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는 2007년 굿 프렌즈와 진서울 FC의 합병으로 창단된 대한민국의 축구 클럽이다. K3리그에서 시작하여 2007년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하고 2020년부터 K4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서울특별시를 연고로 하며, 마들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 - 효창운동장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 규격 축구 경기장인 효창운동장은 1959년 건립되었으며, 효창공원 내 묘역 이장 논란과 1962년 월드컵 예선 등의 주요 경기를 개최했으나 현재는 육상 트랙이 설치되어 있다.
  •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 - 노원마들스타디움
    노원마들스타디움은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지하철 7호선 중계역과 버스 노선을 통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용이한 스포츠 시설이다.
  • K4리그 구단 - 전주시민축구단
    전주시민축구단은 전주시를 연고로 K3리그와 K4리그 등에서 활동하며 전주월드컵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축구단으로, U-18, U-15, U-12 팀도 운영하며 지역 사회와 소통하는 열정적인 팬덤을 보유하고 있다.
  • K4리그 구단 - 진주시민축구단
    진주시민축구단은 2019년 창단 의사 표명 후 2020년 K4리그에 참가한 대한민국 축구단으로, K4리그에서 3위를 기록한 2020년 이후 선수단 운영 및 지역 사회와의 소통을 통해 성장하며 팬 문화 활성화와 인지도 향상에 힘쓰고 있다.
  • K3리그 (아마추어) 구단 - 청주 FC
    청주 FC는 2009년 창단되어 챌린저스리그에서 활동하다 청주 CITY FC와 통합, 현재 K리그2에서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대한민국의 축구단이다.
  • K3리그 (아마추어) 구단 - 전주시민축구단
    전주시민축구단은 전주시를 연고로 K3리그와 K4리그 등에서 활동하며 전주월드컵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축구단으로, U-18, U-15, U-12 팀도 운영하며 지역 사회와 소통하는 열정적인 팬덤을 보유하고 있다.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구단 정보
클럽 이름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
풀 네임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풋볼 클럽
짧은 이름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이전 명칭서울 유나이티드 FC (2007~2018)
별칭서유
창단 연도2007년
연고지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장노원마들스타디움
수용 인원446
단장공석
사무국장허성욱
감독이정재
리그K4리그
시즌2021
2021 시즌 순위11위
2020 시즌 순위12위
웹사이트https://www.seoulunited.kr
유니폼
홈 유니폼 상의 패턴_검정색_줄무늬
홈 유니폼 몸통 패턴_흰색_줄무늬_3개
홈 유니폼 하의 패턴_검정색_줄무늬
홈 유니폼 왼쪽 팔 색상000000
홈 유니폼 몸통 색상000000
홈 유니폼 오른쪽 팔 색상000000
홈 유니폼 반바지 색상000000
홈 유니폼 양말 색상000000
원정 유니폼 상의 패턴_파란색_줄무늬
원정 유니폼 몸통 패턴_흰색_줄무늬_3개
원정 유니폼 하의 패턴_파란색_줄무늬
원정 유니폼 왼쪽 팔 색상1111FF
원정 유니폼 몸통 색상1111FF
원정 유니폼 오른쪽 팔 색상1111FF
원정 유니폼 반바지 색상1111FF
원정 유니폼 양말 색상FFFFFF
로고
서울 유나이티드 FC 로고
서울 유나이티드 FC 로고

2. 역사

1999년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수도에 연고를 둔 구단의 필요성을 느껴 K리그에 서울 연고 프로축구단을 다시 만들기로 결정했지만[1], 신생팀 창단이 무산되면서 이 문제는 다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되었다.

2001년부터 서울 시민들에 의해 서울 연고 프로축구단 창단 운동이 일어났다. 서울의 축구 팬들은 K리그 올스타전에서 '서울 FC'라는 통천을 올리고, 서명 운동과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2003년 안양 LG 치타스(현 FC 서울)의 서울 연고 복귀로 어려움을 겪었다. LG스포츠FC 서울로 구단명을 변경하고 서울월드컵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안양 축구 팬들뿐만 아니라 연고 이전을 반대한 서울 축구 팬들은 계속해서 창단 운동을 지속했으나, 기업 구단이 서울에 들어온 상황에서 서울 시민 구단이 기업들의 지원을 받기는 쉽지 않았다.

