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덕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덕도는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속한 섬으로, 조선 시대에는 웅천군 관할이었다. 임진왜란 당시 최전방으로 왜군의 지배를 오래 받았으며, 17세기에는 무기 밀매 사건으로 인해 왜관이 초량으로 이전되기도 했다. 1904년 러일전쟁 당시에는 일본 제국이 외양포 주민을 강제 이주시키고 진해만 요새 사령부를 설치했으며, 1914년부터 1988년까지 창원군 관할이었다. 현재 가덕도에는 가덕도 척화비, 눌차왜성, 동백군락지 등 문화재와 관광 명소가 있으며, 부산신항 개발과 가덕대교, 거가대교 건설로 육지와의 교통이 편리해졌다. 동남권 신공항 건설 및 한일해저터널 건설과 관련하여 정치·사회적 쟁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강서구의 지리 - 대저동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은 과거 양산군에서 김해군 대저면으로 통합, 부산직할시 북구를 거쳐 현재 강서구에 속하며 김해국제공항과 다양한 공원이 위치한 교통 및 생태의 요충지이다.
  • 부산 강서구의 지리 - 강동동 (부산)
    강동동은 부산광역시의 법정동으로, 낙동강 삼각주에 속하며, 조선시대에는 김해군 덕도면이었고, 1978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면서 법정동으로 신설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섬 - 김해평야
    김해평야는 낙동강 하구의 삼각주 평야로, 낙동강 토사 퇴적과 매립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대저제방 축조 후 현재 모습을 갖추고 부산 강서구 일대에 걸쳐 여러 하중도로 구성되어 있다.
  • 부산광역시의 섬 - 대저동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은 과거 양산군에서 김해군 대저면으로 통합, 부산직할시 북구를 거쳐 현재 강서구에 속하며 김해국제공항과 다양한 공원이 위치한 교통 및 생태의 요충지이다.
  • 섬에 관한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섬에 관한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가덕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가덕도
한자 표기加德島
로마자 표기Gadeokdo
면적21.36 km²
최고점연대봉
최고점 높이459.4 m
위치대한민국
행정 구역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동
이미지
2023년 가덕도
가덕도 신공항
개항 목표2029년
특징대한민국 최초의 '떠다니는 공항'
관련 기관가덕도 신공항 건설 공공법인
기타 정보
관련 정보가덕도닷컴

2. 역사

조선 시대에는 웅천군 관할이었다.

임진왜란 때는 최전방으로 가장 오랫동안 왜군의 지배를 받았다. 17세기 중반에는 가덕도에서 무기 밀매가 이루어졌다.

1904년에는 일본 제국이 러일전쟁 수행을 위해 가덕도 남단 외양포 주민을 쫓아내고 진해만 요새 사령부를 이전시켰다. 해방 후 외양포 주민들은 다시 돌아왔지만, 현재에도 일본 제국군 막사와 포대가 남아있다.[13]

1914년부터 1988년까지 창원군 관할이었으며, 1989년 1월 1일에 천가면이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면서 신설된 강서구에 속하게 되었다.

2. 1. 임진왜란과 가덕도

임진왜란 당시 가덕도는 최전방 지역으로, 왜군에게 가장 오랫동안 지배받았다. 17세기 중반에는 가덕도에서 무기 밀매가 이루어졌다. 특히 1667년 에도 막부 시절, 이토 코자에몬(伊藤小佐衛門)이라는 상인이 무기를 밀매하다 적발되어 처형되었다. 조선은 에도 막부의 항의를 무마하기 위해 왜관을 두모포(현재의 수정시장)에서 초량으로 이전했다.

2. 2. 근대 시기

조선 시대에는 웅천군 관할이었다.

임진왜란 때는 최전방으로 가장 오랫동안 왜군의 지배를 받았다. 17세기 중반에는 가덕도에서 무기 밀매가 이뤄졌다. 특히, 1667년 에도 막부 시절에 이토 코자에몬(伊藤小佐衛門|이토 고자에몬일본어)이라는 상인이 무기를 밀매하다가 적발되어 처형되는 사건이 있었다. 에도 막부의 항의를 무마하기 위해 조선은 왜관을 두모포(현재의 수정시장)에서 초량으로 옮겨줬다.

1904년에는 일본 제국이 러일전쟁 수행을 위해 가덕도 남단 외양포 주민을 쫓아내고 진해만 요새 사령부를 이전시켰다. 외양포 주민들은 해방 후에 다시 돌아왔지만, 현재에도 일본제국군 막사와 포대가 남아있다.[13]

1914년부터 1988년까지 창원군 관할이었으며, 1989년 1월 1일에 천가면이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면서 신설된 강서구에 속하게 되었다.

