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북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기도 했다.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오초칠국의 난 이후 제북정왕 유발이 제북왕이 되었으나, 무제의 봉선을 위해 태산군이 신설되면서 제북군은 축소되었다. 후한 시대에 다시 제북국이 설치되었으며, 서진, 유송, 북위 시대에도 존재했다. 북위 시대에는 동제북군이 설치되기도 했다.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임치군, 교동군 등과 함께 옛 제나라 땅에 설치한 군이다. 치소는 박양(博陽: 지금의 타이안시)[1] 또는 노(盧: 지금의 창칭구)[2]로 추정된다. 속현으로는 노, 낙릉(樂陵), 시(蓍), 부양(浮陽), 고력(高櫟), 천동(千童), 격(鬲), 탑음(漯陰), 평원(平原)이 있었다.[3]
전한 문제는 여씨를 타도하는 데 공을 세운 유흥거를 견제하기 위해 제나라 영토 일부를 분할하여 제북군을 제북나라로 독립시켰다.[7] 제북왕이 된 유흥거는 이에 반발하여 문제 3년(기원전 178년)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자결했고, 제북나라는 폐지되어 제북군이 되었다.[8]
후한 화제 영원 2년(90년) 5월 경술일, 여러 제후왕들을 봉하면서 태산군을 분할해 제북국을 다시 설치하였다. 화제의 아우 제북혜왕 유수를 제북왕으로 삼았다.[15]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당시 제북국은 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고 5현 45,689호 235,897명을 거느렸다.[16]
서진 시대 제북국은 5현 3,500호를 거느렸다.[17]
동진 말기 북벌로 인해 제북군을 다시 수복했다. 유송 초기에는 임읍(臨邑), 동아(東阿) 2개 현을 통치했다. 457년 (유송 효무제 대명 원년) 폐지되었다가 이후 재설치되었다. 재설치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명제 시기 회수 이북 전역이 북위로 넘어가면서 회양(淮陽)으로 옮겨졌다. 그 이전까지 제북군은 3현 3,158호 17,003명을 거느렸다. 군에서 하구까지 육로로 700리, 수도 건강까지 수로로 2,000리, 육로로 1,500리였다.[18]
423년(북위 명원제 태상 8년) 제주가 제북군 교오성(碻磝城, 현재의 랴오청시 츠핑현 서남 황하변)에 설치되자 제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북위의 제북군은 3현 9,467호 29,399명을 거느렸다.[19]
[1]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2. 전한 이전
진나라 말기, 옛 제나라 왕족 전안이 이곳에서 할거했다. 기원전 206년, 항우는 전안을 제북왕으로 봉하고 제북군을 제북나라로 바꾸었다. 서울은 박양에 두었다. 그러나 전영이 전안을 쳐죽이면서 제북나라는 멸망하고, 제북군은 제나라의 일부가 되었다.[4] 한신이 제나라를 점령하고 제나라 왕이 되었으나,[5] 전한 고조가 기원전 202년에 한신을 초나라로 옮겨 봉하면서 제북군은 한나라의 직할지가 되었다. 기원전 201년, 고조의 서장자 제도혜왕을 왕으로 삼아 제나라를 복국하면서 제북군은 다시 제나라의 관할이 되었다.[6]
3. 전한
기원전 165년, 제문왕이 후사 없이 죽자 제나라가 폐지되면서 제북군은 조정의 관할이 되었다가, 기원전 164년 다시 제북나라가 되었다.[6] 제도혜왕의 아들 유지(치천의왕)가 새 왕이 되었고, 옛 제천군 영역은 제남나라로 분리되었다.[9] 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 때 유지는 반란에 가담하지 않아 치천나라로 옮겨졌고,[10] 형산왕 유발(제북정왕)이 제북정왕이 되었다.[11] 한편 이때 제북군을 분할하여 평원군을 신설하여 제북나라의 판도가 줄었다.[6] 무제 때 제북정왕의 아들 유호(제북식왕)가 태산 일대를 바치면서 태산군이 신설되었다.[12][13] 기원전 87년, 유관이 죄를 지어 자살하고 제북나라의 관할 영역이 태산군에 편입되면서 제북이라는 행정 구역 자체가 폐지되었다.[14]
4. 후한
이름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노현 盧縣 지난시 창칭구 광리진(廣里鎭) 신마장촌(新馬庄村) 일대 현 경내에 평음성(平陰城), 방문(防門), 광리(光里), 경자산(景玆山), 오산(敖山), 청정(淸亭)이 있었다. 장성이 동해까지 이른다. 이구현 蛇丘縣 타이안시 다이웨구 고현점촌(故縣店村) 수향(遂鄕), 하환향, 주향성(鑄鄕城)이 있었다. 성현 成縣 타이안시 닝양현 동장촌(東庄村) 일대 치평현 茌平縣 랴오청시 츠핑현 고원장촌(高垣墻村) 일대 원래는 동군 소속이었다. 강현 剛縣 타이안시 닝양현 강성진(罡城鎭) 두예에 따르면 현 북쪽에 천향(闡鄉)이 있었다고 한다.
