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치아줄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네치아 줄리아는 이탈리아의 언어학자 그라치아디오 아스콜리가 1863년에 고안한 명칭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줄리안 알프스 산맥을 가리킨다. 이 지역은 중세 시대부터 베네치아 공화국과 합스부르크가의 영향 아래 있었으며, 19세기 이탈리아 통일 운동 과정에서 이탈리아 귀속을 주장하는 정치적 의미를 띠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런던 조약과 라팔로 조약에 따라 오스트리아 리토랄의 대부분이 이탈리아 왕국에 편입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리 평화 회의와 런던 각서를 통해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는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로 분할되었다. 현재 베네치아 줄리아는 이탈리아의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슬로베니아의 프리모르스카 지방, 크로아티아의 이스트라 주와 프리모르예고르스키 코타르 주로 나뉘어 있으며, 주요 도시로는 트리에스테, 고리치아, 코페르, 풀라, 리예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0년대 신조어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1860년대 신조어 - 신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1만 년경부터 기원전 2천 년경까지 간석기 사용, 농경과 목축의 시작을 특징으로 하며, 지역에 따라 토기 사용이나 정착 생활 등이 추가적인 기준이 되고, 서남아시아에서 시작된 문화가 확산되어 농업과 목축의 발전으로 신석기 혁명이 일어났고, 각 지역의 환경과 문화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문화가 발전하다 청동기 또는 철기 시대의 도래와 함께 종료되었다. - 슬로베니아의 역사 -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은 1804년 시작되어 나폴레옹 전쟁과 1848년 혁명을 거치며 유럽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866년 프로이센과의 전쟁 패배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전환되었다. - 슬로베니아의 역사 - 슬로벤인 크로아트인 세르브인국
슬로벤인 크로아트인 세르브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붕괴 과정에서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되었으나, 국제적 승인 없이 세르비아 왕국과의 통합으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이 되었다. - 이탈리아의 역사적 지역 - 마그나 그라이키아
마그나 그라이키아는 기원전 8세기부터 고대 그리스인들이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에 건설한 식민 도시들을 일컫는 명칭으로, 인구 증가, 경제적 필요, 정치적 불안 등의 요인으로 건설되었으며, 헬레니즘 문화를 꽃피웠으나 로마의 팽창으로 로마 문화와 융합되었고, 현재는 칼라브리아와 풀리아 지역에 그리코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 공동체 형태로 남아있는 역사적 지역이다. - 이탈리아의 역사적 지역 - 로마냐
로마냐는 이탈리아 북동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으로, "로마인들이 거주하는 땅"이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고대에는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고 로마 공화정과 제국 시대를 거쳐 교황령의 지배를 받다가 이탈리아 통일에 합류했으며, 체세나, 파엔차, 포를리, 이몰라, 라벤나, 리미니 등의 주요 도시가 있다.
