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잔틴 복고양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잔틴 복고양식은 비잔틴 건축 양식을 부활시킨 건축 스타일로, 19세기 러시아 제국에서 처음 나타났다. 러시아 제국에서는 푸시킨의 소피아 대성당이 초기 사례이며, 니콜라이 1세의 권장으로 콘스탄틴 톤을 비롯한 건축가들이 이 양식을 활용하여 성당을 건설했다. 알렉산드르 2세 시대에는 비잔틴 양식이 러시아 정교회 예술의 공식 양식으로 채택되었고, 알렉산드르 3세 시대에는 러시아 복고풍과 함께 네오비잔틴 양식의 대성당이 서부 지역에 많이 세워졌다. 니콜라이 2세 시대에는 전통적인 성 소피아 대성당 양식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비잔틴 복고양식은 동유럽, 남유럽, 서유럽, 미국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건축물에 영향을 미쳤으며, 각 지역의 특색에 맞게 변형되어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잔틴 건축 - 성묘교회
성묘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 매장, 부활이 이루어진 곳으로 여겨지는 예루살렘의 기독교 성지이며, 여러 교파가 공동 관리하고 건축 양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종교적·역사적 의미가 큰 건축물이다. - 비잔틴 건축 - 산비탈레 성당
산비탈레 성당은 이탈리아 라벤나에 위치한 초기 기독교 건축 유적으로, 로마 및 비잔틴 양식이 결합된 팔각형 구조와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테오도라 황후 모자이크 패널이 특징이며 후대 건축물에 영향을 주었다. - 복고주의 건축 - 그레이스랜드
그레이스랜드는 엘비스 프레슬리가 거주했던 테네시주 멤피스 소재의 저택으로, 현재는 그의 유품 전시와 묘소가 있는 박물관이자 관광 명소로서 미국 대중문화의 상징이 되었다. - 복고주의 건축 - 덴마크 왕립극장
덴마크 왕립극장은 1874년 코펜하겐에 개관한 덴마크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으로, 다양한 공연 시설을 갖추고 덴마크 왕립 발레단, 오페라단, 극단의 공연이 이루어진다.
비잔틴 복고양식 | |
---|---|
개요 | |
![]() | |
유형 | 건축 양식 |
기원 | 19세기 |
영향 받은 양식 | 비잔틴 건축 이탈리아 르네상스 건축 로마네스크 건축 오토만 건축 |
특징 | 둥근 아치 돔 모자이크 풍부한 장식 대칭적인 디자인 높은 천장 |
역사 | |
발흥 시기 | 19세기 중반 |
발흥 지역 | 서유럽, 러시아 제국 |
주요 용도 | 공공 건물, 교회, 학교, 박물관 |
쇠퇴 시기 | 20세기 초반 |
특징 | |
일반적인 특징 | 비잔틴 건축 요소의 재해석 및 혼합 다양한 문화적 영향 (로마네스크, 오토만 등) 장식적인 요소 강조 (모자이크, 프레스코) 웅장하고 기념비적인 규모 |
건축 자재 | 벽돌 석재 콘크리트 |
장식 요소 | 모자이크 프레스코 스테인드 글라스 조각 |
색상 | 밝고 화려한 색상 선호 (금색, 파란색, 빨간색) |
대표적인 건축물 | |
성당 | 크론슈타트 해군 성당 알렉산드르 넵스키 대성당 (소피아) 포티마 성모 성당 (브라질) |
기타 건축물 | 웨스트민스터 대성당 시청 (뷔르츠부르크) 세바스토폴의 블라디미르 대성당 |
지역별 특징 | |
러시아 | 대규모 성당 건축에 주로 사용 러시아 전통 건축 양식과 혼합 |
영국 | 교회 건축에 주로 사용 고딕 리바이벌 양식과 혼합 |
독일 | 공공 건물 및 교회 건축에 사용 다양한 건축 양식과 혼합 시도 |
같이 보기 | |
관련 건축 양식 | 비잔틴 건축 고딕 리바이벌 건축 오리엔탈리즘 |
2.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에서 비잔틴 복고양식 건축, 즉 네오비잔틴 건축은 황실의 정책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발전했다. 초기 사례로는 푸시킨의 소피아 대성당을 들 수 있으나, 본격적인 흐름은 1830년대 러시아의 니콜라이 1세가 건축가 콘스탄틴 트혼이 설계한 이른바 '러시아-비잔틴' 양식을 장려하면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트혼의 양식은 실제 비잔틴 건축과는 거리가 멀었고, 신고전주의적 요소가 강했다.
