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차원의 점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차원의 점군은 3차원 공간에서 원점을 고정하는 등거리 변환들의 대칭군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군은 회전, 반사, 반전 등의 연산을 포함하며, 유한군과 무한군으로 분류된다. 유한 점군은 결정학적 제한 정리에 따라 32개로 제한되며, 7개의 무한 축군과 7개의 다면체군으로 구성된다. 이항 정다면체군은 점군의 이중 피복으로, 스핀 군의 부분군으로 표현된다. 점군은 추상 군의 유형에 따라 분류되며, 순환군, 이면체군, 그리고 다면체군으로 세분화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칭 - 비대칭
    비대칭은 대칭의 반대 현상으로 생물학적 발생, 건축 디자인, 수학적 관계, 물리학적 자연 법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다.
  • 대칭 - 공간군
    공간군은 결정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230가지 수학적 군으로, 브라베 격자와 결정학적 점군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병진 대칭, 점군 대칭 작용, 나사축, 미끄럼면 등의 대칭 작용을 포함하고, 결정 구조 이해와 물리적 성질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군론 - 점군
    점군은 도형의 병진 조작을 제외한 대칭 조작들의 집합으로 군론의 공리를 만족하며, 쉐인플리스 기호나 허먼-모건 기호로 표기되고, 대칭 조작에 대응하는 행렬 표현은 가약 표현과 기약 표현으로 분해될 수 있다.
  • 군론 - 파울리 행렬
    파울리 행렬은 양자역학에서 스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에르미트 행렬이자 유니타리 행렬로, 행렬식은 -1이고 대각합은 0이며, 리 대수의 생성원이자 파울리 벡터로 정의되어 다양한 물리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삼차원의 점군
개요
주제3차원 공간에서의 점군
관련 분야결정학
분광학
물리학
화학
수학
점군 목록
쇤플리스 표기법C1, Cs (= S1), Ci (= S2)
Cn, Cnv, Cnh
Dn, Dnd, Dnh
S2n
T, Td, Th
O, Oh
I, Ih
헤르만-모갱 표기법 (결정학)1, m, -1
n, nm, n/m
n22, nmm, n/mmm
-n
23, -43m, m-3
432, m-3m
532, m-35

2. 3차원 등거리 변환

대칭군(대칭 연산) 연산은 원점을 고정하는 3차원 공간 '''R'''3의 등거리 변환으로, O(3) 군을 형성한다. 이러한 연산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직접(방향 보존) 대칭 연산은 SO(3) 군을 형성한다.
  • * 항등 연산은 ''E'' 또는 항등 행렬 ''I''로 표시된다.
  • * 원점을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θ 각도로 회전한다. 임의의 양의 정수 ''n''에 대해 θ = 360°/''n''로 회전하는 것은 ''C''''n''으로 표시된다(''C''''n'' 군에 대한 쇼엔플리스 표기법에서, 이 군은 생성된다). 항등 연산은 ''C''1으로도 표기되며, 회전 연산자의 특수한 경우이다.
  • 간접(방향 반전) 연산:
  • * 반전은 i 또는 ''C''i로 표시되며, 이는 좌표축을 중심으로 180° 회전한 후 직교 좌표 평면에서 반사하는 것이다. 행렬 표기법은 ''−I''이다.
  • * 원점을 통과하는 평면에서의 반사는 σ로 표시된다.
  • * 부정 회전은 회전-반사라고도 하며, 축을 중심으로 θ 각도로 회전하고 축에 수직인 원점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반사하는 것이다. 임의의 양의 정수 ''n''에 대해 θ = 360°/''n''로 회전-반사하는 것은 ''S''''n''으로 표시된다(''S''''n'' 군에 대한 쇼엔플리스 표기법에서, ''n''이 짝수일 경우 생성된다).

반전은 회전-반사의 특수한 경우(i = ''S''2)이며, 반사도 특수한 경우(σ = ''S''1)이므로, 이러한 연산은 종종 부정 회전으로 간주된다.

원뿔 기호는 때때로 ''Ĉ''''n'' 및 ''Ŝ''''n''과 같이 연산자를 나타내기 위해 기호에 추가된다.

2. 1. 직접 등거리 변환 (회전 변환)

대칭군(대칭 연산) 연산은 원점을 고정하는 3차원 공간 '''R'''3의 직접 등거리 변환으로, SO(3) 군을 형성한다. 이러한 연산은 항등 연산과 회전 연산으로 분류할 수 있다.

  • 항등 연산: ''E'' 또는 항등 행렬 ''I''로 표시된다.
  • 회전 연산: 원점을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θ 각도로 회전한다. 임의의 양의 정수 ''n''에 대해 θ = 360°/''n''로 회전하는 것은 ''C''''n''으로 표시된다(''C''''n'' 군에 대한 쇼엔플리스 표기법에서, 이 군은 생성된다). 항등 연산은 ''C''1으로도 표기되며, 회전 연산자의 특수한 경우이다.


회전군, 즉 SO(3)의 유한 부분군은 다음과 같다. 순환군 ''C''''n'' (정규 피라미드의 회전군), 이면체군 ''D''''n'' (정규 각기둥 또는 정규 쌍뿔의 회전군), 정 사면체, 정팔면체/정육면체정이십면체/정십이면체의 회전군 ''T'', ''O'' 및 ''I''이다.

특히, 이면체군 ''D''3, ''D''4 등은 3차원 공간에 임베디드된 평면 정다각형의 회전군이며, 이러한 도형은 퇴화된 정각기둥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또한 ''이면체''(그리스어: 두 면을 가진 입체)라고 불리며, 이것이 ''이면체군''이라는 이름을 설명한다.