베네치아줄리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위치 | 크로아티아,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
별칭 | 슬로베니아어: Julijska krajina (율리스카 크라이나) 이탈리아어: Venezia Giulia (베네치아 줄리아) 베네치아어: Venesia Julia (베네시아 율리아) 프리울리어: Vignesie Julie (비녜시에 줄리에) 독일어 (오스트리아): Julisch Venetien (율리슈 베네티엔) |
역사적 맥락 | |
관련 서적 | ISBN: 0-7190-7417-7 ISBN: 978-1138791749 ISBN: 978-961-231-871-0 |
온라인 자료 | 보관된 문서 줄리아인 세계 역사 |
명칭 | |
이탈리아어 | Venezia Giulia (베네치아 줄리아) |
슬로베니아어 | Julijska krajina (율리스카 크라이나) |
크로아티아어 | Julijska krajina (율리스카 크라이나) |
2. 명칭
"베네치아 줄리아"라는 명칭은 이탈리아의 언어학자 그라치아디오 아스콜리가 1863년에 고안한 것이다.[1] '줄리아'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줄리안 알프스 산맥을 가리킨다. 아스콜리는 이 지역을 고대 로마의 행정 구역 '베네치아 에트 히스트리아'와 유사하게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명칭 | 범위 |
---|---|
베네치아 에우가네아(Venezia Euganeait) | 베네토 주와 프리울리 지방 대부분(우디네 현, 포르데노네 현) |
베네치아 트리덴티나(Venezia Tridentinait) | 트렌티노알토아디제 주 |
베네치아 줄리아(Venezia Giuliait) | 고리치아 현, 트리에스테 현, 프리모르스카 지방, 이스트라 군 |
로마 제국 말기와 민족 이동 시대 초기, 이 지역은 라틴어 사용자와 이주해 온 게르만어 및 슬라브어 사용자의 언어 경계였다. 게르만족은 4세기에서 6세기 사이에 현재의 오스트리아 지역에 처음 도착했다. 6세기경 비잔틴 제국 국경에 나타나 6세기에서 8세기 사이에 동알프스에 정착한 슬라브족이 그 뒤를 이었다. 비잔틴 달마티아의 아드리아 해 동쪽 해안에는 여러 달마티아 도시 국가들이 제한적인 자치권을 가졌다. 슬라브족은 내륙에서 그들의 언어를 유지했고, 해안에서는 지역 로망스어(베네토어와 이탈리아어로 이어짐)가 계속 사용되었다.[9]
이 명칭은 19세기 후반 이탈리아 통일 운동 과정에서 이 지역의 이탈리아 귀속을 주장하는 정치적 의미를 띠게 되었다.[1]
오스트리아 통치 하에서는 "연해 지방"을 의미하는 '''퀴스텐란트'''(Küstenlandde)라고 불렸다. 영어에서는 "오스트리안 리토랄"(Austrian Littoral영어)이라고 칭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주변 국가로부터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명칭으로 '''줄리안 변경주'''(Julian March영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3. 역사
중세 초기부터 이 지역은 베네치아 공화국과 합스부르크가(후에는 오스트리아 대공국)이라는 두 주요 정치 세력의 영향을 받았다. 11세기 동안 베네치아는 아드리아 해와 남동부 지중해에서 자국의 상업로를 보호하기 위해 해상 제국(''Stato da Màr'')을 건설했다. 피에트로 2세 오르세올로가 1000년경 아드리아 해 중부와 북부에 베네치아 통치를 확립하면서 이스트라와 달마티아 해안 지역은 이 노선의 핵심이 되었다.[10] 베네치아의 영향력은 해안에 집중되어 비잔틴 통치를 대체하고 해안과 내륙 간의 정치적, 언어적 분리를 명확히 했다. 베네치아 공화국은 1420년에 이탈리아 본토로 확장하여(''Stato da Tera'')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령(현재의 프리울리 일부, 즉 포르데노네 및 우디네 지방, 이스트라 내륙 일부 포함)을 획득했다.
합스부르크가는 1335년부터 현재의 슬로베니아 중앙 카르니올라 지역에 해당하는 카르니올라 변경백국(내부 오스트리아의 영토 일부)을 소유했다. 이후 2세기 동안 파진과 피우메, 트리에스테 항구 (두이노 포함), 그라디스카 및 고리치아(프리울리의 고리치아 백작령 포함) 등 이스트라 도시를 장악했다.
16세기부터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할 때까지 이 지역은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했으나, 캄포포르미오 조약으로 오스트리아와 프랑스 간 영토 변화가 있었다.
