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은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내는 드문 질환으로, 보체계의 과도한 활성화로 인해 발생한다. 복통, 피로, 부종, 메스꺼움/구토, 설사 등의 증상과 함께 낮은 혈소판 수치, 빈혈, 신부전, 고혈압 등의 검사 소견을 보인다. aHUS는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을 유발하며, 급성 신부전, 뇌졸중, 발작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 진단은 다른 TMA 관련 질환과의 감별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에는 보체 활성 억제제인 에쿨리주맙과 라불리주맙, 혈장 교환술 등이 사용된다. 에쿨리주맙의 도입으로 예후가 개선되었지만, 치료 중단 시 재발 위험이 있으며, 신장 이식을 받은 경우에도 TMA 재발 가능성이 있다. aHUS는 유전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 모두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유병률은 제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혈액 질환 - 저혈량증
    저혈량증은 순환혈액량 감소로 인해 조직 관류가 저하되는 상태로, 출혈, 위장관 문제, 과도한 발한, 신장 기능 장애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두통, 피로, 저혈압, 빈맥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심각한 경우 쇼크로 이어질 수 있다.
  • 혈액 질환 - 골수이형성증후군
    골수이형성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으로 혈액 세포 생성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으로, 빈혈, 혈소판 감소증 등의 증상을 보이며, 혈액 검사, 골수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고, 치료 목표는 증상 조절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 진행 억제이다.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
질병 개요
동의어aHUS
추가 정보
참고 문헌Nester, Carla M.; Thomas, Christie P. (2012년 12월 8일).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what is it, how is it diagnosed, and how is it treated?". ASH Education Program Book. 2012 (1): 617–625. doi:10.1182/asheducation.v2012.1.617. ISSN 1520-4391. PMC 3798924. PMID 23233643.
Tzoumas, Nikolaos; Hallam, Dean; Harris, Claire L.; Lako, Majlinda; Kavanagh, David; Steel, David H.W. (2020년 11월). "Revisiting the role of factor H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sights from complement-mediated renal disease and rare genetic variants". Survey of Ophthalmology. 66 (2): 378–401. doi:10.1016/j.survophthal.2020.10.008. ISSN 0039-6257. PMID 33157112. S2CID 226274874.

2. 징후 및 증상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은 보체 시스템의 조절 이상으로 발생하는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의 한 형태로, 다양한 임상 징후와 증상을 보인다. 초기에는 피로, 부종, 메스꺼움, 설사 등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47][12][48][49][3] 미세혈관병성 빈혈과 불쾌감을 동반하기도 한다.[45]:1931

혈액 검사에서는 혈소판 감소, 용혈의 증거(젖산 탈수소효소(LDH) 증가, 합토글로빈 감소, 분열적혈구 등), 신장 기능 저하를 나타내는 크레아티닌 수치 증가 및 단백뇨 등이 특징적으로 관찰된다.[41][44][50][4][51][5]

질병이 진행되면 급성 신부전, 고혈압, 심근 경색, 뇌졸중, 췌장염, 간 괴사, 뇌병증, 발작, 혼수 등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전신 합병증이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다.[41][52][6][46][48][53][7][54][8] 이러한 합병증은 예측 불가능하게 빠르게 발생하거나 장기간에 걸쳐 나타날 수 있으며,[41][51][55][56][57][5][9][10][11] 일부 환자에서는 초기 증상 없이 단백뇨혈뇨만 나타나기도 한다.[51][5] 초기 증상에서 회복되더라도 만성적인 혈전 및 염증 상태로 인해 평생 동안 심각한 합병증 및 조기 사망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47][12][13]

2. 1. 일반적인 징후 및 증상

보체 매개성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의 임상 징후 및 증상으로는 복통, 혼란, 피로, 부종(부기),[12] 메스꺼움/구토 및 설사[3]가 나타날 수 있다.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은 종종 불쾌감과 피로, 그리고 미세혈관병성 빈혈을 동반한다. 그러나 심한 복통과 혈변은 드물다.