2007년 K3리그 창설과 함께 리그 참가 기회를 얻게 된 팬들은 두 아마추어 팀인 굿 프렌즈진서울 FC를 합병하여 서울 유나이티드를 창단하고,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선정하였다.[1] 2010 시즌에는 효창운동장으로, 2011 시즌에는 노원 마들 경기장으로 홈구장을 이전하였다.[1]

2019년 구단명을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로 변경하였고, 2020년부터 K4리그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2. 1. 창단 이전 (2001~2006년)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수도 연고 구단의 필요성을 느껴 1999년부터 K리그에 다시 서울 연고 프로축구단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2000년 5월 12일 이사회에서 신생 구단 창단을 우선하고 불가시 연고지 이전을 허용한다는 원칙[1]을 세웠다. 그러나 서울 연고 신생팀 창단이 무산되면서 이 문제는 다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되었다.

2001년부터 서울 시민들에 의해 서울 연고 프로축구단 창단 운동이 일어났다. 서울의 축구 팬들은 K리그 올스타전에서 '서울 FC'라는 통천을 올리고, 서명 운동과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이러한 창단 운동은 2003년 안양 LG 치타스(현 FC 서울)의 서울 연고 복귀로 어려움을 겪었다. K리그에서 손꼽히는 서포터들이었던 안양 팬들과 국가대표 서포터즈 클럽인 붉은악마, K리그 서포터즈 연합 등 대한민국 축구 팬들의 격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LG스포츠는 안양 LG 치타스의 서울 연고 이전을 발표하였다. 이후 LG는 그룹 분리를 하면서 LG스포츠도 GS그룹에 분리되어 넘어갔고 그 과정에서 FC 서울로 구단명을 변경하고 서울월드컵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안양 축구 팬들뿐만 아니라 연고 이전을 반대한 서울 축구 팬들은 계속해서 창단 운동을 지속해 나갔으나, 기업 구단이 서울에 들어온 상황에서 서울 시민 구단이 기업들의 지원을 받기는 쉽지 않았다.

2. 2. 창단과 K3리그 시절 (2007~2019년)

2001년, 마이클 애킨슨(Michael Atkinson)과 여러 팬들이 당시 K리그의 수도권 구단 연고지 이전 결정에 반발하여 서울 연고 프로 축구팀 창단을 추진하였다. 2003년 말, LG가 안양의 안양 LG 치타스를 서울로 이전하여 FC 서울을 창단하고 서울월드컵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면서 이들의 노력은 좌절되는 듯 했다.

그러나 팬들의 노력은 계속되었고, 2007년 K3리그 창설과 함께 리그 참가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 두 아마추어 팀인 굿 프렌즈진서울 FC가 합병하여 서울 유나이티드를 창단하고,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선정하였다.[1] 2010 시즌에는 효창운동장으로, 2011 시즌에는 노원 마들 경기장으로 홈구장을 이전하였다.[1]

서울 유나이티드의 첫 경기는 2007년 4월 21일 창원 두대 FC와의 홈 경기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1]

2007 K3리그 초대 시즌에서 전기리그 3위, 후기리그 2위, 통합 1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 천안 FC를 꺾고 챔피언결정전에서 화성 신우전자를 꺾으며 K3리그 첫 우승을 차지했다.[1] 제용삼은 K3리그 득점왕, 도움왕, MVP를 석권했고, 대한축구협회 선정 2007 일반부 최우수단체상과 임근재 감독의 최우수 지도자상, 이재명의 팬 선정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1]

