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방은 음식을 조리하는 공간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화덕을 사용하다가 가마도가 도입되었고, 중세 유럽에서는 여러 개의 주방이 존재하기도 했다. 현대에는 주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디자인과 배치가 연구되었으며, 프랑크푸르트 키친과 같은 혁신적인 시도도 있었다. 주방은 설비, 가구, 조리 도구 등으로 구성되며, 일자형, 양면형, L자형, U자형, G자형, 블록형 등 다양한 배치 형태가 있다. 또한, 섹셔널 키친과 시스템 키친으로 구성 방식이 구분되며, 가정, 레스토랑, 군 막사, 철도, 항공기 등 다양한 유형의 주방이 존재한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 주방은 가족 소통의 공간이자 요리 문화의 중심지로서, 효율적인 동선 설계, 수납 공간 확보, 친환경적인 요소 등을 고려한 디자인이 중요해지고 있다.
주방의 역사는 인류가 불을 사용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단순한 형태였지만,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현대 주방은 여러 기능과 편의성을 제공하는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주방, 키친, 갓테바(勝手場) 등으로 불리는데, 일반 주택의 조리 설비를 지칭할 때는 주로 주방이나 키친, 갓테바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음식점이나 급식센터 등 대규모 업무용 조리 설비는 주방이나 조리장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2. 역사
일본 열도의 경우, 조몬 시대부터 고분 시대 전반기까지는 건물 중앙 부근에서 화로를 이용해 직접 불을 피워 조리했다. 고분 시대 후반에 가마도(부뚜막)가 도입되면서 조리 공간은 건물의 벽 쪽으로 이동했고, 이 과정에서 독립된 방이 만들어지면서 부엌의 시작으로 여겨진다.[11]
일본어의 "다이도코로"(台所)는 헤이안 시대 귀족들이 식사하던 공간인 '다이반도코로'(台盤所)에서 유래했으며, 중세 이후 "다이도코로"로 불리게 되었다.[12] 영어의 '키친(kitchen)'은 고대어 'cycene'(쿠치나), 라틴어 'co-quina'(불을 사용하는 곳)에서 유래한다.[12]
나가사키현 다카시마 앞바다의 다카시마 신자키 유적에서는 원나라의 일본 침략 당시 (13세기 말) 군선 주변에서 남송제 벽돌과 돼지 뼈가 발견되었는데, 고고학자들은 배 안에서 불을 사용해 조리했을 것으로 추정한다.[13]
기온이 낮은 북쪽 지역에서는 씻는다는 개념이 남쪽 지역과 달라서 싱크대나 개수대가 작고, 식기 세척기가 보급되어 있다. 반면, 고온인 남쪽 지역에서는 채소에 묻은 흙을 씻고 잔반의 부패를 막기 위해 씻는 작업이 중요하여 대량의 물을 사용하고, 습기를 막기 위한 장치가 발달했다.
2. 1. 세계의 역사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씻고, 썰고, 삶고, 굽는 등 여러 과정이 필요하다. 일본 열도에서는 조몬 시대부터 고분 시대 전반기까지 수혈 주거나 평지 건물 중앙 부근에서 화로를 이용해 직접 불을 피워 조리했다. 고분 시대 후반에 가마도(부뚜막)가 도입되면서 조리 공간은 건물의 벽 쪽으로 이동했고, 이 과정에서 독립된 방이 만들어지면서 부엌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11]
가열 조리 기구의 발전은 정착 생활을 하는 민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도시에서는 연료인 장작이 비쌌기 때문에 열효율이 중요했다. 화덕은 열효율이 좋았지만 휴대하기 어려워 유목 민족에게는 보급되지 않았다. 화력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어서, 이로리처럼 직접 불을 사용하는 조리 방식도 여전히 사용되었다. 화덕과 이로리는 필요한 기능이 달랐기 때문에 둘 다 사용되기도 했고, 제작의 어려움과 공간 절약을 위해 한 가지만 사용되기도 했다.
부엌에서 씻는 작업을 하려면 배수 시설이 필요했는데, 이는 도시 수준의 발달된 토목 기술이 있어야 가능했다. 따라서 예로부터 수도를 사용할 수 있는 국가나 지역은 한정되어 있었다. 고대 로마의 로마 수도교에서는 사용료를 내면 누구나 부엌으로 물을 끌어올 수 있었지만, 이는 드문 경우였다. 대부분의 경우 우물가나 강에서 씻는 작업이 이루어졌고, 실내 부엌에서는 간이 개수대가 사용되었다. 어떤 경우든 부엌 바닥은 위생을 위해 방수 처리가 필요했고, 토방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켰다.
