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회 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 연구는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통계적 여론 조사의 기원은 1086년의 둠즈데이 북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에밀 뒤르켐의 연구에서 사회학이 공식적인 학문 분야로 시작되었으며, 사회 조사는 행정 조사, 사회 답사, 여론 및 시장 조사 등으로 분류된다. 사회 연구는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 방법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며, 표집, 윤리, 연구 설계, 자료 수집, 분석, 결과 보고 등의 절차를 거친다. 사회 연구는 사회의 실태를 파악하고,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지만,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 개인 정보 보호 문제, 언론의 보도 편향 등의 한계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 연구 - 변인
    변인은 연구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속성을 의미하며, 독립변인, 종속변인, 매개 변인 등으로 분류되고, 양적, 질적, 연속, 비연속 변인 등으로도 구분된다.
  • 사회 연구 - 준실험
    준실험은 연구자가 무작위 할당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인과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구 설계의 한 유형이며, 독립 변수를 조작하고 종속 변수를 측정하지만 실험군과 대조군을 무작위로 할당하지 않는다.
사회 연구

2. 역사

사회 조사는 사회의 실태를 경험적으로 파악하려는 현대 사회과학 연구 방법 중 하나이다. 사회 조사의 역사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한 국가가 세금 징수와 군사력 확보 등을 위해 인구(호구)를 조사한 것은 매우 오래되었다. 한국에서도 비록 현대적인 정확성은 부족했더라도, 국가적 필요에 따라 각 왕조 시대에 사회 실태 파악을 위한 시도가 있었다.

서구 국가에서도 사회 조사의 기원을 18세기 또는 19세기에 국가 시책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해 빈민 또는 형무소의 생활 조건을 통계적으로 파악하기 시작한 것에서 찾으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사회 조사가 현대적인 정확성을 갖추고 학술 연구 및 행정 목적의 필요에 따라 널리 활용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였다.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각 국가가 대량의 사회 실태 파악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사회 조사 방법은 조사 목적 설정, 조사표 작성, 표본 설계 및 추출, 자료 수집, 자료 정리 및 분석, 결과 보고서 작성 등의 절차를 밟게 되었다.

사회 조사의 주요 기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번호종류설명
1행정 조사국세 조사와 같이 국가 행정 목적으로 시행되는 조사이다. 고대부터 권력 유지를 위해 인구 조사를 실시한 것이 그 예이다.[18]
2사회 답사18~19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에서 빈곤 개선을 위해 시행되었으며, 찰스 부스의 조사가 대표적이다.[18]
3여론 조사·시장 조사19세기 미국에서 선거 예측을 위해 시작되었으며, 20세기 이후 자본주의 발달과 함께 대중 사회 및 소비 사회의 흐름에 따라 시장 조사가 활발해졌다.[18],[19]



일본에서는 2004년에 일본 사회 학회 등이 사회 조사사 자격 제도를 만들어 사회 조사 교육의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2. 1. 고대

사회 조사는 국왕이나 황제에 의한 인구 조사가 기원이다.[16] 루카 복음서(2-1.3)에는 황제 아우구스투스가 전 세계 인구를 조사하라는 칙령에 따라 사람들이 살던 마을에서 본적지로 이동했다는 에피소드가 있다.[16]

2. 2. 중세

사회 조사는 대규모화, 복잡해지는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각 시대의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다[16]

사회 조사는 국왕이나 황제에 의한 인구 조사가 기원이다[16]。루카 복음서(2-1.3)에는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전 세계 인구를 조사하라는 칙령에 따라 사람들이 지금까지 살던 마을에서 본적지로 이동했다는 에피소드가 있다[16]

2. 3. 근대: 사회 조사의 발전

사회 조사는 사회의 실태를 경험적으로 파악하려는 현대 사회과학 연구 방법 중 하나이다. 사회 조사의 역사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한 국가가 세금 징수와 군사력 확보 등을 위해 인구(호구)를 조사한 것은 매우 오래되었다. 한국에서도 비록 현대적인 정확성은 부족했더라도, 국가적 필요에 따라 각 왕조 시대에 사회 실태 파악을 위한 시도가 있었다.

서구 국가에서도 사회 조사의 기원을 18세기 또는 19세기에 국가 시책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해 빈민 또는 형무소의 생활 조건을 통계적으로 파악하기 시작한 것에서 찾으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사회 조사가 현대적인 정확성을 갖추고 학술 연구 및 행정 목적의 필요에 따라 널리 활용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였다.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각 국가가 대량의 사회 실태 파악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사회 조사 방법은 조사 목적 설정, 조사표 작성, 표본 설계 및 추출, 자료 수집, 자료 정리 및 분석, 결과 보고서 작성 등의 절차를 밟게 되었다.

통계적 여론 조사의 기원은 1086년의 둠즈데이 북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6][7] 일부 학자들은 인구 통계학의 기원을 1663년 존 그라운트의 ''사망자 보고서에 대한 자연적, 정치적 관찰'' 출판으로 보기도 한다.[8] 하지만 사회 연구는 19세기 초 실증주의 과학 철학과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thumb]]

에밀 뒤르켐(1858–1917)의 연구는 통계적 사회학적 연구, 그리고 실제로 사회학의 공식적인 학문 분야의 시작이었다. 뒤르켐은 오귀스트 콩트 철학의 많은 부분을 거부했지만, 사회 과학이 인간 활동 영역으로의 자연 과학의 논리적 연장이며, 동일한 객관성, 합리주의 및 인과 관계 접근 방식을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방법론을 유지하고 개선했다.[9] 뒤르켐은 1895년 보르도 대학교에 유럽 최초의 사회학부를 설립하고,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1895)''을 출판했다.[10] 그는 이 책에서 "우리의 주요 목표는 과학적 합리주의를 인간 행동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 우리의 실증주의라고 불리는 것은 이 합리주의의 결과일 뿐이다."라고 주장했다.[11]

