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마케팅은 조직이 고객에게 가치를 식별, 창출, 소통, 전달하고 고객 관계를 관리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된다. 서비스는 무형의 경제 활동이며, 소유권 이전 없이 가치를 제공한다. 서비스 마케팅은 상품 마케팅과 구분되어 7P(제품, 가격, 유통, 프로모션, 프로세스, 사람, 물리적 증거) 마케팅 믹스를 사용하며, 서비스의 특징인 무형성, 불가분성, 소멸성, 가변성으로 인해 독특한 과제에 직면한다. 서비스 품질 모델, 서비스 지배 논리를 통해 서비스의 특징을 이해하고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서비스 산업 - 고객 서비스 고객 서비스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효율적 사용을 지원하는 활동으로, 대면, 온라인, 자동화 시스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며, 고객 충성도 향상과 경쟁 우위 확보에 기여하고 지표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되며 국제 표준을 활용하여 품질을 관리한다.
서비스 산업 - 전용 호스팅 서비스 전용 호스팅 서비스는 특정 사용자에게 서버 자원을 단독 할당하여 안정적인 성능, 높은 보안 수준, 자유로운 서버 환경 구성 및 관리 유연성을 제공하지만, 초기 설정 및 유지 비용이 높고 서버 운영에 대한 관리 책임과 기술적 요구 사항이 따른다.
서비스 마케팅은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마케팅 원리를 적용하는 전문 분야임. 서비스는 무형성, 이질성, 비분리성, 소멸성의 특징을 지니므로, 제품 마케팅과는 다른 전략과 접근 방식이 요구됨.
목표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 간의 상호 작용을 최적화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함. 서비스 품질 관리, 고객 경험 디자인, 내부 마케팅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둠.
관련 개념
관계 마케팅: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 구축을 통해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전략 내부 마케팅: 직원 만족도 향상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전략 고객 경험 관리: 고객이 서비스를 경험하는 모든 과정에서 긍정적인 인상을 심어주는 전략
중요성
서비스 산업의 성장과 함께 서비스 마케팅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음.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는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임.
활용 분야
호텔, 레스토랑, 병원, 은행, 항공사, 통신사 등 다양한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활용됨. 온라인 서비스, 컨설팅,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무형의 가치를 제공하는 분야에서도 서비스 마케팅 전략이 중요하게 적용됨.
2. 서비스 마케팅의 정의
미국 마케팅 협회(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는 서비스 마케팅을 조직 기능이자 고객에게 가치를 식별하거나 창출하고, 소통하며, 전달하고, 조직과 이해 관계자에게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고객 관계를 관리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한다.[1]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한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에게 제공하는 무형의 경제 활동이다.[1] 종종 시간 기반으로 수행되는 서비스는 구매자가 책임을 지는 수취인, 대상 또는 기타 자산에 원하는 결과를 가져온다.[1] 서비스 고객은 돈, 시간, 노력을 대가로 상품, 노동, 전문 기술, 시설, 네트워크 및 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통해 가치를 기대하지만, 일반적으로 관련된 물리적 요소의 소유권을 갖지는 않는다.[1]
서비스 접점은 고객이 서비스와 상호 작용하는 기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2]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의 상호 작용에는 서비스 직원을 대면하는 접촉 외에도 시설 및 장비를 포함한 서비스 환경의 물리적 요소와의 상호 작용이 포함된다.[2]
3. 서비스 개념
고전 경제학자들은 아무리 명예로운 직업이라도 서비스는 '비생산적'이라고 믿었다.
학자들은 오랫동안 서비스의 본질에 대해 논쟁해 왔다. 서비스를 정의하려는 초기 시도 중 일부는 서비스가 상품과 무엇이 다른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의 정의는 소유권과 부의 창출의 본질을 강조했다. 고전 경제학자들은 상품이 소유권이 확립되고 교환될 수 있는 가치 있는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소유권은 생산자나 이전 소유자로부터 구매, 물물교환 또는 선물로 획득되었으며 현재 소유자의 재산으로 법적으로 식별 가능한 유형의 객체의 소유를 의미했다. 반대로 서비스를 구매할 때는 상품에 대한 소유권이 변경되지 않았다.
3. 1. 역사적 관점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1776년)에서 "생산적인" 노동과 "비생산적인" 노동의 산출물을 구별했다. 그는 생산적인 노동은 생산 후에 저장하고 돈이나 다른 가치 있는 품목으로 교환할 수 있는 재화를 생산한다고 보았다. 반면 비생산적인 노동은 아무리 "명예롭고, ... 유용하거나... 필요하다" 하더라도 생산 시점에 소멸되는 서비스를 창출하며, 부의 증진에 기여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프랑스 경제학자 장바티스트 세는 생산과 소비가 서비스에서 분리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해 "무형의 제품"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3] 1920년대 앨프레드 마셜은 여전히 서비스가 "무형의 제품"이라는 생각을 사용했다.[4]
19세기 중반 존 스튜어트 밀은 서비스는 "어떤 객체에도 고정되거나 구체화되지 않고, 단지 제공되는 서비스로 구성되며... 영구적인 획득을 남기지 않는 유틸리티"라고 썼다.[5]
3. 2. 현대적 관점
1980년대 초, 서비스 마케팅은 마케팅 분야의 별도 하위 분과로 등장했는데, 이는 지배적인 제품 중심적 관점에 대한 반발이었다.[6][7] 1960년은 미국 경제에 큰 변화를 가져온 해였다. 그 해, 주요 무역 국가 중 처음으로 서비스 부문 고용 인원이 제조업 종사자보다 많아졌다.[8] 다른 선진국들도 곧 서비스 기반 경제로 전환하면서 그 뒤를 따랐다.[9] 학자들은 서비스가 상품을 고려한 후 남은 잔여 범주가 아닌, 그 자체로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인식은 서비스 정의 방식의 변화를 촉발했다.[10] 20세기 중반, 학자들은 상품과의 비교가 아닌 서비스 고유의 특징을 기준으로 서비스를 정의하기 시작했다.[11][12]
다음은 학자들이 서비스 제품의 독특한 측면을 파악하고 새로운 서비스 정의를 개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일련의 정의이다.[11][12]
"상품은 생산된다: 서비스는 수행된다." (Rathmell, 1966) [13]
"서비스는 접촉 인원 또는 물리적 기계와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는 일련의 활동이며, 소비자 만족을 제공한다." (Lehtinen, 1983[14]
"서비스 제품의 핵심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소비자의 경험이다... 소비자가 원하는 혜택을 창출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상호 작용 과정 자체이다." (Bateson, 1992) [15]
"서비스는 행위, 과정 및 수행이다." (Zeithmal and Bitner, 1996) [16]
"서비스는 수혜자에게 시간, 장소, 형태, 문제 해결 또는 경험적 가치를 제공하는 과정(경제 활동)이다." (Lovelock, 2007) [17]
" '서비스'라는 용어는... 가치와 동의어이다. 공급자는 가치 제안을 가지고 있지만, 가치 실현은 고객의 사용 및 소비 과정에서 발생한다." (Gummesson, 2008) [18]
3. 3. 대안적 관점
최근 제안된 대안적 관점은 서비스가 고객이 혜택을 얻을 수 있는 일종의 임대와 관련된다는 것이다.[19] 고객은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가치를 더하는, 열망하는 경험과 솔루션에 기꺼이 비용을 지불한다. 임대라는 용어는 무언가를 완전히 구매하는 대신(많은 경우 불가능하다), (보통 정해진 기간 동안) 무언가를 사용하거나 기술과 전문 지식, 시설 또는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해 지불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19][20]
비소유 프레임워크 내에는 다섯 가지 광범위한 범주가 있다.