쇤플리스 표기법, 콕세터 표기법, (오비폴드 표기법)으로 주어진 회전 부분군은 다음과 같다.

반사반사/회전부정 회전회전
Cnv, [n], (*nn)Cnh, [n+,2], (n*)S2n, [2n+,2+], (n×)Cn, [n]+, (nn)
Dnh, [2,n], (*n22)Dnd, [2+,2n], (2*n)Dn, [2,n]+, (n22)
Td, [3,3], (*332)T, [3,3]+, (332)
Oh, [4,3], (*432)Th, [3+,4], (3*2)O, [4,3]+, (432)
Ih, [5,3], (*532)I, [5,3]+, (532)



회전군 SO(3)는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전체 점 회전군인 O(3)의 부분군이다. 따라서 O(3)는 SO(3)와 군의 직접곱과 반사군 ''C''i (여기서 반사는 그 행렬 −''I''로 표시됩니다)의 직접곱이다.

:O(3) = SO(3) × { ''I'' , −''I'' }

따라서 반사를 통해 모든 직접 등거리 변환과 모든 간접 등거리 변환 사이에 1대 1 대응이 있다. 또한 SO(3)의 모든 직접 등거리 변환 그룹 ''H''와 반사를 포함하는 O(3)의 모든 등거리 변환 그룹 ''K'' 사이에 1대 1 대응이 있다.

:''K'' = ''H'' × { ''I'' , −''I'' }

:''H'' = ''K'' ∩ SO(3)

여기서 등거리 변환 ( ''A'', ''I'' )는 ''A''와 동일시된다.

유한군의 경우,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회전군
H
n
패리티
반사를 포함하는 군
K
Cn짝수Cnh
홀수S2n
Dn짝수Dnh
홀수Dnd
T Th
O Oh
I Ih


2. 2. 간접 등거리 변환

대칭군(대칭 연산) 연산은 원점을 고정하는 3차원 공간 '''R'''3의 등거리 변환으로, O(3) 군을 형성한다. 이 연산 중 간접(방향 반전) 연산은 다음과 같다.

  • 반전은 i 또는 ''C''i로 표시되며, 이는 좌표축을 중심으로 180° 회전한 후 직교 좌표 평면에서 반사하는 것이다. 행렬 표기법은 ''−I''이다.
  • 원점을 통과하는 평면에서의 반사는 σ로 표시된다.
  • 부정 회전은 회전-반사라고도 하며, 축을 중심으로 θ 각도로 회전하고 축에 수직인 원점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반사하는 것이다. 임의의 양의 정수 ''n''에 대해 θ = 360°/''n''로 회전-반사하는 것은 ''S''''n''으로 표시된다(''S''''n'' 군에 대한 쇼엔플리스 표기법에서, ''n''이 짝수일 경우 생성된다).


반전은 회전-반사의 특수한 경우(i = ''S''2)이며, 반사도 특수한 경우(σ = ''S''1)이므로, 이러한 연산은 종종 부정 회전으로 간주된다.

원뿔 기호는 때때로 ''Ĉ''''n'' 및 ''Ŝ''''n''과 같이 연산자를 나타내기 위해 기호에 추가된다.

회전군 SO(3)는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전체 점 회전군인 O(3)의 부분군이다. 따라서 O(3)는 SO(3)와 군의 직접곱과 반사군 ''C''i (여기서 반사는 그 행렬 −''I''로 표시됩니다)의 직접곱이다.

:O(3) = SO(3) × { ''I'' , −''I'' }

따라서 반사를 통해 모든 직접 등거리 변환과 모든 간접 등거리 변환 사이에 1대 1 대응이 있다. 또한 SO(3)의 모든 직접 등거리 변환 그룹 ''H''와 반사를 포함하는 O(3)의 모든 등거리 변환 그룹 ''K'' 사이에 1대 1 대응이 있다.

:''K'' = ''H'' × { ''I'' , −''I'' }

:''H'' = ''K'' ∩ SO(3)

여기서 등거리 변환 ( ''A'', ''I'' )는 ''A''와 동일시된다.

유한군의 경우,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회전군
H
n
패리티
반사를 포함하는 군
K
Cn짝수Cnh
홀수S2n
Dn짝수Dnh
홀수Dnd
T Th
O Oh
I Ih



직접 등거리 변환군 ''H''가 지표 2의 부분군 ''L''을 가지면, 간접 등거리 변환을 포함하지만 반전은 없는 해당 그룹이 존재한다.

:M = L \cup ( (H \setminus L) \times \{ -I \})

예를 들어, ''H'' = ''C''4는 ''M'' = ''S''4에 해당한다.

따라서 ''M''은 H \setminus L의 등거리 변환을 반전시켜 ''H''에서 얻어진다. 이 그룹 ''M''은 추상 군으로 간주될 때 ''H''와 동형이다. 반대로, 간접 등거리 변환을 포함하지만 반전은 없는 모든 점군 ''M''에 대해, 간접 등거리 변환을 반전시켜 회전군 ''H''를 얻을 수 있다.

유한 군의 경우,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회전군
H
지표-2 부분군
L
n
패리티
간접 등거리 변환을 포함하는 군
M
C2nCn짝수S2n
홀수Cnh
D2nDn짝수Dnh
홀수Dnd
DnCn임의Cnv
OT Td


3. 켤레류

두 객체의 대칭 유형을 비교할 때, 각 객체에 대해 원점을 개별적으로 선택하며, 동일한 중심을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두 객체의 대칭군이 O(3)의 켤레 부분군이면 동일한 대칭 유형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룹 ''G''의 두 부분군 ''H''1, ''H''2는 ''g'' ∈ ''G''가 존재하여 ''H''1 = ''g''−1''H''2''g''이면 켤레라고 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3차원 객체는 다음과 같은 경우 동일한 대칭 유형을 가진다.


