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혜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혜사는 '변호인', '위로자'를 의미하는 헬라어 '파라클레토스'에서 유래된 기독교 용어이다. 신약성경의 요한복음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제자들에게 보내겠다고 약속한 존재로, 성령과 동일시된다. 기독교에서는 보혜사가 성령으로서 제자들을 위로하고 진리를 가르치며 예수를 증언하는 역할을 한다고 해석한다. 한편, 이슬람교에서는 요한복음의 보혜사가 무함마드를 가리킨다는 주장이 존재하며, 꾸란 61장 6절을 근거로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와 이슬람교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와 이슬람교 - 예수의 승천
예수의 승천은 기독교 신학에서 부활한 예수가 하늘로 올라간 사건으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 기록되었으며, 승천 장소와 시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기독교 미술에서의 중요한 주제, 교회력 절기인 승천 축일 기념, 이슬람에서의 다른 관점 해석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 성령론 - 기독교의 신
기독교의 신은 기독교에서 숭배하는 유일신으로, 유대교 및 이슬람교와 같이 아브라함을 공유하며, 구약성경에서는 다양한 이름으로 나타나고, 신의 속성과 본질은 신학적 논의를 통해 이해되며, 미술에서는 상징으로 묘사되고, 삼위일체론으로 설명된다. - 성령론 - 독력주의
독력주의는 기독교 신학에서 구원이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로만 이루어지며 인간의 의지나 협력이 필요 없다는 교리로서, 도르트 신조, 벨기에 신앙고백, 일치신조 등 다양한 신앙고백 표준에서 정의되고, 특히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통해 강조되며, 인간의 전적 타락과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선택을 강조하며, 루터교와 칼뱅주의를 포함한 일부 교파에서 옹호된다. - 신약 신학 - 카이로스
카이로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결정적인 순간' 또는 '적절한 시기'를 뜻하며, 수사학에서는 설득력을 극대화하는 시기적절한 상황을,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적인 소통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 신약 신학 - 시은좌
시은좌는 기독교 예배에서 신성한 임재와 은혜를 구하는 특별한 의자 또는 공간으로, 구약성경의 언약궤 덮개에서 유래되었으며, 부흥 운동을 통해 널리 퍼져 신앙적인 결심을 촉구하고 기도를 이끄는 역할을 하며 설교 묵상과 공동체 의식 강화에 기여한다.
보혜사 | |
---|---|
기본 정보 | |
구분 | 기독교 용어 |
의미 | '돕는 자, 위로자, 변호인, 중보자' |
기독교적 의미 | |
개신교 | 성령 |
로마 가톨릭 | 성령 |
정교회 | 성령 |
어원 | |
그리스어 | παράκλητος (파라클레토스) |
로마자 표기 | paráklētos |
의미 | '변호인', '중재자', '돕는 자' |
영어 번역 | Advocate, Helper |
신학적 의미 | |
요한복음에서의 의미 | 예수가 떠난 후 제자들을 돕고 인도하는 성령의 역할 |
삼위일체 | 성부, 성자, 성령 중 성령의 한 속성 |
2. 어원
'보혜사'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 "Paraclete"는 코이네 그리스어 단어 παράκλητος ()에서 유래했다. παράκλητος ()는 '곁에/함께'를 뜻하는 와 '부르다'를 뜻하는 의 합성어[1]이다. 이 단어는 원래 법정에서 도움을 요청받은 사람, 즉 변호인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헬레니즘 유대교와 랍비 문학에서는 하나님 앞에서 인간을 변호하는 천사, 예언자, 의인 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고,[2] '위로하는 자'라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2]
이 용어는 비유대교 텍스트에서는 흔하지 않다.[4] 가장 잘 알려진 사용 사례는 데모스테네스의 저작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필로는 주로 인간 중재자의 의미로 "보혜사" 변호인에 대해 여러 번 언급한다.
