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1869년 이탈리아의 나폴리에서 태어나 1900년 아버지 움베르토 1세의 암살 후 이탈리아의 국왕이 되었다. 그는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를 총리로 임명하여 파시즘의 부상을 허용했고,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과 휴전 협정을 맺었지만, 독일의 점령과 혼란 속에 1946년 퇴위하고 망명했다. 그는 파시스트 정권에 협력하고 독재를 묵인했다는 비판과,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헌신적인 모습을 보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동시에 받는다. 또한, 약 10만 점의 화폐를 수집한 수집가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베니토 무솔리니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독재자로, 파시스트 운동을 창시하여 총리에 오른 뒤 전체주의적 독재 체제를 수립하고 팽창주의적 외교 정책을 추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실각 후 처형되었다.
  • 이탈리아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피에트로 바돌리오
    피에트로 바돌리오는 이탈리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 참전하고, 무솔리니 실각 후 총리로 임명되어 연합국과 휴전 협정을 체결했으나, 전쟁 범죄 비판을 받다 1956년 사망했다.
  • 이탈리아 국왕 (1861년~1946년)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사보이아 왕가 출신으로, 카부르 백작과 협력하여 리소르지멘토를 이끌고 이탈리아 왕국을 건국하여 통일 이탈리아의 초대 국왕이 되었다.
  • 이탈리아 국왕 (1861년~1946년) - 움베르토 2세
    움베르토 2세는 이탈리아의 마지막 국왕으로, 왕세자로 성장하여 1946년 즉위했으나 곧 왕정 폐지 국민투표로 망명 후 사망, 그의 재위 기간은 이탈리아 왕정 폐지와 공화국 수립이라는 역사적 전환점과 맞물려 복잡한 평가를 받는다.
  • 알바니아의 군주 - 조반나 2세
    조반나 2세는 1414년부터 1435년까지 나폴리 여왕으로 재임하며 혼란스러운 정세 속에서 나폴리를 통치했고 예술과 문학을 후원했지만 후계자를 남기지 못해 앙주 가문의 르네 1세에게 왕위가 넘어갔다.
  • 알바니아의 군주 - 조구 1세
    조구 1세는 알바니아의 정치 지도자로서 초대 대통령(1925~1928)과 국왕(1928~1939)을 지냈으며, 독립 후 혼란한 정국을 수습하고 근대화를 추진하다 이탈리아 침공으로 망명 후 프랑스에서 생을 마감, 2012년 알바니아에 안장되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19년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이름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로마자 표기Vittorio Emanuele Ferdinando Maria Gennaro di Savoia-Carignano
출생일1869년 11월 11일
출생지나폴리, 이탈리아 왕국
사망일1947년 12월 28일
사망지알렉산드리아, 이집트 왕국
매장지알렉산드리아 성 카타리나 대성당, 이집트 (1947–2017)
비코포르테 성소, 비코포르테, 이탈리아 (2017년 이후)
배우자엘레나 (1896년 10월 24일 결혼)
자녀욜란다 공주, 베르골로 백작 부인
마팔다 공주, 헤센 방백 부인
움베르토 2세
조반나 공주, 불가리아 왕비
마리아 프란체스카 공주, 부르봉파르마의 루이지 공자 부인
왕가사보이아
아버지움베르토 1세
어머니마르게리타 디 사보이아
종교로마 가톨릭
서명Vittorio Emanuele III Autograph.svg
통치
즉위이탈리아 왕국 국왕
재위1900년 7월 29일 – 1946년 5월 9일
이전 국왕움베르토 1세
후임 국왕움베르토 2세
섭정전체 목록
칭호에티오피아 황제
알바니아 국왕
몬테네그로 국왕
나폴리 공작
에티오피아 황제
재위1936년 5월 9일 – 1941년 5월 5일
이전 황제하일레 셀라시에 1세
후임 황제하일레 셀라시에 1세
알바니아 국왕
재위1939년 4월 16일 – 1943년 9월 8일
이전 국왕조그 1세
후임 국왕조그 1세 (형식상)
섭정전체 목록

2. 생애

이탈리아의 국왕 움베르토 1세와 왕비 마르게리타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출생 시부터 '''나폴리 공'''(이탈리아 왕태자에게 주어지는 칭호)이었다. 1896년 10월 24일, 몬테네그로의 엘레나 공녀와 결혼하였으며, 1900년 아버지 움베르토 1세가 무정부주의자에게 암살된 직후 즉위했다.