근대에 들어 하수 시설이 갖춰지면서 부엌에 수도가 들어오게 되었다. 개수대는 돌, 콘크리트, 인조석 갈기, 양철, 스테인리스를 납땜이나 용접하는 방식으로 발전했지만, 항상 습기가 차 있어 비위생적인 경우가 많았다.
독일에서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많은 부엌 가구 회사가 설립되었고, 20세기에 들어 바우하우스 운동과 세계 최초의 빌트인 키친 개발 등으로 부엌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에도 독일 부엌 가구 회사는 유럽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1920년대 독일 공동 주택용으로 설계된 프랑크푸르트 키친은 효율성, 공간 절약, 비용 절감을 고려한 통일된 디자인으로 널리 보급되었으며, 이후 시스템 키친의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가사 노동 합리화를 통한 여성의 부담 경감이라는 페미니즘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2. 1. 1. 서양

초기 중세 유럽의 롱하우스는 건물에서 가장 높은 지점 아래에 화덕이 있었다. "주방 구역"은 입구와 벽난로 사이에 있었다. 부유한 가정에는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주방이 있었으며, 일부 가정에는 3개 이상의 주방이 있기도 했다. 주방은 조리되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었다.[4] 주방은 요리 화재로 인한 연기와 화재가 통제 불능 상태가 될 가능성 때문에 대형 홀과 분리되었을 수 있다.[5]
코네티컷을 비롯한 뉴잉글랜드의 다른 식민지 시대 미국 식민지에서, 주방은 종종 별도의 방으로 지어졌으며 응접실과 키핑룸 또는 식당 뒤에 위치해 있었다.
1926년 마르가레테 쉴뤼테-리호츠키가 사회 주택 프로젝트를 위해 설계한 프랑크푸르트 키친은 현대식 주방으로 가는 발판이 되었다. 이 주방은 주방 효율성을 최적화하고 건축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이 디자인은 자세한 시간-동작 연구와 미래 입주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주방에 필요한 사항을 파악한 결과였다. 쉴뤼테-리호츠키의 조립식 주방은 1930년대 프랑크푸르트에 건설된 주택 프로젝트의 약 1만 채의 아파트에 설치되었다.[8]
독일에서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키친 메이커가 많이 창업했고, 20세기가 되면서 바우하우스 운동이나 세계 최초의 빌트인 키친 개발 등으로 키친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20년대에 독일의 공동 주택용으로 설계된 프랑크푸르트 키친은 이용 효율, 공간 절약, 비용을 고려하면서 통일성 있는 디자인으로 널리 보급되었고, 이후 시스템 키친의 선구적인 존재가 되었다. 또한 가사 합리화에 의한 여성의 부담 경감이라는 페미니즘 운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1. 2. 동양

중국의 주방은 chúfáng|추팡중국어이라고 불린다. 3000년도 더 전에 고대 중국인들은 음식을 요리하기 위해 정을 사용했는데, 이는 오늘날 사용되는 웍과 냄비로 발전했다. 중국의 정신적 전통에서, 조왕신은 가족을 위해 주방을 지켜보고 매년 가족의 행동에 대해 옥황상제에게 보고한다. 섣달 그믐날에 가족들은 조왕신이 하늘에 좋은 보고를 하고 정초 5일째 되는 날 좋은 소식을 가져다주기를 기원하기 위해 모였다.[11]
중국 가정 주방과 식당 주방에서 가장 흔한 조리 기구는 웍, 찜통 바구니, 냄비이다. 전통적으로 중국인들은 음식을 요리하기 위해 나무나 짚을 연료로 사용했다. 중국 요리사는 전통적인 요리법을 안정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불꽃과 열 복사를 마스터해야 했다. 중국 요리는 팬 프라이, 볶음, 튀김 또는 삶기를 위해 냄비나 웍을 사용한다.[11]