임대 상품 서비스: 이러한 서비스는 고객이 소유하고 싶지 않은 물리적 상품(예: 보트, 의상)을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정의된 공간 및 장소 임대: 이러한 서비스는 건물, 차량 또는 기타 구역의 더 넓은 공간에서 정의된 부분을 사용하게 하는데, 이는 그 자체로 목적(예: 창고의 보관 컨테이너)이거나 단순히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예: 식당의 테이블, 항공기의 좌석)일 수 있다.
노동 및 전문 지식 임대: 고객이 직접 수행하지 않거나 전문 지식, 도구 및 기술 부족으로 인해 수행할 수 없는 작업(예: 집 청소)을 수행하기 위해 사람을 고용한다(예: 자동차 수리, 수술).
공유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접근: 이러한 환경은 고객이 환경의 공유 사용 권한을 임대하는 실내 또는 실외 환경일 수 있다(예: 박물관, 테마파크, 체육관, 골프 코스).
시스템 및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 및 사용: 고객은 통신, 유틸리티, 은행 또는 보험과 같은 지정된 네트워크에 참여할 권리를 임대하며, 다양한 수준의 접근에 대해 서로 다른 수수료가 부과된다.
4. 서비스의 특징
서비스의 가장 흔하게 인용되는 네 가지 특성은 다음과 같다.[21] 무형성 - 서비스는 물리적 형태가 없으며, 기존 방식으로는 우리의 감각과 상호 작용하지 않으며, 만지거나 잡을 수 없다. 무형성은 소유권 이전이 불가능하고, 가치는 소비 또는 경험에서 파생되며, 소비 또는 구매 전에 품질을 평가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불가분성 - 생산과 소비를 분리할 수 없다(생산과 소비가 완전히 분리된 상품과 비교하여). 불가분성은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접촉 빈도가 높은 시스템이며 노동 집약적이고, 원거리에서 거래할 기회가 적고, 노동을 자본으로 대체할 기회가 적으며, 인적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멸성 - 서비스의 수행은 일시적이며, 물리적 상품과 달리 서비스는 저장하거나 재고로 유지할 수 없다. 소멸성은 수요가 큰 변동을 보이고, 수요와 공급 사이의 완충 역할을 하는 재고가 없으며, 사용하지 않은 용량을 확보할 수 없고, 유휴 용량의 기회비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변성(이질성이라고도 함) - 서비스는 서비스 직원이 제공하고 인간의 변동에 따라 달라지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고객은 종종 고도로 맞춤화된 솔루션을 찾으며, 서비스는 본질적으로 품질과 내용이 가변적이다. 가변성은 서비스 품질을 관리하기 어렵고, 서비스 제공을 표준화할 기회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비스의 고유한 특성은 제품 마케팅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문제와 과제를 발생시킨다. 서비스는 복잡하고, 다차원적이며, 다층적이다. 여러 가지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과 조직 간, 그리고 고객과 다른 고객 간의 수많은 상호 작용이 존재한다.
5. 서비스 마케팅 프레임워크
5. 1. 상품 및 서비스 분류
서비스를 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무엇을 처리하는지에 따라 사람 처리(예: 미용, 보육, 의료 서비스), 정신 자극 처리(예: 교육, 상담, 생애 코칭), 소유물 처리(예: 애완동물 관리, 가전 제품 수리, 피아노 조율), 정보 처리(예: 금융 서비스, 데이터 웨어하우징 서비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22][23] 서비스 프로세스에서 고객의 상호 작용 정도에 따라 ''고객 접촉 빈도가 높은'' 서비스(예: 접대, 치과 진료, 미용)와 ''고객 접촉 빈도가 낮은'' 서비스(예: 통신, 유틸리티 서비스)로 분류할 수도 있다.[24]
경제학자와 마케터들은 탐색 → 경험 → 신용(SEC) 상품 및 서비스 분류를 널리 사용한다. 이 분류는 소비자의 평가 활동 용이성 또는 어려움을 기반으로 하며 세 가지 종류의 상품을 구분한다.[25][26]
탐색재는 상품을 직접 검사하여 소비 전에 평가할 수 있는 품질을 갖추고 있다.
탐색재: 구매 또는 소비 전에 평가할 수 있는 속성을 가진 상품이다. 소비자는 사전 경험, 직접 제품 검사 및 기타 정보 검색 활동을 통해 평가한다. 대부분의 제품이 이에 해당한다(예: 의류, 사무용 문구, 가구).
경험재: 제품을 구매하고 경험한 후에만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이다. 많은 개인 서비스가 여기에 속한다(예: 레스토랑, 미용실, 테마파크, 여행, 휴가).
신용재: 소비 후에도 평가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상품 또는 서비스이다. 소비자가 평가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 전문 지식이 부족하거나 정보 획득 비용이 지나치게 높을 때 발생한다. 많은 전문 서비스가 이에 해당한다(예: 회계사, 법률 서비스, 의료 진단/치료, 성형 수술). 이러한 상품은 소비자의 품질 평가가 전적으로 제품 제조업체 또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한 신뢰에 달려 있기 때문에 신용 제품이라고 한다.[27]
일부 서비스는 많은 탐색 속성을 가질 수 있지만, 대부분의 서비스는 경험 또는 신용 속성이 높다.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의 인지된 위험은 탐색-경험-신용 연속체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28] 이는 서비스가 소비자 구매 결정 과정에서 정보 검색 활동에 더 많은 투자를 하는 고관여 결정인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5. 2. 서비스 구매 결정 시 위험 인식 및 위험 감소
소비자 행동에서, 지각된 위험은 제품과 서비스 구매 결정 모두와 관련이 있다. 마케터와 경제학자들은 지각된 구매 위험이 경험재와 신용재에서 더 높으며, 이는 소비자 평가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29] 지각된 위험은 소비자의 의사 결정 과정 중 구매 전 단계에서 정보 검색을 유도하며, 서비스 소비자는 이러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정보 획득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위험 인식은 "부정적인 결과의 발생 가능성(불확실성)과 개인에게 이러한 결과가 미치는 중요성 정도에 대한 소비자의 판단에 근거한 인식 또는 느낌"으로 정의된다.[30] 따라서 구매 전 위험은 불확실성(발생 가능성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 평가)과 결과(잘못된 구매 결정을 내린 경우 개인에게 미치는 결과의 심각성) 두 가지 차원의 함수이다.