  • 두 객체 모두 서로 다른 거울면에 대한 거울 대칭을 갖는 경우
  • 두 객체 모두 서로 다른 축에 대한 3회 회전 대칭을 갖는 경우.


여러 거울면 및/또는 회전축의 경우, 두 대칭군은 첫 번째 대칭군의 전체 구조를 두 번째 대칭군의 구조에 매핑하는 회전이 있는 경우에만 동일한 대칭 유형을 갖는다. 켤레 정의는 구조의 거울상을 허용하지만, 이것은 필요하지 않으며, 구조 자체는 비키랄이다. 예를 들어, 대칭군이 3회 회전축을 포함하는 경우, 두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포함한다. 구조는 나선축을 가진 11쌍의 공간군에 대해 키랄하다.

4. 무한 등거리 변환군

다양한 '''무한 등거리 변환군'''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무리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순환군"(하나의 원소로 생성된다는 의미이며, 꼬임군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이 있다. 같은 축을 중심으로 더 많은 회전을 추가하여 비순환 아벨 군을 만들 수 있다. 원을 중심으로 유리수의 각도에 위치한 원 위의 점 집합은 무한 개의 생성원을 필요로 하는 점군을 보여준다. 또한 다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생성되는 비아벨 군도 있다.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자유군이다. 회전이 특별히 선택되지 않는 한 무한하다.

지금까지 언급된 모든 무한군은 O(3)의 폐포로서 위상군이 아니다. 이제 O(3)의 위상적으로 닫힌 부분군에 대해 논의한다.

표시되지 않은 는 O(3) 대칭을 갖는다.


전체 O(3)은 구 대칭의 대칭군이며, SO(3)는 해당 회전군이다. 다른 무한 등거리 변환군은 원점을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한 모든 회전과 축을 통과하는 평면에서의 반사, 그리고/또는 축에 수직인 원점을 통과하는 평면에서의 반사를 추가로 포함한다. 축을 통과하는 평면에서의 반사를 갖는 군(축에 수직인 원점을 통과하는 평면에서의 반사가 있거나 없는 경우)은 두 가지 유형의 원통 대칭에 대한 대칭군이다. 무한 회전 대칭을 갖는 모든 3차원 형상('''R'''3의 부분 집합)은 축을 통과하는 모든 평면에 대한 거울 대칭도 가져야 한다. 무한 회전 대칭을 갖는 물리적 객체는 축을 통과하는 거울 평면의 대칭도 가지지만, 예를 들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뿔의 속도 벡터나 전선 주위의 자기장과 같은 벡터장은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유한 등거리 변환군의 모든 의미에서 한계가 있는 7개의 연속적인 군이 있다. 이러한 소위 ''제한 점군'' 또는 ''퀴리 제한군''은 이를 처음 연구한 피에르 퀴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7개의 무한 일련의 축군이 5개의 제한군(그 중 2개는 중복)을 생성하고, 나머지 7개의 점군은 2개의 추가 연속군을 생성한다. 국제 표기법에서 목록은 ∞, ∞2, ∞/m, ∞mm, ∞/mm, ∞∞, ∞∞m이다. 이들 모두가 물리적 객체에 가능한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 대칭을 가진 객체는 ∞∞m 대칭도 갖는다.

5. 유한 등거리 변환군

3차원에서 원점을 고정하는 대칭은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구에서의 대칭으로 완전히 특징지어진다. 유한 3차원 점군에 대해서는 구 대칭군을 참조한다.

공액 관계까지 고려하면, 유한 3차원 점군의 집합은 다음과 같다.


  • 7개의 무한한 축군 시리즈: 최대 1개의 2-겹 이상의 회전축을 가진다. 이들은 무한한 원기둥 상의 유한 대칭군, 또는 유한 원기둥 상의 대칭군이다. 이들은 때때로 축 또는 각주 점군이라고 불린다.
  • 나머지 7개의 점군: 여러 개의 3-겹 이상의 회전축을 가진다. 이 그룹은 여러 개의 3-겹 회전축을 가진 점군으로도 특징지을 수 있다. 가능한 조합은 다음과 같다.
  • 4개의 3-겹 축 (정사면체 대칭 ''T'', ''T''h, ''T''d)
  • 4개의 3-겹 축과 3개의 4-겹 축 (정팔면체 대칭 ''O'' 및 ''O''h)
  • 10개의 3-겹 축과 6개의 5-겹 축 (이십면체 대칭 ''I'' 및 ''I''h)


결정학 제한 정리에 따르면, 제한된 수의 점군만이 이산 병진 대칭과 호환된다: 7개의 무한 시리즈에서 27개, 나머지 7개 중 5개이다. 이들을 함께 32개의 소위 결정학적 점군을 이룬다.

최대 대칭성을 갖는 이산 점군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이들은 어떤 이산 점군도 자신을 진부분군으로 가질 수 없다. 이들은 ''O''h와 ''I''h이다. 이 두 그룹의 최대 공통 부분군은 ''T''h이다. 이 두 그룹은 각각 2회 회전 대칭을 4회로 변경하고, 5회 대칭을 추가하여 얻을 수 있다.