3. 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
중세 시대에 이 지역은 베네치아 공화국과 합스부르크가(후에는 오스트리아의 대공들)의 영향력이 공존했다. 1797년 캄포포르미오 조약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이 해체되면서 이 지역은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가)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프랑스 제국 치하의 일리리아 주로 편입된 시기를 거쳐 1813년에 오스트리아가 점령했고, 1815년 빈 회의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의 영토로 인정받았다.[11]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종료까지 중요한 항만 도시 트리에스테를 둔 이 지역은 "퀴스텐란트"라고 불렸으며, 오스트리아 제국(1867년 이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오스트리아 제관령)였다. 퀴스텐란트는 제국 자유 도시 트리에스테, 고리치아 및 그라디스카 백국(고리차현과 그라디스카현), 이스트리아 변경백령의 3개 지역으로 구성되었으며, 트리에스테의 총독이 이 지역들을 통치했다.[11] 1910년 시점에서 퀴스텐란트의 면적은 7969km2, 인구는 89만 4287명이었다.
이탈리아인은 대체로 도시 및 연안 지역에 거주했으며, 슬로베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은 내륙에 많이 살았다. 1910년에 실시된 인구 조사에 따른 모어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퀴스텐란트 전역에서 이탈리아어 화자(약 6만~7.5만 명의 프리울리아어 화자를 포함[24])가 35만 6676명으로 인구의 40%를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슬로베니아어 화자 27만 6398명(31%), 크로아티아어 화자 17만 2784명(19%), 독일어 화자 2만 9077명(3%)이 뒤를 이었다.
colspan="2"| | 고리치아・ 그라디스카 | 이스트리아 | 트리에스테 | 합계 | |
---|---|---|---|---|---|
면적(km²) | 2918km2 | 4956km2 | 95km2 | 7969km2 | |
인구(명) | 260,721 | 403,566 | 230,000 | 894,287 | |
모 어 별 내 역 | 이탈리아어 화자 (프리울리아어 포함) | 90,119 (36%) | 147,417 (38.1%) | 118,957 (51.9%) | 356,676 (40%) |
슬로베니아어 화자 | 154,564 (58%) | 55,134 (14.3%) | 56,845 (24.8%) | 276,398 (31%) | |
크로아티아어 화자 | - | 168,184 (43.5%) | 2,403 (1.1%) | 172,784 (19%) | |
독일어 화자 | 4,486 (2%) | 12,735 (3.3%) | 11,856 (5.8%) | 29,077 (3%) |
3. 2. 이탈리아 통일 운동과 제1차 세계 대전
19세기 이탈리아 통일 운동 과정에서 베네치아 줄리아는 '미수복 이탈리아'의 일부로 여겨져 이탈리아 귀속 주장이 제기되었다.[12] 1863년, 고리치아 출신의 언어학자 그라치아디오 아스콜리는 로마 제국 시대의 베네치아-히스트리아 지방(Regio X Venetia et Histriait)을 지리적·문화적으로 3개 지역으로 나누었는데, 그 중 하나가 '베네치아 줄리아(Venezia Giuliait)'였다.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과 연동된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결과, 이탈리아 왕국은 베네토주를 '회수'했지만, 이손초 강 유역이나 트리에스테를 포함한 이스트라 반도 등 퀴스텐란트 일대는 오스트리아령으로 남았다. 이탈리아는 이 지역을 ''미수복 이탈리아''로 규정하고 영유를 주장했으며, '베네치아 줄리아'라는 명칭은 정치적 색채를 띠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는 삼국 동맹 가입국이었으나, 1915년 4월 연합국과 '미수복' 지역의 이탈리아 편입을 약속한 런던 조약을 체결하고 연합국 측에 가담했다. 1915년 5월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 후, 이손초 강 유역에서 2년 반 동안 격렬한 전투(이손초 전투)가 벌어졌다. 1917년 카포레토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대패했지만, 1918년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로 오스트리아군 전선이 붕괴되었다. 이탈리아군은 트리에스테를 점령하고, 빌라 주스티 휴전 협정 체결 후 베네치아 줄리아를 점령했다.[18]
3. 3. 이탈리아 왕국에 편입 (1918-194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9년9월 10일 생제르맹 조약과 1920년11월 12일 라팔로 조약에 따라 오스트리아령 퀴스텐란트의 대부분이 1920년 이탈리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다만, 크바르너 만Kvarner Gulf|크바르네르 만영어에 있는 크르크섬과 카스타브는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다. 이탈리아 왕국은 베네치아 줄리아에 고리치아 현, 트리에스테 현, 폴라 현을 설치했으며, 프리울리 지방의 우디네 현도 베네치아 줄리아에 포함되었다.