실험실 검사에서는 혈소판 수치 감소(응고에 도움이 되는 혈액 내 세포), 젖산 탈수소효소(LDH, 손상된 세포에서 방출되는 화학 물질이며 세포 손상의 지표) 수치 증가, 합토글로빈 수치 감소(적혈구 파괴를 나타냄), 빈혈(적혈구 수 감소) 및 분열 적혈구(손상된 적혈구), 크레아티닌 수치 증가(신장 기능 부전을 나타냄),[4] 및 단백뇨(신장 손상을 나타냄)[5] 등이 나타날 수 있다.

aHUS 환자는 종종 급성 신부전, 고혈압, 심근 경색(심장 마비),[6] 뇌졸중, 폐 합병증,[6] 췌장염(췌장 염증), 간 괴사(간 세포 또는 조직의 죽음), 뇌병증(뇌 기능 부전), 발작,[7] 또는 혼수[8]와 같은 전신 징후 및 증상이 갑자기 나타난다. 신경계, 심혈관계, 신장계 및 위장관계(GI)의 장기 부전이나 사망은 예측 불가능하게 매우 빠르게 발생하거나, 증상이 있거나 없는 상태로 질병이 장기간 진행된 후에 발생할 수 있다.[5][9][10][11] 예를 들어, aHUS 환자 약 6명 중 1명은 처음에는 급성 신부전 없이 단백뇨나 혈뇨만 나타나기도 한다.[5] 초기 증상에서 회복된 환자라도 만성적인 혈전 및 염증 상태를 겪게 되며, 이로 인해 갑작스러운 혈전 발생, 신부전, 기타 심각한 합병증 및 조기 사망의 위험이 평생 높아질 수 있다.[12][13]

2. 2. 검사실 소견

임상병리 검사 결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소견이 나타날 수 있다.

  • 혈소판 수치 감소: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혈소판의 수가 줄어든다.[41]
  • 젖산 탈수소효소(LDH) 수치 증가: LDH는 세포가 손상될 때 방출되는 효소로, 이 수치가 높아지는 것은 세포 손상이 있음을 의미한다.[44]
  • 합토글로빈 수치 감소: 합토글로빈은 적혈구가 파괴될 때 감소하므로, 이 수치가 낮아지는 것은 용혈 (적혈구 파괴)이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44]
  • 빈혈 및 분열적혈구: 적혈구 수가 감소하는 빈혈이 나타나고, 혈액 도말 검사에서 손상된 적혈구인 분열적혈구가 관찰될 수 있다.[41][44]
  • 크레아티닌 수치 증가: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상승한다.[50][4]
  • 단백뇨: 소변으로 단백질이 빠져나가는 단백뇨는 신장 손상을 나타내는 지표이다.[51][5]

2. 3. 전신 증상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 환자에게는 다음과 같은 심각한 전신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날 수 있다.[41][52][6][46][48][53][7][54][8]

이러한 증상 외에도 신경계, 심혈관계, 신장계, 위장관계(GI)의 장기 부전 및 사망이 예측 불가능하게 발생할 수 있다.[41][51][55][56][57][5][9][10][11] 장기 부전이나 사망은 질병 초기에 매우 빠르게 나타나거나, 증상이 있거나 없는 상태로 질병이 장기간 진행된 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41][51][55][56][57][5][9][10][11] 예를 들어, aHUS 환자 약 6명 중 1명은 처음에는 급성 신부전 없이 단백뇨 또는 혈뇨만 나타나기도 한다.[51][5]

초기 증상을 극복하고 생존한 환자들은 만성적인 혈전 및 염증 상태를 겪게 되는데, 이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갑작스러운 혈전, 신부전, 기타 심각한 합병증 및 조기 사망의 위험에 평생 노출될 수 있다.[47][12][13]

2. 4. 동반 질환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 환자 중 상당수는 다른 질환이나 상태를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가 흔하다. 한 연구에 따르면, aHUS에 대한 가족력이 없는 환자 중 25% (191명 중 47명)가 다른 동반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에서 보고된 주요 동반 질환은 다음과 같다.