이 단어는 나중에 헬레니즘 유대교의 글에서 랍비 문학으로 넘어갔다.[5] 히브리어 단어 מְנַחֵםhe (, '위로자')와 מליץ יושרhe ()를 번역하는 데 다른 단어들이 사용된다.[6]
2. 1. 라틴어 어원
그리스어 παράκλητος|파라클레토스grc는 라틴어 advocatus|아드보카투스la를 번역한 것이다. advocatus|아드보카투스la는 법정에서 피고를 변호하는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3]3. 고전 그리스어
이 용어는 비유대교 텍스트에서는 흔하지 않다.[4] 데모스테네스의 저작에서 다음과 같은 용례가 발견된다.
παρά-κλητος|파라클레토스grc는 도움을 요청받은 사람, 법정에서 법률 보조인, 변호인을 뜻한다.[1]
4. 유대교
필로는 주로 인간 중재자를 의미하는 "보혜사" 변호인에 대해 여러 번 언급한다.[1] 이 단어는 나중에 헬레니즘 유대교의 글에서 랍비 문학으로 넘어갔다.[5]
5. 성경에서의 보혜사
요한복음 14장 16-17절에 따르면, 보혜사는 "진리의 영"으로, 세상은 그를 알지 못하지만, 예수를 따르는 사람들과 함께하며 그들 안에 거한다.
"Paraclete"라는 영어 단어는 코이네 그리스어 단어 παράκλητοςgrc()에서 유래되었으며, ('곁에/함께')와 ('부르다')의 합성어[1]로 성경 요한복음 14장 16절에서 처음 등장한다.[2] 르네 키퍼(René Kieffer)는 해당 단어의 발전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는 동사 형용사로, 법정에서 도움을 요청받은 사람을 지칭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 유대교 전통에서 이 단어는 히브리 문자로 음역되었으며, 하나님의 법정 앞에서 천사, 예언자, 의인과 같은 옹호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또한 '위로하는 자'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욥기 16:2, 테오도티온과 아퀼라의 번역 참조; 70인역에는 올바른 단어 가 사용되었다). 요한복음의 를 단 하나의 종교적 배경만을 바탕으로 설명하는 것은 아마도 잘못된 것이다. 이 단어는 복합적인 의미로 가득 차 있는데, 성령은 예수를 대신하고, 옹호자이자 증인이 되며, 또한 제자들을 위로한다.[2]
M. E. Boring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저널인 ''New Testament Studies''에 기고하여 보혜사의 정의된 속성과 역할, 그리고 기독교 예언의 결과 사이에 "놀라운 유사성"이 있다고 설명하면서, 보혜사를 유월절 이후의 성령의 선물로 설명한다.[7]
초대 교회는 보혜사를 성령으로 동일시했다.[8] 1세기 유대교와 기독교의 이해에 따르면, 성령의 임재는 예언의 부활을 주장하는 것이다.[7]
12세기 중반에 은둔자로 지낸 피터 아벨라르는 자신의 예배당을 보혜사에게 헌정했는데, 그 이유는 "나는 도망자로 그곳에 왔고, 절망의 깊은 곳에서 하나님의 은혜로 약간의 위안을 얻었기 때문"이다.[9]
오늘날에도 성령은 성체 강복 중에 낭송되는 신성 찬미라는 기도에서 보혜사로 불린다.
Παράκλητονgrc는 예수가 "또 다른 보혜사"가 와서 그의 제자들을 도울 것이라고 말하는 것을 인용하고 있는데, 이는 로렌스 루트케마이어에 따르면 예수가 첫 번째이자 주요한 보혜사임을 암시한다.[10] 에서 예수 자신을 "보혜사"라고 부른다.