진정한 의미의 네오비잔틴 양식은 그리고리 가가린과 다비드 그림 등에 의해 발전했으며, 알렉산드르 2세 황제 시기에 이르러 러시아 정교회의 사실상 공식 양식으로 채택되었다. 이 시기 비잔틴 건축은 제국의 영토 확장 정책과 맞물려 폴란드, 크림반도, 캅카스 등 변경 지역으로 동방 정교회 신앙을 전파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재정 문제로 인해 알렉산드르 2세 재위 기간에 완공된 건물은 많지 않았다.
알렉산드르 3세는 16-17세기 모스크바와 야로슬라블의 전통 건축 양식에 기반한 러시아 복고 양식을 선호했지만, 네오비잔틴 양식 역시 특히 대규모 성당 건축을 중심으로 꾸준히 명맥을 이어갔다. 이 시기에는 특정 건축가들에 의해 표준화된 설계 양식이 개발되기도 했다.
니콜라이 2세 시대에는 하기아 소피아와 같은 전통적인 비잔틴 양식으로 회귀하려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철근 콘크리트와 같은 새로운 건축 기술이 도입되고 내부 장식에 아르누보 양식이 접목되기도 했다. 러시아 제국에서의 네오비잔틴 건축 전통은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제정이 붕괴하면서 막을 내렸지만, 이후 유고슬라비아나 하얼빈 등지로 이주한 러시아 건축가들에 의해 일부 계승되었다.
2. 1. 러시아 제국의 네오 비잔틴 건축 특징
푸시킨의 소피아 대성당은 러시아에서 비잔틴 양식을 도입한 초기의 사례 중 하나이다. 1830년대 러시아의 니콜라이 1세 황제는 콘스탄틴 트혼이 설계한 이른바 '러시아-비잔틴' 양식의 성당 건축을 장려했다. 하지만 니콜라이 1세는 본래의 비잔틴 양식을 선호하지 않았으며, 트혼의 디자인은 실제 비잔틴 양식과는 공통점이 거의 없었다. 트혼은 비잔틴 양식의 특징인 둥근 아치를 용골형 박공으로, 반구형 돔을 양파형 돔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았고, 성당의 배치와 구조는 신고전주의 표준을 따랐다.그리고리 가가린과 다비드 그림이 발전시킨 진정한 비잔틴 예술은 알렉산드르 2세 황제에 의해 러시아 정교회의 사실상 공식 양식으로 채택되었다. 비잔틴 건축은 제국의 국경 너머 지역(폴란드, 크림반도, 캅카스)으로 동방 정교회 신앙을 확장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재정적인 문제로 인해 알렉산드르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완공된 건물은 많지 않았다.
알렉산드르 3세 황제는 16~17세기 모스크바와 야로슬라블의 전통에 기반한 러시아 복고 양식을 더 선호하는 방향으로 국가적 취향을 바꾸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잔틴 건축 양식은 특히 대규모 대성당 건축에서 여전히 중요한 선택지로 남았다. 네오비잔틴 양식의 대성당들은 제국 서부 지방(폴란드, 리투아니아), 캅카스의 군사 기지, 중앙아시아, 코사크족 밀집 지역, 그리고 페름 시 인근 우랄 지역의 공업 지대에 집중적으로 건설되었다. 건축가 다비드 그림과 바실리 코샤코프는 단일 돔 아래에 네 개의 대칭적인 삼각 궁륭과 애프스를 갖춘 독특한 비잔틴 성당 양식을 개발했으며, 이는 1880년대와 1890년대 정교회 성당 건물의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니콜라이 2세 시대에는 건축가들이 전통적인 하기아 소피아 양식으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크론시타트의 해군 대성당과 포티 대성당에서 절정에 이르렀다. 이 시기에는 공사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철근 콘크리트가 사용되었다. 내부 설계는 당시 유행하던 아르누보 양식의 영향을 받았으며, 외관은 중세 콘스탄티노폴리스 양식을 모방하여 디자인되었다. 러시아의 네오비잔틴 건축 전통은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제정이 타도되면서 종결되었으나, 이후 유고슬라비아와 하얼빈으로 이주한 일부 러시아 건축가들에 의해 그 명맥이 이어졌다.