aHUS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주요 동반 질환 (가족력 없는 환자 대상 연구)
동반 질환비율 (%)
악성 고혈압30%
장기 이식 관련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23%
임신 관련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21%
사구체병증17%
전신 홍반성 루푸스(SLE) 또는 전신성 경화증(PSS) 등 전신성 질환6%
악성 종양1%



보체 조절 단백질의 돌연변이나 이러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변이는 aHUS 발생에 대한 유전적 소인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유전적 소인은 동반 질환이 있는 환자뿐만 아니라 aHUS만 단독으로 발생하는 환자에게서도 발견된다. 이는 보체 시스템 조절 기능의 이상이 aHUS 발병의 근본적인 위험 요소임을 시사한다. 유전적 소인을 가진 사람은 다른 전신 질환(예: 악성 고혈압, SLE, 암)이나 특정 유발 요인(예: 감염, 임신, 수술, 외상)에 의해 aHUS 발병이 촉발될 수 있다.

3. 기전

건강한 사람의 경우, 보체계는 외부 침입 물질을 공격하면서도 우리 몸의 건강한 조직과 장기는 손상시키지 않도록 정교하게 조절된다.[41][54][9] 하지만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 환자 대부분은 보체계가 만성적으로 통제되지 않고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문제를 겪는다.[54][9]

이러한 과도한 활성화는 주로 두 가지 원인으로 발생한다. 첫째는 항 H 인자 항체가 생성되는 경우이고, 둘째는 보체계를 조절하는 여러 단백질 중 하나에 유전적인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이다.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단백질로는 H 인자, HR1 또는 HR3 인자, 막보조인자단백질(MCP), I 인자, B 인자, C3 보체, 트롬보모듈린 등이 있다.[54][9]

이렇게 보체계 조절에 문제가 생기면 혈소판이 활성화되고, 혈관 안쪽을 덮고 있는 내피 세포가 손상되며, 백혈구도 활성화된다.[51][56][58][5][10][14] 그 결과 전신에 걸쳐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이 나타나는데, 이는 혈소판 수 감소, 용혈(적혈구 파괴), 여러 장기의 손상과 같은 증상으로 발현되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51][56][58][5][10][14]

4. 진단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은 전신성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을 유발하는 여러 질환 중 하나이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른 유사 질환들과의 감별이 필수적이다.[56][59][10][13] 특히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TTP)이나 시가독소 생성 대장균 용혈성 요독 증후군(STEC-HUS)과 임상 증상이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50][60][4][15][49][62][63][3][17][18] 이 외에도 전신 홍반성 루푸스(SLE), 악성 고혈압, 전신성 경화증(PSS), 임신 관련 HELLP 증후군, 특정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이 이차적으로 TMA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전신성 TMA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는 aHUS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적절한 진단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실제 aHUS 환자들은 증상을 처음 인지한 시점부터 최종 진단을 받기까지 평균 29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진단 과정 동안 환자들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는 크게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질병 발현 전에는 88%의 환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양호' 또는 '우수'로 평가했지만, 진단 시점에는 99%가 '양호'에서 '매우 불량' 상태로 평가했으며, 5점 척도의 건강 상태 지수 역시 평균 3.8점에서 1.4점으로 절반 이상 감소했다고 보고했다.[19]