일본의 부엌은 '''다이도코로'''(台所)라고 불린다. 다이도코로는 일본 주택에서 음식을 준비하는 장소이다. 메이지 시대까지 부엌은 ''가마도''(かまど)라고도 불렸으며, 가마도는 집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심지어 "가족" 또는 "가구"를 의미하는 데 사용될 수 있었기 때문에 일본어에는 가마도가 관련된 많은 속담이 있다. 가족을 분가할 때는 ''가마도오 와케루''라고 불렀는데, 이는 "스토브를 나누다"라는 뜻이다. ''가마도오 야부루''는 가족이 파산했다는 뜻이다.[11]
인도에서 주방은 힌두어/산스크리트어로는 "Rasoi", 마라티어로는 "Swayampak ghar"라고 불리며, 각 지역의 다양한 언어에서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인도 전역에는 다양한 요리법이 존재하며, 주방의 구조와 재료는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어, 인도 북부와 중부에서는 "chulha"라고 불리는 흙 오븐에서 나무, 석탄 또는 마른 소똥으로 불을 지펴 요리를 했다. 채식주의를 실천하는 가정에서는 채식 음식과 비채식 음식을 조리하고 보관하기 위해 별도의 주방을 사용했다. 종교적인 가정에서는 주방을 신성한 공간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인도식 주방은 "vastushastra"라고 불리는 인도 건축 과학을 기반으로 한다. 인도 주방의 vastu는 인도에서 주방을 설계할 때 매우 중요하다. 현대 건축가들 또한 전 세계의 인도식 주방을 설계할 때 vastushastra의 규칙을 따른다.[11]
가난한 가정의 많은 주방에서는 흙 스토브와 오래된 형태의 연료를 계속 사용하지만, 도시 중산층 및 상류층은 일반적으로 가스 실린더 또는 배관 가스가 연결된 가스 스토브를 사용한다. 전기 쿡탑은 전기를 많이 소비하기 때문에 드물지만, 전자레인지는 도시 가정과 상업 기업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인도 주방은 또한 바이오가스와 태양 에너지를 연료로 지원받는다. 세계 최대의 태양 에너지 주방은 인도에 있다. 인도 정부는 주방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바이오가스 플랜트를 장려하고 있다.[11]
음식을 조리하려면 씻고, 썰고, 삶고 굽는 등의 동작이 필요하다. 일본 열도의 경우, 수혈 주거나 평지 건물에서는 조몬 시대부터 고분 시대 전반기까지 건물 중앙 부근에서 직접 불(화로)을 이용한 가열 조리가 이루어졌다. 그 후 고분 시대 후반에 가마도 (竈, 부뚜막)가 도입되어 건물의 단부(벽 쪽)로 조리 공간이 이동하게 되었지만, 그 사이에 독립된 방이 만들어진 것이 부엌의 시작으로 여겨진다.[11]
2. 2. 한국의 역사
한국의 전통 주방은 부뚜막과 아궁이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온돌과 함께 한국 주거 문화의 특징을 보여준다. 조선 시대에는 주방을 '정지'라고 불렀으며, 주로 흙과 나무를 사용하여 만들었다. 부뚜막, 아궁이, 시렁, 찬장 등이 주요 구성 요소였다.[12]
2. 2. 1. 근대 이전
조선 시대에는 주방을 '정지'라고 불렀다. 정지는 주로 흙과 나무를 사용하여 만들었으며, 부뚜막, 아궁이, 시렁, 찬장 등이 주요 구성 요소였다. 메이지 시대에도 서민 주택의 부엌은 가마도(부뚜막)를 중심으로 하는 마루 공간과 쭈그려 앉는(쓰쿠바이) 식 개수대를 중심으로 하는 토간 공간으로 나뉘었다.[12] 가스는 보급되지 않아 가마도와 칠륜이 열원이었다. 수도가 보급되면서 토간에 놓는 개수대에 직접 물을 부을 수 있게 되었지만, 불이나 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쭈그려 앉아야 했다.[12] 다이쇼 시대에 들어서면서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함께 부엌 개선 운동이 일어나 서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전기·수도·가스 등의 근대 설비 정비가 과제였다. 그러나 이것들이 농촌부에까지 정착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후부터이다.[18]
일본에서는 조몬 시대부터 고분 시대 전반기까지 건물 중앙 부근에서 직접 불(화로)을 이용한 가열 조리가 이루어졌다. 고분 시대 후반에 가마도가 도입되어 건물의 단부(벽 쪽)로 조리 공간이 이동하게 되었다.