5. 서진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노현 盧縣 지난시 창칭구 광리진(廣里鎭) 신마장촌(新馬庄村) 일대 현 서쪽에 석문(石門)이 있었다. 임읍현 臨邑縣 랴오청시 둥어현 동아현 東阿縣 랴오청시 양구현 아성진(阿城鎭) 곡성현 穀城縣 지난시 핑인현 동아진(東阿鎭) 서 현 경내에 오하취(烏下聚)가 있었다. 사구현 蛇丘縣 타이안시 다이웨구 고현점촌(故縣店村) 현 경내에 하관정(下灌亭)이 있었다.
6. 유송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민정 사구현 蛇丘縣 타이안시 다이웨구 고현점촌(故縣店村) 령(令) 노현 盧縣 지난시 창칭구 광리진(廣里鎭) 신마장촌(新馬庄村) 일대 령(令) 곡성현 穀城縣 지난시 핑인현 동아진(東阿鎭) 서 령(令)
7. 북위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임읍현 臨邑縣 지난시 지양구 서남 대풍가촌(大馮家村) 일대 현 경내에 창향성(昌鄉城), 임읍성(臨邑城), 오성(吳城)이 있었다. 동아현 東阿縣 랴오청시 양구현 아성진(阿城鎭) 현 경내에 동아성(東阿城), 위성(衞城), 제성(濟城)이 있었다. 노현 盧縣 지난시 창칭구 광리진(廣里鎭) 신마장촌(新馬庄村) 일대 현 경내에 유서성(柳舒城), 고성(鼓城), 노자성(盧子城)이 있었다.
527년(북위 효명제 효창 3년) 동제북군이 설치되었다. 동제북군은 3현 2,464호 6,678명을 거느렸다.[20]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비성현 肥城縣 타이안시 페이청시 비성(肥城)에 치소를 두었다. 곡성현 穀城縣 지난시 핑인현 동아진(東阿鎭) 서부 일대 사구현 蛇丘縣 타이안시 다이웨구 고현점촌(古縣店村)
참조
[2]
서적
秦代政区地理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01
[3]
서적
秦代政区地理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01
[4]
논문
항우의 18제후왕 분봉의 성격에 관하여
중국사학회
1999
[5]
서적
사기 권8 고조본기
[6]
논문
漢初 郡國制와 琅邪郡의 정치적 위상
중국고중세사학회
2012
[7]
서적
한서 권38 고오왕전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서적
한서 권44 회남형산제북왕전
[12]
서적
사기 권28 봉선서
https://zh.wikisourc[...]
[13]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4]
문서
[15]
서적
후한서 권4 제기제4
[16]
웹사이트
후한서 111권 지 제21 군국지 3 연주 제북국
https://zh.wikisourc[...]
[17]
웹사이트
진서 14권 지 제4 지리지 上 연주 제북국
https://zh.wikisourc[...]
[18]
웹사이트
송서 35권 지 제25 주군지 1 연주 제북태수
https://zh.wikisourc[...]
[19]
웹사이트
위서 106권 中 지형 지2 中 제주 제북군
https://zh.wikisourc[...]
[20]
웹사이트
위서 106권 中 지형 지2 中 제주 동제북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