뒤르켐의 중요한 저서 ''자살(1897)''은 가톨릭개신교 인구의 자살률에 대한 사례 연구로, 사회학적 분석을 심리학 또는 철학과 구별했다. 그는 서로 다른 경찰 구역의 자살 통계를 주의 깊게 검토하여 가톨릭 공동체가 개신교도보다 자살률이 낮다는 것을 입증하려 했으며, 이는 개인적 또는 심리적 원인이 아닌 사회적 원인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그는 사회학이 연구할 독특한 경험적 대상을 설명하기 위해 객관적인 ''suis generis'' "사회적 사실"의 개념을 개발했다.[9]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그는 사회학이 어떤 사회가 "건강한"지 또는 "병리적인"지를 결정하고, 유기적 붕괴 또는 "사회적 아노미"를 부정하기 위한 사회 개혁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뒤르켐에게 사회학은 "제도, 그 기원과 기능에 대한 과학"으로 묘사될 수 있었다.[12]

20세기 초에는 오늘날까지도 주류를 이루는 설문조사 방법론의 혁신이 이루어졌다. 1928년, 심리학자 루이스 레온 터스톤은 종교에 대한 태도와 같은 복잡한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여러 항목을 선택하고 점수를 매기는 방법을 개발했다. 1932년, 심리학자 렌시스 리커트는 응답자가 "전혀 동의하지 않음"부터 "전적으로 동의함"까지 다섯 가지 옵션을 사용하여 진술에 대한 동의 정도를 평가하는 리커트 척도를 개발했다. 리커트 척도는 설문조사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항목으로 남아 있다.

20세기 중반, 미국 사회학은 당시 작용 이론 및 기타 시스템 이론적 접근 방식의 두드러짐으로 인해 전반적으로(그러나 보편적으로는 아님) 더욱 과학적인 성격을 띠는 경향이 있었다. 로버트 K. 머튼은 ''사회 이론과 사회 구조''(1949)를 발표했다. 1960년대에 접어들면서 사회학적 연구는 전 세계 정부와 기업에서 도구로 점점 더 많이 활용되었다. 사회학자들은 새로운 유형의 양적 및 질적 연구 방법을 개발했다. 폴 라자스펠드컬럼비아 대학교의 응용 사회 연구소를 설립했는데, 그곳에서 사회 연구의 기술과 조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회학적 방법에 대한 그의 많은 기여로 그는 "현대 경험적 사회학의 창시자"라는 칭호를 얻었다.[13] 라자스펠드는 통계 설문조사 분석,[14] 패널 방법, 잠재 구조 분석 및 문맥 분석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13] 그의 많은 아이디어는 매우 큰 영향을 미쳐 현재 자명한 것으로 간주된다.[13]

사회 조사는 대규모화, 복잡해지는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각 시대의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다.[16]

사회 조사는 국왕이나 황제에 의한 인구 조사가 기원이다.[16] 루카 복음서(2-1.3)에는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전 세계 인구를 조사하라는 칙령에 따라 사람들이 지금까지 살던 마을에서 본적지로 이동했다는 에피소드가 있다.[16]

사회 조사의 주요 기원에는 다음 3가지가 있다.[17]

번호종류설명
1행정 조사행정 조사의 대표적인 예는 국세 조사이다.[18] 고대의 국왕이나 황제 등은 권력 과시를 위해 인구 조사를 실시했다.[18]
2사회 답사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에서 행해진 사회 조사는 빈곤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사회 답사라고 불렸다.[18] 대표적인 예가 찰스 부스에 의한 조사표 외에 각종 관찰법이나 면접 조사 등을 더한 사회 답사이며, 그 후의 사회 조사의 원형이 되었다.[18] 사회 답사는 원래는 빈곤자나 재해자의 원조를 목적으로 했지만, 광의의 사회 조사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게 되었다.[19]
3여론 조사·시장 조사19세기가 되자 미국에서 선거 예측을 목적으로 하는 여론 조사가 행해지게 되었다.[18] 미국은 인종적·문화적으로 다양한 이민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민중의 뜻을 알기 위해서는 일찍부터 여론 조사가 불가결했다.[18] 20세기가 되어 자본주의가 발달하여 대중 사회나 소비 사회로의 흐름 속에서 시장 조사가 행해지게 되었다.[19]



일본에서는 2004년에 일본 사회 학회 등이 사회 조사사 자격 제도를 만들어 사회 조사 교육의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2. 4. 한국에서의 사회조사 역사

한국에서 사회조사는 국가적 필요에 의해 각 왕조 시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었으나, 현대적인 정확성을 갖춘 것은 20세기 이후, 특히 제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발전하였다.[16] 이러한 발전 과정은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대규모화, 복잡해지는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필요성에 따른 것이었다.[16]

사회조사의 기원은 고대 국가의 인구 조사에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루카 복음서에는 로마 제국의 황제 아우구스투스가 전 세계 인구 조사를 명령한 기록이 있다.[16]

현대적 사회조사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

1. 조사 목적 설정: 인적 자원, 조사 경비, 시기, 정치·사회적 분위기 등을 고려하여 실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조사 목적을 설정한다.

2. 조사표 작성: 조사 목적, 대상, 상황에 맞춰 논리적 일관성과 명확한 표현으로 조사표를 작성한다.

3. 표본 설계 및 추출: 경제적, 시간적 제약이 있을 경우,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설계하고 추출한다.

4. 자료 수집: 현지 면접 조사 또는 우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며,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최대화한다.

5. 자료 정리 및 분석: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하며, 현대에는 전자계산기를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인다.

