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배달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달근은 대한제국 시기 문관 관료였으며,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여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했으며, 한국독립당 대표상임위원과 대표최고위원을 역임했다. 1944년 사망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포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개신교도 - 김형직
    김형직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김일성의 아버지로, 조선국민회에 참여하고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며, 북한에서는 항일 독립운동 지도자로 추앙받지만 반공주의적 성향을 가졌다는 증언도 있다.
  • 일제강점기의 개신교도 - 심우섭 (1890년)
    심우섭은 청송 심씨로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매일신보》 기자와 소설가로 활동하며 이광수 소설 등장인물의 모델이기도 했으나, 친일 활동으로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이다.
  • 성주 배씨 - 배우희
    배우희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로, 걸그룹 달샤벳의 멤버로 활동했으며 드라마, 영화, 뮤지컬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배우로서 입지를 다져 코리아드라마어워즈 여자 신인상과 신스틸러 페스티벌 in 문경 본상을 수상했다.
  • 성주 배씨 - 배진교
    배진교는 민주노동당에서 활동을 시작하여 인천 남동구청장을 역임하고 정의당 비례대표로 제21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조선의 관료 - 박성빈 (조선)
    박성빈은 1871년에 태어나 무과에 급제하고 동학 농민 운동에 가담했으며, 아들 박정희는 대통령이 되었다.
  • 조선의 관료 - 김응우
    김응우는 김일성의 고조부로 평안도 대동 출신이며, 북한에서는 제너럴 셔먼호 격침에 기여했다고 주장하나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비판이 있고, 김일성 가문으로 이어진 전주 김씨이다.
배달근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배달근
원래 이름裵達根
출생지조선 경상도 의성
사망지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성주
출생일1865년 9월 3일
사망일1944년 6월 24일
거주지경상북도 의성
경상북도 의성
경상북도 대구
경성부
평안남도 평양
장쑤성 상하이
둥베이 지방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옌지 베이젠다오 촌
후베이성 우창
산둥성 지난
평안북도 의주
평안북도 신의주
평안북도 철산
충청북도 청원
충청북도 청주
경상북도 청송
경상북도 성주
종교유교(성리학) → 개신교
배우자청송 심씨 부인
자녀슬하 5남 3녀
본관성주(星州)
정당무소속
경력
직책대한제국 충청북도 단양군 군서기관
임기1903년 5월 ~ 1906년 11월
군주고종 이형
주요 경력대한민국 임시정부 중화민국 만저우 지방 지린성 지부 옌볜 조선족 자치주 옌지 젠다오 주재 독판부 특무특보연통위원
한국독립당 대표상임위원
한국독립당 대표최고위원
서훈
서훈 내역1983년 8월 15일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장 추서
1990년 3월 1일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2. 생애

2. 1. 대한제국 조선 황조 시대 문관 관료

배달근은 1892년 음서로써 관직에 천거되었다. 1892년부터 1893년까지 1년간 조선국 경상도 안동군 군서기관 직을 지냈으며, 1893년부터 1896년까지 3년간 조선국 전라도 신안군 군서기관 직을 지냈다. 1896년부터 1897년까지는 조선국 전라남도 신안군 군서기관 직을, 1897년부터 1898년까지는 대한제국 전라남도 신안군 군서기관 직을 역임하였다.

1898년부터 1900년까지 2년간 대한제국 전라북도 옥구군 군서기관 직을 지냈고, 1900년부터 1901년까지는 대한제국 경상북도 봉화군 군서기관 직을, 1901년부터 1902년까지는 대한제국 전라북도 남원군 군서기관 직을, 1902년부터 1903년까지는 대한제국 경상북도 영주군 군서기관 직을 지냈다. 1903년부터 1906년까지는 대한제국 충청북도 단양군 군서기관으로 3년간 근무하였다. 1906년 대한제국 관직에서 퇴임하였다.

2. 2. 3·1 만세 운동 참여

1919년 3월, 배달근은 평양과 경성 등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하고자 귀향한 김원휘(金原輝)가 박영달(朴永達)·박영화(朴永和)와 만나 대대적인 독립 만세 운동을 계획하는 과정에 참여하였다. 그는 김원휘, 배중엽(裵重曄), 박영신(朴永新) 등과 사전 준비를 함께 했다.

한편, 대구 계성고등보통학교 학생으로서 대구 학생 독립 만세 시위에 참여하고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귀향한 개신교 목사 박영화의 아들 박상동(朴尙東)이 의성의 소식을 전하면서 독립 만세 시위 운동 계획은 더욱 구체화되었다.

1919년 3월 12일, 배달근은 박영신의 집에서 박영화, 박영달, 배중엽 등과 함께 2백여 개의 태극기를 제작하였다. 같은 날 정오경, 박영신의 자택 앞에 모인 2백여 명의 시위 군중에게 태극기를 나누어주고 선두에서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가두 시위를 벌였다. 시위대는 동네 뒷산까지 올라가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고 자진 해산하였다.

그러나 이날 오후 4시, 일제의 경상북도 의성경찰서는 대대적인 검거 작업을 펼쳤고, 배달근도 이때 체포되었다. 1919년 4월 26일, 경상북도 대구복심법원에서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하였으며, 1920년 3월 만기 출감하였다.

2. 3. 대한 임정 관련 활동 이후 만년

1920년 6월, 중화민국 상하이로 건너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만저우 지방 젠다오 주재 독판부 특무특보연통위원을 역임하였다. 1922년부터 1930년까지 한국독립당 대표상임위원을, 1930년부터 1941년까지 한국독립당 대표최고위원을 역임하였다. 1941년 1월, 한국독립당 대표최고위원 직위에서 퇴임하고 탈당하였다. 같은 해 3월, 조선으로 귀국하여 경상북도 성주에 임시 정착하였다. 1944년 6월 24일, 경상북도 성주에서 별세하였다.

3. 사후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83년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과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