피우메(현 크로아티아령 리예카)는 15세기 이래 합스부르크가의 영토였고 이탈리아인 주민이 많았다. 파리 강화 회의에서 유고슬라비아 할양이 제안되자, 이탈리아 민족주의 시인 다눈치오는 1919년 9월 12일 민병을 이끌고 피우메를 점령했다. (카르나로 이탈리아 섭정부 참조). 라팔로 조약에서 피우메는 피우메 자유시(피우메 자유국)로 규정되었지만, 1924년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 간 로마 조약으로 피우메 자유시는 해체되었다. 피우메 서부는 이탈리아에 병합되어 피우메 현이 되었고, 동부 수샤크Sušak, Rijeka|Sušak영어 지구는 유고슬라비아에 할양되었다.
이탈리아 왕국(무솔리니 정권) 시대에 강제 동화Italianization|이탈리아화영어 등 민족주의적 박해로 약 10만 명의 슬로베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이 이 지역을 떠나 유고슬라비아령(약 7만 명)이나 아르헨티나(약 3만 명)로 이주했다.[6][19]
1918년 이후 유고슬라비아령이 된 달마티아 (알바니아 베네타)에서는 수천 명의 이탈리아인 주민(달마티아 이탈리아인)이 이스트리아와 트리에스테로 이주했다.
슬로베니아 지역의 파시스트 이탈리아화에 대항하여, 1927년 군사적 반파시스트 조직 TIGR가 등장했다. TIGR은 파시스트 이탈리아에 대항, 슬로베니아의 저항을 조정했으며, 1941년 비밀 경찰에 해체될 때까지 활동했다. 일부 이전 구성원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합류했다.[18]
3. 4. 제2차 세계 대전과 분할 점령 (1943-1954)
1943년 9월 이탈리아 휴전 이후, 베네치아 줄리아 지역에서는 많은 봉기가 일어났다. 고리차는 파르티잔에 의해 일시적으로 해방되었고, 상부 소차 강 계곡에는 코바리드 공화국이 1943년 9월부터 11월까지 존속했다. 그러나 독일군은 이 지역을 점령하기 시작했고, 특히 하부 비파바 계곡과 알프스에서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격렬한 저항에 직면했다. 1943년 가을에는 포이베 학살로 알려진 사건이 처음 발생했다(주로 현재의 크로아티아 이스트라에서). 독일군은 아드리아 해안 작전 지구를 설치했는데, 공식적으로는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일부였지만, 사실상 독일의 행정 하에 있었다.[20]
1945년 5월, 독일군이 항복했을 때, 베네치아 줄리아의 대부분은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의 파르티잔이 점령하고 있었다. 또한, 중요한 항만 도시였던 트리에스테나 풀라에는 연합군도 상륙했다. 1945년 6월에 임시로 그어진 모건 라인을 경계로, 베네치아 줄리아는 풀라·고리치아, 트리에스테, 이손초 강 계곡과 카르스트 고원의 주요부를 포함하는 "A 지구"(연합군 점령 지구)와, 이들 지구 이외의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B 지구"(유고슬라비아군 점령 지역)로 나뉘었다.