6. 결과 보고서 작성: 객관적이고 정확한 통계 수표 및 도표를 사용하여 조사 결과를 보고한다.

사회조사는 크게 세 가지 주요 기원을 갖는다.[17]

  • 행정 조사: 국세 조사와 같이 국가 행정 목적으로 시행되는 조사이다. 고대부터 권력 유지를 위해 인구 조사를 실시한 것이 그 예이다.[18]
  • 사회 답사: 18-19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에서 빈곤 개선을 위해 시행되었으며, 찰스 부스의 조사가 대표적이다.[18]
  • 여론 조사·시장 조사: 19세기 미국에서 선거 예측을 위해 시작되었으며, 20세기 이후 자본주의 발달과 함께 대중 사회 및 소비 사회의 흐름에 따라 시장 조사가 활발해졌다.[18],[19]


일본에서는 2004년에 일본 사회 학회 등이 사회 조사사 자격 제도를 만들어 사회 조사 교육의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3. 종류

사회 조사는 사회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통칭한다. 사회 조사는 그 목적, 대상, 자료 수집 방법, 분석 방법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사회 조사는 매우 다양한 상황에서 각기 다른 뜻으로 쓰인다. 흔히 쓰이는 것으로는 국세조사, 여론조사, 시장조사, 상업 조사, 농촌 조사 및 생산 동태 조사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상권 조사, 자원 조사, 공해 조사, 미개 민족 조사, 취업이나 결혼 시 흥신소 조사, 학교 수험 시의 성적 내신서 조사 및 경찰의 범인 조사까지도 조사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이들 모두가 사회적인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회 조사는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조사를 의미한다.[16]


  • 사회 또는 사회사상(社會思想)에 관한 조사
  • 현지조사(現地調査)
  • 통계적 추론(統計的推論)을 위한 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


따라서 목재나 광물 자원 등에 관한 조사는 사회사상에 관한 조사가 아니므로 사회 조사라고 볼 수 없다. 기존의 인구나 수입, 지출에 관한 통계 자료를 기초로 하는 조사나 문헌에 입각한 조사는 현지 조사가 아니므로 역시 사회 조사가 아니다. 흥신소의 조사, 학교의 내신 조사, 경찰의 범인 조사 등은 특정한 개인을 떠나 통계로서 쓰인다는 것에 일반적으로 의미가 없으므로 사회 조사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사회에서 데이터를 얻는 방법에는 실험, 관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문장이나 영상 등의 내용 분석, 이미 집계된 통계 데이터(매크로 데이터)를 이용하는 등의 기법도 사용한다. 사회 조사는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경영학, 인류학을 비롯하여 사회와 관련된 학술,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사회 조사는 대규모화, 복잡해지는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각 시대의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다.[16]

사회 조사는 국왕이나 황제에 의한 인구 조사가 기원이다.[16] 루카 복음서(2-1.3)에는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전 세계 인구를 조사하라는 칙령에 따라 사람들이 지금까지 살던 마을에서 본적지로 이동했다는 에피소드가 있다.[16]

사회 조사의 주요 기원에는 다음 세 가지가 있다.[17]

1. 행정 조사: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가 행정적인 목적을 위해 실시하는 조사이다. 국세조사가 대표적인 예시이다.[18]

2. 사회 답사: 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에서 빈곤 개선을 목적으로 행해진 조사이다. 찰스 부스의 조사가 대표적인 예이다.[18]

3. 여론 조사·시장 조사: 19세기 미국에서 선거 예측을 목적으로 하는 여론 조사가 행해졌다.[18]

일본에서는 2004년에 일본 사회 학회 등이 사회 조사사 자격 제도를 만들어 사회 조사 교육의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3. 1. 조사 목적에 따른 분류

사회 조사는 조사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흔히 사용되는 분류는 다음과 같다.

  • 행정 조사: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가 행정적인 목적을 위해 실시하는 조사이다. 국세조사가 대표적인 예시이며, 고대부터 국왕이나 황제가 권력을 과시하고 세금을 징수하기 위해 인구 조사를 실시한 것에서 기원한다.[18]
  • 사회 답사: 18세기부터 19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에서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된 조사이다. 찰스 부스의 조사처럼 조사표, 관찰, 면접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사회 현상을 파악하는 것이 특징이다.[18]
  • 여론 조사·시장 조사: 19세기 미국에서 선거 예측을 위해 시작된 여론 조사는, 다양한 인종과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민자들의 의견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8] 20세기 이후 자본주의 발달과 함께 대중 사회, 소비 사회가 등장하면서 시장 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19]


이 외에도, 사회 조사는 연구 목적, 조사 방법, 분석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3. 2. 조사 대상에 따른 분류

사회 조사는 조사 대상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흔히 쓰이는 사회 조사에는 국세조사, 여론조사, 시장조사, 상업조사, 농촌조사, 생산동태조사 등이 있다.[16] 그 밖에도 상권조사, 자원조사, 공해조사, 미개민족 조사, 취업이나 결혼 시 흥신소 조사, 학교 시험 성적 내신서 조사, 경찰의 범인 조사까지도 넓은 의미의 조사에 포함된다. 그러나 이 모든 조사가 사회적인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사회 조사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16]

  • 국세조사
  • 여론조사
  • 지역조사
  • 시장조사
  • 연구조사

3. 3. 자료 수집 방법에 따른 분류

사회 조사는 방법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사회 내부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면서 얻은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내부 관여법과, 가능한 한 사회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정보를 얻는 외부 관찰법이 있다.[15] 내부 관여법은 조사 대상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으로, 조사 대상의 입출력을 모두 조사할 수 있을 때 유효하다. 외부 관찰법은 웹 공개 정보나 유가 증권 보고서 등 법적으로 공개가 의무화된 정보를 수집하여 조사 대상에 부담을 주지 않는 방법이다.[20]

결과 분석 방법에 따라 사회 조사를 분류하면,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회 전체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통계적 사회 조사와, 소수의 인터뷰나 참여 관찰 등의 사례적 사회 조사로 나눌 수 있다. 통계적 사회 조사는 양적 조사, 사례적 사회 조사는 질적 조사라고도 부른다.[15]

통계적 사회 조사는 모집단을 설정하고 사회 전체를 파악하기 위해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조사 방법이다. 전체를 조사하는 전수 조사와 소량의 표본(샘플)을 추출하여 전체를 추정하는 표본 조사가 있다. 일본에서는 대규모 사회 조사를 할 때 주민기본대장 또는 유권자 명부를 표본 추출의 근거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2005년 개인정보보호법 시행 이후 용도가 제한되었다.