4. 1. 감별 진단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은 전신성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을 일으키는 여러 원인 중 하나이므로, 다른 질환과의 감별 진단이 중요하다. 과거에는 TMA를 유발하는 질환을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TTP)과 시가독소 생성 대장균 용혈성 요독 증후군(STEC-HUS)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로 진단했다.[56][59][10][13] 그러나 aHUS, STEC-HUS, TTP는 임상 증상이 비슷할 수 있지만, 발생 원인이 명확히 다르며 특정 검사를 통해 감별할 수 있다. 또한, 전신 홍반성 루푸스(SLE), 악성 고혈압, 전신성 경화증(PSS, 경피증), 임신과 관련된 HELLP 증후군(용혈, 간 기능 장애, 혈소판 감소증), 특정 약물(예: 코카인, 시클로스포린, 타크로리무스)에 대한 독성 반응 등도 이차적으로 TMA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신성 TMA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는 aHUS를 의심하고 적절한 진단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aHUS의 신경계 및 신장 관련 증상은 TTP와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다.[50][60][4][15] 하지만 TTP는 주로 자가면역 질환으로, ADAMTS13 효소(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를 분해함)에 대한 억제성 자가항체가 생성되어 심각한 효소 결핍을 초래하는 점이 aHUS와 다르다.[58][14] 드물게 ADAMTS13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선천적으로 심각한 ADAMTS13 결핍이 발생하는 유전성 TTP도 있으며, 이를 Upshaw–Schulman 증후군이라고 한다.[61][16] 검사 결과 ADAMTS13 활성도가 5% 이하일 경우 TTP로 진단한다.[58][14]

마찬가지로 aHUS의 위장관계 증상은 STEC-HUS와 유사할 수 있다.[49][62][63][3][17][18] 설사 등 위장관계 증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대변 검사를 통해 시가독소 생성 대장균(STEC)이나 시가독소 자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대변 검사에서 시가독소가 양성으로 확인되면 STEC-HUS로 진단할 수 있지만, 이것이 aHUS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임상적으로 시가독소 양성이 확인되면 aHUS일 가능성은 매우 낮아진다.[50][63][4][18]

5. 치료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 치료의 주요 목표는 보체 활성화를 억제하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의 진행을 막는 것이다.

과거 에쿨리주맙과 같은 혁신적인 말단 보체 억제제인 단클론 항체가 도입되기 전에는 aHUS 환자를 위한 치료 선택지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당시 유럽 소아과 학회는 용혈성 요독 증후군(HUS) 치료 지침에서 신속한 혈장교환술(PE)이나 혈장주입술(PI)을 권장했다. 이는 처음 5일간 매일 집중적으로 시행하고 점차 빈도를 줄이는 방식이었다.[60] 그러나 미국 수혈학회(American Society for Apheresis, ASFA)는 혈장교환술 사용의 근거가 되는 연구의 질이 "낮거나 매우 낮다"는 이유로 aHUS 치료에 대한 혈장교환술 사용을 "약하게" 권고했다. 일부 환자에서 적혈구와 혈소판 수치가 개선되기도 했지만, 혈장 치료가 일반적으로 완전한 관해로 이어지지는 않았다.[64]

5. 1. 혈장 교환술 / 혈장 주입술 (PE/PI)

혈장 교환술/혈장 주입술(PE/PI)은 과거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 치료에 자주 사용되었지만, 이 치료법의 안전성이나 효과를 명확히 입증하는 대규모 비교 연구는 없다.[60][65][15][20] PE/PI는 일부 환자에서 혈소판 수치 등 혈액학적 지표를 어느 정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질병의 완전한 관해를 유도하는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60][65][15][20][22]

오히려 PE/PI 치료는 감염 위험 증가, 알레르기 반응, 혈전증(피떡 형성), 정맥 주사관 삽입의 어려움 및 관련 문제, 그리고 환자의 삶의 질 저하와 같은 심각한 안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60][65][15][20] 중요한 점은, 만성적으로 PE/PI 치료를 받으며 겉으로는 상태가 괜찮아 보이는 aHUS 환자들의 혈소판 표면에서도 말단 보체 활성화가 계속해서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이는 치료에도 불구하고 질병의 근본 원인이 계속 활성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47][66][12][21]

