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티아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티아데스는 아테네의 명문가 출신으로, 트라키아 헤르소네소스의 참주를 거쳐 마라톤 전투에서 아테네 군을 승리로 이끈 인물이다. 그는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1세에게 복속되었으나, 이오니아 반란에 가담하여 페르시아에 대항했다. 이후 아테네로 돌아와 마라톤 전투에서 페르시아 군을 격파하는 데 기여했으나, 파로스 원정 실패로 고발당하여 벌금형을 선고받고 감옥에서 사망했다. 그는 마라톤 전투의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며, 그의 업적은 후대에 기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의 참주 - 히스티아이오스
히스티아이오스는 페르시아 제국 다리우스 1세 치하에서 활동하며 이오니아 반란을 선동하다가 체포되어 처형된 고대 그리스 인물이다. - 필라이오스가 - 투키디데스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역사가이자 장군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집필을 위해 망명 생활을 했으며, 그의 책은 객관적인 서술과 정치적 통찰력으로 후대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필라이오스가 - 키몬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장군이자 정치가인 키몬은 살라미스 해전에서의 활약과 델로스 동맹의 지휘로 페르시아 세력 축출에 기여했으며, 도편 추방 후 복귀하여 스파르타와의 휴전 성사 및 키프로스 원정 중 사망, 그의 업적은 아테네 재건에 공헌했다. - 기원전 489년 사망 - 초 소왕
초 소왕은 기원전 516년부터 489년까지 초나라를 다스린 왕으로, 오나라 침략으로 망명길에 올랐으나 진나라의 도움으로 복귀하여 국가 재건에 힘쓰고 월나라와 동맹을 맺어 외교적 안정을 추구한 인물이다. - 기원전 489년 사망 - 안유자
안유자는 춘추시대 제나라 군주로, 즉위 후 쿠데타로 폐위 및 살해당해 제나라 내부 권력 투쟁을 심화시키고 전씨가 권력을 장악하는 배경이 되었다.
밀티아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Μιλτιάδης Κίμωνος (밀티아데스 키모노스) |
직책 | |
아테네의 에포니모스 아르콘 | 524년 - 523년 BC |
케르소네소스의 참주 | 기원전 516년 - 기원전 492년 |
개인 정보 | |
출생 | 기원전 550년, 아테네 |
사망 | 기원전 489년 (60-61세), 아테네 |
배우자 | 트라키아의 헤게시필레 |
자녀 | 키몬, 엘피니케, 메티오쿠스 |
군사 경력 | |
소속 | 아테네 |
주요 전투 | 다리우스 1세의 스키타이 원정 이오니아 반란 제1차 페르시아 침공 마라톤 전투 파로스 전투 |
수상 | |
수상 내역 | 페이디아스의 네메시스 상 |
계승 정보 | |
아테네의 에포니모스 아르콘 후임 | 칼리아데스 |
아테네의 에포니모스 아르콘 선임 | 클레이스테네스 |
케르소네소스의 참주 후임 | 스테사고라스 |
2. 가문과 초기 생애
밀티아데스는 아테네의 명문가인 필라이다이 가문 출신으로, 그의 가문은 고대 올림픽 전차 경주에서 여러 차례 우승할 정도로 명성이 높았다.[1][2] 그의 아버지 키몬 콜레모스는 올림픽 전차 경주에서 3회 연속 우승하였으나,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페이시스트라토스 가문에 의해 암살당했다.[4] 밀티아데스라는 이름은 그의 이복 삼촌이자 전차 경주 우승자인 밀티아데스 (장로)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그의 아들 키몬은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주요 정치인이었고, 딸 엘피니케는 페리클레스와 대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의 참주
기원전 555년경, 밀티아데스 1세는 아테네를 떠나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현재의 갈리폴리 반도)에 식민지를 건설하고, 아테네의 보호를 받는 반 자치 참주가 되었다.[5] 기원전 524/523년에는 페이시스트라토스 가문의 참주 히피아스 통치 하에서 에포니모스 아르콘으로 선출되었다.[6]
기원전 520년경 밀티아데스 1세가 사망하자,[7] 그의 조카이자 밀티아데스 2세의 형제인 스테사고라스가 케르소네소스의 참주직을 물려받았다. 기원전 516년 스테사고라스가 사망한 후,[8] 히피아스는 밀티아데스 2세를 보내 케르소네소스를 통치하게 했다.[9]