조사표(또는 질문지)를 사용한 사회 조사를 설문 조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방법은 면접법, 유치 조사법, 우편법, 집합법, 전화법, 전자법(인터넷 조사나 웹 조사) 등으로 분류된다.

  • 면접 조사: 조사자가 조사 대상자를 직접 만나 질문을 하고 답변을 얻는 방법이다.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지만 비용이 많이 든다.
  • 유치 조사: 조사표를 일정 기간 대상자에게 전달해 두고, 후에 방문하여 조사표를 회수하는 방법이다.
  • 우편 조사: 조사표를 우편으로 발송하고, 우편으로 회수하는 방법이다. 비용은 저렴하지만 회수율이 낮다.
  • 집합 조사: 어떤 장소에 전원이 모여 조사를 하는 방법이다.
  • 전화 조사: 전화로 질문을 하고, 결과를 청취하는 방법이다. RDD 방식[22]이 주로 사용되며, 선거 결과 예측 조사 등에 자주 사용된다.
  • 전자법 (인터넷 조사, 웹 조사): 웹에서 조사 폼을 공개하여 답변을 모집하는 방법이다. 간편하고 저렴하지만, 응답자의 대표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3. 4. 기타

사회 조사는 매우 다양한 상황에서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흔히 사용되는 예로는 국세조사, 여론조사, 시장조사, 상업조사, 농촌조사, 생산동태조사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상권조사, 자원조사, 공해조사, 미개 민족 조사, 취업이나 결혼 시 흥신소의 조사, 학교 시험 성적 내신서 조사, 경찰의 범인 조사까지도 조사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이들 모두가 사회적인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회 조사는 다음의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조사를 의미한다.

  • 사회 또는 사회사상(社會思想)에 관한 조사
  • 현지조사(現地調査)
  • 통계적 추론(統計的推論)을 위한 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


따라서 목재나 광물 자원 등에 관한 조사는 사회사상에 관한 조사가 아니므로 사회조사라고 볼 수 없다. 기존의 인구나 수입, 지출에 관한 통계 자료를 기초로 하는 조사나 문헌에 입각한 조사는 현지조사가 아니므로 사회조사가 아니다. 흥신소의 조사, 학교의 내신 조사, 경찰의 범인 조사 등은 특정한 개인을 떠나 통계로서 쓰인다는 것에 일반적으로 의미가 없으므로 사회조사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대표적인 사회조사로는 다음의 다섯 가지를 들 수 있다.

  • 국세조사
  • 여론조사
  • 지역조사
  • 시장조사
  • 연구조사


사회에서 데이터를 얻는 방법에는 실험, 관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문장이나 영상 등의 내용 분석, 이미 집계된 통계 데이터 (매크로 데이터)를 이용하는 등의 기법도 사용한다. 사회 조사는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경영학, 인류학을 비롯하여 사회와 관련된 학술,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사회 조사는 방법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내부 관여법: 사회 내부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면서 얻은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
  • 외부 관찰법: 가능한 한 사회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정보를 얻는 방법[15]


관찰은 대상에게 영향을 주지 않도록, 특히 질문을 하지 않고, 유아나 외국인 등 말이 통하지 않는 대상에게도 가능한 경우가 있다. 내부 관여법과 외부 관찰법에 비해, 어떤 질문을 대상자에게 하는 것은 외란이며 행동 자체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분석 단계에서 조사 방법의 영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사회 조사는 결과의 분석 방법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통계적 사회 조사: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회의 전체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 무작위 추출 등 표본 추출을 하거나, 국세조사처럼 전수(悉皆) 조사를 하는 경우도 있다.
  • 사례적 사회 조사: 소수의 인터뷰나 참여 관찰 등의 사례를 조사.


통계적 사회 조사를 양적 조사, 사례적 사회 조사를 질적 조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만, 질적 조사란 면담/면접 조사(인터뷰), 내용 분석, 대화 분석, 관찰 등 다양한 기법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관찰을 조사의 일부로 정의하는 것은 사회 조사법의 기본 문헌에 있다[15]。 사회 조사의 결과는 여론이나 정책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조사의 타당성 확보에 대한 니즈가 강하다.

일본에서의 사회복지사 지정 과목인 사회 조사의 기초는, 본 항목에서 언급된 사회 조사에 비해 더 제한적이며, 사회복지조사의 위치로 규정되는 경우와, 구・지정 과목에 있었던 "사회복지 원조 기술론"에 포함되는, 원조 기술 방법의 한 영역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

4. 방법론

사회조사 방법론은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식과 절차를 포괄한다. 사회조사는 크게 양적 연구질적 연구로 나뉘며, 각각의 방법론은 고유한 특징과 장점을 지닌다.
양적 연구는 객관적인 자료 수집과 통계적 분석을 통해 사회 현상의 일반적인 경향과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둔다. 설문 조사, 실험, 내용 분석 등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며,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질적 연구는 사회 현상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해석을 목표로 한다. 참여 관찰, 심층 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의 방법을 통해 소수의 사례를 깊이 있게 탐구하며, 연구 대상의 주관적인 경험과 의미 부여 과정을 분석한다.