유럽 소아 연구 그룹(European Paediatric Study Group)은 HUS 환자에게 혈장 교환이나 혈장 수혈(PE/PI)을 신속하게 시작하여 처음 5일간 매일 집중적으로 시행하고 이후 횟수를 줄일 것을 권장한다.[15] 하지만 미국 수혈학회(American Society for Apheresis, ASFA)는 aHUS 치료를 위한 혈장 교환에 대해 "약한" 수준의 권고를 하고 있다. 이는 PE/PI 사용을 뒷받침하는 연구 증거의 질이 "낮거나 매우 낮기" 때문이다. 일부 환자에서 적혈구와 혈소판 수치가 개선되기도 했지만, 혈장 치료가 일반적으로 완전한 관해로 이어지지는 않았다.[22]

5. 2. 에쿨리주맙 (솔리리스)

에쿨리주맙은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aHUS)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는 단클론 항체이다.[23] 2011년 9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17명과 20명을 대상으로 한 두 건의 소규모 전향적 임상 시험 결과를 근거로[68] 에쿨리주맙을 aHUS 환자 치료를 위한 희귀의약품으로 승인했다.[67][24]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 또한 FDA에서 사용된 증거를 포함한 5개의 증거 자료를 기반으로 aHUS 치료를 위한 에쿨리주맙 사용 지침을 발표했다.[25]

대한민국에서는 2016년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aHUS 환자 치료에 대한 에쿨리주맙의 적응증을 승인했다. 이는 aHUS 환자 87명을 대상으로 평균 약 20개월간 진행된 임상 연구 결과에 근거한 것이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에쿨리주맙을 지속적으로 투여한 환자들은 투여를 중단한 환자들에 비해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 발생률이 약 66%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에쿨리주맙에 대한 무작위 대조 임상 시험은 확인되지 않았다. 보고된 전향적 연구들은 서로 다른 임상 기준선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2상, 공개, 비무작위, 단일군 연구였다. 이 연구들은 기본적으로 26주 동안 진행되었지만, 환자들은 장기 연장 연구를 통해 에쿨리주맙 치료를 계속 받을 수 있었다.

에쿨리주맙 또는 이와 유사한 기전으로 개발된 2세대 단클론 항체인 라불리주맙(울토미리스)[26][27] 치료를 받은 aHUS 환자들은 투석을 피하고 사망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신장 기능의 개선을 보였다. 혈액 내 질병 활성 지표 또한 크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축적된 증거는 상당한 편향의 가능성이 있고 품질이 낮다는 한계가 지적된다. 따라서 향후 치료 기간, 부작용, 그리고 이 치료와 관련된 질병 재발 위험 등에 대한 신중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33]

5. 3. 라불리주맙-cwvz (울토미리스)

라불리주맙-cwvz(Ultomiris|울토미리스eng)는 Alexion Pharmaceuticals, Inc.가 개발한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aHUS) 치료를 위한 2세대 단클론 항체이다.[26] 라불리주맙-cwvz는 에쿨리주맙(솔리리스)과 동일한 표적을 가지지만, 항체의 구조를 변경하여 혈청 반감기를 연장하였고, 결과적으로 투여 횟수를 줄였다.[27]

에쿨리주맙 또는 라불리주맙을 사용하여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aHUS)을 치료한 환자들은 투석을 피하고 사망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신장 기능의 개선을 보였다. 혈액 내 질병 활성 지표 또한 크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증거는 상당한 편향 가능성이 있고 품질이 낮으므로, 향후 치료 기간, 부작용, 치료 관련 질병 재발 위험에 대한 연구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33]

5. 4. 투석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과 말기 신부전(ESRD)을 함께 앓는 환자는 일반적으로 평생 동안 투석을 받아야 한다. 이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34~38% 정도이며,[69][70][28][29] 전체 사망 사례 중 14%는 감염으로 인한 것이다.[71][30] 또한 이들은 질병으로 인해 신장 외에 다른 신체 부위에도 전신성 합병증이 발생할 지속적인 위험에 놓여 있다.

5. 5. 신장 이식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 환자에게 신장 이식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이는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을 유발하는 근본 원인인 지속적이고 통제되지 않는 보체 활성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3][31] 에쿨리주맙(솔리리스)이나 라불리주맙(울토미리스) 같은 약물로 치료받지 않는 경우, aHUS 환자의 최대 90%가 이식받은 신장에서 TMA 재발을 경험하며, 이는 결국 이식 실패로 이어진다.[3][31] TMA 재발로 인한 이식편 소실률은 소아에서 66%, 성인에서 55%에 달한다.

