 가톨릭 청년 단체 '보르치'(투사)에서 활동했다. 이들은 반공주의 이념을 가졌으며, 공산주의를 인류에게 가장 큰 위험으로 여겼다. 그러나 직접적인 정치 참여나 무력 투쟁 대신 문화, 지적, 예술적 분야에서 공산주의와 싸우는 것을 주장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망명
1943년 9월 이탈리아와 연합군 간의 휴전 협정 이후, 코마르는 당시 나치 독일에 점령되어 있던 슬로베니아로 돌아갔다. 슬로베니아 연안에서 그는 슬로베니아 민족 방위군(''슬로벤스키 나로드노 바르스트베니 조르'' - SNVZ)에 가입했는데, 이 단체는 줄리안 마르치에서 파르티잔 저항군에 맞서 싸운 슬로베니아 홈 가드와 밀접하게 연계된 작은 협력 민병대였다. 1945년까지 그는 선전 및 문화 부서에서 일했으며, 고리슈카 지역 전역에서 여러 문화 기관(저널, 출판사, 학교)을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1945년 5월, 그는 공산주의 박해를 피하기 위해 연합군이 점령한 북부 이탈리아로 피신했다. 그곳에서 1948년 아르헨티나로 이민을 갔다.2. 3. 아르헨티나에서의 삶
밀란 코마르는 1945년 5월 이탈리아 북부로 이주했으며, 1948년에는 아르헨티나로 이주했다. 그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유리 공장 직원으로 일하면서 철학 및 교육학 시험을 치렀고,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서 철학, 교육학을 전공했다.1959년부터 1998년까지 아르헨티나 교황청 가톨릭 대학교에서 현대 철학 교수로 근무했고, 1981년부터 1982년까지는 같은 대학교 철학과 학장을 역임했다. 아르헨티나 이주 생활 동안 슬로베니아어로 된 수필을 집필했고, 나중에는 스페인어 언론에도 글을 게재했다. 1992년에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부터 성 그레고리오 대훈장을 받았다.
3. 사상
그는 처음에는 크리스티안 볼프의 합리주의 철학 전문가로 시작하여, 이후 이마누엘 칸트와 헤겔로 관심을 돌렸다. 그는 현대의 내재론 철학에 대한 비판에 주의를 기울였으며, 이는 그를 현상학의 특정 측면, 특히 에디트 슈타인이 대표하는 조류에 더 가깝게 만들었다. 또한 그는 스페인 철학자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의 사상과, 어느 정도 미겔 데 우나무노의 사상에 강한 영향을 받았다. 이후 그는 심리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으며, 특히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대해서는 존경하면서도 이견을 유지했고, 에릭 에릭슨의 사상에도 영향을 받았다.
그는 1930년대 비순응주의자와 같은 가톨릭 사상가, 예를 들어 G. K. 체스터턴과 조르주 베르나노스의 영향을 받았지만, 항상 신 스콜라 철학 전통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는 에티엔 질송과 요제프 파이퍼의 사상으로 가장 잘 나타난다. 1960년대 중반, 그는 이탈리아 철학자이자 정치학자인 아우구스토 델 노체와 강력한 지적, 개인적 우정을 발전시켰으며, 그를 자신의 "영적 형제"로 여겼다. 그는 델 노체, 그리고 폴란드 철학자 스테판 스비에자프스키와 함께 현대 철학의 재분류라는 미완의 평생 과제를 시작했다.
공산주의 정권 동안 그의 모든 저술은 슬로베니아에서 금지되었다. 그의 저술은 1990년대 초에 처음 출판되었지만, 그의 영향력은 그의 모국보다 라틴 아메리카, 스페인, 이탈리아에서 더 강하다.
4. 주요 저작
| 제목 | 출판 도시 | 출판 연도 |
|---|---|---|
| 《죽음의 길》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65 |
| 《철학적 노트》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73 |
| 《줄리엣 또는 계몽주의와 도덕》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74 |
| 《계열 철학을 위하여》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75 |
| 《신앙과 문화》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86 |
| 《참여: 용어, 어원, 정의》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86 |
| 《현대와 포스트모던》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89 |
| 《질서와 신비》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96 |
| 《긴 경계로부터》 | 류블랴나 | 2002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