당시 이탈리아는 입헌군주국이었지만, 카를로 알베르토 국왕 때의 헌법에 따라 국왕은 총리 임명권을 포함한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수줍어하고 소극적인 성격이었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1900~1922년 사이에 열 번도 넘게 정치적 위기가 찾아왔던 이탈리아 정치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벨기에의 알베르 1세(왼쪽)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2. 1. 출생과 성장 배경

왕세자 시절 사진


1869년 11월 11일, 이탈리아 왕국나폴리에서 움베르토 1세와 그의 왕비 마르게리타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초대 국왕이었던 할아버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이름을 따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페르디난도 마리아 젠나로 디 사보이아 (Vittorio Emanuele Ferdinando Maria Gennaro di Savoiait)라고 지어졌다. 왕세자 칭호로는 사보이아 가문이 전통적으로 법정 추정 상속인에게 주던 피에몬테 공 대신, '''나폴리 공''' (Principe di Napoliit) 작위를 받았다. 이는 이탈리아 통일(리소르지멘토)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50]

1895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10대 시절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1886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키가 153cm 정도로, 당시 유럽인 기준으로도 상당히 작았다. 조카인 아메데오 공(198cm)과 비교하면 더욱 두드러졌다. 이러한 신체적 특징은 어머니 마르게리타의 허약한 체질과 더불어, 조부모와 부모 모두 사보이아 가문 출신으로 2대에 걸친 근친혼의 영향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는 이러한 콤플렉스 때문에 주변 사람들에게 무뚝뚝하고 까다롭게 대하는 성격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유년 시절을 이탈리아 북부나 중부가 아닌 남부에서 보냈고, 모데나 육군 사관학교가 아닌 구 나폴리 왕국 시절부터 있었던 Scuola militare Nunziatella|눈치아텔라 육군 사관학교it에서 공부했다. 이는 아버지 움베르토 1세가 통일 이후에도 피에몬테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남부 이탈리아 백성과 사보이아 가문 간의 신뢰를 구축하려는 의도였다. 1896년 10월 24일, 25세에 몬테네그로 왕국의 옐레나 페트로비치네고시 공녀와 결혼했다. 옐레나는 결혼을 위해 몬테네그로 정교회에서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했으며, 부부 사이는 원만하여 움베르토 2세를 포함해 1남 4녀를 두었다.

1896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와 엘레나의 초상화

2. 2. 초기 통치 (1900년 ~ 1922년)

1896년 10월 24일, 몬테네그로의 엘레나 공녀와 결혼하였으며, 1900년 아버지 움베르토 1세가 무정부주의자에게 암살된 직후 즉위했다.

몬테네그로 국왕 니콜라 1세(왼쪽)과 (1914년)


1900년 7월 29일, 아버지 움베르토 1세가 무정부주의자에 의해 암살당하자, 30세의 나이로 할아버지의 이름을 계승하여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Vittorio Emanuele III di Savoiait'')로 즉위하였다. 움베르토 1세는 유언으로 "''기억해 두어라, 왕에게 필요한 것은 어떻게 말을 타고, 신문을 읽고, 서명하는가 하는 것뿐이다''"라고 남겼다.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다는 입헌군주로서의 정신을 설파한 유언에 따라, 청년기에는 정치적인 일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것을 피했다. 또한 아버지가 무정부주의자에게 암살당한 사실을 받아들인 후, 자유주의적인 헌법 제정에 긍정적인 자세를 보였다. 의회 운영에서는 조반니 조릿티를 중용하여 여러 차례 수상직을 맡겼다.[2]

그러나 건국 이래 이탈리아 국왕은 의회에 대해 해산권과 조각권 등 매우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친정을 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1900년부터 1922년까지의 정치적 불안정을 겪으면서 의회 정치에 점차 강한 반감을 품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이탈리아는 삼국 동맹의 일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처음에는 중립을 유지했다. 1915년 4월, 이탈리아는 런던 조약에 비밀리에 서명하여 삼국 협상 편에 서서 전쟁에 참전하기로 했다.