결정학적 점군 중 어떤 결정학적 점군도 자신을 진부분군으로 가질 수 없는 것은 ''O''h와 ''D''6h 두 가지이다. 이들의 최대 공통 부분군은 방향에 따라 ''D''3d와 ''D''2h이다.

5. 1. 축군 (7개의 무한 시리즈)

7개의 무한 축군 계열은 임의의 정수 ''n''을 지수로 가지며, 각 계열에서 ''n''번째 대칭군은 축을 중심으로 한 ''n''겹의 회전 대칭을 포함한다. 즉, 360°/''n'' 각도로의 회전에 대한 대칭이다. ''n''=1은 회전 대칭이 전혀 없는 경우를 포함한다.[4] 다른 회전 대칭 축이 없는 네 개의 계열(순환 대칭)과 2겹 대칭 축이 추가된 세 개의 계열(이이각형 대칭)이 있다. 이들은 축 좌표와 그 축에서의 반사를 통해 확장된 2차원 점군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은 프리즈 군과 관련이 있으며,[4] 실린더 주위에 ''n''번 반복되는 프리즈 군 패턴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점군에 대한 여러 표기법으로는 헤르만-모갱 표기법(결정학에서 사용), 쇤플라이스 표기법(분자 대칭을 설명하는 데 사용), 오비폴드 표기법, 콕세터 표기법이 있다. 오비폴드 표기법은 벽지 군 및 프리즈 군에도 적용할 수 있는 통일된 표기법이다. 결정학적 군은 ''n''이 1, 2, 3, 4 및 6으로 제한되며, 결정학적 제한을 제거하면 모든 양의 정수가 허용된다.

계열은 다음과 같다.

Intl쇤플라이스오비폴드콕세터프리즈구조차수예시코멘트
Even nOdd n(실린더)
nCnnn[n]+p1Znn
120px
n겹 회전 대칭
S2nn×[2n+,2+]p11gZ2n2n
120px
2n겹 회전반사 대칭
n/mCnhn*[n+,2]p11mZn×Z22n
120px
nmmnmCnv*nn[n]p1m1Dihn2n
120px
피라미드 대칭;
생물학에서, 양방사 대칭
n22n2Dn22n[n,2]+p211Dihn2n
120px
이이각형 대칭
2mmDnd2*n[2n,2+]p2mgDih2n4n
120px
역각기둥 대칭
n/mmm2mDnh*22n[n,2]p2mmDihn×Z24n
120px
각기둥 대칭



홀수 ''n''의 경우 Z2''n'' = Z''n'' × Z2이고 Dih2''n'' = Dih''n'' × Z2이다.

군 ''C''''n'' (사소한 ''C''1 포함) 및 ''D''''n''은 카이랄이며, 나머지는 비카이랄이다. 수평(h) 및 수직(v) 용어와 해당 아래첨자는 추가 거울면에 해당하며, 이는 회전 축에 평행(수직)하거나 회전 축에 수직(수평)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비자명 축군은 추상군 Z2와 동일하다.


  • ''C''i (''S''2와 동일) – '''점에서의 반전 대칭'''
  • ''C''2 – '''2겹 회전 대칭'''
  • ''C''s (''C''1h 및 ''C''1v와 동일) – '''반사 대칭''', '''양측 대칭'''이라고도 함.


200px


이 중 ''C''''n''은 차수 ''n''인 단축 군(순환군)이며, 360°/''n'' 각도의 단일 회전에 의해 생성된다. ''C''''n''h는 차수 2''n''인 군으로 축에 수직인 거울면을 추가하여 얻어지며, ''C''''n''v는 차수 2''n''인 군으로 축을 포함하는 일련의 ''n'' 거울면을 추가하여 얻어진다. ''C''''n''v는 정규 ''n''면 피라미드의 대칭군이다. 대칭군이 ''C''''n'' 또는 ''D''''n''인 일반적인 물체는 프로펠러이다.

''D''''n''h는 수평 및 수직 반사면이 모두 추가된 차수 4''n''인 군이다. 회전의 하위 군은 차수 2''n''인 이이각형 군 ''D''''n''이며, 주 회전축에 수직인 2겹 회전축은 여전히 있지만 거울면은 없다. 2D에서 ''D''''n''에는 반사가 포함되지만, 3D에서는 두 연산이 구별된다. ''D''''n''은 "뒤집기"를 포함하지만 반사는 포함하지 않는다.

''D''''n''d(또는 ''D''''n''v)는 주 회전축을 포함하는 수직 거울면이 있지만 수평 거울면이 있는 대신 수평면에서의 반사와 180°/''n'' 각도로의 회전을 결합하는 등각변환이 있는 군이다. ''D''''n''h는 "정규" ''n''각 각기둥과 "정규" ''n''각 쌍각뿔의 대칭군이다. ''D''''n''d는 "정규" ''n''각 역각기둥, 그리고 "정규" ''n''각 사다리꼴 다면체의 대칭군이다. ''D''''n''은 부분적으로 회전된 ("꼬인") 각기둥의 대칭군이다.

군 ''D''2와 ''D''2h는 특별한 회전축이 없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대신 세 개의 수직 2겹 축이 있다. ''D''2는 모든 다면체 대칭의 하위 군이고, ''D''2h는 다면체 군 ''T''h 및 ''O''h의 하위 군이다. ''D''2는 트위스테인과 같은 분자 및 호모테트라머인 Concanavalin A에 나타난다. ''D''2의 원소는 단위 립시츠 사원수에 의해 주어진 회전과 1대2의 관계에 있다.