사회 연구는 논리와 경험적 관찰에 기반하며, 아이디어와 증거 간의 상호 작용을 포함한다.[3] 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을 통해 이론을 생성하거나 검증하며, 탐구, 설명, 해석, 예측을 목표로 한다.[3] 사회 생활의 규칙적인 패턴을 찾고, 개인보다는 사회 집단을 다룬다.[3]

사회 과학에는 자연 과학의 물리 법칙과 같은 법칙은 없지만, 사실의 집단에 대한 보편적인 일반화가 존재한다.[3] 이론은 관찰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이며, 개념은 이론의 기본 구성 요소이다.[3] 공리 또는 가설은 참이라고 가정되는 기본적인 주장이며, 명제는 공리 분석을 기반으로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해 도출된 결론이다.[3] 가설은 명제에서 파생된 경험적 현실에 대한 구체적인 기대이며, 사회 연구는 가설 검증을 포함한다.[3]

사회 연구는 이론의 생성, 조작적 정의(변수의 측정) , 관찰(가설적 관계 테스트를 위한 자료 수집)을 포함한다.[3] 사회 이론은 변수 간의 논리적 관계를 설명하며, 변수는 속성의 논리적 집합이다.[3] 변수는 독립 변수(자료)와 종속 변수(설명 대상)로 나뉜다.[3] 예를 들어, 약물 용량과 질병 증상 심각성의 관계 연구에서 질병 증상 심각성은 종속 변수, 약물 투여는 독립 변수이다.[3]

"좋은 연구"는 결과가 아니라 결과가 도출된 과정에 의해 결정된다.[4] 글렌 파이어보는 저서 ''사회 연구를 위한 일곱 가지 규칙''에서 좋은 연구의 원칙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4]


  • 사회 연구에는 놀라움의 가능성이 있어야 한다.
  • 차이를 만드는 차이를 찾아야 한다.
  • 현실 점검을 구축해야 한다.
  • 동일한 분석이 서로 다른 표본 집단에 대해 유사한 결과를 내는지 확인하는 복제를 해야 한다.
  • 유사한 것을 유사한 것과 비교해야 한다.
  • 변화를 연구해야 한다.
  • 방법은 주인이 아니라 하인이 되게 해야 한다.


사회 이론에서의 설명은 개별적이거나 일반적일 수 있다.[4] 개별적 접근 방식은 특정 조건이나 사건의 특이적 원인을 소진하려는 접근 방식, 즉 특정 사례에 대한 모든 가능한 설명을 제공하려는 것이다.[4] 일반적 설명은 더 일반적인 경향이 있으며 과학자들은 광범위한 조건이나 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인과적 요인을 식별하려 한다.[4] 예를 들어, 사람들이 직업을 선택하는 이유를 다룰 때, 개별적 설명은 특정 사람이 특정 직업을 선택하는 모든 가능한 이유를 나열하는 것이고, 일반적 설명은 일반적으로 구직 지원자가 특정 직업을 선택하는 이유를 결정하는 요인을 찾으려고 할 것이다.[4]

4. 1. 조사 설계

사회조사는 사회의 실태를 경험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현대 사회과학 연구 방법 중 하나이다. 사회조사의 역사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한 국가가 세금 징수나 군사력 확보를 위해 인구를 조사한 것은 매우 오래되었다. 한국에서도 각 왕조 시대에 국가적 필요에 따라 사회 실태를 파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사회조사가 현대적인 정확성을 갖추고 학술 연구 및 행정 목적에 따라 광범위하게 활용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이다. 제1차 및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각 국가가 대량의 사회 실태 파악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사회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르게 되었다.

  • 조사 목적의 설정
  • 조사표의 작성
  • 표본 설계 및 추출
  • 자료 수집
  • 자료 정리 및 분석
  • 결과 보고서 작성


조사 목적 설정 시에는 인적 자원, 조사 경비, 조사 시기, 정치·사회적 분위기 등을 고려하여 실천 가능한 범위 내에서 내용을 다루어야 한다. 조사표 작성 시에는 조사 목적과 대상자의 성격, 조사 당시 상황에 따라 작성 요령이 달라지며, 설문 내용이 논리적 일관성을 갖추고 표현은 명확해야 한다.

표본 설계는 경제적, 시간적 자원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전체 대상자 중 일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는 과정이다. 이때 표본이 전체를 잘 대표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표본 설계의 원리는 고도의 전문적 통계 지식이 요구된다.

자료 수집은 조사원이 현지에서 면접을 하거나 우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현지 면접 조사가 더 정확하지만, 상황에 따라 우편 조사를 하기도 한다. 수집된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 정리 및 분석은 조사 목적에 맞게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단계이다. 자료의 미비성을 확인하고 분석 계획에 따라 통계적 처리를 한다. 과거에는 자동 전자 계산기가 없어 분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지만, 오늘날에는 현대 계산기를 활용하여 복잡한 분석도 가능하다.

자료 분석이 끝나면 조사 결과 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보고서 내용은 객관적이어야 하며, 특정 사회 집단의 압력으로 인해 내용이 왜곡되어서는 안 된다. 통계 수표나 도표 작성 시에도 정확성을 최대한으로 기해야 한다.