2008 K3리그에서는 15개 팀 중 통합 5위를 기록하고 챌린저스리그 페어플레이팀상을 수상했다.[2] 2008 FA컵에서는 전주 EM을 꺾고 예선 3라운드에 진출했으나 고려대학교에 승부차기로 패했다.[2]

2009 K3리그에서는 17개 팀 중 13위에 머물렀다.[3] 시즌 중반까지 선수층 부족으로 부진했으나, 막바지 4연승을 기록했다. 정명호가 팬 선정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3] 2009 FA컵 예선에서는 용인 시민축구단과 전주대학교를 꺾고 K3리그 팀 최초로 대학팀 상대 승리를 거두었으나, 경희대학교에 승부차기로 패했다.[3] 2009년 전국체육대회 서울특별시 예선 결승전에서는 내셔널리그 팀 노원 험멜에 연장 접전 끝에 패했다.[3]

2010 시즌에는 김강남 감독이 부임하고, 장학영이 공익근무요원으로 합류했다.[4] 2010 K3리그에서는 B조 5위, 통합 10위를 기록했다.[4]

2011 시즌에는 송파구에 이어 노원구와 협약을 맺고 마들스타디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다.[5] 2011 챌린저스리그에서는 A조 4위, 통합 10위를 기록했다.[5] 2011 FA컵 1라운드에서는 광운대학교에 패했다.[5] 전국체육대회 서울특별시 대표로 출전하여 본선 1라운드에서 경찰 축구단에 패했다.[5]

2012 시즌에는 배형렬 수석코치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6] 2012 챌린저스리그에서는 B조에 배정되었다.[6] 2012 FA컵 1라운드에서는 한남대학교에 패했다.[6] 서울특별시장기 축구대회에서는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6]

2. 3. K4리그 참가 (2020년~현재)

2019년 구단명을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로 변경하였다. 2020년부터 K4리그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2020 시즌에는 K4리그 12위를 기록했고, 2021 시즌에는 11위를 기록했다.

3. 선수단

2010년 김강남이 감독으로 선임되었고, 성남 일화 천마의 장학영이 공익근무요원 신분으로 서울 유나이티드에서 활약하였다.[1] 2011년 노원구와 협약을 맺고 마들스타디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였다.[2] 2012년 배형렬 수석코치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3]

3. 1. 1군 선수단

2023년 2월 12일한국어 기준 선수 명단.

}

|-

| 35 || DF || 민승기 ||

|-

| 36 || MF || 황찬원 ||

|-

| 37 || DF || 김기현 ||

|-

| 39 || DF || 김광용 ||

|-

| 40 || DF || 이성재 ||

|-

| 42 || MF || 김광민 ||

|-

| 43 || MF || 강찬 ||

|-

| 44 || DF || 윤서호 ||

|-

| 45 || MF || 김성수 ||

|-

| 46 || MF || 오주현 ||

|-

| 47 || MF || 김연왕 ||

|-

| 55 || DF || 김도엽 ||

|-

| 70 || FW || 한민성 ||

|-

| 71 || FW || 정건우 ||

|-

| 77 || GK || 길재영 ||

|-

| 88 || DF || 손태극 ||

|-

| 97 || MF || 진강민 ||

|-

| 99 || FW || 이동원 ||

|}

4. 코칭스태프 및 운영진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노총재
2DF신성화
3DF김현승
4DF이승원
5DF박강산
6DF김유환
7MF박준형
8MF이제호
9FW정성욱
10MF조명철
11FW이예찬
13MF최원철
14MF김도형
15DF김경호
16DF김성태
17DF손호진
18DF정민우
19MF최현서
20MF박강토
21MF이동건
22FW권용주
24DF최지수
25MF구본준
26MF김민훈
31GK임진섭
32DF송동현
33MF최홍찬
34FW제니트{{lang|my|}
직위이름비고
사장곽선우
단장원호인
기술이사김강남
감독조동현
코치김창민
팀닥터문향정
U-18 감독김경범
유소년 책임자조대흥


5. 클럽 역대 인물

'''역대 감독'''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의 역대 감독으로는 임근재 감독과 김강남 감독 등이 있다. 임근재 감독은 K3리그 2007 우승을 이끌었으며, 2007년 대한축구협회 선정 일반부 최우수지도자로 선정되었다.[1] 김강남 감독은 2011년 서울특별시장기 축구대회 우승을 이끌었다.[1]

'''역대 주요 선수'''

K3리그 초대 득점왕, 도움왕, MVP를 차지했던 제용삼 (2007)[1], 공익근무요원으로 서울 유나이티드에서 활약했던 장학영 (2010-2011)[2] 등이 있다.