군 ''S''''n''은 수평면에서의 반사와 360°/n 각도로의 회전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다. 홀수 ''n''의 경우 이는 두 개를 별도로 생성된 군, 차수 2''n''인 ''C''''n''h와 같으므로 ''S''''n'' 표기법이 필요하지 않지만, 짝수 ''n''의 경우 별개이고 차수가 ''n''이다. ''D''''n''d와 마찬가지로 해당 회전을 포함하지 않고도 여러 부적절한 회전을 포함한다.

7개의 무한 계열의 모든 대칭군은 서로 다르지만, 다음과 같은 4쌍의 상호 동일한 군을 제외한다.

  • ''C''1h 및 ''C''1v: 단일 반사(''C''s )가 있는 차수 2의 군
  • ''D''1 및 ''C''2: 단일 180° 회전이 있는 차수 2의 군
  • ''D''1h 및 ''C''2v: 평면에서의 반사와 해당 평면의 선을 통한 180° 회전이 있는 차수 4의 군
  • ''D''1d 및 ''C''2h: 평면에서의 반사와 해당 평면에 수직인 선을 통한 180° 회전이 있는 차수 4의 군.


''S''2는 단일 반전(''C''i )이 있는 차수 2의 군이다.

군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 ''C''''n'': 축을 중심으로 2π/''n''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에 해당하는 요소인 ''C''''n''이라고도 하는 요소에 의해 생성된다. 그 원소는 E(항등원), ''C''''n'', ''C''''n''2, ..., ''C''''n''''n''−1이다.
  • ''S''2''n'': 요소 ''C''2''n''σh에 의해 생성되며, 여기서 σh는 축 방향의 반사이다. 그 원소는 ''C''''n''의 원소와 ''C''2''n''σh, ''C''2''n''3σh, ..., ''C''2''n''2''n''−1σh가 추가된다.
  • ''C''''n''h: 요소 ''C''''n''과 반사 σh에 의해 생성된다. 그 원소는 군 ''C''''n''의 원소이며, 원소 σh, ''C''''n''σh, ''C''''n''2σh, ..., ''C''''n''''n''−1σh가 추가된다.
  • ''C''''n''v: 축에 수직인 평면의 방향의 요소 ''C''''n''과 반사 σv에 의해 생성된다. 그 원소는 군 ''C''''n''의 원소이며, 원소 σv, ''C''''n''σv, ''C''''n''2σv, ..., ''C''''n''''n''−1σv가 추가된다.
  • ''D''''n'': 요소 ''C''''n''과 축에 수직인 평면의 방향을 중심으로 한 180° 회전 U = σhσv에 의해 생성된다. 그 원소는 군 ''C''''n''의 원소이며, 원소 U, ''C''''n''U, ''C''''n''2U, ..., ''C''''n''''n'' − 1U가 추가된다.
  • ''D''''n''d: 요소 ''C''2''n''σh 및 σv에 의해 생성된다. 그 원소는 군 ''C''''n''의 원소와 ''S''2''n'' 및 ''C''''n''v의 추가 원소이며, 원소 ''C''2''n''σhσv, ''C''2''n''3σhσv, ..., ''C''2''n''2''n'' − 1σhσv가 추가된다.
  • ''D''''n''h: 요소 ''C''''n'', σh 및 σv에 의해 생성된다. 그 원소는 군 ''C''''n''의 원소와 ''C''''n''h, ''C''''n''v 및 ''D''''n''의 추가 원소이다.

5. 2. 다면체군 (7개의 점군)

다면체군은 2보다 큰 차수의 회전축이 2개 이상인 점군을 말하며, 매우 높거나 다면체 대칭이라고 불린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T''' (332), [3,3]+, 23, 차수 12: 키랄 사면체 대칭
  • 4개의 ''C''3 축 (정육면체의 두 꼭지점 또는 정사면체의 한 꼭지점을 통과)과 3개의 ''C''2 축 (정육면체의 면 중심 또는 사면체의 모서리 중간점을 통과)을 갖는다.
  • 정사면체의 회전군이며, 교대군 ''A''4와 동형이다.
  • ''T''d, ''T''h 및 팔면체 대칭의 정규 부분군이다.
  • 이진 사면체 군에 의해 주어진 회전에 1대2로 대응된다.

  • '''T''d''' (*332), [3,3], 3m, 차수 24: 전체 사면체 대칭
  • ''T''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지만, ''C''2 축은 ''D''2d 축이 되고, 4개의 3회전축은 4개의 ''C'' 부분군을 생성한다.
  • 6개의 거울면 (각각 정육면체의 두 모서리 또는 사면체의 한 모서리를 포함)을 가지며, 단일 ''S''4 축과 2개의 ''C''3 축을 갖는다.
  • 대칭군 ''S''4와 동형이다.
  • ''O''h의 정규 부분군이다.

  • '''T''h''' (3*2), [3+,4], 2/m, m, 차수 24: 피라이토헤드럴 대칭
  • ''T''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지만, 정육면체 면과 평행한 거울면을 갖는다.
  • ''C''3 축은 ''S''6 축이 되고, 반전 대칭이 있다.
  • ''A''4 × ''Z''2와 동형이며, 대칭군 ''S''4와는 동형이 아니다.
  • 피라이토헤드론의 대칭이다.
  • ''O''h의 정규 부분군이다.

배구공의 솔기는 ''T''h 대칭을 갖는다.

  • '''O''' (432), [4,3]+, 432, 차수 24: 키랄 팔면체 대칭
  • ''T''와 같지만, ''C''2 축은 ''C''4 축이 되며, 정육면체의 모서리 중간점을 통과하는 2회전축이 있어 3개의 ''D''2 부분군을 생성한다.
  • 정육면체와 팔면체의 회전군이다.
  • ''S''4와 동형이다.