예를 들어, 항공 여행의 경우 항공기 사고에 연루될 확률은 낮지만(낮은 불확실성),[31] 사고 발생 시 결과는 매우 심각하다(높은 결과). 소비자들은 종종 항공 여행에 대해 불안해한다.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위험은 낮지만, 서비스 실패 시 결과의 심각성은 높다. 소비자는 불확실성과 결과를 비교하여 전반적인 위험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내린다.
높아진 위험 인식은 정보 검색 과정을 유도하며, 위험 회피적인 소비자는 구매 전 정보 획득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는다. 일반적인 위험 완화 전략에는 입소문 추천,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 의존, 제조업체 사양 읽기, 제한된 규모의 시도, 보증 등이 있다.[32]
서비스 환경에서 특히 관련된 위험 완화자는 다음과 같다:[32][33]
고가 유지: 위험 회피적인 소비자는 높은 가격을 품질의 지표로 사용하므로, 서비스 환경에서는 명성 가격 또는 프리미엄 가격 책정 전략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제한된 규모의 시도: 헤어스타일, 성형 수술 시각화를 위한 컴퓨터 지원 설계나 소프트웨어 시험 운전과 같이 가상 시도를 제공한다.
제품 및 배송 표준화:맥도날드식 접근법이라고도 하며, 생산 라인 기술을 사용하여 표준을 제어함으로써 변화를 최소화한다. 표준화, 때로는 맥도날드식 접근법이라고도 하는데, 소비자가 알려진 제품과 품질에 의존할 수 있기 때문에 지각된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단, 고객의 높은 수준의 유연성과 맞춤화 기대를 고려해야 한다.
알려지거나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에서 구매: 서비스 소비자는 품질의 지표로 알려진 평판이 좋은 브랜드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서비스 제공자는 관계 마케팅에 참여할 기회가 더 많다.
5. 3. 수요와 공급 관리
서비스 운영은 수요 흐름과 관련하여 많은 불확실성을 가지며, 이는 서비스 기업이 '수용 능력 제약'을 겪는 주요 원인이다.[34] 서비스 수용 능력은 직원 수와 서비스 환경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직원 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연락 담당자 수에 의해, 서비스 환경은 레스토랑, 호텔, 대중교통 등의 물리적 공간에 의해 제한된다.[34]
수요는 장기 수요 패턴, 단기 계절적 변동, 불규칙한 영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35] 장기 수요 패턴은 제품 수명 주기와 관련이 있으며, 계절적 요인은 관광 리조트의 성수기/비수기, 영업일, 휴가 기간 등 예측 가능한 변동을 포함한다. 불규칙한 변동은 악천후로 인한 공항 폐쇄,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인한 수요 급증 등 예측하기 어려운 단기적 변동이다.[35]
서비스 관리자는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36] 수용 능력 관리 전략에는 수용 능력 추가, 내부 공간 재구성, 고객의 생산성 참여 유도, 원거리 거래, 제3자 사용, 수용 능력 공유 등이 있다.[34]맥도날드와 같은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서는 고객이 직접 테이블을 청소하고 쓰레기를 처리하도록 하여 직원이 핵심 서비스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34]맥도날드 레스토랑에서처럼 고객이 직접 테이블을 청소하고 쓰레기를 처리하도록 하면 직원이 핵심 서비스 활동에 집중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전략에는 다양한 수요 패턴을 가진 시장 세분화, 비수기용 혁신적 제품 개발, 효율 기반 가격 책정, 예약 시스템 활용, 대기 시스템 사용, 수요 형성 등이 있다.[37] 호텔과 항공사는 예약 시스템을 통해 수요를 관리하고, 수익 관리를 통해 가격을 조정한다.[37]호텔과 레스토랑은 컴퓨터 예약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요와 공급을 관리한다.
수요가 수용 능력을 초과하면 서비스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과도한 혼잡과 긴 대기열은 고객 경험을 저해하고 직원에게 스트레스를 준다. 반대로 수용 능력이 과잉되면 자원 낭비가 발생한다.
대기열 관리는 수요와 공급 관리의 중요한 부분이다. 러브록(Lovelock)은 단일 대기열/단일 서버, 병렬 대기열/다중 서버, 스네이크 큐, 번호표 뽑기 등 다양한 유형의 대기열 시스템을 제시했다.[38]
|thumb|대기열의 다른 유형들]]
단일 대기열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며, 병렬 대기열은 여러 서비스 스테이션이 있을 때 유용하지만 대기열 간 속도 차이로 인해 불공평하다는 인식을 줄 수 있다. 스네이크 큐는 선착순 서비스를 보장하며, 번호표 뽑기 시스템은 고객이 대기 시간 동안 자유롭게 다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38] 병원 응급실에서는 트리아지를 통해 환자 우선순위를 결정한다.[38]
6. 서비스 마케팅 믹스 (7P)
서비스는 상품과 근본적으로 다르며, 서비스 마케팅은 고객에게 서비스를 마케팅하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 다른 모델이 필요하다는 통찰력에 기반하여 서비스에 서로 다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9]마케팅의 기본 개념인 "마케팅 믹스"(또는 '4P')는 1960년대부터 소위 관리적 접근 방식을 정의해 왔으며, "기업이 목표 시장에서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마케팅 도구의 집합"을 의미한다.[40] 전통적인 마케팅 믹스는 제품, 가격, 프로모션, 유통의 네 가지 광범위한 마케팅 결정 수준을 말한다.[41][42]
서비스 마케팅의 7P
서비스 마케팅을 위한 마케팅 믹스를 확장하고 수정하는 방안은 1981년 처음 열린 서비스 마케팅에 관한 AMA 컨퍼런스에서 시작되었으며, 4P 개념의 많은 중요한 한계를 지적하는 이전의 이론적 연구를 기반으로 했다.[43] 이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종합해 보면, 서비스 마케터들은 서비스가 제품과 근본적으로 다르므로 다른 도구와 전략이 필요하다는 이해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마케팅 믹스를 수정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었다. 1981년 서비스 마케팅 컨퍼런스에서 붐스(Booms)와 비트너(Bitner)는 기존의 4P에 '프로세스(Process)', '사람(People)', '물리적 증거(Physical Evidence)'를 더한 7P 모델을 서비스 마케팅에 더 적합하다고 제안했다.[44] 이후 서비스 마케팅 믹스에 대한 다양한 제안이 있었으며 (6P, 7P, 8P, 9P, 심지어 그 이상의 P가 포함된 경우도 있다). 7P 모델은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일부 이론가들은 붐스와 비트너가 제안한 7P 프레임워크를 4P를 대체하여 제품에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기에 이르렀다.[45]
서비스를 위한 확장된 마케팅 믹스는 단순히 세 개의 P를 추가하는 것 이상이다. 오히려 서비스에 더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제품, 가격, 유통, 프로모션이라는 전통적인 믹스를 수정하는 것도 포함한다. 현대 서비스 마케팅 텍스트는 '7P' 또는 '8P'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다. 7P는 기존의 4P에 '프로세스', '사람', '물리적 환경'을 더한 것이다.[55] '8P' 프레임워크는 7P에 서비스 [수행] 또는 서비스 [품질]의 기준을 의미하는 '성과'를 더한 것이다.[56] 제품 (Product)서비스 제품은 유형 및 무형 요소의 묶음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개념화된다.[46]
전체 서비스 제품 개념 시각화
'''핵심 서비스:''' 사업의 기본적인 이유, 즉 소비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보조 상품 및 서비스:''' 핵심 제품을 보완하거나 가치를 더하고, 경쟁사와 차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 컨설팅, 안전 보관, 접대, 예외 처리)
'''지원 서비스'''(때로는 '''전달 서비스'''라고도 함): 핵심 서비스의 제공 및 소비를 용이하게 한다. (제공에 필수적임) (예: 정보 제공, 주문 접수, 청구, 결제 방법)
'''지원 서비스''': 핵심을 지원하며 핵심을 불안정하게 만들지 않고도 제거할 수 있다.