마태오 복음서는 해당 동사 παρακαλῶgrc의 수동태 형태를 두 번 사용하는데,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abo:tlg,0031,001:2:18&lang=original 2:18]과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3Atext%3A1999.01.0155%3Abook%3DMatthew%3Achapter%3D5 5:4]이다. 두 경우 모두 문맥은 슬픔에 관한 것이며, 동사의 의미는 '위로를 받다'이다.[15]
5. 1. 요한복음
요한복음에서 보혜사는 14장 16절, 14장 26절, 15장 26절, 16장 7절에 등장한다.[1] 예수는 제자들에게 "또 다른 보혜사"를 보내주실 것을 약속한다.[10] 레이먼드 E. 브라운과 조지 존스턴은 "또 다른 보혜사"가 여러 면에서 또 다른 예수, 즉 예수가 아버지께로 승천한 후의 예수의 현존이라고 주장한다.[11][12][13][14]보혜사는 성령으로, 제자들을 위로하고, 진리를 가르치며, 예수를 증언하는 역할을 한다.[2]
요한복음의 관련 구절은 다음과 같다.
- 요한복음 14장 16절, 17절: "내가 아버지께 구하겠으니 그가 또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주사 영원토록 너희와 함께 있게 하시리니 저는 진리의 영이라 세상은 능히 저를 받지 못하나니 이는 저를 보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함이라 그러나 너희는 저를 아나니 저는 너희와 함께 거하심이요 또 너희 속에 계시겠음이라" (개역개정)
- 요한복음 14장 26절: "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 그가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고 내가 너희에게 말한 모든 것을 생각나게 하시리라" (개역개정)
- 요한복음 15장 26절: "내가 아버지께로부터 너희에게 보낼 보혜사 곧 아버지께로부터 나오시는 진리의 성령이 오실 때에 그가 나를 증언하실 것이요" (개역개정)
- 요한복음 16장 7절: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실상을 말하노니 내가 떠나가는 것이 너희에게 유익이라 내가 떠나가지 아니하면 보혜사가 너희에게로 오시지 아니할 것이요 가면 내가 그를 너희에게로 보내리니" (개역개정)
초대 교회는 보혜사를 성령으로 동일시했다.[8] 1세기 유대교와 기독교의 이해에 따르면, 성령의 임재는 예언의 부활을 주장하는 것이다.[7]
5. 2. 한국어 번역
개역한글(1961년), 표준새번역(1993년), 개역개정(1998년)에서는 '보혜사'로 번역한다.[16] 공동번역(1977년, 신약은 1971년)에서는 '협조자'로 번역한다.[16] 가톨릭 성경(2005년)에서는 '보호자'로 번역한다.[16]각 성경 번역본의 요한복음 14장 16~17절은 다음과 같다.
번역본 | 16절 | 17절 |
---|---|---|
개역한글 | 내가 아버지께 구하겠으니 그가 또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주사 영원토록 너희와 함께 있게 하시리니 | 저는 진리의 영이라 세상은 능히 저를 받지 못하나니 이는 저를 보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함이라 그러나 너희는 저를 아나니 저는 너희와 함께 거하심이요 또 너희 속에 계시겠음이라 |
공동번역 | 내가 아버지께 구하면 다른 협조자를 보내주셔서 너희와 영원히 함께 계시도록 하실 것이다. | 그분은 곧 진리의 성령이시다. 세상은 그분을 보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기 때문에 그분을 받아들일 수 없지만 너희는 그분을 알고 있다. 그분이 너희와 함께 사시며 너희 안에 계시기 때문이다. |
표준새번역 | 내가 아버지께 구하겠다. 그러면 아버지께서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보내셔서 영원히 너희와 함께 있게 하실 것이다. | 그분은 진리의 영이시다. 세상은 그분을 보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므로, 그분을 맞아들일 수가 없다. 그러나 너희는 그분을 안다. 그것은 그분이 너희와 함께 계시고 또 너희 안에 계시기 때문이다. |
개역개정 | 내가 아버지께 구하겠으니 그가 또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주사 영원토록 너희와 함께 있게 하시리니 | 저는 진리의 영이라 세상은 능히 저를 받지 못하나니 이는 저를 보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함이라 그러나 너희는 저를 아나니 저는 너희와 함께 거하심이요 또 너희 속에 계시겠음이라 |