  • '''O''h''' (*432), [4,3], 4/m2/m, mm, 차수 48: 전체 팔면체 대칭
  • ''O''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지만, ''T''d와 ''T''h의 거울면을 모두 포함하는 거울면을 갖는다.
  • ''S''4 × ''Z''2와 동형이며, 정육면체와 팔면체의 대칭군이다.

  • '''I''' (532), [5,3]+, 532, 차수 60: 키랄 이십면체 대칭
  • 이십면체와 십이면체의 회전군이다.
  • 전체 대칭군 '''''I''h'''''에서 지표 2의 정규 부분군이다.
  • 5개의 문자에 대한 교대군인 ''A''5와 동형이다.

  • '''I''h''' (*532), [5,3], 2/m, m, 차수 120: 전체 이십면체 대칭
  • 이십면체와 십이면체의 대칭군이다.
  • ''A''5 × ''Z''2와 동형이다.

6. 결정학적 점군

최대 대칭성을 갖는 이산 점군에는 ''O''h와 ''I''h 두 가지가 있으며, 이들은 어떤 이산 점군도 자신을 진부분군으로 가질 수 없다. 이 두 그룹의 최대 공통 부분군은 ''T''h이다. ''O''h와 ''I''h는 각각 2회 회전 대칭을 4회로 변경하고, 5회 대칭을 추가하여 얻을 수 있다.

결정학적 점군 중 어떤 결정학적 점군도 자신을 진부분군으로 가질 수 없는 것은 ''O''h와 ''D''6h 두 가지이다. 이들의 최대 공통 부분군은 방향에 따라 ''D''3d와 ''D''2h이다.

7. 이항 정다면체군

Spin(3) → SO(3) 맵은 3차원 스핀 군에 의한 회전 군의 이중 피복이다.[6] 격자 정리에 의해 Spin(3)의 부분군과 SO(3)의 부분군(회전점군) 사이에는 갈루아 연결이 존재한다.[6] Spin(3)의 부분군의 이미지는 회전점군이고, 점군의 역상은 Spin(3)의 부분군이다.[6]

유한 점군의 역상은 ⟨l,n,m⟩으로 표현되는 '''이항 정다면체군'''이라고 불린다.[6] 이는 관련 다면체 군 (l,m,n)의 두 배의 차수를 가진다.[6] 예를 들어, 이코사헤드랄 군 (2,3,5)의 역상은 이진 이코사헤드랄 군 ⟨2,3,5⟩이다.[6]

이진 다면체 군은 다음과 같다:


  • A_n: ('n' + 1)-각형의 이진 순환 군, 차수 2''n''
  • D_n: ''n''-각형의 이진 이면체 군, ⟨2,2,''n''⟩, 차수 4''n''
  • E_6: 이진 사면체 군, ⟨2,3,3⟩, 차수 24
  • E_7: 이진 팔면체 군, ⟨2,3,4⟩, 차수 48
  • E_8: 이진 이코사헤드랄 군, ⟨2,3,5⟩, 차수 120

이들은 ADE 분류에 의해 분류되며, '''C'''2를 이진 다면체 군의 작용으로 나눈 몫은 듀 발 특이점이다.[6]

방향을 반전시키는 점군의 경우, 두 개의 핀 군이 있기 때문에 상황이 더 복잡해지며, 주어진 점군에 해당하는 두 개의 가능한 이진 군이 있다.

이는 ''공간''의 피복이 아닌 ''군''의 피복에 해당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는 단순 연결되어 있으므로 피복 공간이 없다. 따라서 3차원 다면체를 덮는 "이진 다면체"라는 개념은 없다. 이진 다면체 군은 스핀 군의 이산 부분군이며, 스핀 군의 표현 하에서 벡터 공간에서 작용하며, 이 표현에서 다면체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Spin(3) → SO(3) 맵 아래에서 그들은 기본 (비이진) 군이 작용하는 동일한 다면체에 작용하는 반면, 스핀 표현 또는 다른 표현 하에서 다른 다면체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8. 추상군 유형에 따른 분류

3차원에서의 임의의 대칭군이 ''아닌'' 가장 작은 추상 군은 사원수군 (8차수), Z3 × Z3 (9차수), 이면체 군 Dic3 (12차수), 그리고 16차수 군 14개 중 10개이다.

다음 표의 "# 2차 원소의 개수" 열은 ''C''2, ''C''i, ''C''s 유형의 등거리 변환 부분군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이 총 개수는 다양한 추상 군 유형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특성 중 하나이며, 해당 등거리 변환 유형은 동일한 추상 군의 다양한 등거리 변환 군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3차원에서의 등거리 변환 군의 가능성 내에서, 2차 원소가 0, 1, 3개인 무한히 많은 추상 군 유형이 있으며, 2차 원소가 4''n'' + 1개인 두 개, 2차 원소가 4''n'' + 3개인 세 개가 있다 (각각 ''n'' ≥ 8). 2차 원소의 양의 짝수 개수는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

== 순환군 ==

''n''겹 회전 대칭군대칭은 ''C''''n''이며, 추상적 군 유형은 순환군 Z''n''으로, 이는 ''C''''n''으로도 표기된다. 그러나 이 추상적 군 유형을 가진 대칭군에는 두 개의 무한한 계열이 더 있다.