보조 서비스와 지원 서비스의 구분은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커피와 차를 제공하는 것은 은행에서는 지원 서비스로 간주되지만, B&B 시설에서는 지원 서비스로 간주된다. 요소가 지원 서비스로 분류될지 지원 서비스로 분류될지는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가격 (Price)서비스 마케터는 가격 책정 및 가격 관리에 있어 다양한 다른 문제들을 고려해야 한다.
'''청구 가격:''' 전통적인 가격 책정 결정.
'''지불 시기:''' 고객이 서비스 과정의 일부이며 일부 고객은 며칠, 몇 달 또는 심지어 몇 년 동안(예: 게스트 하우스, 호텔 숙박, 대학교 등록금) 과정에 남아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서비스 이용이 시작될 때, 이용 중 또는 이용 종료 시점에 요금을 청구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보증금, 할부금, 출금 수수료 등 모든 옵션을 고려할 수 있다.
'''지불 방식:''' 고객이 서비스 제공자와 장기적인 관계를 맺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일부 고객은 외상으로 지불할 수 있기를 기대할 수 있다. 지불 옵션에는 EFTPOS(전자 자금 이체 시스템), 직접 이체, 현금/신용 수표, 송장 등이 있다.
많은 서비스 기업들은 가격이 전문적인 행동 강령이나 정부의 영향에 의해 제한되는 산업에서 운영되며, 이는 가격 책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세 가지 광범위한 시나리오를 식별할 수 있다.
서비스가 어떤 유형의 공공 규제의 대상이 되는 상황에서, 정부 부처는 부과될 수 있는 금액을 효과적으로 제한하는 가격 상한을 설정할 수 있다.
"사회적 가격"의 개념은 서비스 마케터에게 더 중요할 수 있다. 사회적 가격은 "가격의 비금전적 측면"을 의미한다. 파인(Fine)은 사회적 가격의 네 가지 유형으로 시간, 노력, 라이프스타일 및 심리를 식별한다. 사실, 이것은 소비자가 서비스 소비와 관련된 기회 비용을 더 예민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이것은 서비스 소비자가 더욱 고조된 ''시간적 위험''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마케팅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가격 책정 전술은 다음과 같다.
높거나 낮은 차별적 가격 책정
유연한 가격 책정
전환 가격 책정
상쇄 가격 책정
보장 가격 책정
미끼 상품 가격 책정
할인 가격 책정
유통 (Place)서비스 마케팅에서 유통(Place) 관련 의사 결정을 내릴 때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고려해야 한다.[50][51][52]
유통 목적: 대량 유통, 선택적 유통, 전속 유통 중 어떤 방식을 택할 것인가?
유통 채널 단계 수: 직접 유통을 할 것인가, 복수 마케팅을 할 것인가, 입지는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중간 유통업자: 대리점과 재판매업자 중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중개인 및 기타 당사자는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대리 소비자는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53][54]
6. 1. 제품 (Product)
서비스 제품은 유형 및 무형 요소의 묶음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개념화된다.[46]
'''핵심 서비스:''' 사업의 기본적인 이유, 즉 소비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보조 상품 및 서비스:''' 핵심 제품을 보완하거나 가치를 더하고, 경쟁사와 차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 컨설팅, 안전 보관, 접대, 예외 처리)
'''지원 서비스'''(때로는 '''전달 서비스'''라고도 함): 핵심 서비스의 제공 및 소비를 용이하게 한다. (제공에 필수적임) (예: 정보 제공, 주문 접수, 청구, 결제 방법)
'''지원 서비스''': 핵심을 지원하며 핵심을 불안정하게 만들지 않고도 제거할 수 있다.
보조 서비스와 지원 서비스의 구분은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커피와 차를 제공하는 것은 은행에서는 지원 서비스로 간주되지만, B&B 시설에서는 지원 서비스로 간주된다. 요소가 지원 서비스로 분류될지 지원 서비스로 분류될지는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6. 2. 가격 (Price)
서비스 마케터는 가격 책정 및 가격 관리에 있어 다양한 다른 문제들을 고려해야 한다.
'''청구 가격:''' 전통적인 가격 책정 결정.
'''지불 시기:''' 고객이 서비스 과정의 일부이며 일부 고객은 며칠, 몇 달 또는 심지어 몇 년 동안(예: 게스트 하우스, 호텔 숙박, 대학교 등록금) 과정에 남아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서비스 이용이 시작될 때, 이용 중 또는 이용 종료 시점에 요금을 청구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보증금, 할부금, 출금 수수료 등 모든 옵션을 고려할 수 있다.
'''지불 방식:''' 고객이 서비스 제공자와 장기적인 관계를 맺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일부 고객은 외상으로 지불할 수 있기를 기대할 수 있다. 지불 옵션에는 EFTPOS(전자 자금 이체 시스템), 직접 이체, 현금/신용 수표, 송장 등이 있다.
많은 서비스 기업들은 가격이 전문적인 행동 강령이나 정부의 영향에 의해 제한되는 산업에서 운영되며, 이는 가격 책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세 가지 광범위한 시나리오를 식별할 수 있다.
서비스가 어떤 유형의 공공 규제의 대상이 되는 상황에서, 정부 부처는 부과될 수 있는 금액을 효과적으로 제한하는 가격 상한을 설정할 수 있다.
"사회적 가격"의 개념은 서비스 마케터에게 더 중요할 수 있다. 사회적 가격은 "가격의 비금전적 측면"을 의미한다. 파인(Fine)은 사회적 가격의 네 가지 유형으로 시간, 노력, 라이프스타일 및 심리를 식별한다. 사실, 이것은 소비자가 서비스 소비와 관련된 기회 비용을 더 예민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이것은 서비스 소비자가 더욱 고조된 ''시간적 위험''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마케팅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가격 책정 전술은 다음과 같다.
높거나 낮은 차별적 가격 책정
유연한 가격 책정
전환 가격 책정
상쇄 가격 책정
보장 가격 책정
미끼 상품 가격 책정
할인 가격 책정
6. 3. 유통 (Place)
서비스 마케팅에서 유통(Place) 관련 의사 결정을 내릴 때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고려해야 한다.[50][51][52]
유통 목적: 대량 유통, 선택적 유통, 전속 유통 중 어떤 방식을 택할 것인가?