2. 2. 2. 근대 이후
일본 열도의 경우, 수혈 주거나 평지 건물에서는 조몬 시대부터 고분 시대 전반기까지 건물 중앙 부근에서 직접 불(화로)을 이용해 음식을 조리했다. 고분 시대 후반에 가마도(竈, 부뚜막)가 도입되면서 조리 공간은 건물의 단부(벽 쪽)로 이동했다. 음식을 만드는 주방은 먹는 장소인 식당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냄새 확산을 막기 위해 독립성을 높인 독립형 주방, 작업대나 싱크대가 식당 방향을 향해 가족과 대화하며 작업할 수 있는 대면형 주방(카페나 식당의 카운터석이 이 형식이다), 식탁과 주방 싱크대 상판이 일체화된 개방형(오픈형) 주방까지 다양한 형태가 있다.
3. 주방의 구성 요소
레스토랑 등 영업용 주방은 작업 인원에 맞는 적절한 넓이와 설비 설정이 필요하며, 설계에는 급수, 배수, 가스, 전기 설비 등이 관련되어 폭넓은 전문 지식이 요구된다.
조리장은 지상 건물뿐만 아니라, 대형 선박에도 설치된다. 나가사키현 다카시마 앞바다의 다카시마 신자키 유적에서 발견된 원나라의 일본 침략 당시 군선 주변에서 남송제 벽돌과 함께 돼지 뼈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선내에서 불을 사용한 조리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13] 현대의 호화 여객선에서도 장기간 항해를 위해 선내 조리장을 갖추는 것을 볼 수 있다.
기온이 낮은 북쪽 지역에서는 씻는다는 개념이 남쪽 지역과 달라 싱크대나 개수대가 소형이거나 아예 없는 문화권도 있다. 물 소비는 적지만 동물성 지질을 뜨거운 물로 씻기 때문에 식기 세척기가 보급되어 있다. 반면 고온인 남쪽 지역에서는 채소에 묻은 흙을 씻어내고 잔반 부패를 막기 위해 많은 물을 사용하며, 물 처리 도구와 습기 방지 시설이 발달했다.
3. 1. 설비
현대식 부엌에는 싱크대, 가스레인지, 오븐, 전자레인지 등의 가열 조리 기기, 환풍기, 냉장고, 식기세척기 등이 주요 설비로 포함된다.[12]
레스토랑과 같은 영업용 주방은 작업 인원에 맞는 적절한 넓이와 설비 설정이 필요하며, 설계에는 급수, 배수, 가스, 전기 설비 등이 관련되어 있어 폭넓은 전문 지식이 요구된다. (관련 자격으로 주방 설비 시공 기능사가 있다.) 위생을 위해 보건소의 지도에 따라 2조식 싱크대, 손 씻는 곳, 소독약 설치 및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13]
3. 2. 가구
오늘날 현대식 빌트인 주방은 파티클 보드나 MDF를 사용하며, 목재 무늬목, 래커, 유리, 멜라민, 라미네이트, 세라믹, 에코 글로스 등 다양한 재료와 마감재로 장식된다. 스테인리스 스틸로 가정용 빌트인 주방을 생산하는 제조업체는 극소수이다. 1950년대까지 건축가들은 강철 주방을 사용했지만, 이 재료는 때때로 강철 표면으로 장식된 더 저렴한 파티클 보드 패널로 대체되었다.
3. 3. 조리 도구
주방에서 사용되는 조리 도구는 매우 다양하며, 각각 특정한 용도에 맞게 제작된다.
4. 주방의 유형
주방은 배치, 구성,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 주택의 조리 설비는 주로 주방, 키친, 갓테바 등으로 불리며, 음식점이나 급식센터 등의 대규모 업무용 조리 설비는 주방이나 조리장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레스토랑 등 영업 목적의 업무용 주방은 작업 인원에 맞는 적절한 넓이와 설비 설정이 필요하며, 주방 설비 시공 기능사와 같은 전문 지식이 요구된다. 설계에는 급수, 배수, 가스, 전기 설비 등이 관계되며, 위생상으로는 보건소의 지도에 따라 2조식 싱크대, 손 씻는 곳, 소독약 설치 및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12]
조리장은 지상 건물뿐만 아니라 대형 선박에도 설치된다. 나가사키현 다카시마 앞바다의 다카시마 신자키 유적에서 발견된 원나라의 일본 침략 당시 군선 주변에서 남송제 벽돌과 함께 돼지 뼈가 발견되었는데, 고고학자들은 선내에서 불을 사용한 조리가 이루어졌다고 추정한다.[13] 현대에도 호화 여객선에는 장기간 항해를 위한 선내 조리장이 설치되어 있다.