1947년 파리 조약에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그 점령 지역의 대부분을 영토로 인정받았고, 이스트리아 반도의 풀라도 획득했지만, 트리에스테 주변은 국제 연합 관할 하의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로 여전히 분할 점령 상태가 지속되어 귀속 문제가 보류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점령 지역에서는 많은 이탈리아인들이 추방되거나 이주했다.(포이베 학살)[21]
1954년,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가 런던에서 맺은 협정에 의해,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북부(A 지구)에서의 이탈리아,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남부(B 지구)에서의 유고슬라비아의 시정권이 각각 상호 승인되었다. 1975년에 오지모 조약에 의해 A지구·B지구가 각각 이탈리아령·유고슬라비아령으로 확정되었다.[22]
3. 5. 전후 처리 (1954년 이후)
1946년 파리 평화 회의에서 국경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 유고슬라비아는 고리치아 동쪽 지역의 북부, 이스트라의 대부분, 그리고 피우메 시를 획득했다.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가 만들어졌으나, 1954년 런던 각서에 따라 이 지역은 폐지되어 이탈리아(트리에스테 시와 그 주변 지역)와 유고슬라비아로 분할되었다.[22]오시모 조약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과 이탈리아 공화국이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를 최종적으로 분할하기 위해 1975년 11월 10일 이탈리아 오시모에서 서명한 조약이다. 이 조약으로 트리에스테 항구 도시와 북서쪽의 좁은 해안 지역(A 구역)은 이탈리아에, 이스트리아 반도의 북서부 일부(B 구역)는 유고슬라비아에 할당되었다. 조약은 1977년 10월 11일에 발효되었다. 이탈리아 정부 측에서는 마리아노 루모르 외무부 장관이, 유고슬라비아 측에서는 밀로시 미니치 외무부 연방 장관이 서명했다.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경계선은 1946년 유고슬라비아 연방을 구성하는 공화국의 경계선으로 그어졌으며, 1991년 독립 이후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국경선이 되었다.
"베네치아 줄리아"는 이탈리아의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에 이름을 남기고 있다. 이탈리아 측에 남은 베네치아 줄리아는 현재 고리치아현과 트리에스테현의 범위와 거의 일치한다(약 679km2). 슬로베니아는 '''프리모르스카 지방''', 크로아티아는 '''이스트라 주'''와 '''프리모르예고르스키 코타르 주'''로서 이 지역을 통치하고 있다.
21세기 초,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의 민족적 이탈리아인의 인구는 다음과 같다.
크로아티아에는 그로주냔(Grožnjan, 인구의 51.2%), 브르토니글라(Brtonigla, 인구의 37.37%) 등 이탈리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지역도 있다. 한편, 이탈리아 측에도 슬로베니아인이 거주하며, 트리에스테현 전체 코무네와 고리치아현 일부 코무네에서는 이탈리아 법률에 의해 언어적 소수자의 권리가 보호받고 있다.
4. 민족 및 언어 구성
1910년에 실시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베네치아 줄리아 지역에는 이탈리아어, 슬로베니아어, 크로아티아어 화자가 섞여 있었다. 이탈리아인은 주로 도시와 해안 지역에 거주했고, 슬로베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은 내륙에 많이 살았다. 독일어 화자도 소수 존재했으며, 교육받은 엘리트들은 독일어에 유창했다.[23] 현재 이탈리아 측에는 슬로베니아계 소수 민족이,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측에는 이탈리아계 소수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1910년 당시 퀴스텐란트(Küstenland)의 모어별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colspan="2"| | 고리치아・ 그라디스카 | 이스트리아 | 트리에스테 | 합계 | |
---|---|---|---|---|---|
모 어 별 내 역 | 이탈리아어 화자 (프리울리아어 포함) | 90,119 (36%) | 147,417 (38.1%) | 118,957 (51.9%) | 356,676 (40%) |
슬로베니아어 화자 | 154,564 (58%) | 55,134 (14.3%) | 56,845 (24.8%) | 276,398 (31%) | |
크로아티아어 화자 | - | 168,184 (43.5%) | 2,403 (1.1%) | 172,784 (19%) | |
독일어 화자 | 4,486 (2%) | 12,735 (3.3%) | 11,856 (5.8%) | 29,077 (3%) |
이탈리아어 사용자는 35만 6676명(40%), 슬로베니아어 사용자는 27만 6398명(31%), 크로아티아어 사용자는 17만 2784명(19%), 독일어 사용자는 2만 9077명(3%)이었다.[23]
5. 주요 도시
과거 베네치아 줄리아에 속했던 주요 도시들은 현재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에 분산되어 있다.