가톨릭 성경 | 그리고 내가 아버지께 청하면, 아버지께서는 다른 보호자를 너희에게 보내시어, 영원히 너희와 함께 있도록 하실 것이다. | 그분은 진리의 영이시다. 세상은 그분을 보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기 때문에 그분을 받아들이지 못하지만, 너희는 그분을 알고 있다. 그분께서 너희와 함께 머무르시고 너희 안에 계시기 때문이다. |
6. 기독교에서의 해석
초대 교회는 보혜사를 성령과 동일시했다.[8] 1세기 유대교와 기독교의 이해에 따르면, 성령의 임재는 예언의 부활을 주장하는 것이다.[7] 요한복음 14장 16절의 보혜사는 성령으로 여겨진다.[7]
보혜사는 예수 승천 이후 제자들과 함께하며, 그들을 위로하고, 진리를 가르치며, 예수를 증언하는 역할을 한다.[2] M. E. Boring은 보혜사가 성령의 선물, 즉 영적인 기독교적 언어 카리스마를 나타낸다고 설명한다.[7]
레이먼드 브라운,[11][12] 조지 존스턴[13] 등은 요한복음 14장 16절의 "또 다른 보혜사"가 여러 면에서 또 다른 예수, 즉 예수가 아버지께로 승천한 후의 예수의 현존이라고 주장한다.[10][14]
12세기 중반에 은둔자로 지낸 피터 아벨라르는 자신의 예배당을 보혜사에게 헌정했는데, 그 이유는 "나는 도망자로 그곳에 왔고, 절망의 깊은 곳에서 하나님의 은혜로 약간의 위안을 얻었기 때문"이다.[9]
오늘날에도 성령은 성체 강복 중에 낭송되는 신성 찬미라는 기도에서 보혜사로 불린다.
7. 이슬람교에서의 해석
많은 이슬람 학자들은 요한복음에 나오는 "또 다른 보혜사"(예수가 첫 번째 보혜사)가 무함마드를 가리킨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꾸란 61장 6절에 근거한다.[17]
데이비드 벤자민 켈다니 (1928)와 같은 소수의 이슬람 해설가들은 원래 코이네 그리스어 단어가 '유명한, 훌륭한, 칭찬할 만한'을 의미하는 였으며, 이것이 아랍어로 (무함마드의 또 다른 이름)로 번역되었고, 기독교인들에 의해 로 대체되었다고 주장한다.[19] 그러나 현재 이 판본을 가진 그리스어 필사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현존하는 모든 그리스어 필사본은 παράκλητοςgrc 를 사용하고, 가장 초기의 필사본 증거는 3세기부터이다.
A. 거스리와 E. F. F. 비숍에 따르면, 초기 번역가들은 에 대한 의 추정된 읽기에 대해 알지 못했고, 이를 아흐마드로 번역할 수 없었다. 이븐 이샤크와 이븐 히샴의 경우, 페리클루토스는 등장하지 않으며, 속임수는 그들의 것이 아니다. 아흐마드를 소개할 기회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20][21]
션 앤서니는 요한복음의 보혜사와 아흐마드의 연결은 이븐 이샤크의 작품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나중의 전통일 수 있으며, 이 두 인물을 연결하려는 무슬림의 가장 초기의 시도는 이븐 히샴과 이븐 쿠타이바에게서 시작되어 이 주제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킨다는 데 동의한다.[23]
이 구절을 꾸란에 나중에 삽입했다는 주장은 현대 이슬람 연구에서 거부되었다.[24] 이는 꾸란의 가장 초기의 필사본과 후기의 필사본 모두 61장에 동일한 구절과 어구를 담고 있다는 사실로 뒷받침된다.[25][26][27]
레본이 묘사한 동로마 제국 황제 레오 3세와 우마이야 왕조 칼리프 우마르 2세 간의 서신에서 레오 3세는 보혜사가 "위로자"를 의미하는 반면, 무함마드는 "감사하다" 또는 "은혜를 베풀다"를 의미하며, 이는 보혜사라는 단어와 관련이 있다고 언급했다.[28] 8세기 무렵에 보혜사를 무함마드로 동일시하는 개념은 이미 알려진 개념이었다. 아바스 왕조 칼리프 알-마흐디는 영향력 있는 기독교 총대주교 티모테오 1세(사망 823년)와 이 개념에 대해 논쟁했다. 페르시아 신학자 알리 알-타바리(사망 870년)는 무함마드만이 보혜자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시리아 학자 이븐 아비 탈리브 알-디마시키(사망 1327년)는 이 구절이 일반적으로 예언자의 도래에 관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콘스탄티누스 1세의 치세에 기독교 사제들이 콘스탄티누스가 진정한 믿음을 인정할 것을 두려워하여 이 구절을 성령을 가리키도록 변경했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araclete | Origin and meaning of paraclete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
서적
'John'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3]
논문
The Legal Precision of the Term 'πάράkλητος'
SAGE
2009
[4]
문서
According to ''[[Bauer's Lexicon]]'': "the technical meaning 'lawyer', 'attorney' is rare."