유통 채널 단계 수: 직접 유통을 할 것인가, 복수 마케팅을 할 것인가, 입지는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중간 유통업자: 대리점과 재판매업자 중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중개인 및 기타 당사자는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대리 소비자는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53][54]
6. 4. 프로모션 (Promotion)
6. 5. 프로세스 (Process)
고객은 서비스 기업에 들어서면서 프로세스에 참여하며, 준(準) 직원, 즉 부분적인 생산자가 된다. 이 과정에서 고객은 직원의 관점에서 조직을 볼 기회를 얻는다.[71] 제조업에 비유하면, 고객은 '미완성품', 즉 결함이 있는 제품을 검사할 수 있으며, 생산 시스템의 결함은 고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고객과 직원 간의 상호작용은 서비스 경험의 일부가 되며, 이는 서비스 품질과 생산성에 영향을 준다. 고객과 직원 모두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교육받아야 한다. 서비스 전달 프로세스 관리는 단순한 관리 문제가 아니며, 고객이 시스템에 존재한다는 것은 서비스 프로세스가 마케팅 문제로 취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71]
가상의 패스트푸드 매장의 서비스 청사진
서비스 청사진은 고객의 관점에서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프로세스 차트이다.[71] 서비스 청사진은 주요 접촉 지점과 접촉의 성격(물리적 증거, 인력 또는 절차)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시각적인 맵이다. 가로축은 시간을, 세로축은 프로세스의 기본 단계를 나타내는 2차원 맵으로, 고객에게 보이는 작업과 보이지 않는 작업을 구분하는 가시성 라인이 포함된다. 직원 재량은 그림에 표시된 단계에 부착된 콜 아웃 기호로 맵에 표시된다. 프로세스 복잡성은 프로세스의 단계 수로 표시된다.[71]
서비스 청사진은 운영 비효율성과 잠재적인 문제점(예: 실패 지점 및 병목 현상)을 감지하는 진단 도구로 사용된다.[73][74][75] 청사진 프로세스에서 결함이 발견되면, 경영진은 프로세스의 중요한 단계에 대한 운영 표준을 개발할 수 있다.[76][77]
서비스 청사진을 해석할 때 복잡성과 발산이라는 두 가지 기본 고려 사항이 있다. ''복잡성''은 서비스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단계의 수와 복잡성을 의미한다. ''발산''은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 내에서 허용되는 재량, 자유, 판단, 가변성 또는 상황 적응의 정도를 의미한다.[71]
청사진 다이어그램 조작에는 더 많은 단계를 추가하여 복잡성을 높이거나, 직원이 각 단계를 변경할 수 있는 더 큰 재량을 허용하여 발산을 증가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개별 고객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단계를 변경할 수 있는 직원의 높은 수준의 재량을 포함하는 서비스는 맞춤화로 이동하고 있다. 각 단계를 표준화하여 발산을 줄이면 복잡성이 추가되지만, 서비스 프로세스 설계에 대한 생산 라인 접근 방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복잡성과 발산을 조작하여 네 가지 포지셔닝 전략(복잡성 감소, 발산 감소, 복잡성 증가, 발산 증가)을 상상할 수 있다.[78]
고객이 속을 선택하면서 '서브웨이 셔플'을 하고 있다. 서브웨이는 간소화된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도록 매장을 설계했다.
서브웨이 샌드위치 바는 사업체가 프로세스 설계와 서비스스케이프를 고객의 매장 내 경험에 통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많은 패스트푸드 레스토랑과 마찬가지로 서브웨이는 고객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경주''를 사용한다. 눈에 잘 띄는 '입구' 및 '출구' 표지판은 원하는 교통 흐름의 방향을 강화한다. 고객은 줄을 서서 기다리는 동안 머리 위의 백라이트 메뉴를 볼 수 있어 주문 처리 속도를 높이고 병목 현상을 줄인다. 다른 표지판은 고객에게 서브웨이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유리 카운터 뒤에 음식을 배치하면 고객이 계산대를 향해 이동하면서 특정 순서로 선호도를 선택해야 하므로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호주에서는 서브웨이 고객의 독특한 움직임이 '서브웨이 셔플'로 불린다.[79][80] 서브웨이의 매장 디자인과 레이아웃은 맞춤화, 대량 운영(빠른 회전율) 및 운영 효율성의 목표를 강화한다.
6. 6. 사람 (People)
"사람" 차원은 서비스 접촉에 참여하는 인적 요인, 즉 직원과 고객을 의미한다.[81] 많은 서비스 마케터에게 있어, 인간의 상호 작용은 서비스 경험의 핵심을 구성한다.[82] 서비스 직원은 회사의 "얼굴"이며 고객에게 회사의 가치를 대표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고객은 사업의 이유이고 수익의 원천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서비스 회사는 고객 간의 상호 작용과 직원과 고객 간의 상호 작용을 관리해야 한다.[83] 학자들은 서비스 환경에서 고객과 회사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서비스-수익 사슬의 개념을 개발했다.[84] 전략적으로, 서비스 직원은 차별화의 원천이다.[85]
직원은 고객과 상호 작용하여 조직을 외부 환경과 연결하고, 조직에 정보를 다시 전달하기 때문에 "경계 확장 역할"을 한다.[86][87] 경계 확장자로서, 최전선 직원은 그 역할과 관련된 다양한 스트레스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연구에 따르면 감정 노동은 직무 관련 스트레스, 소진, 직무 불만족 및 철수를 포함하여 직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스트레스 요인이 치료되지 않으면 사기에 매우 해로울 수 있다.
서비스 접촉에서 고객과 직원의 행동을 관리하는 것은 어렵다. 일관된 행동을 처방할 수는 없다. 그러나 미묘하고 간접적인 방식으로 육성할 수 있다.[88] 채용 및 교육은 서비스 회사가 "올바른" 사람을 고용하도록 돕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마케팅 이론가들에게 서비스는 연극과 유사하다. 이러한 비유는 ''극적 관점''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비유에서 서비스 직원은 ''배우'', 고객은 ''관객''이며, 유니폼은 ''의상''이다. 작업 환경은 ''무대''(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구역은 프론트 스테이지, 고객의 출입이 제한되는 구역은 ''백 스테이지'')이며, 서비스 프로세스의 개별 단계는 ''장면''이며, 마지막으로 발생하는 말과 행동은 ''공연''을 나타낸다.[89][90]
웨이터가 서비스 제공에 연극적인 요소를 추가한다.
극적 관점은 특정 서비스 상황에서 적절할 수 있다.
높은 접촉 서비스[91]
스포츠 경기장, 교육 기관 등 대규모 관중이 있는 서비스[92]
극적 관점에 의해 생성된 관리적 통찰력은 다음과 같다.[93]
서비스를 제조 상품과 차별화하여 서비스 공연을 설명하고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와 어휘를 제공한다.
서비스 업무를 숙련된 공연으로 정당화하여 서비스 업무가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노력임을 인식한다.
서비스 작업자에게 역할 관련 스트레스 요인을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자신이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함으로써 어려운 고객과의 교류 등에 의해 개인적으로 덜 영향을 받음).