2. 2. 대표적인 건축물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에서 비잔틴 복고양식(네오비잔틴 양식)은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2세 황제 시기에 사실상의 공식 양식으로 채택되었다. 이는 그리고리 가가린과 다비드 그림과 같은 인물들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비잔틴 건축 양식은 제국의 변경 지역(폴란드, 크림 반도, 캅카스)으로 동방 정교회 신앙을 확장하는 데 있어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재정적인 문제로 알렉산드르 2세 통치 기간 중 완공된 건물은 많지 않았다.러시아의 알렉산드르 3세는 16세기와 17세기 모스크바 및 야로슬라블 전통에 기반한 러시아 복고풍을 더 선호하였으나, 비잔틴 건축 양식 역시 특히 대규모 성당 건축에서 꾸준히 명맥을 유지했다. 네오비잔틴 양식의 대성당들은 주로 제국 서부 지방(폴란드, 리투아니아), 캅카스의 군사 기지, 중앙아시아, 코사크 밀집 지역, 그리고 페름 시 인근 우랄 산맥의 공업 지대에 집중적으로 건설되었다. 건축가 다비드 그림과 바실리 코스야코프는 1880년대와 1890년대에 걸쳐 단일 돔 형태에 네 개의 대칭적인 삼각 궁륭과 애프스가 있는 독특한 비잔틴 성당 양식을 개발하였고, 이는 당시 정교회 성당 건물의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 시대에는 건축가들이 전통적인 하기아 소피아 양식으로 회귀하려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크론시타트의 해군 대성당과 조지아 포티의 포티 대성당에서 절정에 달했다. 이 시기 건축물들은 공사 기간 단축을 위해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등 새로운 건축 기술을 도입했으며, 내부는 당시 유행하던 아르누보 양식의 영향을 받았지만 외관은 중세 콘스탄티노폴리스 양식을 따랐다.
러시아의 네오비잔틴 건축 전통은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제정이 무너지면서 중단되었으나, 일부 러시아인 건축가들이 유고슬라비아나 하얼빈 등지로 이주하면서 그 명맥이 이어지기도 했다.
다음은 러시아 제국 시대에 지어진 대표적인 비잔틴 복고양식 건축물들이다.
3. 동유럽 및 남유럽
러시아 제국 외에도 동유럽과 남유럽의 여러 국가에서 비잔틴 복고양식 건축이 나타났다. 리투아니아 카우나스의 성 미카엘 교회는 이러한 사례 중 하나이다.
특히 발칸 반도의 불가리아, 세르비아, 루마니아 등지에서 이 양식이 활발하게 나타났으며, 각국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결합하여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3. 1. 불가리아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불가리아의 네오 비잔틴 양식은 비잔틴 양식, 불가리아 부흥 건축, 동방 정교회 양식과 함께 빈 분리파, 아르 누보, 모더니즘과 같은 당대 유럽 건축 사조의 요소들이 결합된 독특한 형태로 발전했다.주요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 소피아 (1882-1912)
- 성모 승천 대성당, 바르나 (1882-1885)
- 소피아 신학 세미나리 (1902-1914)
- 소피아 대학교 신학부 (1908-1912)
- 소피아 지역 역사 박물관 (구 소피아 중앙 광천 온천) (1913): 이 건물은 빈 분리파 양식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나, 비잔틴, 불가리아 전통 및 동방 정교회 장식 요소를 통합하여 독특한 외관을 보여준다.
- 브라나 궁전 신궁: 전형적인 불가리아 양식으로 지어진 2층 건물로, 빈 분리파 요소와 우아한 네오 비잔틴 양식이 조화를 이룬다.
- 성 파라스케바 교회, 소피아 (1926-1930)
- 성 네델랴 대성당, 소피아 (10세기 기원, 1933년 재건)
3. 2. 세르비아

세르비아의 현대 종교 건축은 1909년 카라조르제비치 왕조가 의뢰한 오플레나크의 왕가 묘지에서 주된 동기를 얻었다.[5] 10월 혁명 이후 러시아에서 망명한 예술가들이 세르비아로 오면서, 수도 베오그라드의 주요 정부 건물들은 러시아에서 교육받은 저명한 러시아 건축가들에 의해 설계되었다. 알렉산다르 1세 국왕은 신-비잔틴 운동의 주요 후원자였다.[6]
이 운동의 주요 지지자로는 알렉산다르 데로코, 모미르 코루노비치, 브랑코 크르스티치, 그리고리에 사모일로프, 그리고 니콜라이 크라스노프 등이 있다. 이들의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데디예(Dedinje)의 왕궁, 성 사바 성당, 그리고 베오그라드의 성 마르코 성당을 들 수 있다.