3. 제1차 세계 대전과 파시즘

이탈리아의 국왕 움베르토 1세와 마르게리타 왕비 사이에서 태어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1900년 아버지 움베르토 1세가 무정부주의자에게 암살된 직후 왕위에 올랐다. 1896년에는 엘레나 공녀와 결혼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는 연합국으로 참전하여 승전국이 되었으나, 종전 후 사회는 양극화로 인해 혼란을 겪었다.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검은 셔츠단'을 이끌고 쿠데타를 일으키자,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그를 총리로 임명하였다. 이후 무솔리니는 21년간 총리로 재임하였다.

3. 1.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5년 ~ 1918년)

사라예보 사건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암살되고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 그러나 미수복 이탈리아 문제로 오스트리아와 관계가 악화되었던 등의 이유로 이탈리아는 참전을 보류하고 중립을 선언했다. 1915년 이후 연합국으로부터 참전을 적극적으로 권유받자, 국내와 의회에서는 참전파와 중립파로 나뉘어 논쟁이 벌어졌다. 참전파인 안토니오 살란드라 정권은 미수복 이탈리아를 탈환할 최대의 호기라고 주장했지만, 국민 대다수는 오스트리아 편에 서서 참전하지 않은 것을 불의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또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는 생각 때문에 반대파가 주류였다.

논쟁 끝에 의회가 살란드라 총리의 해임을 의결했을 때,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의회 결정을 거부했다. 이탈리아에서 국왕이 명확하게 정치 개입을 결정한 최초의 사례인 이 사건 이후, 이탈리아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이탈리아 전선)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국경의 산악 지대에서 격렬한 전투를 벌이게 되었다. 전쟁 후반, 오스트리아의 탈락을 우려한 독일의 참전(카포레토 전투)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자, 중립파 정치인들은 국왕을 비판했지만, 국왕은 반론하기보다는 직접 전선을 방문하여 병사들을 격려하는 길을 택했다. 국왕의 헌신적인 행위는 민중과 병사들의 지지를 얻었고, 카포레토 전투 이후 새롭게 아르만도 디아스 장군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총리가 국가 지도를 맡은 결과 결국 연합국이 승리했으며, 이는 그의 치세에서 가장 깊은 존경을 얻게 된 계기가 되었다.

프랑스의 조제프 조프르 원수와 협상국 전선을 시찰하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1916년

3. 2. 파시즘의 부상과 무솔리니 집권 (1922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는 경제 대공황으로 인해 극심한 사회 불안을 겪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파시스트당이 세력을 확장했다. 1922년, 무솔리니는 '검은 셔츠단'을 이끌고 로마 진군을 감행하여 쿠데타를 일으켰다.[2]

루이지 파크타 총리는 계엄령을 선포하려 했으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군대가 내란 없이 반란을 진압할 수 있을지 의문을 품고 서명을 거부했다. 왕은 안토니오 살란드라와 아르만도 디아즈 장군으로부터 무솔리니와 타협하는 것이 더 낫다는 조언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3] 내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무솔리니를 총리로 임명하는 결정을 내렸다.[4]

1922년 10월 30일, 무솔리니는 39세의 나이로 총리에 임명되었다. 당시 무솔리니는 의회에 단 32명의 파시스트 의원만을 보유하고 있었고, 이전에는 어떠한 공직 경험도 없었다.[5]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무솔리니를 "강인한 인물"로 여기며 환영했고, 무솔리니의 군주제 지지를 높이 평가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무솔리니 정권의 권력 남용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았다. 1924년 자코모 마테오티 암살 사건 당시에도, 왕은 무솔리니를 해임할 수 있는 충분한 명분과 대중적 지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의회의 결정을 따르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6]

1925년부터 1926년 겨울 사이, 무솔리니가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법안들을 통과시켰을 때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침묵했다. 그는 언론의 자유를 폐지하고 파시스트당을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선언하는 법안에 항의 없이 서명했다.[7]

결과적으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파시스트 정권과의 협력을 통해 군주제를 유지하려 했으나, 이는 이탈리아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는 파시즘을 좌익 급진주의에 대한 반대 세력으로 여겼고, 무솔리니의 독재가 이탈리아의 기존 질서를 유지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은 훗날 군주제 폐지로 이어지는 중대한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3. 3. 파시스트 독재 협력 (1922년 ~ 1943년)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검은 셔츠단'을 이끌고 쿠데타를 일으키자,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무솔리니를 총리로 임명하였다.[2] 무솔리니는 이후 21년간 총리로 재임하였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무솔리니 정권의 권력 남용(1924년 자코모 마테오티 암살 및 다른 야당 의원들의 암살 포함)에 맞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4]

1929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국왕을 대표하여 라테라노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은 이탈리아 왕국교황청 사이의 세 가지 협정 중 하나였으며, 1929년 6월 7일 비준되어 "로마 문제"를 해결하였다.

