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양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양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시기에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전한 시대에 제나라의 일부였다가 성양경왕 유장에게 봉해져 왕국으로 분리되었다. 신나라 때는 거릉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후한 시대에는 성양국이 설치되었다가 폐지되는 과정을 거쳤다. 조조에 의해 다시 설치되어 서진 시대에는 청주에 속했으나, 원강 9년에 폐지되어 고밀국에 편입되었다. 역대 성양왕으로는 유장, 유희, 유연, 유지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둥성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산둥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서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서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성양군
개요
국가중국
존속 기간기원전 201년 ~ 468년
위치산둥 성 남동부
수도쥐 현
역사
설치 시기한나라 초기 기원전 201년
폐지 시기남조 시대 468년
행정 구역
성양군
창양군
즉묵현
교동군
평도현
속현 수 (서한)12개 현
역대 왕
초대 왕 (한나라)유신 (기원전 201년 ~ 기원전 189년)
제2대 왕 (한나라)유의 (기원전 189년 ~ 기원전 177년)
제3대 왕 (한나라)유희 (기원전 177년 ~ 기원전 144년)
제4대 왕 (한나라)유연 (기원전 144년 ~ 기원전 140년)
제5대 왕 (한나라)유길 (기원전 140년 ~ 기원전 118년)
초대 왕 (서진)사마근 (265년 ~ 291년)
기타
별칭제도 (나라)

2. 역사

성양군은 진나라의 36군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진나라의 봉니 안에 "성양후인"이 있어 진나라 시대에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9]

기원전 201년(고제 6년), 전한에 의해 유비가 제왕에 봉해져 교동군, 교서군, 임치군, 제북군, 박양군과 함께 73현을 봉읍으로 받았다.[10] 기원전 193년(혜제 2년), 제왕 유비노원공주의 탕목읍으로 헌상했다.[11] 기원전 179년(문제 원년), 제나라에 복귀했다. 기원전 178년(문제 2년), 주허후 유장이 성양왕이 되어 '''성양국'''이 설치되었다.[12] 기원전 168년(문제 12년), 유희가 회남왕으로 개봉되어 성양국은 폐지되고 성양군이 되었다. 기원전 164년(문제 16년), 회남왕 유희가 다시 성양왕이 되어 성양군은 성양국으로 개명되었다.[13] 성양국은 연주에 속했고, , 양도, 동안, 려의 4현을 관할했다. 왕망 시대에 거릉군으로 개칭되었다.[14]

26년(후한 건무 2년), 유지가 성양왕이 되어 성양국이 설치되었다.[15] 37년(건무 13년), 성양국이 폐지되어 낭야군에 편입되었다.[16] 90년(영원 2년), 유숙이 성양왕이 되어 성양국이 설치되었다. 94년(영원 6년), 성양왕 유숙이 사망하고 성양국은 폐지되어 낭야군으로 되돌아갔다.[17]

198년(건안 3년), 조조가 낭야군·동해군·북해군을 분할하여 성양군·리성군·창려군을 설치했다.[18]

서진 시대에 성양군은 청주에 속했고, 거·고막·제·순우·동무·고밀·장무·검추·평창·창안의 10현을 관할했다. 299년(원강 9년), 성양군은 폐지되어 고밀국에 편입되었다.[19]

2. 1. 진(秦)

"성양인"(城陽侯印)이라 써진 진나라의 봉니로 존재가 확인된다. 진나라 통일 당시 36군에는 속하지 않았으나, 후에 낭야군을 분할하여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20] 치소는 거현(莒縣) - 지금의 쥐 현이었다. 속현으로는 거(莒), 남무(南武, 전한의 남성(南城)), 고양(高陽), 양도(陽都), 거양(莒陽)의 5개 현이 확인된다.[20] 성양군은 진나라의 36군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진나라의 봉니 안에 "성양후인"이 있어 진나라 시대에 성양군이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9]

2. 2. 전한(前漢)

기원전 201년(고제 6년), 제도혜왕제나라 왕으로 봉해지면서 제나라의 7군 중 하나가 되었다.[10] 제도혜왕은 혜제 치세에 고황후를 두려워하여 노원공주에게 성양군을 헌납했다.[11] 여씨 정권 붕괴 후 제나라에 반환되었다.[12] 문제 2년(기원전 178년), 성양경왕에게 봉해져 왕국으로 분리되었다.[12] 문제 11년(기원전 169년), 성양공왕회남으로 옮겨가면서 한나라에 속했다.[13] 문제 15년(기원전 164년), 제나라가 다시 분할되면서 성양공왕이 돌아와 왕국이 되었다.[13] 성양애왕유리 시기인 기원전 19년 ~ 기원전 16년을 제외하고 성양나라로 존속했다.

연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56,642호, 205,784명이 있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거현莒縣르자오시 쥐현옛 나라로 영성(盈姓), 소호의 후예며 30세를 전하여 초나라에 망했다. 철관이 있었다.
양도현陽都縣린이시 이난현 남응소에 따르면 옛 양국(陽國)이다.
동안현東安縣린이시 이수이현 남
여현慮縣린이시 이수이현 서

[21]

성양왕국에서 갈려나온 왕자후국은 총 54개로 전한 왕국 중 가장 많다.