사회에서 데이터를 얻는 방법에는 실험, 관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문장이나 영상 등의 내용 분석, 이미 집계된 통계 데이터 (매크로 데이터)를 이용하는 기법도 사용된다. 사회 조사는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경영학, 인류학을 비롯하여 사회와 관련된 학술, 산업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사회 조사는 방법에 따라 내부 관여법과 외부 관찰법으로 나눌 수 있다.[15] 내부 관여법은 사회 내부에서 역할을 수행하며 정보를 얻는 방식이고, 외부 관찰법은 사회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정보를 얻는 방식이다. 관찰은 대상에게 영향을 주지 않도록 질문을 하지 않고, 유아나 외국인 등 말이 통하지 않는 대상에게도 가능하다. 질문은 대상자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분석 단계에서 조사 방법의 영향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사회 조사는 결과 분석 방법에 따라 통계적 사회 조사와 사례적 사회 조사로 나눌 수 있다. 통계적 사회 조사는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회 전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무작위 추출 등의 표본 추출이나 국세조사처럼 전수 조사를 하기도 한다. 사례적 사회 조사는 소수의 인터뷰나 참여 관찰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통계적 사회 조사를 양적 조사, 사례적 사회 조사를 질적 조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질적 조사는 면담/면접 조사(인터뷰), 내용 분석, 대화 분석, 관찰 등 다양한 기법을 포함한다. 관찰을 조사의 일부로 정의하는 것은 사회 조사법의 기본 문헌에 있다.[15] 사회 조사의 결과는 여론이나 정책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조사의 타당성 확보가 중요하다.

일본에서 사회복지사 지정 과목인 사회 조사의 기초는 본 항목에서 언급된 사회 조사보다 제한적이며, 사회복지조사로 간주되거나, 과거 지정 과목에 있었던 "사회복지 원조 기술론"에 포함되는 원조 기술 방법의 한 영역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4. 2. 자료 수집

사회조사에서 자료 수집은 대체로 조사원이 현지에 나가 표본설계에 따라 선정된 조사 대상자를 만나 면접하거나, 우편을 통해 서신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 현지 면접 조사가 더 정확한 방법으로 평가받지만,[1] 조사 경비나 기타 여의치 못한 사정이 있을 때는 우송 조사를 실시하기도 한다.[1]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수집된 자료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최대한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1]

사회 과학자들은 연구 방법에 따라 다양한 입장을 가지는데, 이는 사회 이론의 역사적 핵심인 실증주의반실증주의, 구조와 행위와 관련이 있다.[3] 질적 접근 방식양적 접근 방식 모두 이론과 데이터 간의 체계적인 상호 작용을 포함한다.[3] 방법 선택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통계적 일반화를 위해서는 설문 조사를, 개인의 사회적 행위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참여 관찰이나 개방형 인터뷰를 선택할 수 있다.[3]

사회 연구는 논리와 경험적 관찰에 기반하며, 아이디어와 증거 간의 상호 작용을 포함한다.[3] 사회 연구는 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을 통해 이론을 생성하거나 검증하며, 탐구, 설명, 해석, 예측을 목표로 한다.[3] 사회 연구는 사회 생활의 규칙적인 패턴을 찾고, 개인보다는 사회 집단을 다룬다.[3]

사회 과학에는 자연 과학의 물리 법칙과 같은 법칙은 없지만, 사실의 집단에 대한 보편적인 일반화가 존재한다.[3] 이론은 관찰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이며, 개념은 이론의 기본 구성 요소이다.[3] 공리 또는 가설은 참이라고 가정되는 기본적인 주장이며, 명제는 공리 분석을 기반으로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해 도출된 결론이다.[3] 가설은 명제에서 파생된 경험적 현실에 대한 구체적인 기대이며, 사회 연구는 가설 검증을 포함한다.[3]

사회 연구는 이론 생성, 조작적 정의(변수의 측정) , 관찰(가설적 관계 테스트를 위한 자료 수집)을 포함한다.[3] 사회 이론은 변수 간의 논리적 관계를 설명하며, 변수는 속성의 논리적 집합이다.[3] 변수는 독립 변수(자료)와 종속 변수(설명 대상)로 나뉜다.[3] 예를 들어, 약물 용량과 질병 증상 심각성의 관계 연구에서 질병 증상 심각성은 종속 변수, 약물 투여는 독립 변수이다.[3]

사회에서 데이터를 얻는 방법에는 실험, 관찰, 내용 분석, 통계 데이터(매크로 데이터) 활용 등이 있다.[15] 사회 조사는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경영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15]

사회 조사는 방법에 따라 내부 관여법과 외부 관찰법으로 나눌 수 있다.[15] 내부 관여법은 조사 대상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으로,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도록 협력적으로 관여하는 방법이다.[15] 외부 관찰법은 조사 대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법으로, 웹 공개 정보나 유가 증권 보고서 등 공개된 정보를 수집한다.[20]

결과 분석 방법에 따라 통계적 사회 조사와 사례적 사회 조사로 나눌 수 있다.[15] 통계적 사회 조사는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회 전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전수 조사와 표본 조사가 있다.[15] 일본에서는 대규모 사회 조사를 위해 주민기본대장이나 유권자 명부를 사용하지만,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으로 용도가 제한되었다.[21] 표본 조사의 경우, 표본 수가 많을수록 신뢰성이 높아지지만, 무작위 추출이 필수적이다.[21]

사례적 사회 조사는 소수의 인터뷰참여 관찰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15] 통계적 사회 조사를 양적 조사, 사례적 사회 조사를 질적 조사라고 부르기도 한다.[15] 질적 조사는 면담/면접 조사(인터뷰), 내용 분석, 대화 분석, 관찰 등 다양한 기법을 포함한다.[15]

설문 조사는 조사표(또는 질문지)를 사용한 사회 조사를 말한다.[15] 이는 면접법, 유치 조사, 우편법, 집합법, 전화법, 전자법(인터넷 조사, 웹 조사) 등으로 분류된다.