전간기 | 현재 | 언어 표기 | ||||
---|---|---|---|---|---|---|
이탈리아어 | 슬로베니아어 | 크로아티아어 | 독일어 | 프리울리아어 | ||
고리치아 | 고리치아 노바고리차 | Gorizia | Gorica | Görz | Gurize | |
트리에스테 | 트리에스테 | Trieste | Trst | Trst | Triest | |
카포디스트리아 | 코페르 | Capodistria | Koper | Kopar | Gafers | |
피라노 | 피란 | Pirano | Piran | |||
이졸라 디스트리아 | 이졸라 | Isola d'Istria | Izola | Isel im Küstenländchen | ||
디바차 | 디바차 | Divaccia | Divača | |||
파렌초 | 포레치 | Parenzo | Poreč | Parenz | ||
로비니오 | 로비니 | Rovigno | Rovinj | Ruwein | ||
폴라 | 풀라 | Pola | Pulj | Pula | Polei | |
피우메 | 리에카 | Fiume | Reka | Rijeka | Sankt Veit am Flaum | |
아바치아 | 오파티야 | Abbazia | Opatija | Sankt Jakobi |
- 현재 소속 국가: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참조
[1]
서적
The New Europe by Bernard Newman
https://books.google[...]
[2]
서적
Contemporary History on Trial: Europe Since 1989 and the Role of the Expert Historian
https://books.google[...]
[3]
서적
The New Europe
https://books.google[...]
[4]
서적
Italy and Its Eastern Border, 1866–2016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서적
Sacro egoismo: Slovenci v krempljih tajnega londonskega pakta 1915
Cankarjeva založba, Ljubljana
[6]
간행물
Clash of civilisations
https://docs.google.[...]
2020-05-06
[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Venetia Julia
http://www.giulianin[...]
2012-04-25
[8]
문서
[9]
서적
Serbi croati sloveni
Il Mulino
[10]
서적
Venice. A maritime Republic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
문서
[12]
웹사이트
Paolo Radivo: Italian Irredentism in Istria (in Italian)
http://www.fvgnews.n[...]
2021-11-04
[13]
간행물
Die Protokolle des Österreichischen Ministerrates 1848/1867. V Abteilung: Die Ministerien Rainer und Mensdorff. VI Abteilung: Das Ministerium Belcredi
Wien, Österreichischer Bundesverlag für Unterricht, Wissenschaft und Kunst
[14]
간행물
Die Protokolle des Österreichischen Ministerrates 1848/1867. V Abteilung: Die Ministerien Rainer und Mensdorff. VI Abteilung: Das Ministerium Belcredi
Wien, Österreichischer Bundesverlag für Unterricht, Wissenschaft und Kunst
[15]
서적
Homo scribens : Perspektiven der Schriftlichkeitsforschung
https://books.google[...]
[16]
웹사이트
Istrian Spring
https://www.iemed.or[...]
2022-10-24
[17]
웹사이트
Istria
[18]
웹사이트
A Historical Outline of Istria
http://razor.arnes.s[...]
2007-11-28
[19]
서적
The Problem of Trieste and the Italo-Yugoslav Border by Glenda Sluga
https://books.google[...]
[20]
웹사이트
History ELINT from 1946
http://7499thgroupre[...]
2008-09-19
[21]
웹사이트
The Italo-Yugoslav Border Issue: Four Solutions And The Urgent Need For Just One
http://www1.pucminas[...]
[2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untreaty.un.o[...]
2008-09-19
[23]
문서
[24]
문서
[25]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2010-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