신장 이식을 받은 후에도 환자들은 여전히 신경계, 위장관계, 심혈관계 합병증의 위험에 노출되며, 조기 사망의 위험도 안고 있다. 지속적인 보체 활성화는 이식된 신장뿐만 아니라 다른 장기에도 염증 및 TMA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간과 신장을 동시에 이식하는 방법도 있지만, 장기 기증이 제한적이라 극소수의 환자만이 받을 수 있다. 또한, 수술 후 단기 사망 위험이 상당히 커서 많은 의사와 환자들이 이 방법을 과도하다고 여긴다.

최근 몇몇 이식 센터에서는 신장 이식을 받는 aHUS 환자에게 TMA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에쿨리주맙(eculizumab)을 투여하기 시작했다. 이 방법은 TMA 재발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32]

6. 예후

에쿨리주맙 (솔리리스)과 같은 단클론 항체 치료제가 도입되기 전,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 환자의 예후는 매우 나빴다.[36] 가장 흔한 aHUS 관련 유전적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 중 약 70%는 진단 후 1년 이내에 투석이 필요하거나 영구적인 신장 손상을 입거나 사망에 이르렀다.[44] 이러한 심각한 결과는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는 환자에게서도 갑자기 나타날 수 있었다. aHUS는 모든 연령대에서 발병 가능하며, 환자의 40% 이상은 18세 이후 처음 진단받는다. 보고된 최고령 발병 사례는 83세였다.

aHUS 환자가 말기신장질환(ESRD)으로 진행되면 신장 이식은 성공률이 낮아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 이식된 신장에서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이 재발할 확률이 최대 90%에 달했기 때문이다.[49][72][3][31] 따라서 치료받지 않은 대부분의 aHUS 환자는 만성 투석에 의존하게 되었고, 이는 높은 이환율과 불량한 예후로 이어졌다.[49][3] 과 신장을 동시에 이식하는 수술도 시도되었으나, 사망률이 50%에 육박하는 고위험 수술이었다.[74][34]

효과적인 치료법이 부재하던 시기, aHUS 환자들은 피로, 신장 합병증, 고혈압, 신경학적 손상, 위장관 문제, 정맥 접근 부위의 혈전 형성 등 다양한 증상으로 고통받았고, 이로 인해 삶의 질이 현저히 낮았으며 사망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44] 과거 치료법인 혈장교환술(PE)이나 혈장주입술(PI)은 잦은 시술과 광범위한 정맥 접근이 필요해 안전성 문제가 있었고 환자의 일상생활에 큰 제약을 주었다.[50][75][4][35]

에쿨리주맙 (솔리리스)의 도입으로 aHUS 환자의 예후는 크게 향상되었다.[36] 다만, 에쿨리주맙 치료 중단 시 재발 위험이 있어 면밀한 의학적 관찰이 요구된다.[36] 라불리주맙 (울토미리스)과 같은 다른 단클론 항체 치료제도 사용된다.

7. 역학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은 매우 희귀한 질환으로, 정확한 유병률에 대한 자료는 매우 제한적이다.[55][9] 167명의 소아 환자가 등록된 유럽의 용혈성 요독 증후군(HUS) 등록소의 한 연구에서는 소아에서의 발병률이 인구 백만 명당 3.3건으로 보고되었다.[76][37]

aHUS는 선천적으로 유전되거나 후천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55][9] 전체 aHUS 사례 중 약 60%는 유전적 요인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38] 인종, 성별, 또는 거주 지역에 따른 발병률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55][9]