  • 면접 조사: 조사자가 조사 대상자를 직접 만나 질문하고 답변을 얻는 방법이다.[15] 비용이 높지만,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 유치 조사: 조사표를 일정 기간 대상자에게 전달해 두고, 후에 방문하여 회수하는 방법이다.[15] 저비용이지만, 데이터의 질은 면접법보다 낮다.
  • 우편법: 조사표를 우편으로 발송하고 회수하는 방법이다.[15] 회수율이 낮아 학술 조사로는 부적절하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 집합법: 특정 장소에 사람들을 모아 조사를 하는 방법이다.
  • 전화법: 전화로 질문하고 결과를 청취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로 무작위 생성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RDD 방식이 사용된다.[22] 전화 조사는 전화 보급률, 세대 대상 조사, 조사 협력 거부 등의 문제점이 지적된다.
  • 전자법 (인터넷 조사, 웹 조사): 웹에서 조사 폼을 공개하여 답변을 모집하는 방법이다.[15] 조사 대상자 접촉 불가, 무작위 추출 불가, 중복 응답, 응답자 편향 등의 문제점이 지적된다.

4. 3. 자료 분석

자료 수집이 완료되면 조사 목적에 맞게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해야 한다. 우선 자료의 미비점을 확인하고, 분석 계획에 따라 통계 처리를 진행한다. 과거에는 자동 전자 계산기가 없어 분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지만, 오늘날에는 현대식 계산기를 활용하여 복잡한 분석도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조사자는 현대 계산기 사용법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15]

사회 조사는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경영학, 인류학 등 사회 관련 학술 및 산업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사회 조사는 크게 통계적 사회 조사와 사례적 사회 조사로 나눌 수 있다. 통계적 사회 조사는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회 전체의 모습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무작위 추출 등의 표본 추출이나 국세조사와 같은 전수 조사를 통해 이루어진다.[15] 사례적 사회 조사는 소수의 인터뷰나 참여 관찰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4. 4. 결과 보고

자료 분석이 일단 끝나면 그에 대한 기술과 설명을 하는 조사 결과 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이때 유의해야 할 것은 조사 보고서의 내용이 객관적이어야 하며, 특정 사회 집단의 압력으로 인해 보고 내용이 왜곡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통계 수표(數表) 또는 통계 도표(圖表) 작성에 있어서도 정확성을 최대한으로 기해야 한다.[4]

5. 표집 (Sampling)

일반적으로 모집단은 매우 크기 때문에, 해당 모집단의 모든 값을 전수조사하거나 완전하게 열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표본은 모집단의 관리 가능한 부분 집합을 형성한다. 표본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표집'이라고 한다.[3] 표집은 모집단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되며, 완전한 전수조사보다 더 빠르고 저렴하다.

5. 1. 표집 방법

일반적으로 모집단은 매우 크기 때문에, 해당 모집단의 모든 값을 전수조사하거나 완전하게 열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표본은 모집단의 관리 가능한 부분 집합을 형성한다. 실증주의 연구에서, 표본에서 파생된 통계는 전체 모집단에 대한 추론을 도출하기 위해 분석된다. 표본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표집''이라고 한다. 표집 방법은 무작위 (무작위 표집, 체계적 표집, 층화 표집, 군집 표집) 또는 비무작위/비확률 (편의 표집, 유의 표집, 눈덩이 표집)일 수 있다.[3] 표집의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모집단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함이며, 표집은 모집단의 완전한 전수조사보다 더 빠르고 저렴하다.

6. 윤리

사회 과학에서 "좋은 연구"는 결과뿐만 아니라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의 윤리성도 포함한다. 글렌 파이어보는 저서 ''사회 연구를 위한 일곱 가지 규칙''에서 좋은 연구의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4]


  • 놀라움의 가능성: 선입견 없이 반대 증거를 찾고, 발견하면 인정하며, 억누르지 않아야 한다.
  • 차이점 찾기: 유의미한 차이를 만드는 요소를 찾는다.
  • 현실 점검: 연구 결과가 현실과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 복제: 다른 표본 집단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지 확인한다.
  • 유사성 비교: 유사한 대상을 비교하여 변수의 영향을 파악한다.
  • 변화 연구: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변화를 연구한다.
  • 방법의 활용: 연구 방법은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이며, 연구 문제에 맞게 설계해야 한다.


사회 이론의 설명에는 개별적 접근과 일반적 접근이 있다. 개별적 설명은 특정 사례에 대한 모든 가능한 원인을 찾고, 일반적 설명은 광범위한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인과적 요인을 찾는다.

사회 과학 연구는 방법론적 약점이나 사기로 인해 잘못된 결과를 낳을 수 있으므로, 한 연구에만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4]

일본에서는 전국 규모의 사회 조사가 이루어지지만, 2003년경부터 전화 금융 사기 등으로 인해 조사에 대한 불신이 커져 회답률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개인 정보 보호법 시행으로 개인 정보 관련 조사를 기피하는 경향도 강해졌다. 2005년 국세 조사는 낮은 회수율로 인해 문제가 되었으며, 특히 도쿄나 오사카 중심부에서는 약 30%가 미회수되었다.

