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대는 군사 조직의 기본 단위로, 역사적으로 그 기능과 구성이 연구되어 왔다. 고대 그리스의 팔랑크스, 고대 로마의 레기온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거쳐, 화기 발달에 따라 부대 편성이 변화했다. 프랑스 혁명 이후 대대, 연대, 사단 체제가 정비되었고, 이는 오늘날까지 널리 사용된다. 현대에는 각 국가별, 군종별로 다양한 편제와 명칭을 사용하며, 부대는 작전 수행을 위해 조직되어 계급과 지휘 체계를 갖춘다. 군사 조직에서 부대는 야외에서의 실력 행사를 임무로 하며, 기관과는 다르게 운용된다. 부대장의 계급은 부대를 편성하는 조직에 따라 다르다.
역사적으로 부대는 군사 조직의 기본적인 단위로서 조직되었으며, 그 기능과 구성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고대에는 고대 그리스의 팔랑크스, 고대 로마의 레기온과 같이 보병과 기병이 조합된 형태의 부대가 운용되었다. 중세에는 기병 중심의 전투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14세기 스위스 보병이 고대 로마의 부대 편성을 도입하면서 보병 중심의 부대 편성이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현대에는 국가별, 군종별로 다양한 부대 편제와 명칭을 사용한다.
2. 역사
2. 1. 고대
고대 그리스에서는 약 4,000명의 중장보병으로 구성된 팔랑크스가 기본적인 부대 단위였다. 팔랑크스는 장창과 방패를 장비하고 하나의 통일체로 기동했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단일 직종 부대는 운용 유연성이 부족했다. 고대 로마의 군단병인 레기온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장보병과 기병 부대를 혼합하여 편성했다. 약 120~200명으로 구성된 마니풀루스 부대가 모여 코호르트를 구성하고, 10개의 코호르트와 기병 부대가 조합되어 약 4,500~5,000명 규모의 레기온이 편성되었다. 중세에는 기병 중심의 전투가 주류를 이루면서 보병 중심의 부대 편성은 일시적으로 쇠퇴했다.
2. 2. 중세 및 근대
중세에는 기병에 의한 전투가 주류를 이루어, 보병을 중심으로 한 부대 편성은 일시적으로 쇠퇴했다. 그러나 14세기에 스위스 보병은 고대 로마의 부대 편성을 도입하여 유럽에서의 전투에 혁신을 가져왔다.
화기가 개발되면서 군사 조직의 부대 편성은 근본적으로 재검토되었고, 장창과 소총을 장비하는 보병을 조합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후에 총검의 발명으로 모든 보병은 소총을 장비하게 되었다. 1505년 스페인군은 장창, 칼, 머스킷을 장비한 5개의 중대로 구성된 1,000명 규모의 보병 대대를 창설하여 근대적인 부대 편성을 개발했다. 이는 레기온보다 소규모 부대이면서 방진의 대형으로 독립적인 전투 행동이 가능한 근대적인 대대였다. 그러나 머스킷이 본격적으로 보급되면서 부대는 2열 또는 3열의 횡대로 정렬하여 사격으로 전투하는 것이 주류가 되었고, 기병 부대나 포병 부대와 연계하기 위해 사단 단위로 운용되게 되었다.
2. 3. 현대
머스킷 보급 확대로 부대는 2열 또는 3열 횡대로 정렬하여 사격하는 전술을 사용하게 되었고, 기병 부대나 포병 부대와 연계하기 위해 사단 단위로 운용되게 되었다.[1] 프랑스 혁명 이후 대대, 연대, 사단 편성이 정비되었고, 나폴레옹에 의해 보병 부대는 포병 부대의 전투 지원 하에 운용되게 되었다.[1] 이 무렵 군사 조직의 기본 부대 편성인 사단, 연대, 대대가 형성되었으며, 오늘날 군사 조직에서도 널리 이 편성이 채용되고 있다.[1]
3. 각국의 부대
캐나다 육군에서 부대는 기갑, 포병, 공병 및 통신 병과의 소대와 동일하며, 2~4개의 부대가 기갑 부대의 주요 요소를 구성한다.
왕립 해병대의 부대는 육군 소대와 동일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코만도의 조직에서 유래되었다.