8. 사회와 문화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은 설사 음성 용혈성 요독 증후군(D HUS)이라고도 불린다. 이 질병은 선천적으로 유전되거나 후천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특정 인종, 성별, 지역에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55] 매우 희귀한 질병이기 때문에 정확한 유병률 자료는 제한적이지만, 유럽의 한 연구에서는 소아 발병률이 인구 백만 명당 3.3건으로 보고되었다.[76] 이러한 희귀성 때문에 환자 옹호 단체들이 질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연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39]

참조

[1] 논문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what is it, how is it diagnosed, and how is it treated? 2012-12-08
[2] 논문 Revisiting the role of factor H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sights from complement-mediated renal disease and rare genetic variants https://doi.org/10.1[...] 2020-11
[3] 논문 New insights into postrenal transplant hemolytic uremic syndrome
[4] 논문 Guideline for the investigation and initial therapy of diarrhea-negative hemolytic uremic syndrome
[5] 논문 Differential impact of complement mutations on clinical characteristics in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6] 논문 Myocardial infarction is a complication of factor H-associated atypical HUS
[7] 논문 Heterogeneity of atypical haemolytic uraemic syndromes
[8] 논문 Hemolytic uremic syndrome
[9] 논문 Atypical hemolytic-uremic syndrome
[10] 논문 Thrombotic microangiopathy: new insights
[11] 논문 Complement inhibitor eculizumab in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12] 논문 Factor H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contributes to complement depositionn on platelets and their activation
[13] 논문 Thrombotic microangiopathies:new insights and new challenges
[14] 논문 Pathophysiology of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15] 논문 How I treat patients with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16] 논문 von Willebrand factor, ADAMTS-13, and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17] 논문 Membrane cofactor protein mutations in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aHUS), fatal Stx-HUS, C3 glomerulonephritis, and the HELLP syndrome
[18] 논문 Treatment of typical (enteropathic) hemolytic uremic syndrome
[19] 웹사이트 "Woodward L, Burke L, Shah K, 2021, Patient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diagnosis of the rare disease,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https://www.ahusalli[...]
[20] 논문 Complications of apheresis in children
[21] 논문 Platelet-associated complement factor H in healthy persons and patients with atypical HUS
[22] 논문 Guidelines on the use of therapeutic apheresis in clinical practice- evidence based approach from the Apheresis Applications Committee of the American Society of Apheresis
[23] 논문 Eculizumab: a review of its use in atypical haemolytic uraemic syndrome. 2013-12
[24] 간행물 FDA approves Soliris for rare pediatric blood disorder: Orphan drug receives second approval for rare disease https://www.fda.gov/[...] 2015-06-25
[25] 웹사이트 "Eculizumab for treating atypical haemolytic uraemic syndrome {{!}} Guidance and guidelines {{!}} NICE" https://www.nice.org[...] 2015-01-28
[26] 웹사이트 "aHUS {{!}} Alexion" https://alexion.com/ 2020-08-19
[27] 웹사이트 "Ultomiris® (ravulizumab-cwvz) {{!}} Alexion" https://alexion.com/ 2020-08-19
[28] 논문 Excerpts from the US Renal Data System 2009 annual report
[29] 논문 European Renal Association-European Dialysis and Transplant Association Registry Academic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Medical Informatics
[30] 논문 Dialysis surveillance report: National Healthcare Safety Network (NHSN)- data summary for 2006
[31] 논문 Transplantation in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32] 논문 Pre-emptive eculizumab and plasmapheresis for renal transplant in atypical hemolytic syndrome
[33] 논문 Interventions for atypical haemolytic uraemic syndrome
[34] 논문 Outcome of renal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non- Shiga toxin-associated hemolytic uremic syndrome: prognostic significance of genetic background http://cjasn.asnjour[...]
[35] 논문 Insufficient protection by Neisseria meningitidis vaccination alone during eculizumab therapy
[36] 논문 Outcomes in patients with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treated with eculizumab in a long-term observational study 2019-04-10
[37] 논문 Epidemiology, clinical presentation, and pathophysiology of atypical and recurrent hemolytic uremic syndrome