채용 및 교육에 대한 관리적 관심을 집중한다. 즉, 필요한 기술을 가진 사람을 채용하고 배우로 훈련시킨다.
관리자가 무대 연출 기술(각본, 연출, 장면, 의상 및 역할)에 대해 생각하도록 한다.
감정 노동을 수행하도록 요청받았을 때, 직원은 다음 두 가지 접근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94]
:''심층 연기'': 서비스 직원은 서비스 환경을 평가하고 처음부터 감정을 실제로 변화시켜 내면의 감정을 조절한다.
:''표면 연기'': 서비스 직원은 규칙 및 정책과 일치하는 감정 표현을 표현하는 척한다.
일부 증거에 따르면 역할에 완전히 몰입하고 심층 연기에 참여할 수 있는 직원은 역할 관련 스트레스에 더 강하다. 또한 심층 연기는 종종 더 진정성 있게 보이고, 표면 연기는 부자연스럽고 가짜로 보일 수 있다.[95] 서비스 업무는 본질적으로 직원에게 스트레스가 많다. 관리자는 직원이 역할 관련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6. 7. 물리적 증거 (Physical Evidence)
서비스는 무형적이기 때문에 소비자는 서비스 품질을 평가할 때 유형적인 증거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57] 따라서 서비스 마케터는 서비스 환경의 모든 요소, 즉 고객의 오감(후각, 미각, 청각, 시각, 촉각)에 영향을 미치는 유형적 증거를 관리해야 한다.[57] 이론가들은 유형적 증거를 주변 증거와 본질적인 증거 두 가지 유형으로 식별한다.[58]
신용 카드는 서비스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으면 독립적인 가치가 없다. 신용 카드는 주변 증거의 한 유형이다.
주변 증거는 실제로 서비스 구매의 일부로 소유되지만 서비스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으면 독립적인 가치가 없다. 예를 들어 수표, 신용 카드, 입장권, 호텔 문구 등이 있다.[58] 본질적인 증거는 주변 증거와 달리 고객이 소유할 수 없다. 건물 및 가구, 레이아웃, 장비, 사람 등과 같은 분위기 또는 이미지에 기여한다.[58]
서비스 환경 연구는 자극-유기체-반응(SOR) 모델, 환경 심리학, 기호학 및 서비스 환경을 포함한 다양한 이론적 전통을 활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7. 서비스 품질 (Performance)
연구자와 실무자들 사이에서 서비스 품질은 정의하고 측정하기 어려운, 파악하기 힘든 추상적인 개념이라는 광범위한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96] 서비스 품질은 다차원적인 구조로 여겨지지만, 구체적인 차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의견 일치가 거의 없다. 실제로 일부 연구자들은 서비스 품질의 차원은 산업마다 다를 수 있으며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차원 집합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97]
서비스 마케팅 문헌에서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북유럽 학파, 격차 모델(일명 '미국 모델') 및 성과 중심 접근 방식을 포함한 여러 가지 이론적 전통이 존재한다.
=== 서비스 품질 모델 ===
노르딕 학파는 서비스 품질을 정의하고 측정하려는 초기 시도 중 하나였다. 이 학파는 서비스 품질을 기술적 품질(무엇이 제공되었는가)과 기능적 품질(어떻게 제공되었는가)의 두 가지 광범위한 차원으로 개념화했다.[98] 기술적 차원은 일반적으로 측정할 수 있지만, 기능적 차원은 고객마다 다른 주관적인 해석 때문에 측정하기 어렵다.[99]
서비스 품질 모델
서비스 품질 모델(일반적으로 ''갭 모델'')은 1980년대 중후반에 파라서라만, 제이탐, 베리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서비스 품질 문제를 식별하고 그 원인을 진단하는 데 지배적인 접근 방식이 되었다.[100][101] 이 접근 방식은 서비스 품질을 소비자가 앞으로 경험할 서비스에 대한 기대와 실제 경험에 대한 인식 간의 격차로 개념화한다.[102] 따라서 서비스 품질은 다음 방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103]
'''SQ = P − E'''
: 여기서
: '''SQ'''는 서비스 품질
: '''P'''는 특정 서비스 제공에 대한 개인의 인식
: '''E'''는 특정 서비스 제공에 대한 개인의 기대
서비스 품질의 5가지 차원
이 모델의 개발자들은 서비스 품질 문제의 크기와 방향을 측정하기 위해 SERVQUAL이라는 연구 도구를 고안했다.[107] 이 설문지는 서비스 품질의 5가지 차원(신뢰성, 확신, 유형성, 공감, 대응성)을 파악하도록 설계된 다차원 도구이다. 설문지는 일치하는 항목 쌍(22개의 기대 항목과 22개의 인식 항목)으로 구성되며, 5가지 차원으로 구성된다. 설문지의 기대 구성 요소와 인식 구성 요소는 모두 총 2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며, 유형성을 포착하는 4개의 항목, 신뢰성을 포착하는 5개의 항목, 대응성을 위한 4개의 항목, 확신을 위한 5개의 항목, 공감을 포착하는 5개의 항목으로 구성된다.[108]
SERVQUAL 설문지 차원 및 항목 요약[109]
차원
정의
설문지 항목 수
설문지 항목 예시
신뢰성
약속한 서비스를 믿을 수 있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능력
5
확신
직원의 지식과 예의, 그리고 신뢰와 자신감을 전달하는 능력
5
유형성
물리적 시설, 장비, 인력 및 커뮤니케이션 자료의 외관
4
공감
고객에게 배려하고 개별화된 관심을 제공
5
대응성
고객을 돕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의지
4
크로닌과 테일러는 지각된 성과만을 기반으로 한 척도(SERVPERF)를 SERVQUAL의 대안으로 개발했다.[110] SERVPERF 사용 결과는 SERVQUAL과 잘 상관관계가 있다.[111] 이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SQ = P'''
: 여기서;
: '''SQ'''는 서비스 품질을 나타낸다.
: '''P'''는 개인이 주어진 서비스 제공에 대해 지각하는 것을 나타낸다.