1938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무솔리니와 함께 이탈리아 제국 최고 원수 칭호를 받았다.

4. 제2차 세계 대전과 몰락

이탈리아제2차 세계 대전에 추축국으로 참전했으나, 1943년 연합군이 상륙하자 항복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파시스트 평의회에서 베니토 무솔리니의 실각을 결의한 후, 무솔리니에게 평의회 결정을 따를 것을 통고하고 경찰을 불러 감금했다.[4] 무솔리니는 총리에서 물러나고 피에트로 바돌리오 내각이 들어섰으나, 독일 국방군에 의해 구출되어 북부 이탈리아에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을 세웠다.[4]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무솔리니를 내각에 임명했다는 비판을 받았고, 1944년 4월 대부분의 권한을 움베르토 왕세자에게 넘겼다.[4]

1945년 패색이 짙어지자 무솔리니는 도주했고, 이탈리아 국경에서 공산당 파르티잔 부대원에 의해 처형되었다. 이후 군주제 유지 또는 공화국 수립을 둘러싼 국민투표가 요구되었고, 1946년 5월 9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움베르토에게 양위했다. 그러나 반파시스트 운동 중심지였던 북부를 중심으로 왕정 폐지 운동이 거세게 일어났다. 6월 2일 투표 결과 군주제는 46%의 지지만 얻었고, 이는 무솔리니와의 결탁, 전쟁 중 북부 중심의 반파시스트 운동으로 인한 왕가 여론 악화의 결과였다.[7] 사보이아 왕가는 이탈리아를 떠나야 했으며,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이집트로 망명하여 1947년 사망했다.

1938년 3월 30일, 이탈리아 의회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와 무솔리니에게 제국 원수 계급을 부여했다. 이는 이탈리아 군대 최고 계급이었으나, 국왕은 무솔리니와 동등한 지위에 오른 것에 모욕감을 느꼈고, 파시스트의 궁극적인 목표가 자신을 제거하는 것임을 보여주는 징후로 여겼다.

4. 1.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40년 ~ 1943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이탈리아는 제2차 세계 대전에 추축국으로 참전하였다.[4] 그러나 1943년 연합군이 이탈리아에 상륙하자, 이탈리아는 항복하였다.[4] 이 과정에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파시스트 평의회의 결정을 받아들여 무솔리니를 해임하고 피에트로 바돌리오를 총리로 임명하였다.[4]

하지만 무솔리니는 독일군에 의해 구출되어 북부 이탈리아에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을 세웠다.[4]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무솔리니를 총리로 임명했던 과거 때문에 비판을 받았고, 결국 1944년 4월 대부분의 권한을 움베르토 왕세자에게 넘겨주었다.[4]

4. 2. 쿠데타와 연합군과의 휴전 (1943년)

1943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가 추축국으로 참전하였으나, 연합군이 이탈리아에 상륙하자 이탈리아는 항복하였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파시스트 평의회에서 베니토 무솔리니의 실각을 결의한 후, 무솔리니에게 평의회의 결정을 따를 것임을 통고하고 즉시 경찰을 불러 그를 감금시켰다.[7] 무솔리니는 총리에서 물러나고, 피에트로 바돌리오 내각이 들어섰다.

그러나 무솔리니는 독일 국방군에 의해 구출되었고, 북부 이탈리아에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을 세웠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과거 무솔리니를 총리로 임명했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웠다. 1944년 4월에는 대부분의 권한을 움베르토 왕세자에게 넘겨주었다.

4. 3. 퇴위와 망명 (1946년 ~ 1947년)

1944년 4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자신의 권한 대부분을 움베르토 왕세자에게 넘겨주었다. 이는 베니토 무솔리니를 총리로 임명했던 자신의 과거에 대한 비판을 의식한 행동이었다. 움베르토 왕세자는 섭정으로 임명되어 정무를 대행하게 되었다.[7]

1946년 5월 9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공식적으로 퇴위하고 움베르토 왕세자가 움베르토 2세로 즉위하였다. 그러나 왕정 폐지 여론이 거세게 일어났다. 1946년 6월 2일 실시된 국민투표 결과, 왕정 폐지 54%, 공화정 수립 46%로 이탈리아 왕국은 붕괴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와 무솔리니의 결탁,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부를 중심으로 한 반파시스트 운동으로 인해 악화된 왕가에 대한 여론이 반영된 것이었다.