기온이 낮고 결빙으로 급배수가 어려운 북쪽 지역은 식기나 식재료를 씻는 작업이 중요하지 않아 싱크대나 개수대가 작거나 없는 문화권도 있다. 물 소비는 적지만 동물성 기름을 뜨거운 물로 씻기 때문에 식기 세척기가 보급되어 있다. 반면, 고온인 남쪽 지역에서는 채소에 묻은 흙과 잔반의 빠른 부패 때문에 조리 전후 세척 작업이 필수적이다. 대량의 물을 사용하는 남쪽 지역 주방에는 물 확보 및 처리 도구와 습기 방지 시설이 많이 보인다.
4. 1. 배치에 따른 분류
주방 배치는 작업대의 배치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대표적인 배치 방식으로는 I자형, L자형, U자형, 아일랜드형, 페닌슐라형 등이 있다.4. 2. 구성에 따른 분류
주방은 크게 섹셔널 키친(세퍼레이트 키친)과 시스템 키친(유닛 키친)으로 나눌 수 있다.4. 3. 용도에 따른 분류
주방은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가정용 주방: 일반적인 가정에서 사용하는 주방이다.
- 업소용 주방: 레스토랑, 카페테리아 등 영업을 목적으로 하는 주방으로, 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의 적용을 받으며 정기적인 위생 검사를 받는다. 작업 인원에 맞는 적절한 넓이와 급수, 배수, 가스, 전기 설비 등이 필요하며, 주방 설비 시공 기능사와 같은 전문 지식이 요구된다. 보건소의 지도에 따라 2조식 싱크대, 손 씻는 곳, 소독약 등을 설치해야 한다.[12]
- 교육용 주방: 가정, 식품 기술, 요리 등을 가르치는 학교에서 사용되는 주방으로, 여러 개의 워크스테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워크스테이션에는 오븐, 싱크대 등의 설비가 갖춰져 있다.
- 기타: 철도 식당차, 선박, 항공기의 주방은 갤리라고 불리며, 공간 제약 등의 특수한 조건에 맞춰 설계된다. 우주 왕복선이나 국제 우주 정거장의 주방은 재수화 및 가열 기능에 특화되어 있다. 캠핑 시 사용되는 야외 주방도 있다.
5. 현대 한국 사회와 주방
현대 한국 사회에서 주방은 단순한 조리 공간을 넘어 다양한 의미를 갖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볼 때, 기온과 일조 시간에 따라 불과 물을 사용하는 방식에 큰 차이가 있으며, 이는 식공간의 형태나 조리법에도 영향을 미친다.[1] 기온이 낮고 일조 시간이 짧은 지역에서는 부엌의 불이 난방이나 조명 역할도 하기 때문에 부엌이 거실이나 침실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반면,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는 불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부엌을 설치한다.[2]
5. 1. 가족 소통의 공간
만드는 장소인 주방은 먹는 장소인 식당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독립성을 더 높여 냄새 확산을 막는 독립형 주방, 작업대나 싱크대가 식당 방향을 향해 가족과 대화하며 작업할 수 있는 대면형 주방(카페나 식당의 카운터석이 이 형식이다), 식탁과 주방 싱크대 상판이 일체화된 개방형(오픈형) 주방까지 다양하다.주방에서의 작업은 종종 모녀, 며느리와 시어머니가 함께 수행하며, 소통의 장이자 지혜를 전달하는 곳으로 기능했다. 핵가족화와 아이들의 주방 이탈로 인해 이러한 경향은 줄어들었지만, 최근 식육의 개념이 재평가되면서 교육의 장으로서의 주방이 부활하고 있다. 가족이 함께 함으로써 요리의 과정을, 그리고 이를 통해 사물의 과정을 알 수 있으며, 칼과 불의 위험을 알 수 있다.