이름봉해진 때폐해진 때왕자후표의 말격지리지의 소속 군
뇌(雷)원삭 2년(기원전 127년) 5월 갑술일원정 5년(기원전 112년)동해
동관(東莞)기원전 123년낭야
벽토(辟土)원정 5년(기원전 112년)동해
이향(利鄕)원삭 4년(기원전 125년) 3월 을축일원수 3년(기원전 120년)동해[23]
유리(有利)원수 원년(기원전 122년)동해[24]
동평(東平)원수 3년(기원전 120년)
운평(運平)원정 5년(기원전 112년)
산주(山州)
해상(海上)낭야
추구(騶丘)본시 2년(기원전 72년)
남성(南城)시건국 원년(9년)동해
광릉(廣陵)원정 5년(기원전 112년)
두원(杜原)
맥(麥)원정 원년(기원전 116년) 4월 무인일원정 5년(기원전 112년)낭야
거합(鉅合)평원군
창(昌)낭야
괴(蕢)동해[25]
호가(虖葭)[26]시건국 원년(9년)낭야[27]
원락(原洛)[28]정화 3년(기원전 90년)낭야
협술(挾術)천한 원년(기원전 100년)
협(挾)?
역(朸)?평원평원
문성(文成)원정 5년(기원전 112년)동해
효정(挍靖)
용(庸)?낭야
적(翟)원정 5년(기원전 112년)동해
전(鱣)양분(양비)
팽(彭)동해[29]
과(瓡)?북해
허수(虛水)시건국 원년(9년)낭야
동회(東淮)원정 5년(기원전 112년)북해
구(拘)천승
육(淯)동해
강양(江陽)원봉 6년(기원전 75년) 11월 을축일원강 원년(기원전 65년)동해
고향(高鄕)감로 4년(기원전 50년) 11월 임신일시건국 원년(9년)낭야낭야
자양(茲陽)
자양(茲陽)·적양(藉陽)건소 4년(기원전 35년)동해
도평(都平)시건국 원년(9년)동해동해
조(棗)낭야[30]
기(箕)낭야낭야
고광(高廣)
즉래(卽來)
용(庸)초원 원년(기원전 48년) 3월영광 2년(기원전 42년)낭야
곤산(昆山)시건국 원년(9년)낭야
절천(折泉)
박석(博石)
요안(要安)?
방산(房山)시건국 원년(9년)낭야
식(式)홍가 원년(기원전 20년)태산태산
석산(石山)영광 3년(기원전 41년)시건국 원년(9년)낭야
도양(都陽)동해
삼봉(參封)낭야
이향(伊鄕)?
도산(桃山)영시 4년(기원전 13년) 5월 무신일시건국 원년(9년)태산

[31][32][33]

2. 3. 신(新)

전한
거(莒)거릉(莒陵)
여(慮)저선(著善)

[14]

2. 4. 후한(後漢) ~ 서진(西晉)

26년(후한 건무 2년), 유지가 성양왕이 되면서 성양국이 설치되었다.[15] 37년(건무 13년), 성양국은 폐지되고 낭야군에 편입되었다.[16] 90년(영원 2년), 유숙이 성양왕이 되면서 다시 성양국이 설치되었으나, 94년(영원 6년) 유숙이 사망하면서 성양국은 폐지되어 낭야군으로 되돌아갔다.[17]

198년(건안 3년), 조조가 낭야군, 동해군, 북해군을 분할하여 성양군, 리성군, 창려군을 설치했다.[18]

서진 시대 성양군은 청주에 속했으며, 거, 고막, 제, 순우, 동무, 고밀, 장무, 검추, 평창, 창안의 10현을 관할했다. 299년(원강 9년), 성양군은 폐지되어 고밀국에 편입되었다.[19]

3. 역대 왕

대수이름시호재위 기간
1유장경왕(景王)기원전 178년 ~ 기원전 176년
2유희공왕(共王)기원전 176년 ~ 기원전 168년, 기원전 165년 ~ 기원전 143년
3유연경왕(頃王)기원전 143년 ~ 기원전 117년
4유의경왕(敬王)기원전 117년 ~ 기원전 108년
5유무혜왕(惠王)기원전 108년 ~ 기원전 97년
6유순황왕(荒王)기원전 97년 ~ 기원전 51년
7유회대왕(戴王)기원전 51년 ~ 기원전 43년
8유경효왕(孝王)기원전 43년 ~ 기원전 19년
9유운애왕(哀王)기원전 19년 ~ 기원전 18년
10유리기원전 16년 ~ 서기 9년
11유지서기 26년 ~ 서기 35년


4. 장관

원본 소스에 장관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1. 성양상

卽墨成|즉묵 성중국어무제 시기에 활동하였다.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Han
[3] 서적 Xihan Zhengqu Dili People's Press 1987
[4] 서적 Book of Han
[5] 서적 Book of Later Han
[6] 서적 Book of Jin
[7] 서적 Book of Jin
[8] 서적 Book of Han
[9] 문서 辛徳勇「秦始皇三十六郡新考」
[10] 서적 漢書
[11] 서적 漢書
[12] 서적 漢書
[13] 서적 漢書
[14] 서적 漢書
[15] 서적 後漢書
[16] 서적 後漢書
[17] 서적 後漢書
[18] 서적 三国志
[19] 서적 晋書
[20] 서적 秦代政区地理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
[21] 서적 한서
[22] 간행물 前漢 列侯 徙封考 지식산업사 1998-08-10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서적 한서
[32] 서적 한서
[33]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