밀티아데스는 케르소네소스에서 토착민들의 반란을 진압하고, 500명의 용병을 고용하여 권력을 강화했으며, 트라키아 왕 올로루스와의 결혼 동맹을 통해 지배력을 강화했다.[11]
3. 1. 페르시아의 봉신
기원전 513년경,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1세는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를 정복하고 밀티아데스를 봉신으로 삼았다.[1] 밀티아데스는 다리우스 1세의 스키타이 원정에 참여하여 다뉴브강의 다리를 지키는 임무를 맡았다. 밀티아데스는 다른 그리스 장교들에게 다리를 파괴하자고 제안했으나, 다른 장교들이 두려워하여 실행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2] 하지만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 주장에 회의적이다.[13][14] 기원전 499년, 밀티아데스는 이오니아 반란에 가담하여 페르시아에 대항했고, 기원전 496년경 케르소네소스로 돌아왔다. 그는 렘노스와 임브로스 섬을 점령하여 아테네에 양도함으로써 아테네와의 관계를 개선했다.[15][16]
4. 아테네로의 귀환
기원전 494년 이오니아 반란이 실패로 끝나자, 밀티아데스는 페르시아의 보복을 피해 기원전 493년에 다섯 척의 배를 타고 아테네로 돌아왔다.[17] 페이시스트라토스 참주정이 전복된 이후 민주주의를 확립한 아테네에서, 밀티아데스는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에서의 참주 통치 때문에 재판에 회부되었으나,[1] 페르시아의 폭정에 맞서 그리스 자유의 옹호자임을 주장하고 페르시아 전술에 대한 지식을 강조하여 무죄 판결을 받았다.[18] 그는 아테네에 항복을 요구하러 온 페르시아 사절을 죽이는 데 앞장섰다.[19]
5. 마라톤 전투
밀티아데스는 마라톤 전투에서 페르시아 군을 물리친 전략을 고안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20] 기원전 490년, 밀티아데스는 아테네 군을 이끌 10명의 장군(''strategoi'')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다.[21] 10명의 장군 외에도 '전쟁 지휘관'(''폴레마르크'') 칼리마쿠스가 있었는데, 그는 다티스가 이끄는 페르시아 군이 마라톤에 상륙하자 이들을 즉시 공격할지, 아니면 아테네 근처에서 전투를 벌일지를 결정해야 했다. 이때 10명의 장군들 사이에서 의견이 5대 5로 갈렸다.[21]
밀티아데스는 페르시아와 싸운 경험이 가장 많은 장군으로서, 아테네가 포위되면 파괴될 것이므로 즉시 페르시아 군과 싸워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그는 칼리마쿠스를 설득하여 신속하게 공격하자는 쪽에 투표하도록 만들었다.[22] 그는 "신께서 공정하게 우리 편을 들어주신다면, 우리는 전투에서 이길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22]
밀티아데스는 또한 에파미논다스 시대까지 100년 동안 유지되어 오던 전통적인 전술, 즉 방패와 창으로 무장한 호플리테스를 균일하게 배치하는 팔랑크스 대형 대신 새로운 전술을 도입해야 한다고 다른 장군들을 설득했다.[24] 밀티아데스는 페르시아 기병이 측면을 공격할 것을 우려하여 중앙보다 측면에 더 많은 병력을 배치할 것을 요청했다.[25] 그는 중앙에 테미스토클레스가 이끄는 레온티스 부족과 아리스티데스가 이끄는 안티오키스 부족을 4열 종대로 배치하고, 측면의 나머지 부족들은 8열 종대로 배치했다.[26][27] 또한 밀티아데스는 병사들에게 페르시아 궁병의 사정거리 끝인 "사격 구역"까지 행진한 후, 페르시아 군을 향해 전속력으로 돌격하도록 지시했다.[25]
이러한 전술은 페르시아 군을 격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페르시아 군은 수니온 곶을 돌아 아테네를 서쪽에서 공격하려 했다.[28] 밀티아데스는 군대를 밤새 아티카 서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마라톤 평원의 두 출구를 막아 페르시아 군이 내륙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했다. 다티스는 전날 저녁 자신에게 패배했던 군대를 보고는 도망쳤다.[28]
그리스 군의 승리에 대한 한 가지 가설은 페르시아 기병대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 가설은 페르시아 기병대가 어떤 이유로 마라톤을 떠났고, 그리스 군이 이를 기회로 삼아 공격을 감행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헤로도토스의 전투 기록에 기병에 대한 언급이 없고, 수다 사전에 "χωρὶς ἱππεῖς"(기병 없이)라는 항목이 있다는 점에 근거한다.