짝수 차수 2''n''에 대해, 축을 중심으로 180°/n 각도로 회전하는 것과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반사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S''2''n'' (쇼엔플리스 표기법) 그룹이 있다. ''S''2의 경우 ''C''i 표기법이 사용되며, 이는 반전에 의해 생성된다.

홀수인 ''n''에 대해 임의의 차수 2''n''에 대해, ''C''''n''h가 있으며; 이는 ''n''겹 회전축과 수직인 반사면을 가지고 있다. 이는 축을 중심으로 360°/''n'' 각도로 회전하는 것과 반사를 결합하여 생성된다. ''C''1h의 경우 ''C''s 표기법이 사용되며, 이는 평면에서의 반사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결정학적 제한이 적용되는 10개의 순환 결정학적 점군은 다음과 같다.

차수등거리 변환군추상군차수 2 요소의 수
1'Csub>1Z10
2'Csub>2, 'Csub>i, 'Csub>sZ21
3'Csub>3Z30
4'Csub>4, 'Ssub>4Z41
5C5Z50
6'Csub>6, 'Ssub>6, 'Csub>3hZ6 = Z3 × Z21
7C7Z70
8C8, S8Z81
9C9Z90
10C10, S10, C5hZ10 = Z5 × Z21



== 이면체군 ==

2차원 이각형군 ''D''''n''에는 반사가 포함되어 있지만, 3차원에서는 ''D''''n''으로 표시되는 대칭군은 반사가 아닌 ''n''개의 회전축에 수직인 ''n''개의 2중 축을 포함한다. ''D''''n''은 정규 밑면을 가진 ''n''각 각기둥과 정규 밑면을 가진 ''n''각 쌍뿔의 회전군이며, 정규 ''n''각 엇각기둥과 정규 ''n''각 사다리꼴 다면체의 회전군이기도 하다. 이 군은 또한 모든 면에 동일한 키랄 표시 또는 모양의 일부 수정을 통해 키랄성을 갖게 한 후 그러한 객체의 전체 대칭군이기도 하다.

추상적인 군 유형은 이각형군 Dih''n''이며, ''D''''n''으로도 표시된다. 그러나, 이 추상적인 군 유형을 가진 세 가지 더 많은 무한 시리즈의 대칭군이 있는데, 차수가 2''n''인 ''C''''n''v (정규 ''n''각 각뿔의 대칭군), 차수가 4''n''인 ''D''''n''d (정규 ''n''각 엇각기둥의 대칭군), 홀수 ''n''에 대한 차수가 4''n''인 ''D''''n''h 등이 그것이다.

Dih4''n''+2 \cong Dih2''n''+1 × Z2라는 속성을 참고하여, 12개의 결정학적 점군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1d는 ''C''2h와 동일)

차수등거리 변환군추상적 군차수가 2인 원소의 수주기 다이어그램
4'Dsub>2, 'Csub>2v, 'Csub>2hDih2 = Z2 × Z23
40px
6'Dsub>3, 'Csub>3vDih33
40px
8'Dsub>4, 'Csub>4v, 'Dsub>2dDih45
40px
10D5, C5vDih55
40px
12'Dsub>6, 'Csub>6v, 'Dsub>3d, 'Dsub>3hDih6 = Dih3 × Z27
40px
14D7, C7vDih77
40px
16D8, C8v, D4dDih89
40px
18D9, C9vDih99
20D10, C10v, D5h, D5dDih10 = D5 × Z211
40px



== 기타 ==

''C''2''n'',h (차수 4''n'')는 추상적인 군 유형 Z2''n'' × Z2이다. ''n'' = 1의 경우 Dih2를 얻으므로 ''n'' ≥ 2이다.

2개의 순환 결정학적 점군은 다음과 같다.

차수등거리 변환군추상군2차 원소 개수사이클 다이어그램
8'Csub>4hZ4 × Z23
40px
12'Csub>6hZ6 × Z2 = Z3 × Z22 = Z3 × Dih23
40px
16C8hZ8 × Z23
40px
20C10hZ10 × Z2 = Z5 × Z22 = Z5 × Dih23
40px



''D''''n''h (차수 4''n'')는 추상적인 군 유형 Dihn × Z2이다. 홀수 ''n''의 경우는 이미 다루었으므로, 차수가 8''n''인 ''D''2''n''h가 있으며, 이는 추상적인 군 유형 Dih2''n'' × Z2 (''n''≥1)이다.

3개의 이면각 결정학적 점군은 다음과 같다.

차수등거리 변환군추상군2차 원소 개수사이클 다이어그램
8'Dsub>2hZ237
40px
16'Dsub>4hDih4 × Z211
40px
24'Dsub>6hDih6 × Z2 = Dih3 × Z2215 
32D8hDih8 × Z219 



나머지 7개는 5개의 결정학적 점군을 굵게 표시하여 다음과 같다.

차수등거리 변환군추상군2차 원소 개수사이클 다이어그램
12'T'A43
40px
24'Tsub>d, 'O'S49
40px
24'Tsub>hA4 × Z27
40px
48'Osub>hS4 × Z219
60IA515
120IhA5 × Z231


8. 1. 순환군

''n''겹 회전 대칭군대칭은 ''C''''n''이며, 추상적 군 유형은 순환군 Z''n''으로, 이는 ''C''''n''으로도 표기된다. 그러나 이 추상적 군 유형을 가진 대칭군에는 두 개의 무한한 계열이 더 있다.

짝수 차수 2''n''에 대해, 축을 중심으로 180°/n 각도로 회전하는 것과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반사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S''2''n'' (쇼엔플리스 표기법) 그룹이 있다. ''S''2의 경우 ''C''i 표기법이 사용되며, 이는 반전에 의해 생성된다.