[38] 서적 Genetic Atypical Hemolytic-Uremic Syndrome http://www.ncbi.nlm.[...]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2023-09-30
[39] 논문 An innovative and collaborative partnership between patients with rare disease and industry-supported registries: the Global aHUS Registry http://rdcu.be/mPZG
[40] 논문 Complement 2001
[41] 논문 Complement and the atypical hemolytic uremia syndrome in children 2008
[42] 논문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and hemolytic uremic syndrome are distinct pathologic entities: a review of 56 autopsy cases 2003
[43] 논문 Relative role of genetic complement abnormalities in sporadic and familial aHUS and their impact on clinical phenotype 2010
[44] 논문 Genetics of HUS: the impact of MCP, CFH, and IF mutations on clinical presentation, response to treatment, and outcome 2006
[45] 서적 Hematology: Basic Principles and Practice Elsevier 2012
[46] 논문 Eculizumab safely reverses neurologic impairment and eliminates the need for dialysis in severe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2011
[47] 논문 Factor H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contributes to complement depositionn on platelets and their activation 2008
[48] 논문 Clinical features of anti-factor H autoantibody-associated hemolytic uremic syndrome 2010
[49] 논문 New insights into postrenal transplant hemolytic uremic syndrome 2011
[50] 논문 Guideline for the investigation and initial therapy of diarrhea-negative hemolytic uremic syndrome 2009
[51] 논문 Differential impact of complement mutations on clinical characteristics in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2007
[52] 논문 Myocardial infarction is a complication of factor H-associated atypical HUS 2010
[53] 논문 Heterogeneity of atypical haemolytic uraemic syndromes 1997
[54] 논문 Hemolytic uremic syndrome 2005
[55] 논문 Atypical hemolytic-uremic syndrome 2009
[56] 논문 Thrombotic microangiopathy: new insights 2010
[57] 논문 Complement inhibitor eculizumab in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2009
[58] 논문 Pathophysiology of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2010
[59] 논문 Thrombotic microangiopathies:new insights and new challenges 2010
[60] 논문 How I treat patients with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2010
[61] 논문 von Willebrand factor, ADAMTS-13, and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2004
[62] 논문 Membrane cofactor protein mutations in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aHUS), fatal Stx-HUS, C3 glomerulonephritis, and the HELLP syndrome 2008
[63] 논문 Treatment of typical (enteropathic) hemolytic uremic syndrome 2010
[64] 논문 Guidelines on the use of therapeutic apheresis in clinical practice- evidence based approach from the Apheresis Applications Committee of the American Society for Apheresis 2010
[65] 논문 Complications of apheresis in children 2007
[66] 논문 Platelet-associated complement factor H in healthy persons and patients with atypical HUS 2009
[67] 뉴스 FDA approves Soliris for rare pediatric blood disorder: Orphan drug receives second approval for rare disease http://www.fda.gov/N[...] FDA 2011-09-23
[68] 논문 Eculizumab: a review of its use in atypical haemolytic uraemic syndrome. 2013-12
[69] 논문 Excerpts from the US Renal Data System 2009 annual report 2010
[70] 간행물 European Renal Association-European Dialysis and Transplant Association Registry Academic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Medical Informatics (The Netherlands) 2011
[71] 논문 Dialysis surveillance report: National Healthcare Safety Network (NHSN)- data summary for 2006 https://www.ncbi.nlm[...]
[72] 논문 Transplantation in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https://www.ncbi.nlm[...]
[73] 논문 Pre-emptive eculizumab and plasmapheresis for renal transplant in atypical hemolytic syndrome https://www.ncbi.nlm[...]
[74] 논문 Outcome of renal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non- Shiga toxin-associated hemolytic uremic syndrome: prognostic significance of genetic background https://www.ncbi.nlm[...]
[75] 논문 Insufficient protection by Neisseria meningitidis vaccination alone during eculizumab therapy https://www.ncbi.nlm[...]
[76] 논문 Epidemiology, clinical presentation, and pathophysiology of atypical and recurrent hemolytic uremic syndrome https://www.ncbi.nl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