2. 3. 현대

임진왜란 때 가덕도는 최전방으로 가장 오랫동안 왜군의 지배를 받았다. 17세기 중반에는 가덕도에서 무기 밀매가 이뤄졌다. 특히, 1667년 에도 막부 시절에 이토 코자에몬(伊藤小佐衛門)이라는 상인이 무기를 밀매하다가 적발되어 처형되는 사건이 있었다. 에도 막부의 항의를 무마하기 위해 조선은 왜관을 두모포(현재의 수정시장)에서 초량으로 옮겨줬다.

1904년에는 일본 제국이 러일전쟁 수행을 위해 가덕도 남단 외양포 주민을 쫓아내고 진해만 요새 사령부를 이전시켰다. 외양포 주민들은 해방 후에 다시 돌아왔지만, 현재에도 일본제국군 막사와 포대가 남아있다.[13]

1914년부터 1988년까지 창원군 관할이었으며, 1989년 1월 1일에 천가면이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면서 신설된 강서구에 속하게 되었다.

3. 지리

가덕도는 낙동강 하구 서쪽의 남해상에 위치하고 있다. 가덕도라는 이름은 예로부터 섬에서 더덕이 많이 난다고 해서 붙여졌다.[11] 섬에는 대항마을, 선창마을, 두문마을, 장항마을, 율리마을, 천성마을, 동선마을, 성북마을, 눌차마을이 있으며, 5개의 법정동과 10개의 자연마을이 있다. 거제도와는 약 8km 떨어져 있다.[12] 섬 북쪽에는 부산신항이 있고, 남쪽은 동남권신공항의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3. 1. 주변 지역과의 연결

가덕도는 낙동강 하구 서쪽 남해상에 위치하고 있다. 가덕도라는 이름은 예로부터 섬에서 더덕이 많이 난다고 해서 붙여졌다.[11] 섬에는 대항마을, 선창마을, 두문마을, 장항마을, 율리마을, 천성마을, 동선마을, 성북마을, 눌차마을이 있으며, 5개의 법정동과 10개의 자연마을이 있다. 거제도와는 약 8km 떨어져 있는데, 가덕도와 거제도를 잇는 거가대교가 천성마을을 지난다.[12] 이 섬의 북쪽에는 부산신항이 있고, 남쪽은 동남권신공항의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4. 문화재

강서구 성북동에는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5호로 지정된 가덕도 척화비가 있고, 섬 동북쪽에 연결된 눌차동에는 눌차왜성이 있다.[1]

4. 1. 가덕도 척화비

부산신항 남컨테이너부두가 있는 성북동에는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5호로 지정된 가덕도 척화비가 있다.[1]

4. 2. 눌차왜성

섬 동북쪽에 연결된 눌차동에는 눌차왜성이 있다.

4. 3. 가덕도 왜성 (일본어 위키백과)

가덕도왜성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에 있다.

5. 고대 DNA (일본어 위키백과)

가덕도 장항유적에서 출토된 남성 인골 "장항 8호 인골"의 DNA 분석 결과, Y염색체는 '''하플로그룹 D1a2a1'''이었다.[6] 장항유적에서는 일본산 옥 장신구를 비롯하여 48구의 인골이 출토되었는데, 그중 과학 분석이 가능했던 것은 17구였다. 이 중 1구에서는 유럽계 모계와도 공통되는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 H가 검출되었다.[7][8]

6. 교통

가덕도에서 바라본 거가대교의 모습.


오랫동안 외부와의 교통을 배에 의존하였으나 부산신항이 개발되면서 육지와 연결되었다. 이후 가덕대교거가대교가 차례로 완공되어 육지 및 거제도와의 육로 교통이 편리해졌다.

2021년 2월 1일, 야당 국민의힘 소속 김종인부산광역시를 방문하여, 지역 주민들을 향해 가덕도 신공항 건설과 가덕도와 일본 규슈를 잇는 한일해저터널 건설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발언하여 화제가 되었다.[9]

7. 관광

가덕도에는 다음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다.


  • '''연대봉''': 가덕도의 봉우리로, 봉수대가 설치되어 대마도부산 다대포를 잇는 중요한 통신 역할을 했다.
  • '''대항어촌체험마을''': 후릿그물, 선상낚시, 홍합 따기, 어선 타기 등 다양한 어촌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 '''동백군락지''':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6호로 지정된 곳으로, 24m2에 수만 그루의 동백나무가 자생하며 1월 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특히 150년이 넘은 나무도 2,500여 그루가 있다.[14]
  • '''가덕등대''':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된 등대로, 근대 서구 건축 양식으로 지어져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7. 1. 연대봉