SERVPERF는 여러 장점이 있지만, SERVQUAL에 비해 진단적 가치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12][113]
같이 보기:SERVQUAL
7. 1. 서비스 품질 모델
노르딕 학파는 서비스 품질을 정의하고 측정하려는 초기 시도 중 하나였다. 이 학파는 서비스 품질을 기술적 품질(무엇이 제공되었는가)과 기능적 품질(어떻게 제공되었는가)의 두 가지 광범위한 차원으로 개념화했다.[98] 기술적 차원은 일반적으로 측정할 수 있지만, 기능적 차원은 고객마다 다른 주관적인 해석 때문에 측정하기 어렵다.[99]
서비스 품질 모델(일반적으로 ''갭 모델'')은 1980년대 중후반에 파라서라만, 제이탐, 베리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서비스 품질 문제를 식별하고 그 원인을 진단하는 데 지배적인 접근 방식이 되었다.[100][101] 이 접근 방식은 서비스 품질을 소비자가 앞으로 경험할 서비스에 대한 기대와 실제 경험에 대한 인식 간의 격차로 개념화한다.[102] 따라서 서비스 품질은 다음 방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103]
'''SQ = P − E'''
: 여기서
: '''SQ'''는 서비스 품질
: '''P'''는 특정 서비스 제공에 대한 개인의 인식
: '''E'''는 특정 서비스 제공에 대한 개인의 기대
이 모델의 개발자들은 서비스 품질 문제의 크기와 방향을 측정하기 위해 SERVQUAL이라는 연구 도구를 고안했다.[107] 이 설문지는 서비스 품질의 5가지 차원(신뢰성, 확신, 유형성, 공감, 대응성)을 파악하도록 설계된 다차원 도구이다. 설문지는 일치하는 항목 쌍(22개의 기대 항목과 22개의 인식 항목)으로 구성되며, 5가지 차원으로 구성된다. 설문지의 기대 구성 요소와 인식 구성 요소는 모두 총 2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며, 유형성을 포착하는 4개의 항목, 신뢰성을 포착하는 5개의 항목, 대응성을 위한 4개의 항목, 확신을 위한 5개의 항목, 공감을 포착하는 5개의 항목으로 구성된다.[108]
SERVQUAL 설문지 차원 및 항목 요약[109]
차원
정의
설문지 항목 수
설문지 항목 예시
신뢰성
약속한 서비스를 믿을 수 있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능력
5
확신
직원의 지식과 예의, 그리고 신뢰와 자신감을 전달하는 능력
5
유형성
물리적 시설, 장비, 인력 및 커뮤니케이션 자료의 외관
4
공감
고객에게 배려하고 개별화된 관심을 제공
5
대응성
고객을 돕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의지
4
크로닌과 테일러는 지각된 성과만을 기반으로 한 척도(SERVPERF)를 SERVQUAL의 대안으로 개발했다.[110] SERVPERF 사용 결과는 SERVQUAL과 잘 상관관계가 있다.[111] 이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SQ = P'''
: 여기서;
: '''SQ'''는 서비스 품질을 나타낸다.
: '''P'''는 개인이 주어진 서비스 제공에 대해 지각하는 것을 나타낸다.
SERVPERF는 여러 장점이 있지만, SERVQUAL에 비해 진단적 가치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12][113]
같이 보기:SERVQUAL
8. 서비스 지배 논리 (Service-Dominant Logic, SDL)
서비스 지배 논리(SDL)는 마케팅, 특히 재화와 서비스의 구분, 고객 가치와 가치 창출 과정을 새롭게 생각하는 방식이다.[114] 바고와 러쉬는 서비스 지배 논리가 일상적인 마케팅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이론으로 출판되도록 의도하지 않았다. 대신, 재화와 서비스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경험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가설 대신 "기초 명제"를 제시했다. 원본 논문에는 8개의 명제가 제시되었으며,[114] 이후 2개가 추가되어 총 10개의 명제를 제시했다.[115]
서비스 지배 논리는 통합된 마케팅 이론을 제시하며, 기존의 재화/서비스 이분법을 극복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116] 이는 마케팅의 핵심 프레임워크인 4P를 대체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많은 학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서비스 지배 논리는 혁신적인 공동 생산 및 공동 창조를 통해 경쟁할 것을 강조한다.[117] 인터넷의 발달로 소비자들이 제조업체 및 서비스 제공업체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게 되면서, 기업들은 공동 생산 및 공동 창조를 위한 혁신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고객 공동 창조는 소셜 공유 웹 사이트의 기본 개념이 되었으며, 많은 기업들이 고객 환경에서 제품을 테스트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서비스 지배 논리는 학계의 연구 우선 순위에도 영향을 미쳤다.[118] 연구자들은 고객의 가치 창출을 이해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공급업체를 고객의 소비 프로세스에 참여시키는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다.[118] 또한, 개인화된 고객 경험,[119] 자원 통합,[120] 생산성 향상 및 서비스 표준화를 위한 IT 활용도 개선 등이 연구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9. 한국 서비스 마케팅의 특징과 과제 (한국적 관점 추가)
10. 결론
참조
[1]
서적
Services Marketing: People, Technology, Strategy
Prentice Hall
2011
[2]
논문
The Impact of Mood on Customer Behavior: Staff Mood and Environmental Factors
2013
[3]
서적
The Wealth of Nations
1776
[4]
서적
Principles of Economics
Macmillan
1920
[5]
서적
Principles of a Political Economy
J.W. Parker
1852
[6]
논문
Implementing the Marketing Concept: From Service and Values to Lean Consumption
2006
[7]
논문
Rationalizing Service Logic, or Understanding Services as Experience?
2006
[8]
서적
The Coming of a Post-Industrial Economy
Basic Books
1973
[9]
서적
Sleepers Wake! Technology and the Future of W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0]
논문
Building a New Academic Field: The Case of Services Marketing
1993
[11]
논문
The Dynamics and Evolution of the Service Marketing Literature: 1993–2003
2006
[12]
간행물
The Evolution of Services: Building a Multi-disciplinary Field
http://www.ifm.eng.c[...]
2007
[13]
논문
What is Meant By Services?
1966-10
[14]
간행물
On Defining Service
1983
[15]
서적
Managing Services Marketing
Dryden
1992
[16]
서적
Services Marketing
Mc Graw-Hill
1996
[17]
서적
Services Marketing: An Asia-Pacific Perspective
Pearson Education Australia
2007
[18]
서적
Exit Services Marketing- Enter Service
Butterworth-Heinemann
2008
[19]
논문
Whither Services Marketing?: In Search of a New Paradigm and Fresh Perspectives
2004
[20]
서적
Services Marketing: People, Technology, Strategy
Prentice Hall
2011
[21]
논문
Problems and Strategies in Services Marketing
1985
[22]
서적
Services Marketing: People, Technology, Strategy
2010
[23]
논문
Classifying Services to Gain Strategic Insight
1983-07
[24]
서적
Services as Theater: Guidelines and Implications
Sage
2000
[25]
간행물
An Empirical Test of the Search, Experience and Credence Attributes Framework
http://acrwebsite.or[...]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26]
논문
Risk Perception and Reduction in the Purchase of Consumer Services
1993
[27]
간행물
Search Or Experience Product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Services, Durable and Non-Durable Goods
http://acrwebsite.or[...]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2001
[28]
논문
An Examination of Perceived risk, Information Search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Search, Experience and Credence Services
1999
[29]
간행물
How Consumer Evaluation Processes Differ Between Goods and Services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981
[30]
서적
Services Marketing: An Asia Pacific Perspective
Pearson
2011
[31]
간행물
Perceived Risk and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http://acrwebsite.or[...]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1975
[32]
논문
A Model of Perceived Risk and Intended Risk-Handling Activity
1994
[33]
논문
Risk Perception and Reduction in the Purchase of Consumer Services
1993
[34]
논문
Strategies for Managing Demand in Capacity -Constrained Service Organisations
1984
[35]
웹사이트
Time Series: The Basics
http://www.abs.gov.a[...]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36]
서적
Services Marketing Management
Butterworth-Heinemann
2006
[37]
논문
Productivity and Effectiveness in Service Firms
1984
[38]
서적
Services Marketing: An Asia-Pacific Perspective
Pearson Education Australia
2007
[39]
논문
Customer Satisfaction,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Differences Between Goods and Services
1997
[40]
서적
Marketing Management
Prentice Hall
2000
[41]
서적
Basic Marketing. A Managerial Approach
Irwin
[42]
논문
From Marketing Mix to Relationship Marketing: Towards a Paradigm Shift in Marketing
https://www.emerald.[...]