공산주의 시대가 끝난 후에는 미하일로 미트로비치와 네보이사 포포비치 같은 건축가들이 비잔틴 전통의 고전적 예를 사용한 종교 건축의 새로운 경향의 지지자들이었다.[7]

3. 3. 루마니아
루마니아의 대표적인 비잔틴 복고양식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 라우렌치우와 루이즈 슈타인바흐 하우스 입구, 부쿠레슈티 (내외부의 대부분의 건축 요소, 루마니아 부흥 건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음)[1]
- 국민 구원 대성당, 부쿠레슈티
- 시비우 성 삼위일체 대성당
- 알바 율리아 대관식 대성당
- 콘스탄차 성 베드로와 바울 대성당
- 돔니차 벌라샤 교회, 부쿠레슈티
- 도르토르 이온과 마리아 울러체아누 하우스, 부쿠레슈티[3]
- 알레아 알렉산드루 40번지, 부쿠레슈티
- 피크토르 콘스탄틴 스타히 거리 18번지, 부쿠레슈티[4]
- 스트라다 아우스트룰루이 9번지, 부쿠레슈티
- 다키아 대로 42번지, 부쿠레슈티
- 도르토르 도브로비치 하우스, 부쿠레슈티[2]
4. 서유럽
서유럽에서는 19세기 역사주의 건축의 흐름 속에서 비잔틴 건축 양식을 재해석하여 부활시키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이러한 네오 비잔틴 건축 양식은 특히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여러 국가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각 지역의 특성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영국에서는 런던의 웨스트민스터 대성당과 같은 대표적인 종교 건축물 외에도, 브리스톨 지역에서는 무어리시 건축 요소가 결합된 독특한 '브리스톨 비잔틴' 양식이 산업 건물에 적용되기도 했다. 프랑스에서는 마르세유와 파리 등 주요 도시에 네오 비잔틴 양식의 성당들이 세워졌으며, 독일에서도 교회 건축을 중심으로 비잔틴 양식의 영향을 받은 건물들이 등장했다. 이처럼 서유럽의 네오 비잔틴 건축은 과거 비잔틴 제국의 건축 유산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려는 시도였으며, 각국의 건축적 전통과 만나 독자적인 양상을 보였다.
4. 1. 영국

영국 런던에 위치한 가톨릭 대성당인 웨스트민스터 대성당(1895–1903)은 존 프랜시스 벤틀리(1839–1902)가 설계한 대표적인 네오비잔틴 건축물로, 영국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1] 이 외에도 런던 브릭스톤 북부 오벌 크리켓 경기장 인근에 있는 아서 베레스포드 파이트가 설계한 크라이스트 처치, 브릭스턴 로드(1897–1903)와 하이 위컴의 세인트 메리 앤 세인트 조지 교회(1935–1938) 등 여러 네오비잔틴 양식 건물이 존재한다.[2]
한편, 1850년경부터 1880년경까지 브리스톨 지역에서는 산업체 건물들을 중심으로 ‘브리스톨 비잔틴(Bristol Byzantine)’이라는 독특한 건축 양식이 유행했다. 이 양식은 비잔틴 건축 양식과 무어리시 건축 양식의 요소들을 혼합한 것이 특징이다.[1][2]
4. 2. 프랑스
프랑스에서 가장 초기의 사례 중 하나는 1852년에서 1893년 사이에 건설된 거대한 마르세유 대성당과 노트르담 드 라 가르드 대성당으로, 두 건물 모두 마르세유에 위치해 있다.또 다른 예로는 1859년부터 1861년까지 지어진 파리의 러시아 정교회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이 있다.[8] 1860년에서 1871년 사이에 지어진 파리의 생 오귀스탱 성당은 절충주의 로마-비잔틴 건축의 한 예이다.
프랑스에서 비잔틴 부흥 건축의 두드러진 예로는 1875년에서 1914년 사이에 지어진 파리의 사크레쾨르 대성당이 있는데, 이는 폴 아바디의 원래 설계를 바탕으로 한다. 이 건물은 외부에 5개의 길쭉한 돔이 있으며, 내부는 비잔틴 미술에서 영감을 받은 모자이크 및 기타 예술 작품으로 장식되어 있다.[9] 이 대성당에서 영감을 받아 1954년에 완공된 또 다른 훌륭한 예는 리시외 생 테레즈 대성당이다.