5. 1. 역대 감독

순번재임시즌이름특이사항
1대2007.1-2008.12임근재K3리그 1회 우승(K3리그 2007), 2007년 대한축구협회 선정 일반부 최우수지도자[1]
2대2009.1-2009.12이창환[1]
3대2010-2011.7김강남2011 서울특별시장기 축구대회 우승[1]
4대2011.7-2011.12임근재초대 감독에 이어 재신임[1]
5대2012.1-2012.7배형렬2012 서울특별시장기 축구대회 우승[1]
6대2012.7-2012.12윤표호[1]
7대2013.1-2013.12김창겸2013 서울특별시장기 축구대회 우승[1]
8대2014.1-2014.11유기흥[1]
9대2014.12-2016.6최상국[1]
10대2016.6-조동현K3 베이직리그로의 강등[1]


5. 2. 역대 주요 선수


  • 제용삼: K3리그 초대 득점왕, 도움왕, MVP를 차지했다. (2007)[1]
  • 장학영: 공익근무요원으로 서울 유나이티드에서 활약했다. (2010-2011)[2]

6. 기록과 통계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는 다양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주요 승리 기록'''

기록일자경기 내용비고
첫 승2007년 4월 28일화성 신우전자 홈 1:0창단 첫 승리
10승2007년 10월 3일대구 한국파워트레인 원정 6:3
50승2011년 8월 27일남양주 시민축구단 홈 4:2
최다 점수 차 승리2015년 6월 20일서울 마르티스 홈 15:0



'''주요 득점 기록'''

기록선수일자경기 내용
1호골제용삼2007년 4월 21일창원전 (홈)
10호골제용삼2007년 6월 9일은평전 (원정)
100호골제용삼2008년 10월 3일파발전 (홈)
200호골김규태2010년 4월 10일춘천전 (홈)



'''각종 연속 기록'''



'''역대 시즌 기록'''

시즌리그팀수순위경기승점FA컵기타감독
2007K3리그101181071421837예선 탈락우승임근재
2008K3리그 전기16415924331929
K3리그 후기15914545302819
K3리그 통합155291469634748예선 3라운드 진출
2009K3리그17133211714705640예선 3라운드 진출이창환
2010K3리그 (B조)18(9)10(5)251087473138김강남
2011챌린저스리그 (A조)16(8)10(5)227510444626서울 유나이티드 FC 2011 시즌
2012챌린저스리그 (B조)18(9)9(6)251159625638배형렬, 윤표호
2013챌린저스리그 (B조)18(9)10(5)2511311535436김창겸
2014챌린저스리그 (A조)18(9)14(7)256415285222유기흥
2015K3리그 (B조)18(9)17(9)2554165159192라운드최상국
2016K3리그20171933132653121라운드조동현,
2017K3리그 베이직99위160214196421라운드
2018K3리그 베이직1110위2033143162122라운드
2019K3리그 베이직88위21321633811예선탈락
2020K4리그1312위2445153246171라운드
2021K4리그1611위3095164053321라운드


6. 1. 우승 기록

6. 2. 주요 대회 참가 기록

서울 유나이티드는 전국체육대회에 서울특별시 대표로 2011년, 2012년, 2013년에 참가하였다.[1]

연도대회명경기 결과
2011년제92회 전국체육대회경찰 축구단에 0-4 패배[1]
2012년제93회 전국체육대회결과 미상
2013년제94회 전국체육대회결과 미상