3. 1. 미국
미국 육군 기병 병과의 부대는 보병 중대에 해당하는 부대로, 대위가 지휘하며 3~4개의 소대로 구성된다. 1883년에 중대는 부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 기병 기갑 부대에 속한 보병 중대도 "부대"로 불리는 경우가 있는데, 하차 정찰 부대(DRT)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RSTA 기갑 부대 내에서 보병 중대 규모의 부대로 기병 병과 기갑 부대의 일부이다.[4]
3. 2. 영국
영국 육군에서 부대(Troop)의 정의는 병과에 따라 다르다.[1]
병과 | 부대(Troop) 정의 |
---|---|
근위 기병대, 왕립 기갑군 | 장갑 전투 차량 3~4대로, 소위가 지휘하며, 사실상 보병 소대와 동일한 규모. 2~4문의 대포 또는 발사기, 또는 이에 상응하는 본부 부대. |
왕립 포병대 | 반 포대. 왕립 기마 포병대에서 부대는 다른 포병 부대의 포대와 동일. |
왕립 공병대, 왕립 통신대, 왕립 군수대, 특수 공수 부대, 명예 포병대 (및 이전의 왕립 수송대) | 다른 병과의 소대와 동일한 규모의 부대로, 분대 또는 초소로 나뉨. 왕립 공병대와 왕립 통신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소대를 사용. |
다른 육군 병과는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3. 3.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에서 "Troop"은 특정 병과 부대의 소대 규모와 동일하다.[1]해당 병과 |
---|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항공대 |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기갑군 |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통신군 |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수송군 |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공병대 |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측량군 (현재 해산됨) |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포병 연대 |
특수 공수 연대(SASR) |
특수 공수 연대(SASR)은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보병대에서 소대 규모 부대를 '부대'라고 부르는 유일한 부대이다. SASR 부대는 대위가 지휘한다는 점이 특이하다. 대부분 부대 또는 소대 규모 부대는 소위가 지휘한다. 대부분 소대 규모 부대를 부대라고 부르는 부대는 중대 규모 부대를 기갑 부대라고 부르고, 대대 규모 부대를 연대라고 부른다. (RAA의 연대는 중대 규모 부대를 '포대'라고 부른다.)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기갑군과 SASR의 사병은 "기갑병" 계급을 가지지만, 이는 "부대"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다른 병과나 부대의 경우와는 다르다.[2]
4. 부대 편제
군사 조직에서 부대는 조직적인 작전 행동을 수행하는 단위이며, 복잡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분업적인 위계질서로 조직되어 있다. 부대는 규모에 따라 야전군, 군단, 사단, 여단, 연대, 대대, 중대, 소대, 분대 등으로 나뉜다. 각 부대는 임무 및 직역에 따라 상위 부대 및 지휘관을 중심으로 한 계급 순위 및 직무 분담에 기반한 지휘 명령 체계에 따라 부대 행동·작전이 전개된다. 부대 편제는 통신 기술의 발달 정도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현대 군사 조직의 부대 편제는 나폴레옹 시대 프랑스군의 부대 편제를 참고하고 있다. 현대 부대 편제는 대대가 횡대 전술로 싸우고, 사단은 상황에 따라 각 대대를 유연하게 운용하며,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대대를 조합하여 전투, 전투 지원, 전투 업무 지원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4. 1. 부대와 기관의 차이
군사 조직에서 일반적으로 '''기관'''은 한 곳에 고정되어 후방 지원, 교육, 모집, 조달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반면, 야외에서의 실력 행사를 임무로 하는 것을 '''부대'''라고 한다[5]。 부대와 기관을 통칭하여 "'''부대 등'''"이라고 한다[5]。5. 부대장의 계급
부대장의 임용은 부대를 편성하는 조직 및 기구에 따라 다르지만, 군대 일반 및 경찰 부대·소방 부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계급의 인원이 임명된다.
순서 | 군대 | 경찰 | 소방 |
---|---|---|---|
군 사령관 | 대장·상급대장 | ||
군단장 | 중장·대장 | ||
사단장 | 소장·중장 | ||
여단장 | 준장·소장 | ||
연대장 | 대령 | 경시정 | 소방총감·소방감 |
대대장 | 중령 | 경시 | 소방령 |
중대장 | 소령·대위 | 경부 | 소방경 |
소대장·구대장 | 중위·소위 | 경부보 | 소방위 |
분대장·반장 | 병장 | 경사 | 소방장 |
참조
[1]
서적
Looking Forward, Looking Back: Customs and Traditions of the Australian Army
Big Sky Publishing
[2]
서적
Looking Forward, Looking Back: Customs and Traditions of the Australian Army
[3]
웹사이트
4th Cavalry Regiment
https://web.archive.[...]
2009-12-12
[4]
웹사이트
Dismounted Reconnaissance Troop
https://www.globalse[...]
2010-11-01
[5]
서적
防衛用語辞典
国書刊行会
[6]
웹사이트
自衛隊法 第3章 部隊 第4節 共同の部隊 第21条の2
https://web.archive.[...]
[7]
웹인용
THE INDIAN WARS
https://home.army.mi[...]
2019-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