1994-03-01
[43]
논문
Tracking the Evolution of Services Marketing Literature
1993-04
[44]
간행물
Marketing Strategie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for Service Firms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45]
논문
Using the 7Ps as a Generic Marketing mix: An Exploratory Survey of UK and European Marketing Academics
[46]
서적
Service Marketing. Concepts, Strategies and Cases
Cengage Learning, Australia
2010
[47]
서적
The Marketing of Services
[48]
서적
Social Marketing
Allyn and Bacon
1991
[49]
서적
Service Marketing: Concepts & Practices
Tata McGraw-Hill Education
2011
[49]
서적
Marketing of Services
Lulu.com
2015
[50]
논문
Marketing Intermediaries in Channels of Distribution for Services
1976-01
[51]
논문
A Guide for New Distribution Channel Strategies for Service Firms
1986
[52]
논문
The Location of Service Outlets: An Economist's Perspective
1983
[53]
논문
Agency Relationships In Marketing
1992-07
[54]
논문
The Role of the Surrogate Consumer in Service Delivery
1987
[55]
논문
Marketing Strategies and Organization Structures for Service Firms
[56]
서적
Marketing Management
Pearson Education
[57]
논문
Breaking Free from Product Marketing
1977
[58]
간행물
How to Design a Service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981
[59]
논문
Store Atmosphere: An Environmental Psychology Approach
1982
[60]
논문
Pleasure and Arousal in the Marketplace: Interpersonal differences in approach-avoidance responses
1990
[61]
서적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MIT Press
[62]
논문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1992
[63]
간행물
Store Atmosphere: An Environmental Psychology Approach
Dryden
1991
[64]
서적
Service Marketing. Concepts, Strategies and Cases
Cengage Learning Australia
2010
[65]
서적
Services Marketing: Concepts, Strategies, & Cases
Cengage
2017
[66]
논문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1992
[67]
논문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1992
[68]
논문
Social media brand engagement in the context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the case of AIRBNB
2020-11-01
[69]
논문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1992
[70]
논문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1992
[71]
논문
Service Positioning through Structural Change
1987
[72]
간행물
Designing Services that Deliver
http://hbr.org/1984/[...]
Harvard Business Review
1984-01
[73]
서적
Managing Interactions Between Operations and Marketing and their Impact on Customers
San Francisco
1990
[74]
간행물
The Lean Service Machine
Harvard Business Review
2003
[75]
서적
Services Marketing
Mc Graw-Hill, N.Y.
1996
[76]
간행물
Lean Consumption
Harvard Business Review
2005
[77]
서적
Services Marketing: Integrating Customer Focus Across the Firm
McGraw-Hill Irwin, Boston, MA
2006
[78]
서적
How to Design a Service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Chicago. Ill
1981
[79]
뉴스
Campaign News
https://gotothesourc[...]
AdBrief
2009-03-06
[80]
뉴스
Daily Round-Up
http://www.adnews.co[...]
AdNews
2009-02-13
[81]
서적
Services Marketing: Concepts, Strategies and Cases (Asia-Pacific ed.)
Cengage
2010
[82]
서적
Managing Services Marketing: Text, Cases and Readings
Dryden, Orlando, Fl
null
[83]
서적
Services Marketing: Integrating Customer Focus Across the Firm
McGraw-Hill, New York
2013
[84]
논문
Employee satisfaction, customer loyalty, and financial performance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ervice profit chain in retail banking
1998
[85]
서적
Services Marketing: Concepts, Strategies, & Cases
Cengage, Boston, MA
null
[86]
서적
Managing Services Marketing: Text, Cases & Readings
Dryden, Orlando, Fl
null
[87]
서적
Boundary Spanning Role Employees and the Service Encounter
Lexington Books
1985
[88]
논문
We the People: The Importance of Employees in the Process of Building Customer Experience
null
[89]
서적
Services as Theater: Guidelines and Implications
Sage, Thousand Oaks, CA
2000
[90]
간행물
The Service Experience As Theater
http://acrwebsite.or[...]
null
[91]
서적
Impression Management in Services Marketing: A Dramaturgical Perspectiv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Hillsdale, NJ
null
[92]
논문
A dramaturgical analysis of the service encounter in higher education
2008
[93]
서적
Pretending and Dissembling: The Act of Service
Palgrave Macmillan
2008
[94]
서적
Services Marketing: Text and Cases
Dorling Kindersley, India
null
[95]
논문
Emotional Labor Strategies And Service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Creativity
2013
[96]
간행물
Quality counts in services, too
1985-05
[97]
논문
SERVQUAL Dimensionality: An investigation of presentation order effect
null
[98]
웹사이트
A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Marketing Implications
https://www.emerald.[...]
1984-04-01
[99]
서적
Service Management and Marketing: Managing the Moments of Truth in Service Competition
Lexington Books, Lexington, Mass
1990
[100]
논문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1988
[101]
논문
A Review of Twenty Years of SERVQUAL Research
null
[102]
서적
Delivering Service Quality: Balancing Customer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The Free Press, N.Y.
1990
[103]
논문
Communication and Control Processes in the Delivery of Service Quality
1988
[104]
논문
SERVQUAL Revisited: A Critical Review of Service Quality
1996
[105]
논문
A review of twenty years of SERVQUAL research
null
[106]
논문
"10 Years of Service Quality Measurement: Reviewing the use of the SERVQUAL Instrument"
[107]
논문
"Refinement and Reassessment of the SERVQUAL scale"
1991
[108]
논문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1988
[109]
서적
Delivering Service Quality: Balancing Customer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The Free Press
1990
[110]
논문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1992
[111]
논문
"SERVPERF versus SERVQUAL: Reconciling performance based and perceptions-minus-expectations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1994-01
[112]
논문
"SERVPERF versus SERVQUAL: A Marketing Management Dilemma when Assessing Service Quality"
1994
[113]
논문
"The Validity of the SERVQUAL and SERVPERF Scales: A Meta‐analytic View of 17 years of Research across Five Continents"
2007
[114]
논문
"Evolving to a New Dominant Logic for Marketing"
2004
[115]
논문
"Service-dominant Logic: Continuing the Evolution"
2008
[116]
서적
"Exit Services Marketing- Enter Service Marketing"
Butterworth-Heinemann
2008
[117]
논문
"Co-opting Customer Competence"
2000
[118]
논문
"Customer Integration and Value Creation: Paradigmatic Traps and Perspectives"
2008
[119]
논문
"Competing through Service: Insights from Service-dominant Logic"
2007
[120]
논문
"Consumers as Resource Integrators"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