연대봉(煙臺峰)은 459.4m의 봉우리로, 서쪽 애안가에 천성동과 천성선착장이 있다. 이 연대봉과 천성동 사이로 거가대교와 연결되는 거가대로가 지나간다. 가덕도 둘레길과 연결된 가덕도 등산로가 연대봉 정상까지 연결되어 있다. 연대봉 정상에는 봉수대가 있는데, 고려 의종 때를 전후하여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1996년 강서구에서 다시 복원했다. 위치로 보아 일본의 대마도와 가장 가까운 해안 봉수대이고, 동래직봉 소속의 연봉대로 서쪽으로는 웅천의 시화랑 봉수대와 연결되어 진해, 창원, 창녕, 성주, 칠곡, 김천, 상주, 문경을 거쳐 충주에 이른다. 북쪽으로는 녹산동의 성화 예산 봉수대에 연결되어 김해 분산성과 진영, 수산, 밀양, 청도, 경산, 대구를 거쳐서 연천의 성황당 봉수대에 닿게 된다. 동으로는 다대포의 응봉 봉수대와 교신을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1]

7. 2. 대항어촌체험마을

대항마을에서는 후릿그물체험, 선상낚시, 홍합 따기, 어선 타기 등을 할 수 있다.

7. 3. 동백군락지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6호로 가덕도 남단 동쪽 해안절벽 위에 24m2에 동백나무가 수만 그루 자생한다. 150년이 넘은 나무도 2,500여 그루가 있다. 1월 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 꽃을 피워 절경을 이룬다. 가덕도의 야생동백은 잎은 유난히 윤기가 많고, 작은 꽃의 모양새는 야무지고 색깔이 선명한 것이 특징이다.[14]

7. 4. 가덕등대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된 가덕등대는 근대 서구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다. 당시 건립된 다른 등대들과 비교해 훼손이 적어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8. 정치·사회적 쟁점

가덕도는 동남권 신공항 건설, 한일해저터널 건설 등 정치·사회적 쟁점과 관련되어 있다.

2021년 2월 1일,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부산광역시를 방문하여 가덕도 신공항 건설과 가덕도-일본 규슈 간 한일해저터널 건설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발언하였다.[9]

8. 1. 동남권 신공항 건설

가덕도는 낙동강 하구 동쪽에 있다. 섬 안에는 대항리, 선창리, 두문리, 장항리, 율리리, 천성리, 동선리, 성북리, 눌차리 등의 마을이 있으며, 5개의 법정동과 10개의 자연마을이 있다. 거제도와는 직선 거리로 9km 떨어져 있으며, 천성리는 가덕도와 거제도를 잇는 가덕대교가 지나간다.[5] 섬 남부 일대와 그 주변 해역은 현재 수용 능력이 한계에 달한 김해국제공항을 대체할 한국 동남권 신공항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2021년 2월 1일, 야당 국민의힘 소속 김종인부산광역시를 방문하여, 지역 주민들을 향해 가덕도 신공항 건설과 가덕도와 일본 규슈를 잇는 한일해저터널 건설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발언하여 화제가 되었다.[9]

8. 2. 한일해저터널 (일본어 위키백과)

2021년 2월 1일, 야당 국민의힘 소속 김종인부산광역시를 방문하여, 지역 주민들을 향해 가덕도 신공항 건설과 가덕도와 일본 규슈를 잇는 한일해저터널 건설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발언하여 화제가 되었다.[9]

참조

[1] 뉴스 Gov't to launch public corporation for airport development on Busan's Gadeok Island https://en.yna.co.kr[...] 2024-02-25
[2] 뉴스 S. Korea seeks to build new Busan airport as country's first 'floating airport' https://en.yna.co.kr[...] 2024-02-25
[3] 뉴스 Completion of new Busan airport fast-tracked to 2029 https://koreajoongan[...] 2024-02-25
[4] 웹사이트 120417(조간)_2012년도_지적통계연보_발간(지적기획과1) http://www.mltm.go.k[...] 가덕도닷컴 2015-06-05
[5] 웹사이트 가덕도 안내 http://gadeokdo.com/[...] 가덕도닷컴 2015-02-20
[6] 논문 加徳島の獐項遺跡出土人骨のDNA分析 https://researchmap.[...] 2019-06-01
[7] 방송 加徳島!7千年の謎 KBSパノラマ・コリアンイブ(Eve)
[8] 문서 中央大学生命科学科
[9] 웹사이트 韓国野党幹部が言及した韓日海底トンネル…「飛行機に乗ったほうがいい」「日本は無関心」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1-02-09
[10] 웹인용 120417(조간)_2012년도_지적통계연보_발간(지적기획과1) http://www.mltm.go.k[...] 2012-04-16
[11]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12] 웹인용 가덕도 안내 http://gadeokdo.com/[...] 가덕도닷컴 2009-02-16
[13] 뉴스 가덕도는 적과 마주한 최전방 https://www.gokorea.[...] 2022-08-12
[14] 문서 가덕도 소개 표지판 강서구청
[15] 문서 대한민국의 특정도서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