6. 3. 주요 승리 기록

기록일자경기 내용비고
첫 승2007년 4월 28일화성 신우전자 홈 1:0창단 첫 승리
10승2007년 10월 3일대구 한국파워트레인 원정 6:3
50승2011년 8월 27일남양주 시민축구단 홈 4:2
최다 점수 차 승리2015년 6월 20일서울 마르티스 홈 15:0


6. 4. 주요 득점 기록

기록선수일자경기내용
1호골제용삼2007년 4월 21일창원전 (홈)
10호골제용삼2007년 6월 9일은평전 (원정)
100호골제용삼2008년 10월 3일파발전 (홈)
200호골김규태2010년 4월 10일춘천전 (홈)


6. 5. 각종 연속 기록

6. 6. 역대 시즌 기록

시즌리그팀수순위경기승점FA컵기타감독
2007K3리그101181071421837예선 탈락우승임근재
2008K3리그 전기16415924331929
K3리그 후기15914545302819
K3리그 통합155291469634748예선 3라운드 진출
2009K3리그17133211714705640예선 3라운드 진출이창환
2010K3리그 (B조)18(9)10(5)251087473138김강남
2011챌린저스리그 (A조)16(8)10(5)227510444626서울 유나이티드 FC 2011 시즌
2012챌린저스리그 (B조)18(9)9(6)251159625638배형렬, 윤표호
2013챌린저스리그 (B조)18(9)10(5)2511311535436김창겸
2014챌린저스리그 (A조)18(9)14(7)256415285222유기흥
2015K3리그 (B조)18(9)17(9)2554165159192라운드최상국
2016K3리그20171933132653121라운드조동현,
2017K3리그 베이직99위160214196421라운드
2018K3리그 베이직1110위2033143162122라운드
2019K3리그 베이직88위21321633811예선탈락
2020K4리그1312위2445153246171라운드
2021K4리그1611위3095164053321라운드


7. 스폰서십

연도유니폼 스폰서메인 스폰서
2007년~2009년나이키KT
2010년디아도라KT
2011년호마KT
2012년-서울특별시
2013년아스토레-
2014년-재인스건설
2015년페널티한맘플러스
2016년아르볼동우씨엠


8. 경기장

서울 유나이티드는 2007년 K3리그 창설과 함께 리그에 참여하면서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1] 2010 시즌에는 효창운동장으로 홈구장을 이전했고,[1] 2011 시즌부터 노원구와 연고지 협약을 맺고 마들스타디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2] 2012 시즌에는 일부 경기를 다시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개최하기도 했다.[4]

9. 엠블럼과 유니폼

엠블럼은 공개 모집을 통해 회원들이 정한 안을 수정하여 2007 시즌을 앞두고 확정되었다. 축구 전문 디자이너 장부다 씨가 디자인한 것으로 알려져있다.[8] 아리수, 광화문서울특별시를 상징하는 문양을 새겨넣었으며, 백호를 배치하여 향후 구단 마스코트로 만들 가능성도 남겨놓았다.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의 엠블럼과 흡사하다는 비판도 있다.[8] 유니폼은 제왕을 상징하는 흑색과 순결함을 상징하는 백색의 줄무늬로 구성된 홈 유니폼을 창단부터 고수해왔으며, 원정 유니폼은 창단 때는 파란색 단색을 택했으나 잠시 백색, 형광색으로 시즌을 보내기도 했다. 현재는 창단 초기의 유니폼 색과 같은 흑백 줄무늬의 홈 유니폼과 청백 줄무늬의 원정 유니폼을 사용 중이다.

10. 클럽 관련 문화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는 서포터즈 클럽 '서유불패'를 중심으로 팬층이 형성되어 있다. 창단 초기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사용할 때보다는 팬 수가 줄었지만, 여전히 챌린저스리그에서 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다. 과거 경기장 폭력 사태로 무관중 징계를 받기도 했다.