5. 2. 사회적 공간
주방은 음식을 만드는 장소이므로, 음식을 먹는 식당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냄새 확산을 막기 위해 독립성을 높인 독립형 주방, 작업대나 싱크대가 식당 방향을 향해 가족과 대화하며 작업할 수 있는 대면형 주방(카페나 식당의 카운터석이 이 형식이다), 식탁과 주방 싱크대 상판이 일체화된 개방형(오픈형) 주방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5. 3. 요리 문화의 중심
최근 한국에서는 요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방은 개인의 취미 생활과 자기 계발의 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주방에서의 작업은 모녀, 며느리와 시어머니가 함께하는 소통의 장이자 지혜를 전달하는 곳으로 기능했다. 핵가족화와 아이들의 주방 이탈로 인해 이러한 경향은 줄어들었지만, 최근 식육의 개념이 재평가되면서 교육의 장으로서 주방이 부활하고 있다. 가족이 함께 함으로써 요리의 과정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사물의 과정을 알 수 있으며, 칼과 불의 위험을 알 수 있다.6. 주방 디자인과 인테리어
주방 디자인은 기능성과 심미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6. 1. 효율적인 동선 설계
1944년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건축 학교의 "소규모 주택 위원회"에서 ''주방 작업 삼각 지대''라는 개념을 공식화했다.[9] 이 개념은 주방의 세 가지 주요 기능인 수납, 준비, 조리를 위한 장소를 배치할 때, 각 작업 공간이 서로 방해되지 않고, 이동 거리가 너무 멀지 않으며, 장애물이 없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냉장고, 싱크대, 스토브를 삼각형 꼭짓점에 배치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배치라고 보았다.6. 2. 수납 공간 확보
주방은 어느 정도 넓이가 확보되지 않으면 신체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요리할 때, 일반적인 휠체어는 옆으로 이동하는 기능이 없어 이동할 때마다 휠체어 방향을 바꿔야 한다. 이 방향 전환에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주방이 좁으면 불편하다.7. 친환경 주방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친환경적인 주방을 만드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참조
[1]
뉴스
The Pros and Cons of Using A Commercial Sink at Home – Home Decor Expert and
http://www.homedecor[...]
2018-07-22
[2]
뉴스
The commercial kitchen at home: pros and cons
https://www.nytimes.[...]
1982-12-09
[3]
웹사이트
What Should Be Done Following Health Violations From an Inspection?
https://www.fooddocs[...]
2024-07-22
[4]
서적
Medieval Homes
Sampson Lowel House
[5]
간행물
Transforming Townscapes: From burgh to borough: the archaeology of Wallingford, AD 800–1400
Society for Medieval Archaeology
[6]
간행물
Wallingford: The Castle and the Town in Context
Archaeopress
[7]
서적
The Public Records of the Colony of Connecticut 1636–1776
https://archive.org/[...]
Hartford, Brown & Parsons
[8]
뉴스
Modernist triumph in the kitche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0-09-27
[9]
뉴스
Bauhaus at 100: its legacy in five key designs
https://www.theguard[...]
2019-01-21
[10]
논문
C-Stores Eating Your Lunch
https://www.qsrmagaz[...]
2014-01-09
[11]
뉴스
World's Largest 38500-meal Solar Kitchen in India
http://inhabitat.com[...]
2017-03-17
[12]
웹사이트
キッチンの歴史
http://www.kitchen-b[...]
2017-05-15
[13]
방송
クローズアップ現代
NHK
2011-12-08
[14]
웹사이트
ドイツ製キッチンの魅力とは?~世界のハウズから~
http://www.kitchen-b[...]
2017-05-15
[15]
웹사이트
筑後遺跡探検-遺跡の用語集-
https://www.city.chi[...]
2023-04-04
[16]
웹사이트
記念物-県指定史跡-横峯遺跡
http://www.pref.kago[...]
2023-04-04
[17]
웹사이트
ためになる?豆知識-古代のレンジ台「カマド」-
https://www.rekihaku[...]
2022-04-24
[18]
웹사이트
キッチンの歴史 大正デモクラシーの時代
http://www.kitchen-b[...]
2017-05-15
[19]
웹사이트
キッチンの歴史 ステンレス流し台の普及
http://www.kitchen-b[...]
2017-05-15
[20]
웹사이트
キッチンの歴史 システムキッチンの登場
http://www.kitchen-b[...]
2017-05-15
[21]
웹사이트
国内事業の構造改革の実施関するお知らせ:ノーリツ
https://contents.xj-[...]
[22]
웹사이트
ノーリツが希望退職で600名を削減 住宅システムから撤退 不景気ニュース
https://www.fukeiki.[...]
[23]
뉴스
ノーリツ、住宅システム分野の生産開発から撤退 日本経済新聞2019年11月27日付け
https://www.nikkei.c[...]
[24]
뉴스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6-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