결국 사보이아 왕가 사람들은 이탈리아를 떠나야 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이집트로 망명하였고, 1947년 알렉산드리아에서 사망하였다.

5. 유산 및 평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이탈리아 역사에서 복잡한 유산을 남긴 인물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승전과 라테라노 조약 체결로 로마 문제 해결에 기여했지만, 파시즘 정권 협력과 제2차 세계 대전 패전의 책임 또한 크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는 경제 대공황으로 극심한 사회, 정치적 불안을 겪었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러한 혼란을 틈타 파시즘 운동으로 권력을 잡았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무솔리니의 '검은 셔츠단' 쿠데타에 굴복, 그를 총리로 임명하여 21년간의 파시스트 독재가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는 추축국으로 참전했으나, 연합군 상륙 후 항복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파시스트 평의회 결정에 따라 무솔리니를 해임하고 피에트로 바돌리오 내각을 구성했지만, 무솔리니는 독일 국방군에 구출되어 북부에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을 세웠다.

결국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무솔리니 임명에 대한 비판과 국민 불신으로 국민투표 직전 퇴위했다. 왕정 폐지 여론으로 군주제는 46% 지지밖에 얻지 못했고, 이탈리아는 공화국이 되었다. 그는 이집트로 망명하여 1947년 사망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화폐 수집가로도 유명하다. 로마 제국 멸망부터 이탈리아 통일까지 약 10만 점의 화폐를 수집했고, 1897년 이탈리아 화폐학회 창립 멤버이자 명예 회장이 되었다. 그의 화폐 수집품은 퇴위 후 이탈리아에 기증되었다.[16] 1910년부터 1943년까지 ''Corpus Nummorum Italicorum''이라는 20권짜리 책을 저술했다.[16]

플로레스타노 반치니의 영화 ''마테오티 암살''(1973)에서 줄리오 지롤라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를 연기했다.

빅토르 에마누엘레 3세 국왕과 엘레나 왕비의 흉상; 러시아 정교회 그리스도 구세주, 성 카타리나, 성 세라핌 교회 전면, 산레모, 이탈리아

5. 1. 긍정적 평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북부 지역을 방문하여 많은 사람들을 직접 만나면서 상당한 용기와 관심을 보였다. 왕비 엘레나는 간호사들과 함께 부상병들을 돌보았으며, 이러한 헌신적인 모습은 국왕이 대다수 국민의 진심 어린 애정을 받는 계기가 되었다.[2] 1917년 11월 8일 페스키에라 회담에서 영국 및 프랑스 총리를 만나 이탈리아의 전략적 결정을 옹호하는 등 국제적인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3]

그는 1900년 즉위 초부터 헌법적인 정부에 헌신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무정부주의자에 의해 아버지가 살해당했음에도 불구하고 헌법적 자유에 대한 헌신을 보였다. 비록 알베르티노 헌장이 국왕에게 상당한 권한을 부여했지만, 그는 정치적 불안 속에서도 제한적인 정치적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또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교황청과의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 1929년, 무솔리니는 국왕을 대표하여 라테라노 조약에 서명했다. 이 조약은 이탈리아 왕국교황청 사이의 오랜 갈등이었던 "로마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5. 2. 부정적 평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파시즘 정권에 협력하고 독재를 묵인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는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로마 진군을 진압하지 않고 그를 총리로 임명했으며, 이후 무솔리니의 독재 정치를 사실상 방관했다.[2] 무솔리니는 자코모 마테오티 암살 등 권력을 남용했지만,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이에 대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4]

또한,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을 결정하고 패전의 책임을 져야 했다. 이탈리아는 추축국으로 참전했지만 연합군에 항복했고, 무솔리니는 실각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무솔리니를 임명한 것에 대한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3]

결국 그는 국민투표 직전에 퇴위했지만, 이는 왕정 폐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군주제 유지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반-파시스트 운동과 국민들의 불신으로 인해 왕정은 폐지되었다. 그는 이집트로 망명하여 사망했다.[52]