홀수인 ''n''에 대해 임의의 차수 2''n''에 대해, ''C''''n''h가 있으며; 이는 ''n''겹 회전축과 수직인 반사면을 가지고 있다. 이는 축을 중심으로 360°/''n'' 각도로 회전하는 것과 반사를 결합하여 생성된다. ''C''1h의 경우 ''C''s 표기법이 사용되며, 이는 평면에서의 반사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결정학적 제한이 적용되는 10개의 순환 결정학적 점군은 다음과 같다.

차수등거리 변환군추상군차수 2 요소의 수
1'Csub>1Z10
2'Csub>2, 'Csub>i, 'Csub>sZ21
3'Csub>3Z30
4'Csub>4, 'Ssub>4Z41
5C5Z50
6'Csub>6, 'Ssub>6, 'Csub>3hZ6 = Z3 × Z21
7C7Z70
8C8, S8Z81
9C9Z90
10C10, S10, C5hZ10 = Z5 × Z21


8. 2. 이면체군

2차원 이각형군 ''D''''n''에는 반사가 포함되어 있지만, 3차원에서는 ''D''''n''으로 표시되는 대칭군은 반사가 아닌 ''n''개의 회전축에 수직인 ''n''개의 2중 축을 포함한다. ''D''''n''은 정규 밑면을 가진 ''n''각 각기둥과 정규 밑면을 가진 ''n''각 쌍뿔의 회전군이며, 정규 ''n''각 엇각기둥과 정규 ''n''각 사다리꼴 다면체의 회전군이기도 하다. 이 군은 또한 모든 면에 동일한 키랄 표시 또는 모양의 일부 수정을 통해 키랄성을 갖게 한 후 그러한 객체의 전체 대칭군이기도 하다.

추상적인 군 유형은 이각형군 Dih''n''이며, ''D''''n''으로도 표시된다. 그러나, 이 추상적인 군 유형을 가진 세 가지 더 많은 무한 시리즈의 대칭군이 있는데, 차수가 2''n''인 ''C''''n''v (정규 ''n''각 각뿔의 대칭군), 차수가 4''n''인 ''D''''n''d (정규 ''n''각 엇각기둥의 대칭군), 홀수 ''n''에 대한 차수가 4''n''인 ''D''''n''h 등이 그것이다.

Dih4''n''+2 \cong Dih2''n''+1 × Z2라는 속성을 참고하여, 12개의 결정학적 점군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1d는 ''C''2h와 동일)

차수등거리 변환군추상적 군차수가 2인 원소의 수주기 다이어그램
4'Dsub>2, 'Csub>2v, 'Csub>2hDih2 = Z2 × Z23
6'Dsub>3, 'Csub>3vDih33
8'Dsub>4, 'Csub>4v, 'Dsub>2dDih45
10D5, C5vDih55
12'Dsub>6, 'Csub>6v, 'Dsub>3d, 'Dsub>3hDih6 = Dih3 × Z27
14D7, C7vDih77
16D8, C8v, D4dDih89
18D9, C9vDih99
20D10, C10v, D5h, D5dDih10 = D5 × Z211



8. 3. 기타

''C''2''n'',h (차수 4''n'')는 추상적인 군 유형 Z2''n'' × Z2이다. ''n'' = 1의 경우 Dih2를 얻으므로 ''n'' ≥ 2이다.

2개의 순환 결정학적 점군은 다음과 같다.

차수등거리 변환군추상군2차 원소 개수사이클 다이어그램
8'Csub>4hZ4 × Z23
12'Csub>6hZ6 × Z2 = Z3 × Z22 = Z3 × Dih23
16C8hZ8 × Z23
20C10hZ10 × Z2 = Z5 × Z22 = Z5 × Dih23



''D''''n''h (차수 4''n'')는 추상적인 군 유형 Dihn × Z2이다. 홀수 ''n''의 경우는 이미 다루었으므로, 차수가 8''n''인 ''D''2''n''h가 있으며, 이는 추상적인 군 유형 Dih2''n'' × Z2 (''n''≥1)이다.

3개의 이면각 결정학적 점군은 다음과 같다.

차수등거리 변환군추상군2차 원소 개수사이클 다이어그램
8'Dsub>2hZ237
16'Dsub>4hDih4 × Z211
24'Dsub>6hDih6 × Z2 = Dih3 × Z2215 
32D8hDih8 × Z219 



나머지 7개는 5개의 결정학적 점군을 굵게 표시하여 다음과 같다.

차수등거리 변환군추상군2차 원소 개수사이클 다이어그램
12'T'A43
24'Tsub>d, 'O'S49
24'Tsub>hA4 × Z27
48'Osub>hS4 × Z219
60IA515
120IhA5 × Z231


참조

[1] 논문 Sur la symétrie dans les phénomènes physiques, symétrie d'un champ électrique et d'un champ magnétique https://hal.archives[...]
[2] 서적 Crystal Symmetries: Shubnikov Centennial papers Pergamon Press
[3] 서적 Modern Crystallography, Vol. 1. Fundamentals of Crystals. Symmetry, and Methods of Structural Crystallography Springer-Verlag Berlin.
[4] 간행물 Three-dimensional finite point groups and the symmetry of beaded beads http://blakemellor.l[...]
[5] 문서 Coxeter, Regular polytopes, §12.6 The number of reflections, equation 12.61
[6] 웹사이트 Du Val Singularities http://www.mi.uni-ko[...]
[7] 간행물 Du Val Singularities http://enriques.mat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