일본 정부의 대규모 조사는 시사 통신사 계열의 주식회사 중앙 조사사와 신정보센터 두 회사가 주로 담당했다. 그러나 2005년 신정보센터 조사원의 허위 응답 문제가 발생하면서, 정부는 닛케이 리서치에 조사를 발주하게 되었다. 하지만 닛케이 리서치는 자체 조사원을 보유하지 않아 조사 능력 및 신뢰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6. 1. 연구 윤리 원칙

사회 연구의 윤리는 의학 연구 윤리와 공유된다. 미국에서는 벨몬트 보고서에 의해 다음과 같이 공식화되었다.[5]

  • 인간 존중의 원칙: (a) 개인은 자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자율적인 행위자로서 존중받아야 하며, (b) 자율성이 저하된 대상은 특별한 고려를 받아야 한다.[5] 이 원칙의 초석은 사전 동의의 활용이다.
  • 선의의 원칙: (a) 연구 대상은 해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며, (b) 연구는 사회에 실질적인 이점을 가져와야 한다. 이 정의에 따르면, 과학적 가치가 없는 연구는 자동으로 비윤리적인 것으로 간주된다.[5]
  • 정의의 원칙: 연구의 혜택이 공정하게 분배되어야 한다고 명시한다. 공정성의 정의는 상황에 따라 다르며, "(1) 각 사람에게 동등한 몫, (2) 각 사람에게 개별적인 필요에 따라, (3) 각 사람에게 개별적인 노력에 따라, (4) 각 사람에게 사회적 기여에 따라, (5) 각 사람에게 자격에 따라"로 다양하다.[5]


사회 조사는 개인의 사생활과 관련된 것이다. 응답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인권에 배려하는 것이 사회 조사를 실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조사 전에는 조사 내용을 설명한 후, 정중하게 협조를 요청해야 한다. 조사 후에는 개인 정보를 적절하게 폐기하는 등의 조치를 해야 한다.

7. 사회 조사 관련 기관

8. 비판 및 한계

미국 사회학계에서는 기존에 공개된 사회 조사 데이터가 많아, 이를 활용한 계량 사회학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 사회학회의 기관지인 《아메리칸 소시올로지컬 리뷰》(American Sociological Review)에 게재되는 논문의 약 70%가 계량 분석을 사용하고 있을 정도이다.[24]

일본에서는 전국 규모의 사회 조사가 존재하지만, 2003년경부터 전화 금융 사기 등의 영향으로 조사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져 응답 거부가 늘어나고 회수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03년 시행된 개인 정보 보호법 역시 개인 정보 관련 조사를 기피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005년 국세 조사에서는 조사 거부로 인해 전국적으로 약 4%가 미회수되었으며, 특히 도쿄와 오사카 도심부에서는 미회수율이 약 30%에 달해 큰 문제가 되었다.

일본 정부의 대규모 조사를 주로 수주하던 회사는 시사 통신사 계열의 주식회사 중앙 조사사와 신정보센터 두 곳이었다. 다른 조사 회사들은 자체 조사원을 보유하지 않고 소규모 회사에 외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2005년 신정보센터 조사원의 허위 응답 문제가 불거지면서, 정부는 닛케이 리서치에 조사를 발주하게 되었다. 하지만 닛케이 리서치 역시 자체 조사원을 보유하지 않아, 조사 능력 및 조사원의 신뢰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타니오카 이치로는 사회 조사의 과반수가 부실하며, 이는 자신의 입장 강화, 정치적 입장 강화, 센세이셔널한 발견을 한 것처럼 보이게 하기, 연구비 및 예산 획득 등 여러 의도에 의해 발생한다고 지적한다.[25][26] 이러한 부실한 조사가 언론을 통해 확산되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언론은 사회 조사를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하지만, 조사 내용이나 방법론에 대한 제대로 된 검토 없이 부실한 조사를 그대로 보도하거나, 심지어 고의로 악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27] 간단한 숫자를 맹신하거나, 자신들의 편의에 따라 결과를 해석하기도 하며,[28] 관심만 끌 수 있다면 방법론의 문제는 무시되기도 한다.[29] 편향된 조사라도 기사 소재로 삼는 것은, 알고 있다면 악의, 모르고 있다면 무지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사가 다른 매체로 확산되는 것이 문제이다.[30]

신문사 자체 조사 중에는 특정 목적을 가지고 특정 기사를 작성하기 위한 경우도 있다. 조사 결과가 미리 정해져 있거나, 결과와 상관없이 기사 방향이 결정되기도 하며, 사건이 아닌 것을 사건으로 만들기 위한 조사도 적지 않다.[31]

참조

[1] 간행물 What is Program Evaluation, A Beginner's Guide http://www.ideas-int[...] The Global Social Change Research Project 2009
[2] 논문 Qualitative Data Analysis for Health Services Research: Developing Taxonomy, Themes, and Theory 2007-08
[3] 서적 Sociology: Themes and perspectives Collins Educational 2004
[4] 웹사이트 This was the biggest political science study of last year. It was a complete fraud. https://www.vox.com/[...] 2015-05-20
[5] 웹사이트 Belmont report http://ohsr.od.nih.g[...] The National Commiss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Subjects of Biomedical and Behavioral Research 1979-04-18
[6] 서적 A history of sociology in Britain: science, literature, and society 2004
[7] 서적 A new dictionary of sociology 1970
[8] 간행물 The Founder of Statistics https://www.jstor.or[...] 1938
[9] 서적 Positivism 1992
[10] 서적 Durkheim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1] 서적 Rules of the Sociological Method 1895
[12] 서적 The Rules of Sociological Method 1895
[13] 논문 Paul Lazarsfeld — The Founder of Modern Empirical Sociology: A Research Biography
[14] 서적 Readings in mathematical social science MIT Press 1966
[15] 서적 社会調査法 有斐閣 1967
[16] 서적 社会調査入門
[17] 서적 社会調査入門
[18] 서적 社会調査入門
[19] 서적 社会調査入門
[20] 문서 document review
[21] 웹사이트 なるほど統計学園高等部 | 調査に必要な対象者数 http://www.stat.go.j[...]
[22] 문서 random digit dialing
[23] 웹사이트 「世論調査の今日的課題と対応」 - RDD_Report.pdf http://www.japor.or.[...]
[24] 문서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5] 문서 谷岡 2000
[26] 문서 谷岡 2000
[27] 문서 谷岡 2000
[28] 문서 谷岡 2000
[29] 문서 谷岡 2000
[30] 문서 谷岡 2000
[31] 문서 谷岡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