5. 3. 역사적 의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격동의 시기에 이탈리아를 통치한 군주였다. 그의 통치 기간은 이탈리아가 입헌군주제에서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독재를 거쳐 공화정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역사적 전환은 한국의 일제강점기와 유사한 경험을 공유하게 한다.[2]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국으로 참전하여 승전국이 되었으나, 종전 후 사회 양극화와 무솔리니의 쿠데타를 경험했다. 그는 무솔리니를 총리로 임명하였고, 이후 이탈리아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추축국으로 참전하였다.[3]

1946년 국민투표를 통해 이탈리아는 공화국이 되었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이집트로 망명하여 1947년 사망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파시즘과의 결탁, 전쟁 중의 행보, 그리고 왕정 폐지로 이어진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복잡한 역사적 평가를 받는다.

2002년에는 이탈리아 헌법 조항이 변경되어 사보이아 가문의 남성 후손들이 이탈리아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유해 송환 문제는 이탈리아 내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6. 가족 관계

1915년 국왕 가족

  • 아버지: 움베르토 1세 - 제2대 이탈리아 국왕
  • 어머니: 마르게리타 - 제노바 공녀
  • 배우자: 엘레나 - 몬테네그로 공주
  • 자녀:
  • * 욜란다 마르게리타 (1901년 - 1986년) - 조르조 카를로 칼비 디 베르고로 백작 부인
  • * 마팔다 (1902년 - 1944년) - 헤센-카셀 방백 필리프 부인
  • * 움베르토 2세 (1904년 - 1983년) - 제4대 이탈리아 국왕
  • * 조반나 (1907년 - 2000년) - 불가리아 국왕 보리스 3세 왕비
  • * 마리아 프란체스카 (1914년 - 2001년) - 파르마 공작 루이지 부인

6. 1. 배우자

1896년 10월 24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몬테네그로 공녀 엘레나(1873년–1952년)와 결혼하였다.[10] 그들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출생사망배우자
요란다 마르게리타 밀레나 엘리사베타 로마나 마리아1901년1986년베르골로 백작 조르조 카를로 칼비(1887년–1977년)
마팔다 마리아 엘리사베타 안나 로마나1902년1944년헤센의 필리프(1896년–1980년)
움베르토 니콜라 토마소 조반니 마리아 (후일 이탈리아 국왕 움베르토 2세)1904년1983년벨기에의 마리 조제 공주(1906년–2001년)
조반나 엘리사베타 안토니아 로마나 마리아1907년2000년불가리아의 보리스 3세(1894년–1943년)
마리아 프란체스카 안나 로마나1914년2001년부르봉 파르마의 루이지 왕자(1899년–1967년)



6. 2. 자녀

몬테네그로의 엘레나와의 사이에서 5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출생사망배우자 및 기타
욜란다 마르게리타 밀레나 엘리사베타 로마나 마리아1901년1986년베르골로 백작 조르조 카를로 칼비와 결혼.
마팔다 마리아 엘리사베타 안나 로마나1902년1944년헤센의 필리프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나치 강제 수용소인 부헨발트에서 사망하였다.
움베르토 니콜라 토마소 조반니 마리아[11]1904년1983년벨기에의 마리 조제 공주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조반나 엘리사베타 안토니아 로마나 마리아
이탈리아의 조반나
1907년2000년불가리아의 보리스 3세와 결혼. 시메온 2세의 어머니이다.
마리아 프란체스카 안나 로마나1914년2001년부르봉 파르마의 루이지 왕자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7. 칭호 및 훈장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이탈리아 왕국의 국왕으로서 다양한 칭호와 훈장을 받았다. 그는 또한 여러 국가 및 단체로부터 훈장을 수여받았다.