자체 중계 방송인 SUTV[9]를 통해 하이라이트 영상과 경기 생중계를 제공한다. 다음 팟플레이어를 통해 중계하며, 방송인 교육기관 나비스피치와 협력하여 전문성을 높였다. 2013년부터 명예기자 시스템을 운영하여 경기 리뷰, 인터뷰 등을 제공하고, 명예기자들은 SUTV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한다. 이러한 기사들은 다음 스포츠 뉴스에 올라와 접근성이 좋다. SUTV는 미디어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홍보 효과를 높여 팬들에게 호평받고 있다.

서울 이랜드 FC는 과거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의 홈구장이었던 잠실올림픽주경기장을 사용하게 되어,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가 프로화될 경우 라이벌 관계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부천 FC 1995K3리그 시절 라이벌 관계였으며, 팬들의 경쟁심과 언론 보도로 더욱 심화되었다. 두 팀의 경기는 선수 간 폭력, 서포터 간 충돌이 발생하는 등 과열 양상을 보였다. 2011년부터 중계역 인근 마들스타디움으로 경기장을 옮기면서 7호선 더비라는 별칭을 얻었다. 충주 험멜과는 전국체전에서 악연이 있는데, 2010년 충주 험멜이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를 꺾고 서울시 대표로 전국체전에 출전하는 과정에서 오심 논란으로 관계가 악화되었다.[1]

10. 1. 팬

창단 초창기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사용했을 당시보다는 팬 수가 줄었으나, 여전히 서포터즈 클럽 <서유불패>를 중심으로 한 팬들이 상당수 존재한다. 챌린저스리그에서 가장 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3년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열린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3차전에서 구단의 프로화를 지지하는 걸개를 걸기도 하였다. 과거 많은 팬 수로 인해 경기장 폭력 사태가 발생하여 무관중 징계를 받기도 했다.

10. 2. 미디어

SUTV[9]는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의 자체 중계 방송으로, 하이라이트 영상 업로드와 경기 생중계를 담당한다. 중계는 다음 팟플레이어를 통해 이루어지며, 방송인 교육기관 나비스피치와의 협약을 통해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2013년부터는 명예기자 시스템을 운영하여 매 경기 구단의 경기 리뷰 기사와 인터뷰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명예기자들은 SUTV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한다. 이러한 기사들은 다음 스포츠 뉴스에 업로드되어 접근성이 높다. SUTV는 미디어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홍보 효과를 높였다는 점에서 팬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10. 3. 라이벌

서울 이랜드 FC는 과거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의 홈구장이었던 잠실올림픽주경기장을 사용하게 되면서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가 프로화될 경우 라이벌 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부천 FC 1995K3리그 시절,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와 라이벌 관계였으며, 두 팀의 팬들 간의 경쟁심과 언론 보도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다. 두 팀의 경기는 선수 간 폭력, 서포터 간 충돌이 발생하기도 하는 등 과열된 양상을 보였다. 2011년부터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가 중계역 인근 마들스타디움으로 경기장을 옮기면서 7호선 더비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충주 험멜과는 전국체전에서 악연이 있다. 2010년 충주 험멜이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를 꺾고 서울시 대표로 전국체전에 출전하는 과정에서 오심 논란이 발생하여 두 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1]

참조

[1] 뉴스 프로축구연맹 "서울 연고이전 가능"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04-02-06
[2] 뉴스 서울UTD를 바르샤차럼? http://xportsnews.ha[...] 엑스포츠 2013-09-21
[3] 뉴스 서울유나이티드 "2014년 K리그 챌린지 입성 노린다!" http://sports.media.[...] 서울유나이티드 2013-09-21
[4] 뉴스 '잠실에서 K리그 보는 그날까지' 문구에 담긴 사연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3-09-21
[5] 트위터 https://twitter.com/[...]
[6] 뉴스 서울Utd의 프로화 도전, 연고협약부터 난항 http://www.xportsnew[...] 엑스포츠뉴스 2013-11-22
[7] 웹사이트 서포터즈 클럽 서유불패 성명서 http://www.seoulutd.[...]
[8] 웹사이트 구단 엠블럼 소개 http://seoulutd.com/[...]
[9] 웹사이트 SUTV http://tvpot.daum.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