4. 3. 독일
초기 비잔틴-로마네스크 건축의 예로는 러시아 건축가 바실리 스타소프가 설계한 포츠담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추모 교회와 1835년 바이에른의 루트비히 1세가 착공하여 1840년에 완공된 성 보니파스 수도원이 있다. 이 바실리카는 6세기 라벤나 건축 양식을 따랐지만, 코린트 양식은 역사적인 비잔틴 미술과는 명백한 차이를 보였다. 1876년 바이에른의 루트비히 2세는 로마네스크 양식의 노이슈반슈타인 성 내부에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그리스 성인들의 모자이크 이미지를 포함한 신-비잔틴 양식의 인테리어를 의뢰했다.그뤼더차이트 시대에 여러 신-비잔틴 양식의 교회가 건설되었는데, 예를 들어 베를린에 위치한 성심 교회 또는 로자리오 바실리카가 있다.
5. 미국
미국 등지에서 비잔틴 복고 양식은 종종 재래 건축에서 로마네스크나 고딕 리바이벌과 같은 다른 중세 부흥 양식, 또는 심지어 미션 리바이벌 또는 스페인 식민지 리바이벌 양식과의 혼합 형태로 나타난다.
무염시태 국립 성당은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대규모 가톨릭 소 바실리카이자 국립 성당이다. 이 성당은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가톨릭 교회이며, 세계에서 가장 큰 교회 중 하나이고, 워싱턴 D.C.에서 가장 높은 거주 가능한 건물이다. 비잔틴 복고 양식과 로마네스크 리바이벌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이 성당은 1920년 9월 23일 유명 계약업체 존 맥셰인의 주도로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2017년 12월 8일, 무염시태 축일에 도널드 웨얼 추기경에 의해 ''트리니티 돔'' 모자이크의 봉헌 및 엄숙한 축복으로 완공되었다.
미국의 다른 주목할 만한 비잔틴 복고 양식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건물명 | 위치 | 비고 |
---|---|---|
라이스 대학교 캠퍼스 내 다수 건물 | 텍사스 | |
그리스도 연합 감리 교회 | 맨해튼 | 랄프 아담스 크램 설계 |
세인트 폴 대성당 | 미네소타 | |
무염시태 성당 | 뉴올리언스 | |
세인트 프란시스 드 세일즈 성당 | 필라델피아 | |
세인트 루이스 대성당 바실리카 | 세인트루이스 | |
템플 베스 이스라엘 | 포틀랜드, 오리건 | |
성 베드로 및 성 바울 정교회 | 버팔로, 뉴욕 |
6. 오스트리아
덴마크 건축가 테오필 한센은 1850년대에 이 양식을 지지하게 되었다. 그의 주요 작품들은 신 그리스와 신 르네상스 양식에 속했지만, 한센은 빈 미술 아카데미에서 비잔틴 미술 교수로 재직하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세르비아 및 전후 유고슬라비아에서 신 비잔틴 건축을 대중화한 건축가들을 배출했다. 한센의 신 비잔틴 양식 작품으로는 빈의 무기고 (1852—1856, 루드비히 푀르스터와 공동 작업), 비엔나 그리스 정교회 성삼위일체 교회 (1856—1858) 및 빈 마트츨라인도르프에 있는 크리스투스교회 (1858—1860)가 있다.
참조
[1]
서적
Alfred Popper - 1874-1946 - (re)descoperirea unui arhitect
SIMETRIA
2022
[2]
서적
Bucharest Architecture - an annotated guide
Ordinul Arhitecților din România
2017
[3]
서적
Alfred Popper - 1874-1946 - (re)descoperirea unui arhitect
SIMETRIA
2022
[4]
서적
Curentul Mediteraneean în arhitectura interbelică
Vremea
2022
[5]
간행물
Byzantine architecture as inspiration for serbian new age architects
Serbian Committee for Byzantine Studies, Belgrade
2016
[6]
간행물
Byzantine architecture as inspiration for serbian new age architects
Serbian Committee for Byzantine Studies, Belgrade
2016
[7]
간행물
Between Artistic Nostalgia and Civilisational Utopia: Byzantine Reminiscences in Serbian Architecture of the 20th Century
https://www.academia[...]
Lidija Merenik, Vladimir Simić, Igor Borozan (Hrsg.)
2016
[8]
문서
Cathédrale orthodoxe Saint-Alexandre-Nevsky
[9]
서적
Églises de Paris
Éditions Massin, Issy-Les-Moulineaux
2010
[10]
웹사이트
20 Largest Churches in the World
https://vocal.media/[...]
2020-07-28
[11]
웹사이트
Basilica of the National Shrine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http://www.nationals[...]
[12]
웹사이트
The National Shrine
http://www.nationals[...]
2011-07-23
[13]
문서
Washington Monument
[14]
뉴스
After a century, the largest Catholic church in North America is finally complete
https://www.usatoday[...]
2017-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