7. 1. 칭호

Sua Maestàit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1900년 7월 29일부터 1946년 5월 9일 퇴위할 때까지 이탈리아 왕국의 국왕이었다. 폐하라는 경칭으로 불렸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국왕의 모노그램

7. 2. 훈장

훈장수여 국가 및 수여 시기비고
최고 성 아나운시아타 훈장 기사[18]이탈리아 왕국
1887년 1월 1일
1900년 7월 29일 국왕[19]
모리스와 라자루스 성인 훈장 대십자장[18]이탈리아 왕국
1887년 1월 1일
1900년 7월 29일 국왕
이탈리아 왕관 훈장 대십자장[18]이탈리아 왕국
1887년 1월 1일
1900년 7월 29일 국왕
사보이아 군사 훈장 국왕이탈리아 왕국
사보이아 문민 훈장 국왕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별 식민지 훈장 국왕이탈리아 왕국
로마 독수리 훈장 창설자이자 국왕[20]이탈리아 왕국
1942년 3월 14일
마우리치오 훈장이탈리아 왕국군 공로 10주년
전쟁 공훈 십자장이탈리아 왕국
1915~1918년 이탈리아-오스트리아 전쟁 기념 훈장이탈리아 왕국
독립 전쟁 기념 훈장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통일 기념 훈장이탈리아 왕국
베사 훈장 국왕이탈리아 알바니아
1939년~1943년
스칸데르베그 훈장 국왕이탈리아 알바니아
1939년~1943년
명예와 헌신 대십자장[19]몰타 기사단
1891년 2월 10일
헝가리 왕립 성 스테판 훈장 대십자장[21]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1887년
키릴과 메토디우스 성인 훈장 기사, 훈장 목걸이[22]불가리아 왕국
백사자 훈장 목걸이[23]체코슬로바키아
1925년
코끼리 훈장 기사[24]덴마크
1891년 9월 23일
자유 십자훈장 3등급 1급[25]에스토니아
1925년 4월 29일
핀란드 백장미 훈장 목걸이[26]핀란드
1920년
호엔촐레른 왕가 훈장 대십자장[27]독일 제국
1890년 6월 10일
검은 독수리 훈장 기사, 훈장 목걸이[19]독일 제국
충실 훈장 기사[28]바덴
1893년
베르톨트 1세 훈장 기사[28]바덴
1893년
성 후베르투스 훈장 기사[29]바이에른 왕국
1883년
백색 매 훈장 대십자장[30]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
1888년
루 훈장 기사[31]작센 왕국
1893년
뷔르템베르크 왕관 훈장 대십자장[32]뷔르템베르크 왕국
1882년
국화 훈장 목걸이[33]일본 제국
1902년 4월 16일
라트비아 라치플레시스 훈장 대십자장[34]라트비아
체티녜의 성 페트로 훈장 기사몬테네그로 왕국
성 샤를 훈장 대십자장[35]모나코
1890년 12월 30일
사자와 태양 훈장 1등급[36]카자르 왕조 페르시아
1902년
백수리 훈장 기사폴란드
무공훈장 대십자장[37]폴란드
1923년 12월 12일
탑과 검 훈장 대십자장포르투갈 왕국
3개 훈장의 띠 대십자장[38]포르투갈 제1공화국
1919년 7월 19일
카롤 1세 훈장 대십자장, 훈장 목걸이[39]루마니아 왕국
1906년
성 안드레아 훈장 기사[19]러시아 제국
산마리노 훈장 대십자장[40]산마리노
1889년 4월 11일
차크리 왕가 훈장 기사[41]시암
1897년 6월 1일
황금양모 훈장 기사[42]스페인
1878년 12월 2일
샤를 3세 훈장 대십자장, 훈장 목걸이[43]스페인
1900년 12월 10일
멍에와 화살 제국 훈장 목걸이[44]프랑코 스페인
1937년 10월 1일
세라핌 훈장 기사, 훈장 목걸이[45]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1888년 4월 15일
성 올라프 훈장 대십자장[46]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1891년 9월 19일
가터 훈장 외국인 기사[47]영국
1891년 8월 3일
1941년 박탈
왕실 빅토리아 훈장 목걸이 수훈자[48]영국
1903년 11월 18일
1941년 박탈
목욕 훈장 명예 대십자장 (군사)[48]영국
1916년
1941년 박탈
그리스도 최고 훈장 기사[49]바티칸 시국
1932년 1월 2일