[5]
웹사이트
Paraclete
http://jewishencyclo[...]
Jewish Encyclopedia 1914
[6]
문서
The Orthodox Jewish Brit Chadasha Bible Translation
[7]
논문
The Influence of Christian Prophecy on the Johannine Portrayal of the Paraclete and Jesus
1978-10
[8]
서적
Historical Theology: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Doctrine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14-09-25
[9]
서적
The Letters of Abelard and Heloise
Penguin
1973
[10]
논문
THE ROLE OF THE PARACLETE (Jn. 16:7-15)
[11]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Vol. 2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12]
서적
The Spirit of Jesus in Scripture and prayer
Rowman & Littlefield
2004
[13]
서적
The spirit-paraclete in the gospel of John. Vol. 1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4]
서적
The creed: The apostolic faith in contemporary theology.
Twenty-Third Publications
1993
[15]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publisher=Perseus.tufts.edu): παρακαλέω, A, III, 2
https://www.perseus.[...]
[16]
성경
John 14:15-14:27
[17]
간행물
Isa
https://archive.org/[...]
Encyclopedia of Islam Volume 4
1997
[18]
문서
Watt (1991) pp. 33–34
[19]
서적
New Testament Greek Manuscripts: John
https://brill.com/vi[...]
William Carey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Papyrus 66
http://ntvmr.uni-mue[...]
[19]
웹사이트
Papyrus 75
http://ntvmr.uni-mue[...]
Institut für Neutestamentliche Textforschung
2022-03-04
[20]
문서
A. Guthrie and E. F. F. Bishop, p.253–254.
[21]
논문
His Name is Ahmad
1953-04
[22]
문서
A. Guthrie and E. F. F. Bishop, The Paraclete, Almunhamanna and Ahmad, Muslim World XLI (October, 1951), p.254–255; italics: emphasis in original.
[23]
논문
Muḥammad, Menaḥem, and the Paraclete: new light on Ibn Isḥāq's (d. 150/767) Arabic version of John 15: 23–16: 1
https://www.academia[...]
[24]
서적
Ibid. p. 274.
[25]
서적
Déroche, Catalogue Des Manuscrits Arabes: Deuxième Partie: Manuscrits Musulmans - Tome I, 1: Les Manuscrits Du Coran: Aux Origines De La Calligraphie Coranique, 1983.
[26]
서적
Sahin et al., The 1400th Anniversary Of The Qur'an, 2010, Museum of Turkish and Islamic Art Collection, Antik A.S. Cultural Publications
[27]
서적
A. George, The Rise Of Islamic Calligraphy, 2010, Saqi Books: London (UK), pp. 75-80 & p. 148; F. B. Flood, The Qur'an, in H. C. Evans & B. Ratliff (Eds.), Byzantium And Islam: Age Of Transition 7th - 9th Century, 2012,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USA)
[28]
논문
Ghevond's Text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Umar II and Leo III
1944
[29]
웹사이트
カトリック東京大司教区宣教司牧部資料(PDF)
http://tokyo.catho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