6. 파로스 원정과 죽음
기원전 489년, 밀티아데스는 아테네 함대 70척을 이끌고 페르시아를 지지한 것으로 여겨지는 섬들을 공격했다. 그러나 이 원정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그의 진정한 동기는 과거에 그에게 무례하게 굴었던 파로스를 공격하는 데 있었다.[31] 함대는 파로스를 공격했지만 점령에 실패했고, 밀티아데스는 이 과정에서 다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아테네로 돌아온 그는 정치적 라이벌들에 의해 격렬한 비난을 받았다. 크산티포스(페리클레스의 아버지)는 민회에서 밀티아데스를 "아테나이 민중을 기만"했다는 죄로 고발했다.[32] 그는 반역죄로 기소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50 탈렌트의 벌금형으로 감형되었다. 그는 벌금을 내지 못하고 감옥에 갇혔으며, 결국 부상으로 인한 괴저로 사망했다. 이 빚은 그의 아들 키몬이 갚았다.[32]
7. 유산
페이디아스는 훗날 밀티아데스를 기리기 위해 람누스의 여신 신전에 네메시스 조각상을 세웠다. 네메시스는 너무 많은 행운을 누린 자들에게 갑작스러운 불운을 가져다주는 여신이다. 이 조각상은 다티스가 페르시아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제공한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32]
아이스키네스는 밀티아데스가 자신의 이름을 스토아 포이킬레에 적어넣기를 원했지만 아테네인들이 거부했다고 기록했다. 아테네인들은 그의 이름을 적는 대신 그를 선두에서 군인들을 독려하는 모습으로 묘사한 그림을 그렸다.[33] 이 그림은 폴리뇨토스가 그린 트로이 함락과 아약스 (소)의 재판 그림 등과 같은 위대한 전투를 묘사한 네 개의 그림 중 하나로 스토아에 걸렸다.[34]
참조
[1]
서적
Creasy (1880)
[2]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 the histories
Anchor Books
2009
[3]
서적
Lives
1836
[4]
서적
The landmark Herodotus : the histories
Anchor Books
2009
[5]
서적
Reading Herodotus: A Guided Tour Through the Wild Boars, Dancing Suitors, and Crazy Tyrants of 'The History'
JHU Press
2012
[6]
간행물
Kleisthenes: Eponymous Archon 525/4 BC
1960
[7]
서적
Hamel (2012) ibid
[8]
문서
Herodotus, lib vi. c. 38
[9]
서적
Exile, Ostracism, and Democracy: The Politics of Expulsion in Ancient Gree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10]
웹사이트
Thracian Chersonese ! Black Sea, Byzantium, Greek Coloni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6-12
[11]
문서
Herodotus, lib vi. c. 39
[12]
서적
The Battle of Marathon
https://books.google[...]
Mitchell Lane Publishers, Inc.
2011-09-15
[13]
서적
The Pelican History of Greece
Penguin
[14]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Second e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5]
간행물
Notes on Miltiades' Capture of Lemnos
1963
[16]
서적
Creasy (1880) pg. 10
[17]
문서
Herodotus, lib vi. c. 41
[18]
문서
Herodotus, lib vi, c.104
[19]
문서
Pausanias 3.12.7
[20]
서적
Creasy (1880) pg. 11–20
[21]
서적
Creasy (1880) pg. 11
[22]
문서
Herodotus vi.109.
[23]
문서
Herodotus VI, 110
https://www.perseus.[...]
[24]
서적
Creasy (1880) pg. 380
[25]
서적
Creasy (1880) pg. 23
[26]
문서
Plutarch, Aristides, V
[27]
문서
Herodotus VI, 111
https://www.perseus.[...]
[28]
서적
Creasy (1880) pg. 26
[29]
문서
Suda, entry Without cavalry
[30]
웹사이트
The Awe-Inspiring Helmet of Legendary Ancient Greek Warrior Miltiades
https://greece.greek[...]
2020-06-02
[31]
서적
Creasy (1880) pg. 27
[32]
서적
Creasy (1880) pg. 28
[33]
웹사이트
Aeschines, Against Ctesiphon, section 186
https://www.perseus.[...]
[34]
학술 논문
Literary and Epigraphical Testimonia
http://dx.doi.org/10[...]
195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