참조

[1] 웹사이트 Vittorio Emanuele III, se questo è un re vittorioso… https://ilmanifesto.[...] 2017-12-18
[2] 웹사이트 Lettere al re (1914–1918) http://aiter.unipv.i[...] UniPV
[3] 서적 Britain and Italy in the Era of the Great War: Defending and Forging Empi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4] 서적 Storia dell'età contemporanea Milano 1998
[5] 간행물 The American Philatelist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atelic Association
[6] 서적 Nomads in the Shadows of Empires: Contests, Conflicts and Legacies on the Southern Ethiopian-Northern Kenyan Frontier https://books.google[...] Brill 2013-07-11
[7] 서적 Storia d'italia. L'Italia della guerra civile RCS 2003
[8] 서적 Albania in Occupation and War: From Fascism to Communism 1940–1945 2006
[9] 서적 The Hollow Legions. Mussolini's Blunder in Greece, 1940–1941 Chatto & Windus
[10] 뉴스 The Little King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1948-01-05
[11] 서적 Italy's Year of Sorrow, 1944–1945 St. Martin's Press 2008
[12] 서적 Arturo Toscanini https://books.google[...] Edizioni Mediterranee 1981-06-14
[13] 서적 Vittorio Emanuele III https://books.google[...] Mondadori 2015
[14] 뉴스 Il fascismo, le leggi razziali, la fuga http://torino.repubb[...] 2017-12-18
[15] 웹사이트 Remains of Exiled Italian King to be Returned after 70 years https://abcnews.go.c[...] ABC News 2017-12-17
[16] 웹사이트 Great Collections – King Victor Emmanuel III of Italy http://www.muenzgesc[...] Muenzgeschicte.ch
[17] 서적 Les Champs-Élysées: trois siècles d'histoire 1997
[18]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Unione tipografico-editrice
[19] 서적 Almanach de Gotha https://archive.org/[...] Justus Perthes
[20] 웹사이트 REGIO DECRETO 14 MARZO 1942, N. 172 che istituisce l'Ordine Civile e Militare dell'Aquila Romana http://www.cnicg.net[...]
[21]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tornai.com/re[...]
[22] 웹사이트 Knights of the Order of Saints Cyril and Methodius http://www.kingsimeo[...]
[23] 웹사이트 Kolana Řádu Bílého lva aneb hlavy států v řetězech http://www.vyznamena[...]
[24] 서적 Riddere af Elefantordenen, 1559–2009 https://books.google[...] Syddansk Universitetsforlag
[25] 웹사이트 Cross of Liberty: Victor Emmanuel III of Italy https://www.presiden[...]
[26] 웹사이트 Suomen Valkoisen Ruusun Suurristi Ketjuineen http://www.ritarikun[...]
[27]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supp. 1890–1891)
[28]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https://digital.blb-[...]
[29]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Bayern https://archive.org/[...]
[30] 간행물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https://zs.thulb.uni[...]
[31]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Königreich Sachsen: 1901 https://babel.hathit[...] Heinrich
[32]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Württemberg https://archive.org/[...]
[33] 서적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34] 서적 Apbalvojumi Latvijas Republikā 1918–1940 Latvijas vēstures muzejs
[35] 웹사이트 Journal de Monaco https://journaldemon[...]
[36] 신문 Court Circular The Times 1902-05-23
[37] 간행물 Broń i Barwa Stowarzyszenie Przyjaciół Muzeum Wojska
[38] 웹사이트 Banda da Grã-Cruz das Três Ordens: Vitor Manuel III (Rei da Itália) http://arquivo.presi[...] 2019-11-28
[39] 웹사이트 Ordinul Carol I https://familiaregal[...] 2019-10-17
[40] 웹사이트 The Equestrian Order of San Marino https://www.consolat[...] 2021-02-21
[41] 학술지 พระราชทานเครื่องราชอิสริยาภรณ์ที่ประเทศยุโรป http://www.ratchakit[...] 2019-05-08
[42] 간행물 Guóa Oficial de España 2019-03-21
[43] 간행물 Guóa Oficial de España 2019-03-21
[44] 뉴스 Decreto Número 373 http://www.boe.es/da[...] Boletín Oficial del Estado 1937-10-04
[45] 서적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46] 서적 Norges Statskalender 2021-09-17
[47]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London
[48] 서적 https://archive.org/[...]
[49] 서적 Orders of Knighthood Awards and The Holy See – A historical, juridical and practical Compendium Van Duren
[50] 웹사이트 Biography for King Victor Emmanuel III https://www.imdb.com[...] IMDb.com 2013-09-16
[51] 웹사이트 Luigi DURAND DE LA PENNE https://www.marina.d[...] 2024-04-13
[52]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53] 웹사이트 Remains of Exiled Italian King to be Returned after 70 years https://abcnews.go.c[...] ABC News 2022-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